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088B1 -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088B1
KR100839088B1 KR1020070043384A KR20070043384A KR100839088B1 KR 100839088 B1 KR100839088 B1 KR 100839088B1 KR 1020070043384 A KR1020070043384 A KR 1020070043384A KR 20070043384 A KR20070043384 A KR 20070043384A KR 100839088 B1 KR100839088 B1 KR 100839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bandage
antimicrobial
nano
nanofiber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
김명수
양성철
송용설
Original Assignee
(주)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07004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61F13/01029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made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 A61L2300/102Metals or metal compounds, e.g. salts such as bicarbonates, carbonates, oxides, zeolites, silicates
    • A61L2300/104Silver, e.g. silver sulfadiaz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붕대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적층한 형태를 포함하는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붕대는, 은나노 함유 나노섬유층과 의료용 붕대층(직포 또는 부직포 형태)으로 구성된 복합형태의 직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처부위는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 섬유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의료용 붕대를 형성시켜, 은 나노 입자에 의한 항균력이 충분히 발휘되고, 나노섬유층에 의해 바이러스나 오염물의 2차 감염을 제거시키며, 기존 붕대에 의해 나노 섬유층의 물성이 유지될 수 있는 은 나노 함유 나노섬유로 구성된 항균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은나노 함유 나노섬유는 방사용액 내에 은함유 금속염을 첨가하여 방사함으로써 은입자의 균일한 분산 및 은입자가 섬유표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내구성이 뛰어나 은나노 입자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은 나노, 나노섬유, 항균, 붕대, 전기방사

Description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Anti-bacterial Band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붕대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10: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 섬유 웹, 20: 면으로 직조된 섬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나노 함유 나노섬유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a) x 5000배 (b) x 10,000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나노 함유 나노섬유 웹의 자외선(UV) 조사에 따른 이미지 사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나노 함유 나노섬유 웹을 이용한 항균테스트 이미지 : Disc zone (diffusion) assay를 실시한 사진이다.
(a) 대조군 (PAN 나노파이버) (b) AgNO3/PAN(5/95wt.%),
(c)AgNO3/PAN(5/95wt.%) UV조사 2시간, (d) AgNO3/PAN(5/95wt.%),
*(e) AgNO3/PAN(5/95wt.%) UV조사 2시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은나노 함유 나노섬유 웹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다.
(a) 전기방사, (b) 안정화, (c) 탄소화, (d) 활성화.
본 발명은 의료용 붕대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적층한 형태를 포함하는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붕대는 상처 부위를 감싸주어 단백질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상처 표면으로부터 열의 증발과 수분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피부의 상처를 통풍시키게 하는 기능과 외부환경으로부터 상처의 오염을 방지하는 등 외과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출혈에 의하여 혈장이 급격히 손실되는 경우에는 출혈이나 혈장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역할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붕대는 고압 멸균기로 살균하여 균을 죽이는 방법 외에 자체적인 항균 능력이 없었다. 따라서, 상처 부위에서 세균이 완전히 살균되지 않은 상태로 붕대를 감거나, 외부로부터 세균이나 오염물질이 침투하거나, 붕대 자체가 세균에 오염된 경우에 세균 감염에 무방비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붕대 자체의 세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조 업체에서 고압멸균기를 통하여 멸균을 한 뒤 각급 의료기관에 유통시키고 있는데 유통 기간이 길어지면 외부환경에 의하여 붕대에 오염이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종래의 붕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처 부위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붕대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기존 의료용 붕대는 직포나 부직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되는 섬유의 직경이 수십 - 수백㎛로 구성되어 있어 바이러스나 외부오염물에 의한 2차 감염 등에 노출되어 있어 근본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붕대의 소재에 은 나노 분말 또는 은 나노 액체를 투입하여 제조된 은 나노입자가 함유된 붕대(한국특허 공개공보 제10-2004-0082357호) 또는 붕대를 직조함에 있어 경사의 일정간격 마다 은사를 첨가하여 은사로 직조한 붕대(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7932
호) 등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은 나노입자가 함유된 붕대의 경우, 붕대 자체를 은 나노입자를 배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은 나노입자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은나노함유 섬유의 경우, 용융 및 용액방사 방법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섬유의 직경이 수십 ~ 수백㎛로 구성되어 있어 은나노 입자가 섬유내부에 다량으로 존재하여 효과적인 항균작용을 할 수 없어, 경제성 면에서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갖는다. 또한, 은사를 이용하여 직조한 붕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101929호에는 섬유 성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고, 불융화, 탄소화, 활성화를 공정을 통하여 은 나노 함유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그러한 은 나노 함유 나노섬유는 단위섬유 직경이 대부분 1㎛미만 으로 구성된 부직포 형태로 되며, 은 나노입자가 대부분 섬유표면에 노출되어 세균 및 오염물과 접촉하는 계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그러한 은 나노 함유 나노섬유를 의료용 붕대 소재와 적층하여 제조되는 항균 붕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처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 섬유가 적층되고, 그 나노 섬유에서 은 나노입자는 대부분 섬유 표면에 노출되기 때문에, 항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은 나노입자의 사용 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은 나노입자가 견고하게 고정되어 내구성이 뛰어난 항균 붕대와 그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균 붕대는 의료용 붕대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적층한 형태로 포함한다.
