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229B1 -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229B1
KR100838229B1 KR1020050129362A KR20050129362A KR100838229B1 KR 100838229 B1 KR100838229 B1 KR 100838229B1 KR 1020050129362 A KR1020050129362 A KR 1020050129362A KR 20050129362 A KR20050129362 A KR 20050129362A KR 100838229 B1 KR100838229 B1 KR 100838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ntrol device
rigidity
main structu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892A (ko
Inventor
박관순
하동호
박원석
옥승용
김동석
함대기
고현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Priority to KR102005012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2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 F16F13/3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comprising means for varying fluid viscosity, e.g. of magnetic or electrorheological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0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ol of the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8/00Functional characteristics, e.g. variability, frequency-dependence
    • F16F2228/06Stiff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47Measuring, indic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구조물에 설치되어 주구조물의 진동을 제어하는 동조질량감쇠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하여 동조질량감쇠장치의 강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중의 주파수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감쇠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구조물(1)에 장착되어 진동수를 주구조물(1)의 고유주기에 동조시켜 하중에 의한 주구조물(1)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동조질량감쇠장치(10)로서, 소정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11)와, 상기 질량체(11)와 주구조물(1)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강성이 변화되는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와 소정의 감쇠계수를 가진 감쇠기(13)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는, 제1스프링(12a), 제2스프링(12b) 및 강성조절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12a)은 주구조물(1)과 상기 강성조절장치(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12b)은 상기 강성조절장치(20)와 상기 질량체(1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하중의 실시간 측정,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하중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스프링(12a)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의 강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중에 맞추어 가변강성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전체 강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질량감쇠장치가 제공되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도 제공된다.
감쇠장치, 질량체, 가변, 강성, 진동 제어

Description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Dual-Stage Tuned Mass Damper Device Using Hydraulic Brake and Method for Structure Vibration Contro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조질량감쇠장치의 일실시예가 건축 구조물로 도시된 주구조물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으로 모델링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조질량감쇠장치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동조질량감쇠장치의 강성조절장치에 구비된 유압식 브레이크장치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 2의 선A-A에 따른 개략단면도인데, 도 3a는 강성조절장치가 샤프트와 결속되지 아니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b는 강성조절장치가 샤프트와 결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가 주구조물에 설치된 형상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인데, 도 4a는 주구조물인 건물 구조물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b는 주구조물인 교량 구조물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주구조물 10 동조질량감쇠장치
11 질량체 12 가변강성 스프링부재
13 감쇠기 20 강성조절장치
본 발명은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주구조물에 설치되어 주구조물의 진동을 제어하는 동조질량감쇠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가변강성장치를 이용하여 동조질량감쇠장치의 강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중의 주파수 특성에 맞추어 적절한 감쇠성능을 발휘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주구조물의 응답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은 자체의 강성과 질량 특성에 따라 고유의 진동주기를 가진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지진이나 바람 등의 동적하중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주파수성분이 구조물의 고유주기와 일치하게 되면 공진이 발생하여 동적하중에 대한 응답의 진폭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 즉, 공진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진현상은 고 속철도 교량 등에서 교량 구조물의 고유주기와 열차 바퀴 축의 간격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의 주기가 일치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관제탑, 고층건물과 같이 큰 고유주기 값을 가지는 구조물에 풍하중이 작용할 때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진현상 및 그에 따른 문제의 해결책의 하나로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는 외부 에너지의 공급 없이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하는 장치로서, 저렴한 비용과 쉬운 유지보수를 통해 안정적 거동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는 주(main)구조물의 거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고유주기에 동조질량감쇠장치의 진동수를 동조시킴으로서 주구조물의 진동을 흡수, 소산시켜 하중에 의한 주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게 된다.
