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175B1 -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 Google Patents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175B1
KR100837175B1 KR1020060124750A KR20060124750A KR100837175B1 KR 100837175 B1 KR100837175 B1 KR 100837175B1 KR 1020060124750 A KR1020060124750 A KR 1020060124750A KR 20060124750 A KR20060124750 A KR 20060124750A KR 100837175 B1 KR100837175 B1 KR 100837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standard solution
heat
dissipation tube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941A (ko
Inventor
이화숙
이현
류재한
Original Assignee
이화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숙 filed Critical 이화숙
Priority to KR102006012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1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5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2Fixedly-mounted immers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heating conductor arranged in metal tubes, the radiating surface having heat-conducting fi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관과, 상기 방열관의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방열핀과, 상기 방열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캡타이어와, 일단에 소정 깊이의 홈을 갖고 상기 방열관의 일단에 설치된 상기 캡타이어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와, 상기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에 삽입되며 일측에 전선이 돌출된 전기카트리지히터와,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수용한 열매체조성물로 이루어진 방열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표면에 다 수개의 방출공이 형성되고 저면 및 양 측벽에 다수 개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부에서 복 수개의 방열기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방열관의 타단에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과 관통된 공기흡인관을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체결공의 일측에서 나사조립되어 상기 체결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진공단속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소음이 없어 조용하고, 산소를 소모하지 않아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음과 아울러 소비전력에 비하여 증폭된 발열량이 많아 난방기구로서의 효율이 우수하며, 소비전력이 적어 가정용 전력으로도 난방이 충분하고 무게가 가벼워 설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가 제공된다.
난방기, 전기카트리지히터, 열매체조성물, 진공단속밸브

Description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heating medium composition using heat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속밸브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관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방기구 2 : 케이싱
3 : 방출공 4 : 공기유입공
5 : 방열지지대 10 : 방열기
20 : 방열관 30 : 방열핀
40 : 캡타이어 50 :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
60 : 전기카트리지히터 61 : 전선
70 : 진공단속밸브 71 : 밸브몸체
73 : 볼트 75 : 체결공
77 : 공기흡인관 100 : 열매체조성물
110 : 제어부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하는 난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에서 전열매체로 전하고 이것을 순환시켜서 난방기구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높고 경제적인 이득과 아울러 실내의 공간을 쾌적하게 난방할 수 있도록 한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난방기구들은 그 대부분이 전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유류 및 가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난방기구들은 소비전력대비 열효율이 많이 저하되어 가정용 또는 사무실용으로 사용하기엔 누진요금 때문에 소비자에게 불리한 단점이 있으며, 유류와 전기겸용이든 가스용이든 연소하면서 산소가 소모되고 이로 인해 실내공기가 탁하거나 오염되어 자주환기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낭비가 많아 지금처럼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인한 고유가시대엔 난방비부담이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열원에서 전열매체로 전하고 이것을 순환시켜서 난방기구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열매체를 이용한 난방기구는 직접가열법에 비해서 국부가열을 피할 수 있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며,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도 적어서 공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 사용되는 열매체는 연도(煙道)가스, 가열공기, 물, 수증기, 기름 등이며, 화학공업의 발달에 따라 높은 온도가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열매체가 연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열매체는 열전달 효율이 낮고, 보일러 등의 난방 시스템에서 비용을 많이 들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열매체를 이용한 난방기구는 강제 순환 방식이므로 열매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펌핑장치를 별도로 부착하고, 아울러 매체의 열팽창계수. 