상기에서 의료용 붕대라 함은, 가제, 목면, 견포, 탄력성 직포(섬유에 고무를 섞어 짠 것), 플란넬, 옥양목, 메리야스 등의 재료; 감은 붕대, 탄력 붕대 등의 명칭; 및 부직포형, 직포, 직물형 등의 형태와 관계없이 의료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형태의 붕대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은, 전기방사된 섬유, 불융화(안정화) 단계를 거친 형태, 탄소화 단계 내지는 활성화 단계를 거친 형태 등 하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모든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탄소화 및 활성화 단계를 거친 나노섬유 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균기능 강화는 물론이고 냄새 등을 흡착하는 소취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은,
섬유 성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유기용매 및 수용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공정에 하기의 공정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추가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 웹을 사용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1) 상기에서 전기방사된 섬유중 탄소섬유의 전구체인 경우, 공기분위기하에서 안정화처리하여 안정화 섬유를 제조하는 불융화처리 단계.
(2) 상기 전기방사된 섬유를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는 탄소화 단계.
(3) 상기 단계(1) 및 (2)의 처리후 활성화하는 단계.
(4) 방사후 UV 조사처리하는 단계.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질산은, 황산은, 염화은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 성형성 고분자로는 생체적합성 소재, 탄소섬유 전구체이거나, 생분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나아가서, 상기 방사용액 내에 이산화 티타늄(TiO2) 등의 광촉매 효과를 발휘하는 소재를 추가로 첨가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과 의료용 붕대는 공지의 방법에의하여 적층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접합, 초음파 접합, 라미네이팅 기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항균 붕대를 제조하는 더욱 바람직한 방법은 의료용 붕대 상에 상기 방사용액을 직접 전기방사(electrospinning)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웹을 의료용 붕대 위에 직접 적층하는 것이다.
즉, 방사용액이 방사되는 위치(예컨대, 컨베이어 벨트 상)에 미리 의료용 붕 대를 위치시키고 그 위에 방사용액의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의료용 붕대 위에 직접 적층하고 캘린더링하여 권취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의료용 붕대와 은 나노함유 나노섬유 웹을 접합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에 고온의 가공공정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능한 방법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항균 붕대는 항균 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형태의 의료용 붕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깁스 안쪽에 사용되는 붕대나, 압박붕대 등 땀이 많이 발생하고,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되어 세균에 노출되기 쉬운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의 제조
하기의 내용 중 불융화 처리, 탄소화 처리, 활성화 처리, UV 조사 처리는 기재 편의상 연속적인 공정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 방사용액의 제조
상기 섬유 성형성 고분자로는 전기방사에 의하여 섬유를 형성할 수 있는 고분자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유산(PLA), 콜라겐(collage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섬유 성형성 고분자로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생분해성 고분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은 금속염은 질산은, 황산은, 염화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디메칠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나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DMAc), 알콜류(alcolol) 등의 유기용매를 단독 혹은 복합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물 등의 수용성 용매를 단독 혹은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 성형성 고분자와 은 금속염을 방사 가능한 농도, 점도, 표면장력, 용액의 전기전도도 등을 고려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한다.
