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774B1 -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774B1
KR100837774B1 KR1020010039141A KR20010039141A KR100837774B1 KR 100837774 B1 KR100837774 B1 KR 100837774B1 KR 1020010039141 A KR1020010039141 A KR 1020010039141A KR 20010039141 A KR20010039141 A KR 20010039141A KR 100837774 B1 KR100837774 B1 KR 10083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information
record
management
subscri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402A (ko
Inventor
김민경
김철
백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3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7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거나, 가입자 정보 부정확에 대한 사실을 타 사업자에게 알려, 부정확한 정보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타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와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정보를 서로 비교해 관리 대상체별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구축하는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구축 단계;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관리 대상체별로 기 구축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레코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가 속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찾아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찾고,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 코드를 검사하여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내용에 따라 갱신하는 가입자 정보 갱신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변경 내역 리스트, 확인되지 않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상기 관리 대상체측으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등에 이용됨.
가입자 정보,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레코드,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escription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A subscriber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elco user information}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초기 구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갱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를 위한 갱신 과정을 통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전달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처리장치 12 : 주기억장치
13 : 보조기억장치 14 : 입력장치
15 : 출력장치 16 : 주변장치
본 발명은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거나, 가입자 정보 부정확에 대한 사실을 타 사업자에게 알려, 부정확한 정보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업 또는 개인들은 자신의 마케팅 활동(상품 정보 전달, 금액 청구 영수증 발급, 생일 전보 등)을 위해 사용하는 수단으로 대부분 전화 또는 우편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 가입자 정보(전화번호와 주소 등)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적절치 못한 곳으로 정보를 발송하게 되어 잘못된 비용을 지불하게 되고, 특히 우편의 경우 잘못된 정보 발송에 대한 인지 시기가 늦어 마케팅 시기를 놓침으로 인해 수익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과거와 달리 현재는 판매 기법에 있어 통신 판매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카드회사, 보험회사, 통신 판매회사, 백화점, 스포츠센터 또는 자동차 판매 사원, 보험 사원 등과 같이 전화나 우편을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삼는 회사나 개인이 늘어나고 있어, 가입자 정보를 정확히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지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회사나 개인들은 자신의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이 없고, 단지 별도의 인력을 통해 전화를 사용하여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현실이다.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은, 첫째 회사 전화번호, 이동 전화번호 등 가입자 정보에 기입된 다른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 주소, 전화번호 등을 확인하거나, 둘째 가입자의 다른 전화번호가 없거나 있어도 확인이 안되는 경우 114의 신구 번호 서비스를 통해 이전 전화번호가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알아내거나, 셋째 114 신구 번호 서비스로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동사무소의 주소 이전 기록을 참조하여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첫 번째 방법의 경우 정보가 정확한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다른 전화번호를 통해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며, 두 번째 방법의 경우 114 신구 번호 서비스를 사용하는 시간과 비용이 첫 번째 방법에 추가되며(특히, 신구 번호 서비스는 기간이 6개월이라, 6개월이 지나거나, 6개월 이내 여러번 바뀌었을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를 찾지 못할 수 있는 속성이 있음), 세 번째 방법의 경우 현실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우며 사용한다 하더라도 너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한 문제점들 중 하나는 가입자 정보가 정확한지 부정확한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일단 한번 전화 또는 우편을 발송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즉,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나 원래부터 잘못 기록된 정보(예를 들면, 가입자가 자신의 정보를 기록할 당시 잘못 기재한 것) 등을 미리 걸러낼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일단 모든 가입자에게 발송을 수행하므로 잘못된 발송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우편일 경우 주소를 잘못 기술하였더라도 반송이 안되면, 즉 등기나 수취인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오랜 기간동안 정보 불일치 사실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거나, 가입자 정보 부정확에 대한 사실을 타 사업자에게 알려, 부정확한 정보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타 사업자의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유지하거나, 가입자 정보 부정확에 대한 사실을 타 사업자에게 알려, 부정확한 정보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타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와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정보를 서로 비교해 관리 대상체별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구축하는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구축 단계;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관리 대상체별로 기 구축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레코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가 속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찾아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찾고,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 코드를 검사하여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내용에 따라 갱신하는 가입자 정보 갱신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변경 내역 리스트, 확인되지 않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상기 관리 대상체측으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와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정보를 서로 비교해 관리 대상체별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구축하는 기능;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관리 대상체별로 기 구축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레코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가 