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868B1 -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868B1
KR100838868B1 KR1020060084961A KR20060084961A KR100838868B1 KR 100838868 B1 KR100838868 B1 KR 100838868B1 KR 1020060084961 A KR1020060084961 A KR 1020060084961A KR 20060084961 A KR20060084961 A KR 20060084961A KR 100838868 B1 KR100838868 B1 KR 100838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roadcast
user
data
broadcast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865A (ko
Inventor
윤왕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868B1/ko
Publication of KR2008002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방송의 데모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이 수신되면 해당 데이터 방송에 접근하여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특정 정보에 대한 컨펌을 받고, 상기 데이터 방송에 대한 다양한 데모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여주어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데이터 방송의 저장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에게 미리 데모화면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만을 선택적으로 다운함으로써, 사용자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만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샹시키고, 저장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TV사업자는 다른 업체와는 다른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에게 한층 더 어필할 수 있으며, OTA(Over The Air)와는 다르게 다양한 사용자들의 기호나 성향을 맞추고 데이터 방송을 통해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고, OTA(Over The Air)가 없는 지역 또는 방송서비스에서 빠르게 사용자의 TV를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Storage system of data broadcasting and the metho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신부 12:튜너
14: 채널 디코더 20: 역다중화부
30: 신호 처리부 32: 오디오 디코더
34: 음성 처리부 36: 비디오 디코더
38: 영상 처리부 40: 신호 출력부
42: 스피커 44: 디스플레이부
50: 키입력부 60: 저장부
70: 데이터 방송 처리부 80: 제어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방송의 데모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은, 방송국에서 방송하는 소정의 프로그램들을 시청자들이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일방적으로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국에서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부가적인 데이터 컨텐츠를 제공하고 그 데이터 컨텐츠를 이용하여 수신장치와 방송국이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정보 등을 더욱 상세하게 취득하여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역사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등장 인물이나 시대 배경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쇼 및 스포츠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나 선수들의 신상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원하는 소정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쌍방향(interactive) 서비스이다.
그러나 현재 데이터 방송의 표준은 국가마다 상이하고, 또한 한 국가에서도 서로 상이한 여러가지의 표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기본적으로는 소정의 방송프로그램의 오디오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와 그와 관련된 데이터 컨텐츠를 공중파로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수신장치와 방송국이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쌍방향 서비스는 제시만 되어 있을 뿐이고, 실제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데이터 방송은 방송국에서 방송용 서버와 데이터 서버를 구비하여, 방송용 서버는 소정프로그램의 오디오 컨텐츠 및 비디오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공중파를 통해 수신장치에 전송 및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데이터 서버는 상기 프로그램에 관련된 소정의 데이터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공중파와 인터넷을 통해 수신장치로 전송 및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컨텐츠는 국제 표준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통상적으로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이미지 파일, MPEG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 방송의 저장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수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1~S2).
이어서 사용자가 데이터 방송 저장을 위해 예약한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S3) 예약된 키워드가 존재하면, 현재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 중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데이터 방송을 검출한다(S4).
이어서 상기 검출된 데이터 방송을 자동으로 저장한다(S5).
그리고 사용자가 파워 오프 명령을 입력하면 종료하고, 아니면 상기 단계(S2)로 복귀한다(S6).
또한 상기 판단 결과(S3) 사용자가 예약한 키워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 데이터 방송 저장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기를 희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7) 키워드 입력을 희망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상기 단계(S4)로 진입한다(S8).