2) 전기방사
상기 제조된 방사용액을 용액공급 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방사 노즐에 연결하고, 노즐과 집전체 사이에 고전압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고전계(高電界, ~100kV)를 형성시켜 전기방사를 실시한다. 이 때, 사용되는 전기방사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렉트로-브로운법이나 원심전기방사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방사용액에는 광촉매로서 이산화 티타늄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방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의 직경은 대부분 1㎛미만으로 구성된 부직포 형태로 이를 캘린더 등의 방법에 의해 바로 압착한 후 사용하거나,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은 나노입자 입자가 표면에 환원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불융화(안정화)처리
상기 전기방사된 탄소섬유 전구체로 구성된 나노섬유를 이송밸트(conveyer belt)를 이용하여 열풍순환로로 이동시켜 공기분위기하에서 분당 1 - 5℃의 승온 속도로 350℃ 미만까지 공기중에서 열처리하여, 불융화(안정화)섬유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열처리, 불융화 섬유는 전기방사시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 용매가 완전히 제거되고, 열가소성 고분자 구조를 열경화성 고분자 구조로 변화시켜 내열성 및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이러한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되며, 일반적으로 200-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350℃ 정도의 범위에서 정해진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생성된 은 나노입자 함유 불융화 나노섬유 웹은 그 자체로서 각종 항균성 필터재료나 위생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4) 탄소화 처리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불융화된 나노섬유 웹을 진공 내지는 불활성 분위기(질소 또는 아르곤)하에서 1500℃ 미만의 온도범위에서 탄소화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탄소화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이때 탄소화 온도로는 함유된 금속나노입자의 용융점(melting point) 및 승화점(boiling point)을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화 처리는 내부에 존재하는 은 나노입자 미립자를 표면으로 돌출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탄소화처리 온도가 높거나 장시간 진행될수록 은 나노입자입자 끼리의 합체에 의해 표면에서 은 나노입자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 다.
상기 탄소화 처리의 온도는 대략 1500℃ 미만이 바람직하나, 은을 포함함에 따라 은의 함유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온도(은의 용융점은 약 960℃)이하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화 처리의 온도 역시,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대략, 800-950℃ 범위에서 행하도록 한다.
5) 활성화 처리
또한, 상기 불융화 나노섬유 내지는 탄소화 처리된 탄소나노섬유를 스팀분위기하에서 1000℃ 미만의 온도범위에서 활성화하여 비표면적 500 ~ 2500㎡/g의 초고비표면적의 항균활성화 은나노 함유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활성화된 탄소화 나노섬유는 활성탄소섬유의 효과와 함께 은의 항균효과를 동시에 제공하여 초고성능 수질정화, 공기정화용 필터여재 및 위생재료 등 각종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처리 온도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은이 함유된 점을 고려하여, 500-950℃에서 행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의 제조
PAN (분자량 160,000 일급시약, Sigma-Aldrich, USA)과 질산은 (AgNO3, 순도 99.999%, 일급시약, Sigma-Aldrich, USA)을 혼합하여 N,N-디메일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일급시약, Sigma-Aldrich, USA) 용매에 대해 10 wt.% 농도로 조절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질산은의 함량은 PAN에 대해 각각 1, 5, 10, 20 wt.% 였으며, 용액의 온도를 60℃로 조절하면서 24시간 교반한 후 완전히 용해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온으로 냉각하여 전기방사 노즐로 이송시켰다. 또한, 질산은과 이산화 티타늄(TiO2)을 동일한 비율로 PAN에 대해 혼합하고 DMF를 용매로 사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전기방사노즐로 이송된 고분자를 정량펌프를 사용하여 홀당 0.5cc/g으로 토출시키면서, 전기방사 노즐에는 고전압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 50 kV의 전압을 인가하고, 방사구와 집전체와의 거리를 20 cm로 유지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섬유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나타냈다.
도 3에는 제조된 나노섬유를 자외선(UV) 조사장치를 사용하여 파장 254㎚로 2시간 조사하여 UV조사된 나노섬유의 디지털 이미지 사진을 나타냈다. 그림에서와 같이 UV에 노출된 부분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UV조사에 의해 완전히 환원되지 못한 은이온(Ag+) 들이 UV조사에 의해 환원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의 항균 특성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의 항균력을 평가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부직포를 지름 1㎝의 디스크로 절단하여 샘플을 제조하고, 시험균으로는 피부나 비강 등에 존재하는 대표적 화농성 세균으로 알려진 병원성이 큰 세균종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12600을 (BHI broth)로 배양하였다. 세포배양은 멸균된 시료 + 3.6㎖ BHI medium + 0.4㎖ bacteria culture를 37℃ shaking incubator에서 12시간 배양하여 항균특성을 평가했다. 셀은 1×106 CFU/㎖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CFU: colony forming unit).