도 4a 및 도 4b에는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0)가 주구조물에 설치된 형상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는 주구조물인 건물 구조물(110)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b는 주구조물인 교량 구조물(120)에 설치된 형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인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0)는 진동수 동조를 위하여 필요한 질량체(mass)(101), 소정의 강성을 가진 스프링부재(spring)(102), 및 점성댐퍼(viscous damper) 등과 같이 소정의 감쇠계수를 가지고 있어 감쇠력을 발휘하는 감쇠기(10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건물 구조물, 교량 구조물 등의 주구조물에 장착되어 감쇠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0)의 경우, 구조물의 진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1차 모드 고유진동수에 동조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질량체(101)의 질량, 스프링부재(102)의 강성, 및 감쇠기(103)의 감쇠계수 등을 설계변수로 가지고 있다. 그런데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일수록 1차 모드뿐만 아니라 2차 모드 이상의 고차 모드의 영향이 커지게 되며,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하중이 발생할 때에는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를 사용하더라도 큰 폭의 진동이 일어나게 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0)에서는 위와 같이 질량, 강성, 감쇠계수 등의 설계변수가 주구조물의 1차 모드에 동조되도록 고정되어 있어, 주구조물의 2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주구조물에 대한 진동저감효과를 발휘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가 가지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주요 주파수 성분에 따라 동조질량감쇠장치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강성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된 하중의 주요 주파수 성분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강성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스프링부재의 강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동조질량감쇠장치가 하중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응답 감쇠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개선된 구조와 성능을 가지는 동조질량감쇠장치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주구조물에 장착되어 진동수를 주구조물의 고유주기에 동조시켜 하중에 의한 주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동조질량감쇠장치로서, 소정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와, 상기 질량체와 주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강성이 변화되는 가변강성 스프링부재와 소정의 감쇠계수를 가진 감쇠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는, 제1스프링, 제2스프링 및 강성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은 주구조물과 상기 강성조절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강성조절장치와 상기 질량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하중의 실시간 측정,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하중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스프링의 신축을 제어하여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의 강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중에 맞추어 동조질량감쇠장치의 전체 강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동조질량감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동조질량감쇠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주구조물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질량체가 이동하게 설치되는 샤프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스프링 및 제2스프링은 그 일단이 각각 상기 강성조절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의 외측 에서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강성조절장치는, 제어기의 작동신호에 따라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여 상기 샤프트와의 결속상태가 제어됨으로써 상기 강성조절장치가 샤프트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강성 동조질량감쇠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동조질량감쇠장치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는, 유압에 의하여 샤프트와 밀착하게 되는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 작동을 위한 유압을 발하게 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질량감쇠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동조질량감쇠장치를 이용하여 주구조물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진동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조질량감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일실시예가 건축 구조물로 도시된 주구조물(1)에 설치되어 있는 형상이 모델링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동조질량감쇠장치(10)는, 소정 질량을 가지는 질량체(11)와, 상기 질량체(11)와 주구조물(1)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강성이 변화되는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와, 소정의 감쇠계수를 가진 감쇠기(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질량체(11)와 감쇠기(13) 자체의 구성, 그리고 질량 체(11)와 후술하는 제2스프링(12b)을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는 구성은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는, 제1스프링(12a), 제2스프링(12b) 및 강성조절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1스프링(12a)은 주구조물(1)과 상기 강성조절장치(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스프링(12b)은 상기 강성조절장치(20)와 상기 질량체(11)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하중의 실시간 측정,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하중의 주요 주파수 성분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제1스프링(12a)의 신축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의 전체 강성을 변화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센서(22)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측정된 하중의 가속도에 근거하여 컴퓨터 등의 제어기(21)로부터 발해지는 작동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제1스프링(12a)의 신축을 제한하게 된다. 구체적인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센서(22)는 외부에서 주구조물(1)에 가해지는 하중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데이터를 컴퓨터 등의 제어기(21)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21)를 이용하여 센서(22)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강성조절장치(2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어기(21)를 통하여 강성조절장치(20)의 작동신호가 발해지도록 한다. 