속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찾아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찾고,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 코드를 검사하여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내용에 따라 갱신하는 기능; 및 상기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변경 내역 리스트, 확인되지 않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상기 관리 대상체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가입자를 가지고 있고, 가입자들에게 우편 또는 전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전달해야 하지만, 가입자 정보(주소, 전화번호 등)의 부정확으로 인하여 정보 전달 시기를 놓치거나 가입자 정보의 추적을 위해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는 회사나 개인들에게, 가입자가 자신의 정보 변경 사실을 대부분 고지하는 습성으로 인해 정보의 정확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료 발송 이전에 가입자 정보의 정확성 여부를 미리 판별하며 가입 자 정보를 정확하고 일관되게 유지함으로써, 가입자 정보의 부정확으로 야기되는 비용의 손실과 마케팅 기회 상실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가입자 정보를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과 노력을 줄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와 해당 회사나 개인의 가입자 정보를 비교하여 초기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통신 회사나 관리 회사의 가입자 변동 정보 발생시 변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해당 기업이나 개인의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갱신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 회사에 알려, 부정확한 정보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11)와,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된 주기억장치(12)와, 주기억장치(12)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13)와,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된 입출력장치(14,15) 및 주기억장치(12)에 연결된 주변장치(16)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드웨어 시스템은,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11),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작업 수행중 이용되는 또는 작업 수행중에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12)와 보조기억장치(13) 및 사용자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장치(14,15)와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위한 주변장치(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억장치(13)는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입출력장치(14,15)는 일반적인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컴퓨터 하드웨어 환경은 당해 분야에서 이미 주지된 기술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하드웨어 시스템의 주기억장치(12)에는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와 해당 회사나 개인의 가입자 정보를 비교하여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통신 회사나 관리 회사의 가입자 변동 정보 발생시 변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해당 기업이나 개인의 관리용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며, 갱신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 회사에 알려, 부정확한 정보로부터 발생하는 비용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초기 구축 프로그램,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갱신 프로그램, 갱신 정보 전달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된다.
즉, 주기억장치(12)에서는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와 관리 대상이 되는 회사나 개인의 가입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해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만든다. 그리고,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가 포함하고 있는 레코드에 변경이 생겼을 경우, 변경사항을 갱신한다. 이후에, 갱신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 내역 리스트, 가입자 확인 불가 리스트를 관리 대상 회사에 전달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초기 생성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초기 구축 프로그램의 동작 절차로서, 관리 대상이 되는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A)와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를 비교해서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를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의 가입자 레코드 각각에 대해 전화번호를 키(key) 값으로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의 가입자 레코드 각각을 비교한 후(201), 전화 번호가 같은 레코드가 발견되면 일치된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와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의 각 레코드의 이름과 주소를 비교한다(202).
비교 결과, 각 레코드의 이름과 주소가 모두 같으면, 일치된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 저장한다(203).
비교 결과, 각 레코드의 이름, 주소가 일치하지 않으면,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와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의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전화 확인 리스트(List)에 저장한 후(204), 전화를 통한 가입자 확인을 통해(205) 확인된 경우(206) 확인된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레코드를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에서 찾아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 넣는다(203).
한편, 상기 비교 결과(201), 일치된 레코드가 발견되지 않으면,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의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우편을 통한 확인 리스트(List)에 저장한 후(208), 우편을 통한 가입자 정보 확인을 통해(209), 확인된 경우(206) 확인된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레코드를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에서 찾아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 넣는다(203).
그러나, 가입자 정보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206),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 넣을 수 없으므로 확인되지 않은 관리 대상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의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확인 불가 리스트(List)에 저장한다(210).
이러한 과정을 거쳐, 관리 대상이 되는 회사의 초기 가입자 정보 DB(A)로부터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와의 비교 검증을 끝낸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가 생성된다.
다음은,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가 포함하고 있는 레코드에 변경이 생겼을 때, 변경에 대한 갱신 과정을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갱신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에서 생성된 초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가 포함하고 있는 레코드에 변경이 생겼을 경우 변경사항을 갱신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통신 회사의 가입자가 전화번호, 주소 또는 개인 신상 정보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통신 회사에 알리게 되므로, 통신 회사는 가입자의 정보 변경 내용을 감지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통신 회사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대상 중 어느 관리 대상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를 갱신해야 하는지를 판별한 후, 그 DB를 갱신하게 된다.
먼저, 통신 회사로부터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DB(B)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 레코드중 가입자 정보 변경이 있는 레코드(b)가 수신되면(301),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가 속하는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를 선택한다(302).
