KR100839868B1 - 시술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시술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868B1
KR100839868B1 KR1020070044506A KR20070044506A KR100839868B1 KR 100839868 B1 KR100839868 B1 KR 100839868B1 KR 1020070044506 A KR1020070044506 A KR 1020070044506A KR 20070044506 A KR20070044506 A KR 20070044506A KR 100839868 B1 KR100839868 B1 KR 10083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ving member
transverse moving
fixing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철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Priority to KR102007004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시술부위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킴으로서 엑스레이 촬영시 동일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의 양 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되어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이동부재,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된 가로이동부재간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이동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상기 세로이동부재에 설치되어 환자의 시술부위를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축과 가이드바에 대한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44506
가로이동부재, 세로이동부재, 클램핑부재, 자부재

Description

시술부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KNE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장치 11 : 베이스판
12 : 지지브라켓 13 : 가이드축
14 : 가로이동부재 15 : 가이드바
16 : 세로이동부재 17 : 지지바
18 : 쿠션재 19 : 차단부재
20 : 클램핑부재 21 : 지지판
22 : 쿠션부재 23 : 중간부재
24 : 벨크로테잎 25 : 회동축
30 : 교정부 31 : 가이드봉
32 : 슬라이딩부재 33 : 수직바
34 : 승하강부재 35 : 자부재
40,43,45,47 : 체결홀 41,42,44,46,48,49 : 조임나사
50 : 채널 51,56 : 홈
52,57 : 장공 53,59 : 회동핀
54 : 브라켓 55 : 삽입축
58 : 지지대
본 발명은 의료 장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엑스레이(X-ray)검사 시 환자의 시술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시술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과 수술 후에는 수술 상태의 확인을 위해 수술 부위에 대한 엑스레이 검사가 이루어진다. 예컨대 인공슬관절치환수술(TKRA;Total Knee Replacement Athroplasty)의 경우 무릎에 인공 슬관절을 시술하는 것으로 수술 후 환자의 무릎을 엑스레이 촬영하여 그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상기 무릎에 대한 엑스레이 촬영은 환자의 다리를 동일한 자세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정면과 측면에서 각각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엑스레이 촬영시 의사가 직접 환자의 다리를 잡아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정면과 측면에서 무릎을 촬영함에 따라, 정면 촬영과 측면 촬영시 다리의 자세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손으로 환자의 다리를 고정시킴으로서 환자의 다리를 계속 동일한 자세로 잡고 있지 못하게 되고, 이에 정면 검사영상과 측면 검사영상의 자세가 상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리를 동일한 자세로 맞추고 다시 검사가 이루어짐으로서 재검사의 횟수가 증가하게 되어 무릎 수술 후 검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무릎 엑스레이 촬영을 위해 방사선사와 인턴의사 등 많은 인원이 동원됨으로서 고급 인력이 낭비되고 업무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환자의 시술부위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킴으로서 엑스레이 촬영시 동일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시술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시술부위에 대한 정확한 영상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시술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본 고정장치는 베이스판의 양 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되어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이동부재,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된 가로이동부재간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이동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상기 세로이동부재에 설치되어 환자의 시술부위를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축과 가이드바에 대한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고정된 환자의 시술 부위를 정확한 촬영을 위한 기준선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도록 된 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장치는 환자의 시술부위를 기준으로 양쪽에서 파지하여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환자의 시술부위가 클램핑부재에 의해 기구적으로 고정되어 엑스레이 촬영 시 자세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는 가로이동부재 또는 세로이동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가이드축 또는 가이드바에 가압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재는 수직으로 세워진 구조로서 환자의 시술부위를 용이하게 클램핑부재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본 고정장치는 상기 클램핑부재가 상기 가로이동부재 또는 세로이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눕혀질 수 있도록 구 조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술부 고정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는 인공슬관절치환수술(TKRA;Total Knee Replacement