여기서, 측정 데이터의 분석 및 강성조절장치(20)의 작동신호 발생은 컴퓨터 내부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만일 분석 결과,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의 주파수 성분이 주구조물(1)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와 유사할 경우 즉, 강성의 변화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강성조절장치(2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강성조절장치(20)가 작동되지 아니하게 되면, 강성조절장치(20)는 제1스프링(12a)의 신축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 제1스프링(12a)은 원래의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는 마치 강성조절장치(20) 없이 제1스프링(12a)과 제2스프링(12b)만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작동하게 되고, 결국 동조질량감쇠장치(10)는 통상의 동조질량감쇠장치와 같이 동작하여 감쇠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제어기(21)에 의하여 하중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예를 들어 주구조물(1)의 2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처럼, 더 높은 진동수 대역으로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동조시키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상기 제어기(21)를 통하여 강성조절장치(20)의 작동신호를 발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강성조절장치(20)가 작동되어 제1스프링(12a)의 신축을 제어한다. 즉, 강성조절장치(20)의 작동에 의하여 제1스프링(12a)이 신축되지 못하고 완전히 고정되면,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는 단지 제2스프링(12b)에 의한 강성만을 갖게 되어 전체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동조 진동수가 변화되고, 따라서 동조질량감쇠장치(10)가 하중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응답 감쇠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구체적으로 구현한 일실시예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감쇠기(13) 자체, 그리고 감쇠기(13)와 질량체(11)의 연결구성은 공지기술이므로 개념적으로 간략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조질량감쇠장치(10)에는, 주구조물(1)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질량체(11)가 이동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의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상기 샤프트(14)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14)에 장착되어 있고, 제1스프링(12a) 및 제2스프링(12b)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각 강성조절장치(20)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14)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제1스프링(12a) 및 제2스프링(12b)을 상기 샤프트(14) 외부에서 상기 샤프트(14)와 나란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강성조절장치(20)에는 후술하는 구조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는 제어기(21)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샤프트(14)와 결속되어 강성조절장치(20)가 샤프트(14)를 따라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강성조절장치(20)가 작동되지 아니하게 되면, 강성조절장치(20)는 샤프트(14)를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스프링(12a)과 제2스프링(12b)은 마치 강성조절장치(20)가 없는 경우처럼 자유롭게 신축하게 된다. 그런데 제어기(21)로부터의 작동신호가 발해지면 강성조절장치(20)의 유압식 브레이크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강성조절장치(20)가 샤프트(14)와 결속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강성조절장치(20)가 샤프트(14)를 따라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만일 신호에 의하여 유압식 브레이크장치가 샤프트(14)와 완전하게 결속하게 되면 강성조절장치(20)는 샤프트(14)를 따라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스프링(12a)도 더 이상 신축하지 않게 되며, 단지 제2스프링(12b)만이 신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전체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강성이 변화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질량체(11)가 가드레일(15) 위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질량체(11)가 이동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상기 강성조절장치(20)가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구현된 일예를 보여주는 도 2의 선A-A에 따른 개략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a는 강성조절장치(20)가 샤프트(14)와 결속되지 아니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b는 강성조절장치(20)가 샤프트(14)와 결속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구현된 강성조절장치(20)는, 유압에 의하여 샤프트(14)와 밀착하게 되는 브레이크 패드(23)와, 상기 제어기(2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24) 작동을 위한 유압을 발하게 되는 유압실린더(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강성조절장치(2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유압이 작용하지 아니하여 브레이크 패드(23)가 샤프트(14)와 접촉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강성조절장치(20)가 샤프트(14) 상에서 질량체(11)의 진동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만일 강성조절장치(20)가 작동하게 되면 유압이 작용하게 되어 브레이크 패드(23)가 샤프트(14) 방향으로 가압되어 샤프트(14)와 강성조절장치(20)가 결속되고, 그에 따라 강성조절장치(20)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것처럼, 제1스프링(12a)은 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고, 단지 제2스프링(12b)의 강성만이 작용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강성조절장치(20)를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구조로 단순화시켜 간단하고 저렴하게 완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위와 같은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설치함에 있어서, 전체 구조물의 주요 위치에 다수개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설치하고, 하중에 맞추어 각각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에 구비된 강성조절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구조물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0)는 강성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주구조물의 2차 모드와 일치하는 주파수 성분의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구조물의 응답이 증가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으며, 결국 주구조물의 진동 흡수, 소산 효과가 저하되며 공진형상을 막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동조질량감쇠장치(10)에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의 주요 주파수 성분에 따라 동조질량감쇠장치(10)에 구비된 스프링부재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강성조절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측정, 분석된 하중의 주요 주파수 성분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강성조절장치(20)를 제어하여 스프링부재의 강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동조질량감쇠장치(10)가 하중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응답 감쇠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즉,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강성을 강성조절장치(20)에 의하여 하중 특성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이를 통해 더 높은 진동수 대역으로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동조시 켜 효율적으로 주구조물의 응답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장치가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되는 구조물에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뿐만 아니라, 기타 일반 기계장치도 포함된다.