이후,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 각각의 전화번호 필드에 대해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비교하여(303), 전화번호가 같은 레코드(a)를 찾아낸다. 즉,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의 가입자들에 대한 전화번호와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를 비교하여(303),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a)를 찾아낸다.
비교 결과,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a)가 있으면,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를 갱신하기에 앞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변경 코드를 검사한다(304).
검사 결과, 주소나 전화번호 등의 단순 변경이면,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의 레코드를 변경 레코드 값으로 변경(C')하고(305), 변경 내용을 변경 내역 리스트(List)에 저장한다(306). 즉,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a)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변경 내용에 따라 갱신하여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를 만든 후(305), 변경 내역 리스트에 변경 이전 레코드와 변경 이후 레코드에 대한 저장을 한다(306).
검사 결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변경 코드가 해지 또는 명의 변경과 같이 소유주가 바뀌는 변경이면, 단순하게 변경 내역을 반영할 수 없으므로, 비교대상이 되는 두 레코드, 즉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와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a)를 변경 확인 필요 리스트(List)에 저장하고(307),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와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a)의 전화번호를 통해 가입자 정보 확인을 통해(308), 확인된 경우(309)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의 레코드를 변경 레코드 값으로 변경(C')하고(305), 변경 내용을 변경 내역 리스트(List)에 저장한다(306).
그러나, 가입자 정보 확인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309),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 넣을 수 없으므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b)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a)를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List)에 저장한다(310).
한편, 갱신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C')와 변경 내역 리스트,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관리 대상 회사에 전달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회사가 선택한 방법에 따라(401) 결과물(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 내역 리스트, 가입자 확인 불가 리스트)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는데, 변경 파일(File)을 전자메일(E-mail)로 발송할 수도 있고(402), 출력후에 우편으로 발송할 수도 있으며(403), 웹 페이지로 만든 후 인터넷에서 쉽게 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404,405). 물론, 인터넷에서 보는 경우에는 유효한 아이디(ID)를 갖는 사용자만 볼 수 있도록 인증 관리를 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 외에, 관리 회사가 엑셀(Excel) 파일이나 DM(Database Marketing) 발송에 적합한 포맷의 파일로 바꿔주기를 요청한 경우, 요청 형식으로 바꾸어 전송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가입자 정보의 부정확으로 오는 비용의 낭비와 가입자 정보를 정확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의 부재에 따른 시간적, 물질적 비용 소모에 대해, 체계적이고도 정확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우편 또는 전화를 통한 마케팅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가입자 정보를 통해 마케팅 시기를 놓치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관리 회사)에게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가 그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Excel 또는 DM에 필요한 봉투 형식 등을 제공함으로써 가입자가 마케팅을 위한 다음 단계의 일을 수행함에 있어 변경 내역을 다시 한번 처리하는 수고를 덜어 줄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나 주소 뿐만 아니라 E-mail에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E-mail 마케팅이 확산되는 현 시점에 마케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와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정보를 서로 비교해 관리 대상체별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구축하는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구축 단계;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관리 대상체별로 기 구축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레코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가 속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찾아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찾고,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 코드를 검사하여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내용에 따라 갱신하는 가입자 정보 갱신 단계; 및
    상기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변경 내역 리스트, 확인되지 않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상기 관리 대상체측으로 전달하는 전달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구축 단계는,
    상기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레코드 각각에 대해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레코드 각각을 비교하는 제1 비교 단계;
    상기 제1 비교 결과로 전화번호가 같은 가입자 레코드가 발견되면, 일치된 상기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레코드와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레코드간의 이름과 주소를 비교하는 제2 비교 단계;
    상기 제2 비교 결과로 상기 각 가입자 레코드간의 이름과 주소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일치된 가입자 레코드를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비교 결과로 상기 각 가입자 레코드간의 이름, 주소가 일치하지 않으면, 해당 가입자 레코드를 전화 확인 리스트에 저장한 후 외부의 전화 확인 작업에 의한 결과 입력에 따라 전화번호가 확인된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레코드를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에서 찾아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 넣는 단계;
    상기 제1 비교 결과로 전화번호가 같은 가입자 레코드가 발견되지 않으면, 해당 가입자 레코드를 우편 확인 리스트에 저장한 후 외부의 우편 확인 작업에 의한 결과 입력에 따라 전화번호가 확인된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레코드를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에서 찾아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외부의 전화 확인 작업에 의한 결과 입력 또는 외부의 우편 확인 작업에 의한 결과 입력에 따라 전화번호가 확인되지 않은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레코드를 상기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갱신 단계는,