온도상승에 따른 팽창과 폭발방지장치(보조압력탱크)와 더불어 별도로 발생하는 압력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고압가스 배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고압가스를 주기적으로 배출하므로 이로 인한 대기오염의 단점과 산소에 자주 노출된 열매체의 오염이 발생하고 따라서 오염된 열매체의 교환과 폐처리를 하여야 한다는 폐단이 있으며, 열전달 효과를 위해 방열관 또는 탱크 등으로 형성된 용기 속에 열매체를 가득(100%) 충진해야 하므로 열매체 구입비용 또한 부담스러움 등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적은 가정용 전력으로도 큰 부담이 없이 난방하고 추운 겨울을 지낼 수 있는 난방기구의 출현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제공함으로써 열전달 효율이 높아 경제적이면서도 실내를 효과적으로 난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내공기를 오염시키지 않으며,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관과, 상기 방열관의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방열핀과, 상기 방열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캡타이어와, 일단에 소정 깊이의 홈을 갖고 상기 방열관의 일단에 설치된 상기 캡타이어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와, 상기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에 삽입되며 일측에 전선이 돌출된 전기카트리지히터와,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수용한 열매체조성물로 이루어진 방열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표면에 다 수개의 방출공이 형성되고 저면 및 양 측벽에 다수 개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부에서 복 수개의 방열기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방열관의 타단에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과 관통된 공기흡인관을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체결공의 일측에서 나사조립되어 상기 체결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진공단속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열매체조성물은 총 1000g에 대하여, 염소물포화용액 17.7∼19g, 증류수 878∼898g, 나트륨표준용액 9.8∼10.55g, 황산용액 0.25∼2.64g, 마그네슘염화물용액 1.26∼1.27g, 칼슘염화물용액 0.37∼0.4g, 탄산염 0.1g, 노말용액 0.12∼0.139g, 붕소표준용액 0.043∼0.046g, 스트론튬플라즈마표준 0.0074∼0.008g, 불소표준용액 0.0012∼0.0013g, 인표준용액 0.065∼0.07g, 아연표준용액 0.0093∼0.01g, 리튬표준용액 0.15∼0.17g, 이산화탄소표준액 0.026∼0.028g, 질산질소기준용액 0.00047∼0.0005g, 브롬물 0.06∼0.065g, 철수화물 0.0093∼0.01g, 몰리브덴참고표준용액 0.0093∼0.01g, 알루미늄표준용액 0.0093∼0.01g, 규소표준용액 0.0028∼0.003g, 구리표준용액 0.0027∼0.003g, 세슘희석용의 0.004∼0.005g, 주석참고표준용액 0.0027∼0.003g, 칼륨표준용액 0.35∼0.38g, 트리에틸렌글리콜 9.0∼9.9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6.0∼6.6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6.0∼6.6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6.0∼6.6g, 에틸렌글리콜 15.0∼15.6g, 프로필렌글리콜 6.0∼6.6g, 에톡시트리글리콜 6.0∼6.6g, 디에틸렌글리콜 3.0∼3.3g,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3.0∼3.3g, 디프로필렌글리콜 6.0∼6.6g,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3.0∼3.3g, 트리톤엑스 2.74∼12.178g을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기구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속밸브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난방기구(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2)의 표면에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다 수개의 방출공(3)이 천공되어 있고, 케이싱의 저면 및 양 측벽에 는 외부공기가 상기 케이싱(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공(4)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으며, 케이싱의 내부 양단부 영역에는 방열기지지대(5)가 복 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난방기구(10)의 케이싱(2) 내부에 마련된 복 수개의 방열기지지대(5)에서 복 수개로 설치되는 방열기(10)의 방열관(20)은, 일정한 지름 및 길이를 갖고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재질은 스테인레스스틸 파이프와 동 파이프로 형성되며, 방열관(20)의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방열핀(3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테인레스 스틸 및 동 파이프 그리고 알루미늄을 주재질로 사용하는 이유는 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과 아울러 제품의 무게가 가벼워 난방기구(1)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방열관(20)의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방열핀(30)을 설치하고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10)는 전원을 공급하기 전, 열매체조성물(100)이 상온에서 식어 있을 때, 머무는 지점 즉 전기카트리지히터(60)가 설치된 부분의 방열관(20) 외주면에는 방열핀(30)을 설치하지 아니한 것은 열매체조성물(100)의 기화(승화)반응을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하단 끝에서 150mm-250mm 지점까지 방열핀(30)을 모두 설치하였을 경우 열매체조성 물(100)의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외부로 방열되어 기화점에 도달하기까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반응이 늦고, 소비전력이 많아 불리하기 때문이다.