Claims (8)

  1. 주구조물(1)에 장착되어 진동수를 주구조물(1)의 고유주기에 동조시켜 하중에 의한 주구조물(1)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동조질량감쇠장치(10)로서,
    상기 동조질량감쇠장치(10)는, 질량체(11)와, 상기 질량체(11)와 주구조물(1)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강성이 변화되는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와, 감쇠기(13)와, 상기 주구조물(1)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질량체(11)가 이동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4)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는, 제1스프링(12a), 제2스프링(12b) 및 강성조절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상기 샤프트(14)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샤프트(14)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스프링(12a)은 주구조물(1)과 상기 강성조절장치(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12b)은 상기 강성조절장치(20)와 상기 질량체(11)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져 있고, 하중의 실시간 측정 및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하중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발해지는 제어기(21)의 작동신호에 의해 유압으로 작동하여 상기 샤프트(14)와의 결속상태가 제어됨으로써 샤프트(1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상기 강성조절장치(20)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제1스프링(12a)의 신축이 제어되고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의 강성이 변화되고, 하중에 맞추어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전체 강성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12a) 및 제2스프링(12b)은 상기 샤프트(14)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12a) 및 제2스프링(12b)은 상기 샤프트(14)의 외측에 상기 샤프트(14)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20)는,
    유압에 의하여 샤프트(14)와 밀착하게 되는 브레이크 패드(23)와;
    상기 제어기(21)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24) 작동을 위한 유압을 발하게 되는 유압실린더(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5. 진동수를 주구조물(1)의 고유주기에 동조시켜 하중에 의한 주구조물(1)의 진동을 흡수 및 소산시키는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주구조물(1)에 장착하여 하중에 의한 주구조물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동조질량감쇠장치(10)는, 질량체(11)와, 상기 질량체(11)와 주구조물(1)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강성이 변화되는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와, 감쇠기(13)와, 주구조물(1)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질량체(11)가 이동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4)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는, 제1스프링(12a), 제2스프링(12b) 및 강성조절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강성조절장치(20)는, 제어기(21)의 작동신호에 따라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여 상기 샤프트(14)와의 결속상태가 제어되는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샤프트(14)를 따라 이동 가능하되 제어기(21)의 작동신호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제1스프링(12a)은 주구조물(1)과 상기 강성조절장치(2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스프링(12b)은 상기 강성조절장치(20)와 상기 질량체(11) 사이에 설치되고; 제어기(21)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강성조절장치(20)의 상기 샤프트(14)상에서의 이동이 제한되면 상기 제1스프링(12a)의 신축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의 강성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조질량감쇠장치(10)이며;
    외부에서 주구조물(1)에 가해지는 하중의 가속도를 센서(22)에 의하여 측정하는 단계;
    센서(22)에 의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기(21)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기(21)를 통하여 센서(22)의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더 높은 진동수 대역으로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동조시키는 것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작동 작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거기(21)를 통하여 작동신호를 발하여 상기 가변강성 스프링부재(12)에 구비된 상기 강성조절장치(20)의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강성조절장치(20)가 상기 샤프트(14)와 결속되도록 하여 강성조절장치(2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제1스프링(12a)의 신축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으로써,
    하중의 실시간 측정,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하중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상기 가변강성 동조질량감쇠장치(10)의 강성을 변화시켜 주구조물의 진동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주구조물(1)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12a) 및 제2스프링(12b)이 상기 샤프트(14)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강성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주구조물(1)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12a) 및 제2스프링(12b)을 상기 샤프트(14)의 외측에 상기 샤프트(14)와 나란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강성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20)는 브레이크 패드(23)와, 유압실린더(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어기(21)로부터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실린더(24)가 작동되어 유압이 상기 브레이크 패드(23)에 가해지고, 그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패드(23)가 샤프트(14)에 밀착함으로써 강성조절장치(20)의 샤프트(14) 상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강성 동조질량감쇠장치(10)를 이용한 구조물의 진동제어방법.