도 4에는 디스크존(확산) 평가(disc zone assay)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냈다. 도 4(a)와 같이 질산은이 함유되지 않은 나노섬유의 경우 하얗게 박테리아가 성장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도4(b)에서 (e)와 같이 시료를 잘라 붙인 부분이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세균이 성장하지 못하고 사멸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의 경우 모두 항균력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 은 나노입자 함유 불융화 , 탄소화 , 활성화 나노섬유 웹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공기분위기하에서 열풍순환로를 이용하여 분당 1℃로 승온하면서 300℃ 까지 산화처리하여 불융화(안정화) 섬유를 얻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불융화 섬유를 불활성 분위기하 800℃에서 탄소화 하여 은나노 함유 탄소나노섬유를 얻었 다. 불융화 섬유를 스팀분위기하 800℃에서 활성화하여 활성탄소나노섬유 웹을 얻었다. 이렇게 활성화된 시료의 질소가스 등온흡착에 의한 B.E.T 비표면적은 은 나노입자 함량에 관계없이 약 g당 약 1200 - 1500㎡ 를 나타냈다.
도 5에는 방사섬유, 안정화, 탄소화 섬유의 투과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냈다. 그림에서와 같이 은나노 입자의 크기는 약 5 ~ 20㎚로 매우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 은 나노입자 함유 불융화 , 탄소화 , 활성화 나노섬유 웹의 항균 특성
상기 실시예 1과 3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입자함유 불융화, 탄소화, 활성화 나노섬유의 항균특성을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표 1에는 항균특성을 종합하여 나타냈으며, 항균력 모두 95 ~ 99.9% 까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특성은 전기방사, 불융화, 탄소화 처리에도 매우 우수한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 은 나노입자 함유 불융화 나노섬유 웹, 은 나노입자 함유 탄소화 나노섬유 웹/은 나노입자 함유 활성 탄소화 나노섬유 웹을 이용한 각종 항균성 필터소재, 기능성 항균제품, 고성능 항균 의료제품 등 산업전반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 예상된다.
구 분 단위 균주 항균력(%) 비고
전기방사 섬유 CFU/㎖ 1 x 10 6 99.1 방사시 질산은 5wt.% 함유
안정화 섬유 CFU/㎖ 1 x 10 6 99.5 방사시 질산은 5wt.% 함유
탄화 섬유 CFU/㎖ 1 x 10 6 99.8 방사시 질산은 5wt.% 함유
활성화 섬유 CFU/㎖ 1 x 10 6 100 방사시 질산은 5wt.% 함유
실시예 5: 본 발명의 항균 붕대의 제조
면을 사용하여 직조된 가로 30cm, 세로 10cm, 두께 0.5㎜의 붕대용 직물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은 나노입자 함유 불융화, 탄소화, 또는 활성화 나노섬유 웹을 열접착 방식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항균 붕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항균 붕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방사를 실시하되, 전기방사에 의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의 방사 속도에 맞추어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면을 사용하여 직조된 가로 60cm, 세로 3m, 두께 1.0㎜의 붕대용 직물을 위치시켜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가 붕대용 직물 위에 직접 방사·적층되도록 하고, 적층된 항균 붕대를 캘린더링하여 권취하였다.
본 발명은 항균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2차 감염이 차단된 은 나노입자함유 나노섬유로 구성된 항균붕대로 은나노의 사용 효율이 우수하여 경제적이며, 견고하게 고정되어 내구성이 뛰어난 항균 붕대 및 그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의료용 붕대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적층한 형태로 포함하는 항균 붕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붕대가 가제, 목면, 견포, 탄력성 직포(섬유에 고무를 섞어 짠 것), 플란넬, 옥양목, 및 메리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이 섬유성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유기용매 및 수용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용해한 방사용액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이 섬유성형성 고분자와 은(Ag) 금속염을 유기용매 및 수용성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이 하기의 공정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추가로 실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1) 상기에서 전기방사된 섬유를 공기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여 불융화 섬유를 제조하는 불융화처리 단계.
    (2) 상기 전기방사된 섬유를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열처리하는 탄소화 단계.
    (3) 상기 단계(2)의 탄소화 처리를 하고 스팀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활성화 단계.
    (4) UV 조사처리하는 단계.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은 금속염이 질산은, 황산은 또는 염화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성형성 고분자가 생체적합성 고분자, 탄소섬유 전구체,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용액 내에 광촉매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붕대.
  9. 의료용 붕대와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열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의 항균 붕대의 제조방법.