방열관(20)의 일측에는 캡타이어(40)와 일단이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며 방열관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50)를 설치하고 그 일단에 형성된 홈(51)에는 전기카트리지히터(60)를 고정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전선(61)을 갖는 전기카트리지히터(60) 연결부위에 캡타이어(40)로 방수 처리함으로써 누전과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방열관(20)의 타단에는 방열관(20) 속에 열매체조성물(100)을 넣은 후 방열관(2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없애기 위한 진공단속밸브(70)를 설치하고 있다.
진공단속밸브(70)는 밸브몸체(71)와 볼트(73)로 이루어지며 밸브몸체에는 체결공(75)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공은 공기흡인관(77)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관(20) 내부를 진공시킬 때에는 체결공(75)으로부터 볼트(73)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유로(74)를 개방한 후 공기흡입기(도시치 않음)를 공기흡인관(77)에 설치 방열관(2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인하고 이어서 볼트(73)를 원위치로 체결하는 것과 또는 공기흡인관(77)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폐쇄하여 방열관(20) 내부의 진공을 단속한다.
한편,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50)에 수용된 전기카트리지히터(60)는 전선(6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별도의 제어부(110)에 의해 소정 온도로 조절되어 방열관(20) 내부에 수용된 열매체조성물(100)을 히팅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관(20) 속에는 열매체조성물(100)이 수용되는데, 열매체 수용물(100)은, 염소물포화용액(Chlorine water saturated solution) 17.7∼19g, 증류수(Water) 878∼898g, 나트륨표준용액(Sodium standard solution) 9.8∼10.55g, 황산용액(Sulfuric acids olution) 0.25∼2.64g, 마그네슘염화물용액(Magnesium chloride solution) 1.26∼1.27g, 칼슘염화물용액(Calcium chloride solution) 0.37∼0.4g, 탄산염 0.1노말용액(Sodium carbonate 0.1 normal solution) 0.12∼0.139g, 붕소표준용액(Boron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43∼0.046g, 스트론튬플라즈마표준1000ppm(Strontium plasma standard 1000ppm) 0.0074∼0.008g, 불소표준용액(Fluorid standard solutin) 0.0012∼0.0013g, 인표준용액(Phosphorus standard solution) 0.065∼0.07g, 아연표준용액(Zinc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리튬표준용액(Lithium standard solution) 0.15∼0.17g, 이산화탄소표준액(Carbon dioxide standard solution) 0.026∼0.028g, 질산질소기준용액(Nitrate nitrogen standard solution) 0.00047∼0.0005g, 브롬물(Bromine water) 0.06∼0.065g, 철수화물(Ferrous water) 0.0093∼0.01g, 몰리브덴참고표준용액(Molybdenum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알루미늄표준용액(Aluminum reference standard solution) 0.0093∼0.01g, 규소표준용액10.0(Silica standard solution10.0) 0.0028∼0.003g, 구리표준용액1ml(Copper standard solution) 0.0027∼0.003g, 세슘희석용의(Sesium diluent) 0.004∼0.005g, 주석참고표준용액(Tin reference standard solution1000ppm) 0.0027∼0.003g, 칼륨표준용액(Potassium standard solution) 0.35∼0.38g,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 bglycol) 9.0∼9.9g, 트리프로필렌글리콜(Tripropylene glycol) 6.0∼6.6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Tripropylene glyco methl ether) 6.0∼6.6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Tripropylene glyco mono methyl ether) 6.0∼6.6g, 에틸렌글리콜(ethylene eglycol) 15.0∼15.6g,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6.0∼6.6g, 에톡시트리글리콜(Ethoxy triglycol) 6.0∼6.6g,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3.0∼3.3g,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 ethyl ether) 3.0∼3.3g,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6.0∼6.6g,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Di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3.0∼3.3g, 트리톤엑스(Triton.X100) 2.74∼12.178g을 혼합하여 조성된다. 성분비는 1000g중 각 성분이 차지하는 그램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열매체조성물(100)은, 마랑고니(Marangoni)의 효과에 알맞는 성분들로 조성된 것으로서, 각 성분들은 방열관(20)의 파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증기압이 높지 않아야 하며, 비중 차이가 서로 미세하여 교반기 내에서 함께 어울어져 성분이 일정하게 뒤 섞여야 함은 물론, 부피와 질량을 용량계나 저울로 계측하기 쉬워야 하며, 비인화성으로 화재의 위험이 없어야하고, 비휘발성으로 방열관(20) 내부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 열과 화학반응 속에서도 성분과 질량이 줄지 않아야 하며, 점도가 높아 기화현상을 방해해서도 안 된다.