Athroplasty) 후 환자의 무릎을 엑스레이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서 환자의 다리를 고정하는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정장치(10)는 네 모서리에 지지브라켓(12)이 설치된 사각형태의 베이스판(11)과, 상기 지지브라켓(12) 간에 연결설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축(13),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축(13)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가로이동부재(14), 각 가이드축(13)에 설치된 한 쌍의 가로이동부재(14) 간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축(13)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15), 상기 각 가이드바(15)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이동부재(16), 상기 각 세로이동부재(16)와 이에 대응되는 일측 가로이동부재(14)에 각각 수직설치되어 환자의 다리를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부재(20), 상기 가로이동부재(14)와 세로이동부재(16)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축(13)과 가이드바(15)에 대한 가 로이동부재(14)와 세로이동부재(16)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환자의 시술 부위의 정확한 촬영을 위해 그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교정할 수 있도록 된 교정부(3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에서 가로 또는 가로방향은 도면 상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세로 또는 세로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수직 또는 수직방향은 z축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베이스판(11)은 직사각형태의 판부재로 4개의 모서리에는 각각 소정 높이의 지지브라켓(12)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각 지지브라켓(12) 사이에는 가로방향으로 가이드축(13)이 설치되며 세로방향으로는 지지브라켓(12)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바(17)가 고정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는 외측으로 쿠션재(17)가 끼워지고 상기 지지브라켓(12)에도 별도의 쿠션재(도시되지 않음)가 감싸진 구조로 이루어져 환자의 다리 고정시 상기 부재와의 충돌에 의해 환자 다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7)의 하단에는 지지바와 베이스판(11) 사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차단부재(19)가 부착설치된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1) 위쪽으로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양측이 막혀 있는 소정 높이의 공간(G)이 마련되며, 상기 공간은 영상 획득에 필요한 카세트를 삽입하는 카세트 삽입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놓인 한 쌍의 가이드축(13) 상에는 각각 가로이동부재(14)가 가이드축(13)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로이동부재(14)는 일측에 관통형성된 홀을 매개로 상기 가이드축(13)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윗면에는 필요한 위치에서 가로이동부재(1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는 가이드축(13)을 향해 가로이동부재(14)에 관통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40)과, 이 체결홀(4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축(13)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조임나사(41)를 포함한다.
이에 조임나사(41)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서 가이드축(13)에 대해 가로이동부재(14)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축(13)에 설치된 가로이동부재(14) 사이에는 세로방향으로 가이드축(13)이 설치된다.
이에 본 고정장치(10)는 가이드축(13)으로 연결된 한 쌍의 가로이동부재(14)가 두 개 구비되어 각각 가이드바(15)를 따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세로이동부재(16)는 일측에 관통형성된 홀을 매개로 상기 가이드바(15)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윗면에는 필요한 위치에서 세로이동부재(16)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가 설치된다.
상기 세로이동부재(16)에 설치된 고정부는 가로이동부재(14)에 설치된 고정부와 동일하게 조임나사(자부재(35))를 포함한 구조로서 이하 그 설명을 생략하도 록 한다.
한편, 상기 클램핑부재(20)는 가이드축(13)을 따라 일측 가로이동부재(14)와 세로이동부재(16)에 각각 대향설치되어 한 조를 이루어 환자의 다리를 양쪽에서 파지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핑부재(20)가 두 개의 조로 나눠지며 각 조는 환자의 시술부위인 무릎을 중심으로 허벅지쪽과 종아리쪽을 각각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20)는 가로이동부재(14) 및 세로이동부재(16)에 수직설치되는 지지판(21)과, 이 지지판(21) 전면에 부착되어 환자의 다리에 밀착되는 쿠션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재(20)를 이루는 지지판(21)과 쿠션부재(22)는 환자의 다리를 충분히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재(22)는 환자의 다리와 접하는 전면이 둥글게 만곡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나, 그 크기나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21)과 쿠션부재(22)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테잎(24)이 설치되어 필요시 지지판(21)에 대해 쿠션부재(22)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인체의 다리는 허벅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종아리가 얇은 구조를 이룸에 따라 환자 다리의 종아리를 파지하는 조에 속하는 클램핑부재(20)의 경우 지지판(21)과 쿠션부재(22) 사이에 소정 두께의 중간부재(23)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중간부재(23)는 양 면에 벨크로테잎(24)이 부착설치되어 지지판(21)과 쿠션부재(22) 사이에 부착설치된다. 