    상기 통신 회사 DB로부터 통신 회사의 가입자 정보 레코드 변경 사실을 수신받은 경우에 해당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가 속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선택하는 단계;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 각각의 전화번호 필드에 대해 상기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간 비교를 통해 전화번호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찾아내는 제3 비교 단계;
    상기 제3 비교 결과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가 있으면, 상기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 코드를 검사하는 검사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로 상기 변경 코드가 주소나 전화번호의 단순 변경임에 따라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상기 변경 레코드 값으로 변경하고, 변경내용을 상기 변경 내역 리스트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상기 변경 내역 리스트, 상기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상기 관리 대상체측으로 전자메일 또는 웹페이지를 사용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 관리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와 관리 대상체 DB의 가입자 정보를 서로 비교해 관리 대상체별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구축하는 기능;
    상기 통신 회사 DB의 가입자 정보가 변경됨에 따라 관리 대상체별로 기 구축되어 있는 상기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의 레코드를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가 속한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를 찾아 해당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에서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찾고,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 코드를 검사하여 가입자 정보 레코드를 가입자 정보 변경 레코드의 변경내용에 따라 갱신하는 기능; 및
    상기 갱신된 관리용 가입자 정보 DB와, 변경내용을 저장하고 있는 변경 내역 리스트, 확인되지 않은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가입자 정보 확인 불가 리스트를 상기 관리 대상체측으로 전달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39141A 2001-06-30 2001-06-30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KR10083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141A KR100837774B1 (ko) 2001-06-30 2001-06-30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141A KR100837774B1 (ko) 2001-06-30 2001-06-30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402A KR20030003402A (ko) 2003-01-10
KR100837774B1 true KR100837774B1 (ko) 2008-06-13

Family

ID=2771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141A KR100837774B1 (ko) 2001-06-30 2001-06-30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29A (ja) * 1997-07-14 1999-02-02 Fujitsu Ltd 複数wwwサーバ連携システム
JPH11149451A (ja) * 1997-11-14 1999-06-02 Fujitsu Ltd 複数サーバ間のid共有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複数サーバ間のid共有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管理装置及び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00037207A (ko) * 2000-04-12 2000-07-05 정병철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 등록관리방법
KR20000058257A (ko) * 2000-01-24 2000-10-05 장용재 개인정보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29A (ja) * 1997-07-14 1999-02-02 Fujitsu Ltd 複数wwwサーバ連携システム
JPH11149451A (ja) * 1997-11-14 1999-06-02 Fujitsu Ltd 複数サーバ間のid共有方法及びシステム及び複数サーバ間のid共有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及び管理装置及び管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00058257A (ko) * 2000-01-24 2000-10-05 장용재 개인정보제공시스템
KR20000037207A (ko) * 2000-04-12 2000-07-05 정병철 웹사이트에서 개인정보 등록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402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08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web-based event notification
US66943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electronic mail address information within an electronic mail address database
US6161129A (en) Unlisted address messaging system
US20210058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customer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50259658A1 (en) Mail, package and message delivery using virtual addressing
US20050021428A1 (en) Time management system for mobile employees
NO20110211A1 (no) Kommunikasjonstjenester
US80460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transparency
US6671696B1 (en) Informational object authoring and distribution system
CN101552801A (zh) 一种在线浏览和下载用户群组通讯录的方法和系统
US20190229931A1 (en) Distributed telephone number ledger and register
CN108805533A (zh) 一种基于大数据的人才能力评估推荐平台
CN11178699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及相关设备
TW502187B (en) Personal information verification method in electronic-commerce system
US20050091370A1 (en) Method for monitoring data transmissions
US200801028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unning an international telephony messaging campaign
CN102404247B (zh) 服务器装置、邮件服务器装置和传真服务器装置
US87747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UAProfile management
KR100837774B1 (ko) 통신 회사 가입자 정보를 이용한 타 사업자 가입자 정보관리 방법
US8661110B2 (en) Methods for identifying and recovering non-revenue generating network circuits established outside of the United States
US200302169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querying accounts receivable and supporting decision-making
NL9401004A (nl) Werkwijze voor het verschaffen van toegang tot een telefonische dienst bij vooruitbetaling, en een telefooneindeenheid en een telefooncentrale geschikt voor toepassing van de werkwijze.
KR20100057724A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3844760B2 (ja) 課金対象決定方法
US20040030671A1 (en) Forwarding system, and forwar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