인체나 동식물, 자연환경에 전혀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하며 수용성으로 물과 가장 잘 섞여야 한다. 무색 투명하고, 자극적 냄새가 거의 없는 물질들로서 어는점(녹는점)은 가급적 낮아야 하고 이를 선택 기준으로 삼았다. 일반 상온에서의 각 물질이 갖는 고유의 끓는점이 기압이 떨어진 진공상태에서는 크게 낮아 지므로 끓는점 오름을 위해 핵심 기본이 되는 주력물질(물)에 열을 잘 보존하고 전달하며 적정 최고온도에 도달하기까지 릴레이식으로 온도와 발열량을 증폭, 상승시킬 수 있는 물질들을 더하였고, 최고점에 도달한 후에도 전력에너지가 공급되는 동안은 지속적으로 그 상태를 편차없이 유지해 줄 수 있는 물질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열매체조성물(100)을 방열관(20)에 수용할 때에는 방열관(20)의 전체 용적량 100% 대비 9% 내지 12%로 제한하여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험결과 이 범위를 벗어나 너무 적게 주입했을 경우 온도의 상승 속도는 빠르나 주변의 바람이나 환경의 영향에 민감하고 발열량이 적으며, 온도변화가 심해 안정적이지 못하고, 너무 많이 주입했을 경우는 반응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량이 많아 본 발명에 따른 방열기(10)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난방기구(1)의 방열기(10)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열기(10)를 난방기구(1) 내부에 설치된 방열기지지대(5)에 설치할 때, 전기카트리지히터(60) 측으로 3°이상의 각도로 기울기(중력 작용의 영향으로 3°이상의 기울기를 준 것은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열매체조성물(100)이 냉각되었을 때 고체 상태이므로 가열부(반응부) 위치에 항상 모여 있도록 하기 위함)를 주어 열매체조성물(100)이 모두 일측으로 내려가게 설치한 후 진공단속밸브(70)을 통해 소정의 진공을 걸면 기압이 급속히 떨어지므로 열매체조성물(100)은 방열관(20) 내부에서 냉각되어 얼어붙어 고체화된다.
이후 방열관(20)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볼트(73)를 원위치로 체결하여 유로(74)를 폐쇄거나 공기흡인관(77)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폐쇄하면 진공 이 해제되기 전에는 열매체조성물(100)의 성분이 지닌 고유의 효능 및 질량이 감소되는 현상은 없다.
방열관(20) 내부에 열매체조성물(100) 주입과 진공처리가 끝난 후 전기카트리지 히터(60)에 전력을 공급하면 전기카트리지히터(60)가 가열되어 방열관(20) 내부에 있는 본 열매체조성물(100)에 열이 전달되고 이때 고체 상태로 함께 얼어붙어 있던 열매체조성물(100)이 해동됨과 동시에 끓는점(기화점)이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반응을 시작하여 폭발, 팽창(열매체조성물이 방열관(20)의 전체 용적량 100% 대비 9% 내지 12%로 제한하여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팽창공간을 가질 수 있음)하는 것인바, 상승, 하강작용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므로 방열관(20)의 타단부(응축부)까지 순식간에 열을 전달하는데 그 이유는 방열관(20)의 내부 진행방향에 잡 공기가 없어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방열관(20) 속에 액체상태의 열매체조성물(100)을 주입하고 기울기를 주어 열매체조성물(100)이 방열관(20)의 경사진 일측을 향하여 모두 아래로 내려간 상태에서 진공(10-3승tor)을 걸면 기압이 급속히 떨어지므로 냉각되어 얼어붙어 고체화된다. 이후 방열관(20) 내부를 진공시킨 후 공기흡입관(77)을 밀폐 용접하면 진공이 깨어지기 전에는 본 열매체조성물(100) 성분이 지닌 고유의 효능 및 질량이 감소되는 현상은 없다.