이에 상기 중간부재(23)가 설치된 클램핑부재(20)는 그 두께가 커져 환자의 허벅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종아리를 보다 원활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핑부재(20) 중 가로이동부재(14)에 설치되는 클램핑부재(20)는 상기 가로이동부재(14)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로방향으로 눕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핑부재(20)의 지지판(21) 모서리부분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가로이동부재(14)는 회동축(25)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이동부재(14) 전면에는 지지판(21)을 수직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43)이 형성되고 이 체결홀에 조임나사(44)가 나사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나사(44)를 풀어 수직으로 세워진 클램핑부재(20)를 가로로 눕힘으로서 환자의 다리를 용이하게 클램핑부재(20)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교정부(30)는 고정된 환자 다리의 위치를 수정하여 무릎의 정면 엑스레이 촬영시 보다 정확한 정면 영상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브라켓(12)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가이드축(13)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이드봉(31)과, 상기 가이드봉(3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2), 상기 슬라이딩부재(32)에 수직설치되는 수직바(33), 상기 수직바(33)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부재(34), 상기 승하강부재(34)에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표면에는 수치가 표시된 자부재(35)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부재(35)에 표시된 수치를 확인하여 환자의 무릎을 보다 정밀하게 이동시킴으로서 정확한 무릎 정면 엑스레이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교정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31)에 대해 슬라이딩부재(3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재(32) 상단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45)이 상기 가이드봉(31)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 조임나사(46)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33)에 대해 승하강부재(34)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승하강부재(34)의 선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47)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 조임나사(48)가 결합되어 상기 수직바(33)를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교정부(30)는 베이스판(11)의 가로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보관이나 이동시 장치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재(32)는 윗면에 수직바(33)가 놓여지는 채널(50)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채널(50)의 저면에는 상기 수직바(33)가 끼워지는 홈(51)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바(33) 측면에는 소정 길이의 장공(52)이 형성되어 상기 채널(50) 내측에 설치되는 회동핀(53)이 상기 장공(52)을 관통하여 수직바(33)와 체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홈(51)에서 수직바(33)를 빼낸 후 회동핀(53)을 매개로 수직바(33)를 회동시켜주게 되면 수직으로 세워져 있던 수직바(33)를 가로방향으로 눕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49)는 상기 수직바(33)가 상기 홈(51)에 끼워 져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홈(51)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부재(3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직바를 가압하는 조임나사이다.
또한, 상기한 구조는 승하강부재(34)에도 적용되는 데, 상기 자부재(35)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54)의 선단에 삽입축(55)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재(34)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축(55)이 끼워지는 홈(56)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축(55)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장공(57)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재(34) 선단에서 상기 삽입축(55)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대(58)에 설치된 회동핀(5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필요한 경우 상기 브라켓(54)의 삽입축(55)을 홈(56)으로부터 인출하여 회동핀(59)을 축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서 자부재(35)를 수직바(33)와 같은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환자의 다리 방향에 맞춰 허벅지쪽 클램핑부재(20)와 종아리쪽 클램핑부재(20)의 위치를 정하고, 가로이동부재(14)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0)를 가로방향으로 회동시켜 눕혀놓는다. 이에 환자의 다리를 보다 용이하게 클램핑부재(20) 사이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환자의 다리가 클램핑부재(20) 사이로 이동되면 눕혀져 있는 클램핑부재(20)를 수직으로 회동시켜 세우고 가로이동부재(14) 전면에 설치된 조임나사(44)를 조여 세워진 클램핑부재(20)를 가로이동부재(14)에 고정시킨다.
이에 각각의 가로이동부재(14)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0)와 각각의 세로이동 부재(16)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0)가 환자 다리의 양쪽에 세워져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가이드축(13)을 따라 가로이동부재(14)를 이동시켜 클램핑부재(20)를 환자 다리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각 클램핑부재(20)가 환자 다리에 맞춰 무릎을 중심으로 환자의 허벅지쪽과 종아리쪽에 이동되면 상기 각 가로이동부재(14)에 설치된 조임나사(41)를 조여 가이드축(13)에 대해 가로이동부재(14)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가이드축(13)에 대한 가로이동부재(14)의 위치가 정해지면 가이드바(15)를 따라 세로이동부재(16)를 이동시켜 세로이동부재(16)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0)를 환자 다리에 밀착시킨다.