또한 상기 판단 결과(S7) 사용자가 키워드 입력을 희망하지 않으면 상기 단계(S6)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방송의 저장 방법은 데이터 방송을 사용자가 직접 보지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데이터 방송을 모두 검출하여 광범위하게 저장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원하지 않고, 정보성이나 유용하지 않은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관련된 데이터 방송을 모두 검출하여 저장함으로써 불필요한 정보가 저장매체의 공간만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송국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만들어진 데이터 방송이 아니라면, 저장매체에 저장을 하여도 아무 의미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데이터 방송의 데모 등을 사용자에게 미리 제공하여 사용자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함으로써, 저장매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와, 외부로부터 데이터방송(MHP)을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데이터 방송의 AIT 테이블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처리부와,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 방송이 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방송의 데모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데이터 방송의 데모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신호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해당 방송의 데모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는 해당 데이터 방송의 AIT 테이블을 분석하여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방송의 데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데이터 방송만이 선택적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면, 상기 데이터 방송의 AIT테이블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방송의 AIT테이블을 분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의 다운 로드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 방송의 AIT테이블을 분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을 사용자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방송의 데모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면서 해당 데이터 방송을 다운로드 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 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데이터 방송(MHP)을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0)와,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를 영상 스트림, 음성 스트림 및 데이터 방송 스트림으로 분리하기 위한 역 다중화부(20)와, 상기 역다중화부(20)를 통해 분리된 영상 스트림 및 음성 스트림을 출력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30)와, 상기 신호 처리부(30)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40)와,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50)와, 상기 역다중화부(20)를 통해 분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방송을 저장하는 저장부(60)와,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데이터 방송의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테이블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처리부(70)와,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7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 방송이 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해당 방송의 데모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모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저장부(60)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신부(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는 튜너(12)와, 상기 튜너(12)를 통해 선국된 방송 신호의 디코딩을 수행하기 위한 채널 디코더(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처리부(30)는 상기 역다중화부(20)를 통해 분리된 음성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음성 디코더(32)와, 상기 오디오 디코더(32)를 통해 디코딩된 음성 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신호처리하는 음성 처리부(34)와, 상기 역다중화부(20)를 통해 분리된 영상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36)와, 상기 비디오 디코더(36)를 통해 디코딩된 영상 신호를 출력 가능하도록 신호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부(40)는 상기 음성 처리부(34)를 통해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42)와, 상기 영상 처리부(38)를 통해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키입력부(50)를 통해 파워 온 명령을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수신부(10)는 상기 제어부(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국하여 디코딩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상기 역다중화부(20)를 통해 음성, 영상 및 데이터 방송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영상 및 음성 스트림은 상기 신호 처리부(30)를 통해 소정의 신호 처리된 후 상기 신호출력부(40)를 통해 각각 출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70)는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존재하면, 해당 데이터 방송의 SI, 프로그램 구성 정보(PSI,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담고 있는 AIT테이블)등을 디코딩하여 다운로드 가능 및 특정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방송(MHP)에 접근한다.
여기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 PSI테이블이고, 어플리케이션을 해독 실행하는데 필요한 것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테이블 정보이다. 또한 기타 부가 서비스(빠른 채널 검색, 다양한 가상 채널 운용, 채널에 대한 부가 설명, EPG, 프로그램 부가 설명 등)를 위해 SI테이블이 사용된다.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와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해독하는데 있어 특성이 다른데, 상기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해독과 접근은 빠른 반면에, 어플레케이션의 데이터 접근과 해독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접근 시간과 해독 시간이 더 느린 특성이 있다. 그래서 전체 데이터를 완전히 다 받아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훨씬 접근이 빠르고 획득이 쉬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테이블을 먼저 해독하여 미리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 방송(MHP)관련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테이블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얻어 현재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와, 특정 정보에 대한 컨펌(confirm)을 받는다.
상기 다운로드 가능 여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만들어 진 데이터 방송인지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특정 정보는 시리얼 넘버 등을 삽입하여, 특정 사용자(사업자의 티비를 구매한 사용자 또는 특정정보를 대가로 금액을 지불한 사용자 등)에게만 데이터 방송을 보여주거나 다운로드를 허용하도록 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그래서 상기 정보를 얻어 사용자가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먼저 파악한 후 해당 데이터 방송의 저장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현재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이용할 수 있다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해당 데이터 방송의 데모가상기 신호 출력부(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신호 출력부(40)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방송의 데모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사용자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을 선택하여 해당 데이터 방송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면 SI, PSI(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가지는 AIT테이블) 등을 디코딩하여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특정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 방송(MHP)에 접근한다(S100).
이어서 데이터 방송(MHP)에 접근하여 특정 정보에 대한 컨펌(confilm)을 받는다(S101).