KR1020050129362A 2005-12-26 2005-12-26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KR10083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362A KR100838229B1 (ko) 2005-12-26 2005-12-26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362A KR100838229B1 (ko) 2005-12-26 2005-12-26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892A KR20070067892A (ko) 2007-06-29
KR100838229B1 true KR100838229B1 (ko) 2008-06-16

Family

ID=38366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362A KR100838229B1 (ko) 2005-12-26 2005-12-26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2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53A (ja) * 1991-07-03 1993-01-19 Ohbayashi Corp 制振装置
JPH0711810A (ja) * 1993-06-24 1995-01-13 Takenaka Komuten Co Ltd 能動型動吸振器の制御方法
US20020170793A1 (en) 2001-05-15 2002-11-21 Kemeny Zoltan A. Nonlinear mass damper with active centerband control
JP2005083401A (ja) * 2003-09-04 2005-03-31 Kajima Corp 構造物の制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53A (ja) * 1991-07-03 1993-01-19 Ohbayashi Corp 制振装置
JPH0711810A (ja) * 1993-06-24 1995-01-13 Takenaka Komuten Co Ltd 能動型動吸振器の制御方法
US20020170793A1 (en) 2001-05-15 2002-11-21 Kemeny Zoltan A. Nonlinear mass damper with active centerband control
JP2005083401A (ja) * 2003-09-04 2005-03-31 Kajima Corp 構造物の制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892A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Qiu et al. Efficient targeted energy transfer of bistable nonlinear energy sink: application to optimal design
Jiang et al. Steady state passive nonlinear energy pumping in coupled oscillator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FI125726B (en) Self-adjusting mass suppressor and system comprising this
Brennan Vibration control using a tunable vibration neutralizer
Parseh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of nonlinear energy sink and linear tuned mass damper in steady-state dynamics of a linear beam
Ricciardelli et al. Tuned vibration absorbers with dry friction damping
DK2522850T3 (en) Tower oscillator and tower with tower oscillator
KR20110108913A (ko) 전기캐비닛 구조물의 지진응답 감쇠를 위한 2방향 동조질량감쇠기
CN104500644B (zh) 一种多功能摆式吸振器
Bonello Adaptive tuned vibration absorbers: Design principles, concepts and physical implementation
Dayou Fixed-points theory for global vibration control using vibration neutralizer
KR102178278B1 (ko) 배관용 제진 장치
KR100838229B1 (ko) 유압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 이용한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CN206376390U (zh) 一种三维多频调谐质量阻尼器减震控制装置
KR101702847B1 (ko) 제진형 가새장치
KR100778880B1 (ko) Mr유체식 브레이크장치로 이루어진 강성조절장치를이용한 이중동조질량감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진동제어방법
Mayer et al. Passive, adaptive, active vibration control, and integrated approaches
Lin et al. Optimal design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of tuned mass dampers for structural control
KR101305874B1 (ko) 가변 강성형 진동 흡수 장치
Faal et al. Experimental, numerical and analytical investigation of the torsional vibration suppression of a shaft with multiple optimal undamped absorbers
KR101866057B1 (ko) 가변형 브레이크를 이용한 준능동형 tmd 시스템
Bai et al. Design and control of a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dynamic vibration absorber for powertrain mount systems of automobiles
KR100984744B1 (ko) 미세조정이 가능한 제진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Andersson et al. External damping of stay cables using adaptive and semi-active vibration control
KR20160101516A (ko) 제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