이에 가로이동부재(14)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0)와 세로이동부재(16)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0)가 환자 다리에 밀착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세로이동부재(16)에 설치된 조임나사(42)를 조여 세로이동부재(16)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환자의 다리는 양쪽의 클램핑부재(20)에 의해 가압 밀착되어 그 자세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다리가 고정되면 정확한 무릎 정면 엑스레이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환자의 무릎의 위치를 정밀하게 교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종래에는 무릎의 위치 교정이 시술자의 눈대중에 의존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정확한 무릎 정면 엑스레이 영상을 얻을 때까지 수차례의 엑스레이 촬영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자부재(35)를 이용함으로서 한번의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먼저, 자부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무릎에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가상의 기준선(L)을 설정하게 된다.
먼저 눕혀져 있는 수직바(33)는 슬라이딩부재(32)에 대해 회동시켜 세운 후 슬라이딩부재(32)의 홈(51)에 하단을 끼워 수직으로 설치하고, 자부재(35)가 설치된 브라켓(54) 역시 회동시켜 삽입축(55)을 승하강부재(34)의 홈(56)에 끼워 수평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가이드봉(31)에 대해 슬라이딩부재(32)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 수직바(33)에 대해 승하강부재(34)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부재(35)를 환자 무릎 위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에 상기 자부재(35)에 표시된 수치를 이용하여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가상의 기준선(L)을 무릎에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상의 기준선(L)이 설정되면 상기 가상의 기준선에 엑스레이 빔 중심(X-ray beam center)을 맞추고 무릎 정면에 대한 예비 엑스레이를 촬영한다.
그리고 촬영된 예비 영상을 기준이 되는 무릎 정면 영상과 비교하여 무릎의 중심축에 대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각도로 틀어져 있는지를 확인한다.
무릎의 회동각도가 확인되면 상기 자부재(35)에 표시된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릎을 정확히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두 영상을 비교한 결과 무릎의 정면이 다리 안쪽으로 약 5cm 회동된 상태인 경우, 상기 자부재를 무릎에 위치시키고 자부재에 표시된 수치를 이용하여 정확히 무릎에 표시된 기준선을 바깥쪽으로 5cm 이동되도록 무릎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확한 수치로 무릎의 축중심을 회동시켜 무릎의 위치를 교정함으로서 본 엑스레이 촬영시 단번에 정확한 무릎 정면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시술부위에 대한 엑스레이 촬영시 자세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서 검사횟수와 검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환자나 의료진의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시술부위를 기구적으로 고정시킴으로서 시술부위 고정을 위한 인력의 낭비와 노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환자의 무릎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되어 재검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베이스판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에 연결되어 양 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되어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이동부재,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된 가로이동부재간에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이동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상기 세로이동부재에 설치되어 환자의 시술부위를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 상에 설치되어 가이드축과 가이드바에 대한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를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에 고정된 환자의 시술 부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를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가로이동부재 또는 세로이동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가이드축 또는 가이드바에 가압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는 가로이동부재 및 세로이동부재에 수직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전면에 부착되는 쿠션부재
    를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쿠션부재는 접면에 벨크로테잎이 설치되어 착탈가능한 구조의 시술부 고정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쿠션부재 사이에 중간부재가 설치되는 시술부 고정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의 지지판은 상기 가로이동부재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의 시술부 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바의 하단에 상기 베이스판 지지바 사 이의 틈새를 막기 위한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카세트 삽입 공간을 이루는 시술부 고정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가이드축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수직설치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에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표면에는 수치가 표시된 자부재를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윗면에 수직바가 놓여지는 채널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채널의 저면에는 상기 수직바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바 측면에는 소정 길이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채널 내측에 설치되는 회동핀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수직바와 체결된 구조의 시술부 고정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자부재를 고정하고 있는 브라켓의 선단에 삽입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부재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축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축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의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부재 선단에서 상기 삽입 축의 양측으로 돌출된 지지대에 설치된 회동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의 시술부 고정장치.