  10. 방사용액이 방사되는 위치 상에 미리 의료용 붕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의료용 붕대위에 방사용액의 전기방사를 실시하여 은 나노입자 함유 나노섬유 웹을 의료용 붕대 위에 직접 적층하는 단계; 및
    캘린더링하여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의 항균 붕대의 제조방법.
KR1020070043384A 2007-05-04 2007-05-04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39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384A KR100839088B1 (ko) 2007-05-04 2007-05-04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3384A KR100839088B1 (ko) 2007-05-04 2007-05-04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088B1 true KR100839088B1 (ko) 2008-06-19

Family

ID=39771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384A KR100839088B1 (ko) 2007-05-04 2007-05-04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0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64B1 (ko) * 2008-08-14 2012-07-09 주식회사 아모메디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123367A1 (ko) * 2013-02-08 2014-08-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휴대 단말기용 보호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981178A (zh) * 2013-02-08 2015-10-14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用于便携终端机的保护罩及其制造方法
KR20180037789A (ko) * 2016-10-05 2018-04-13 (주)에프티이앤이 생산성이 향상된 나노섬유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9Y1 (ko) * 2000-03-31 2000-10-16 전인수 살균 및 항균용 은코팅 섬유종이
KR100588763B1 (ko) * 2005-03-07 2006-06-09 이정훈 은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항균섬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9Y1 (ko) * 2000-03-31 2000-10-16 전인수 살균 및 항균용 은코팅 섬유종이
KR100588763B1 (ko) * 2005-03-07 2006-06-09 이정훈 은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항균섬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964B1 (ko) * 2008-08-14 2012-07-09 주식회사 아모메디 항균 드레싱 적층체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4123367A1 (ko) * 2013-02-08 2014-08-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휴대 단말기용 보호 커버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981178A (zh) * 2013-02-08 2015-10-14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用于便携终端机的保护罩及其制造方法
KR20180037789A (ko) * 2016-10-05 2018-04-13 (주)에프티이앤이 생산성이 향상된 나노섬유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66343B1 (ko) 2016-10-05 2018-06-12 (주)에프티이앤이 생산성이 향상된 나노섬유 창상피복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8232B1 (ko) 나노섬유 웹을 포함하는 방진, 방취 및 항균용 필터
KR100811205B1 (ko) 은나노함유 항균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ng et al. In situ deposition of a personalized nanofibrous dressing via a handy electrospinning device for skin wound care
Çalamak et al. Silk fibroin based antibacterial bionanotextiles as wound dressing materials
Hong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electrospun poly (vinyl alcohol)/silver fiber web as wound dressings
Jao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silk fibroin/TiO2 nanofibrous mats for wound dressings
KR100680606B1 (ko) 항균 및 방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 및그 제조방법
CN1889983A (zh) 银涂料和制造方法
Lim et al. In vitro cytotoxic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silver-coated electrospun polycaprolactone/gelatine nanofibrous scaffolds
CN102493126A (zh) 一种含纳米银的复合纤维材料及其制备方法
CN1940168A (zh) 纳米银抗菌医用纤维及其制法和应用
CN101563486A (zh) 用于纺织品的含聚乙烯亚胺纳米粒子的抗菌的可被电纺丝的聚合物纤维
KR100839088B1 (ko) 항균 붕대 및 그의 제조방법
CZ303243B6 (cs) Útvar obsahující alespon jednu vrstvu nanovláken a zpusob výroby vrstvy nanovláken
CN109505031B (zh) 立构复合晶聚乳酸纳米纤维、抑菌性立构复合晶聚乳酸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290715B1 (ko) 항균 및 유해물질분해 기능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보호장구
Khan et al. A comparative review on silk fibroin nanofibers encasing the silver nanoparticles as antimicrobial agents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KR101628205B1 (ko) 일방향 전이 기능을 갖는 창상 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636213B (zh) 一种聚四氟乙烯口罩纤维面层的制备方法
Martínez-Abad et al. Influence of speciation in the release profiles and antimicrobial performance of electrospun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EVOH) fibers containing ionic silver ions and silver nanoparticles
Shen et al. Effects of solvents on electrospun fibers and the biological application of different hydrophilic electrospun mats
FI123878B (fi) Antimikrobinen haavaside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Alharbi et al. Antibiofilm activity of synthesized electrospun core-shell nanofiber composites of PLA and PVA with silver nanoparticles
Li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nanosilver PLLA fibrous membranes
KR100824719B1 (ko) 전분함유 나노섬유 부직포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식품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