방열관(20) 안에 열매체조성물(100) 주입과 진공처리가 끝나면, 난방규모, 용도, 원하는 적정온도에 맞춰진 용량의 전기카트리지히터(60)에 전력을 공급하면 전기카트리지히터(60)가 가열되어 방열관(20) 내부에 있는 열매체화합물(100)에 열 이 전달되고 고체 상태로 함께 얼어붙어 있던 열매체조성물(100)이 녹음과 동시에 끓는점(기화점)이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반응을 시작하여 폭발, 팽창, 상승, 냉각, 하강작용을 끊임없이 반복하므로 방열관(20) 상단부(응축부) 까지 순식간에 열을 전달하는데 내부 진행 방향에 잡 공기가 없어 저항을 받지 않기 때문에 그러하다.
열매체조성물(100)의 순환작용으로 방열관(20) 전체에 고루 전달된 열이 난방기구(1)의 내부, 방열관(20) 주변공기를 고스란히 데워 상승시키는 대류작용을 기본원리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이 많은 곳에서는 불리하지만 사무실, 교실, 회의실, 거실 등과 같은 실내의 난방기구로 매우 적합하며,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므로 쾌적한 환경을 언제나 유지할 수 있고, 자주 환기를 시킴으로 생기는 열손실과 에너지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기구(1)에 따른 방열기(10)의 특징은 전기카트리지히터(60)가 위치하는 부분 예컨대 발열부, 방열관(20)의 중간부, 방열관의 타단인 응축부까지 방열기(10) 전 부분에 걸쳐 온도분포가 균일하여 편차 없이 고르게 방열 되었다. 그리고 방열기(10)와 열매체조성물(100)은 최고온도에 도달한 이후 계속해서 별 변화 없이 그 온도를 유지해 주었고, 대류와 복사열작용에 의해 방열기(10)와 방열핀(30)을 통해 주변공기를 고스란히 데워 올려서 순환시켜 실내와 같이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의 난방기구로서는 최적으로 실험되었다.
적은 용량의 전기카트리지히터(60)에서 열을 공급받아 방열관(20) 내부에서 끊임없이 열매체조성물(100)의 자연 순환이 반복되어 방열관(20) 및 방열핀(30)을 포함한 방열기(10) 전체를 순식간에 데우고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입력된 전기 에너지량보다 출력되는 전체 열에너지가 더 많은 증폭현상을 본 열매체조성물(100)의 상호작용에서 발견하였으며, 방열기(10)의 열전달 효율을 더욱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진공도를 높이고 진공상태를 계속 유지해 주어야 하는 것도 중요했고, 열에너지를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방열면적을 최대한 늘리고, 방열핀(30)을 가급적 촘촘히 설치하는 것과, 가장 활발한 열매체 조성물(100)의 순환 운동을 위한 진공도 범위(10-2승tor 0-3승tor)도 매우 중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방기구는, 소음이 없어 조용하고, 산소를 소모하지 않아 실내공기가 오염되지 않음과 아울러 소비전력에 비하여 증폭된 발열량이 많아 난방기구로서의 효율이 우수하며, 소비전력이 적어 가정용 전력으로도 난방이 충분하고 무게가 가벼워 설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 방열관과, 상기 방열관의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된 방열핀과, 상기 방열관의 일단에 설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캡타이어와, 일단에 소정 깊이의 홈을 갖고 상기 방열관의 일단에 설치된 상기 캡타이어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와, 상기 전기카트리지히터 고정부재에 삽입되며 일측에 전선이 돌출된 전기카트리지히터와, 상기 방열관의 내부에 수용한 열매체조성물로 이루어진 방열기에 있어서,
    상기 방열기는, 표면에 다 수개의 방출공이 형성되고 저면 및 양 측벽에 다수 개의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케이싱의 내부에서 복 수개의 방열기지지대에 지지되며;