  12. 네 모서리에 지지브라켓이 설치된 사각형태의 베이스판과,
    상기 지지브라켓 간에 연결설치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축,
    평행하게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축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가로이동부재,
    상기 각 가이드축에 설치된 한 쌍의 가로이동부재 간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축에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각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로이동부재,
    상기 각 세로이동부재와 이에 대응되는 일측 가로이동부재에 각각 수직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전면에 부착되는 쿠션부재를 포함하여 환자의 다리를 가압 고정하는 클램핑부재,
    상기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 상에 나사 체결되어 가이드축과 가이드바에 가압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여 가로이동부재와 세로이동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환자의 시술 부위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한 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지지브라켓 사이에 연결설치되어 가이드축에 나란히 배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수직설치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 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에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장되고 표면에는 수치가 표시된 자부재을 포함하는 시술부 고정장치.
KR1020070044506A 2007-05-08 2007-05-08 시술부 고정장치 KR10083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06A KR100839868B1 (ko) 2007-05-08 2007-05-08 시술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06A KR100839868B1 (ko) 2007-05-08 2007-05-08 시술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868B1 true KR100839868B1 (ko) 2008-06-20

Family

ID=3977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506A KR100839868B1 (ko) 2007-05-08 2007-05-08 시술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485A (zh) * 2019-01-31 2019-04-26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膝关节x线影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7547A (ja) 1981-08-08 1983-02-18 オラフ・ツラスツエスキ 脚x線撮影用支持台
JPS5996004U (ja) 1982-12-21 1984-06-29 小島迪子 膝関節撮影架台
JPS63206227A (ja) 1987-02-24 1988-08-25 株式会社東芝 関節保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7547A (ja) 1981-08-08 1983-02-18 オラフ・ツラスツエスキ 脚x線撮影用支持台
JPS5996004U (ja) 1982-12-21 1984-06-29 小島迪子 膝関節撮影架台
JPS63206227A (ja) 1987-02-24 1988-08-25 株式会社東芝 関節保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4485A (zh) * 2019-01-31 2019-04-26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膝关节x线影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674485B (zh) * 2019-01-31 2024-06-18 中南大学湘雅医院 一种膝关节x线影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32156T2 (de) Chirurgisches scannersystem
US20030009167A1 (en) Device
US9451918B2 (en) Device for measuring knee laxity
CN101564575A (zh) 固定设备
CN100455272C (zh) 侵入式牵引装置
EP3858319A1 (en) Supporting device for correction and fusion surgery for spinal deformity
WO2015016470A1 (ko) 방사선 영상 촬영용 두부 고정장치 및 이를 갖는 엑스선 촬영시스템
CN103690243A (zh) 在一种适用于dsa机微创手术的立体定位头架及手术躺板
US20160008199A1 (en) Position device for percutaneous intervention
KR100839868B1 (ko) 시술부 고정장치
US101659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angle between two parts of a bone
DE19619761C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ixierung des menschlichen Kopfes
US20090178683A1 (en) Device for stable spatial fixation and central drilling with distal interlocking screws in limb procedures
US20190336093A1 (en) System for performing robotic surgery
WO2020096955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965951B (zh) 一种用于脊柱经皮精准靶向穿刺的三维定位装置
Hitchcock The Hitchcock system
CN214806449U (zh) 可调节式多功能手术支架
CN220236897U (zh) 一种cbct获得寰枢关节影像的头颅定位装置
CN205795718U (zh) 一种用于骨科手术中的透视架
CN217090752U (zh) 腰椎斜位x线摄影辅助定位装置
JP3757191B2 (ja) ガイドピンの位置決め器具
KR101425861B1 (ko) 두부 영상 획득 시스템
EP4088683A1 (en) Medical multipurpose laser pointing device
US20220409142A1 (en) Multi-axial joint laxity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