그리고 상기 데이터 방송(MHP)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자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02). 즉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 방송(MHP)이 사용자가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와 시리얼 넘버 등을 삽입하여, 특정 사용자(사업자의 티비를 구매한 사용자 또는 특정정보를 대가로 금액을 지불한 사용자 등)에게만 데이터 방송을 보여주거나 다운로드를 허용하도록 한 경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2), 상기 데이터 방송이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의 이용이 가능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 방송에 대한 다양한 데모 등을 통해 자세하게 프로그램의 내용을 디스플레이한다(S103).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해당 데이터 방송의 다양한 데모를 시청하여 해당 데이터 방송을 저장 여부를 결정한다(S104).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4),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방송의 저장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데이터 방송을 저장한다(S105).
또한 상기 데이터 방송의 저장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데이터 방송을 저장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S102), 상기 데이터 방송이 다운로드가 가능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이용하기에 제한이 있으면 해당 데이터 방송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없으므로 종료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은 다 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에게 미리 데모화면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방송만을 선택적으로 다운함으로써, 사용자 기호에 맞는 데이터 방송만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저장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TV사업자는 다른 업체와는 다른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에게 한층 더 어필할 수 있다.
셋째, OTA(Over The Air)와는 다르게 다양한 사용자들의 기호나 성향을 맞추고 데이터 방송을 통해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사용자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다.
넷째, OTA(Over The Air)가 없는 지역 또는 방송서비스에서 빠르게 사용자의 TV를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
    외부로부터 데이터방송(MHP)을 포함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데이터 방송의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테이블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의 데모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의 데모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신호 처리하기 위한 영상 처리부와,
    상기 영상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데이터 방송의 데모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처리부는 해당 데이터 방송의 AIT 테이블을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방송의 데모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데이터 방송만을 선택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5.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 중 데이터 방송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방송이 존재하면 상기 데이터 방송의 AIT 테이블을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데이터 방송의 데모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의 데이터 방송의 다운로드 가능 여부 및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방송이 다운로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방송을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 방송의 데모 중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 방송만을 선택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저장 방법.
KR1020060084961A 2006-09-05 2006-09-05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KR100838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961A KR100838868B1 (ko) 2006-09-05 2006-09-05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4961A KR100838868B1 (ko) 2006-09-05 2006-09-05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865A KR20080021865A (ko) 2008-03-10
KR100838868B1 true KR100838868B1 (ko) 2008-06-16

Family

ID=3939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961A KR100838868B1 (ko) 2006-09-05 2006-09-05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8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681A (ja) 1999-06-11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コンテンツ試写装置及びデータ放送コンテンツ試写方法
JP2003219379A (ja) 2002-01-21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システム、放送方法、受信装置、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3338801A (ja) 2001-10-26 2003-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コンテンツ試写システム
KR20040048240A (ko) * 2002-12-02 2004-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방법
KR20050106269A (ko) * 2004-05-04 2005-11-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681A (ja) 1999-06-11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コンテンツ試写装置及びデータ放送コンテンツ試写方法
JP2003338801A (ja) 2001-10-26 2003-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放送コンテンツ試写システム
JP2003219379A (ja) 2002-01-21 2003-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システム、放送方法、受信装置、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48240A (ko) * 2002-12-02 2004-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정보 제공 방법
KR20050106269A (ko) * 2004-05-04 2005-11-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865A (ko) 200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0644B2 (ja) 放送受信機へのプログラムのダウンロード
EP1641266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music
US83416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KR20140053985A (ko) 복수의 콘텐츠 출처로부터의 콘텐츠를 액세스하기 위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수신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JP2004505515A (ja) ユーザプロファイルを決定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281813B1 (ko) 전 채널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의 자동탐색방법 및 이를적용한 영상재생장치
KR100654430B1 (ko)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20558B1 (ko) 데이터 방송의 저장 및 실행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제어방법
JP2011109171A (ja) 放送受信装置
KR20020014554A (ko)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 및 그제어방법.
WO2010041628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0838868B1 (ko) 데이터 방송 저장 장치 및 방법
EP112957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vising about receivable programs
KR100611464B1 (ko) 디지털 데이터 방송의 선호 메뉴 실행 장치 및 방법
KR20010038584A (ko)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100698145B1 (ko)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업그레이드 기능을 구비한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51282B1 (ko) 데이터 방송의 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0013763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채널제어방법
KR2001001987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초기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2094407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4752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데이터 방송 표출 방법
JP2024035527A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75593A (ko) 데이터 방송의 진행상태 표시방법
KR2008004584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010042543A (ko)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