    상기 방열관의 타단에는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과 관통된 공기흡인관을 갖는 밸브몸체와; 상기 체결공의 일측에서 나사조립되어 상기 체결공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진공단속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조성물은 총 1000g에 대하여 염소물포화용액 17.7∼19g, 증류수 878∼898g, 나트륨표준용액 9.8∼10.55g, 황산용액 0.25∼2.64g, 마그네슘염화물용액 1.26∼1.27g, 칼슘염화물용액 0.37∼0.4g, 탄산염 0.1g, 노말용액 0.12∼0.139g, 붕소표준용액 0.043∼0.046g, 스트론튬플라즈마표준 0.0074∼0.008g, 불소표준용액 0.0012∼0.0013g, 인표준용액 0.065∼0.07g, 아연표준용액 0.0093∼0.01g, 리튬표준용액 0.15∼0.17g, 이산화탄소표준액 0.026∼0.028g, 질산질소기준용액 0.00047∼0.0005g, 브롬물 0.06∼0.065g, 철수화물 0.0093∼0.01g, 몰리브덴참고표준용액 0.0093∼0.01g, 알루미늄표준용액 0.0093∼0.01g, 규소표준용액 0.0028∼0.003g, 구리표준용액 0.0027∼0.003g, 세슘희석용의 0.004∼0.005g, 주석참고표준용액 0.0027∼0.003g, 칼륨표준용액 0.35∼0.38g, 트리에틸렌글리콜 9.0∼9.9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6.0∼6.6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6.0∼6.6g,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6.0∼6.6g, 에틸렌글리콜 15.0∼15.6g, 프로필렌글리콜 6.0∼6.6g, 에톡시트리글리콜 6.0∼6.6g, 디에틸렌글리콜 3.0∼3.3g,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3.0∼3.3g, 디프로필렌글리콜 6.0∼6.6g,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3.0∼3.3g, 트리톤엑스 2.74∼12.178g을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3. 삭제
  4. 삭제
KR1020060124750A 2006-12-08 2006-12-08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KR10083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750A KR100837175B1 (ko) 2006-12-08 2006-12-08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750A KR100837175B1 (ko) 2006-12-08 2006-12-08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41A KR20080052941A (ko) 2008-06-12
KR100837175B1 true KR100837175B1 (ko) 2008-06-13

Family

ID=3980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750A KR100837175B1 (ko) 2006-12-08 2006-12-08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1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416A (ko) 2020-12-02 2022-06-09 김은영 잠열 성질을 포함한 열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27Y1 (ko) * 2001-09-06 2001-12-24 허행조 이동형 전기히터방열기
KR200370858Y1 (ko) * 2004-09-22 2004-12-18 이동규 급속 가열이 가능한 파이프형 난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27Y1 (ko) * 2001-09-06 2001-12-24 허행조 이동형 전기히터방열기
KR200370858Y1 (ko) * 2004-09-22 2004-12-18 이동규 급속 가열이 가능한 파이프형 난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416A (ko) 2020-12-02 2022-06-09 김은영 잠열 성질을 포함한 열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41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088C2 (ru) Радиатор конденсатора
KR100837175B1 (ko) 열매체조성물을 이용한 난방기구
JP6150305B2 (ja) 熱電発電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471165B (zh) 一种用于火墙内的装有相变材料的封装装置
KR200352827Y1 (ko) 산업용 열풍기
KR100771094B1 (ko) 열풍기
KR20140122384A (ko) 열전달 매체를 이용한 온풍기
CN210608832U (zh) 一种电机蒸发冷却装置
KR200191833Y1 (ko) 열매체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KR200370858Y1 (ko) 급속 가열이 가능한 파이프형 난방 장치
KR20090061256A (ko) 전기 나트륨식 가열로
CN106253102A (zh) 气体绝缘开关柜、开关柜气箱及气箱的传热系统
CN109185964A (zh) 一种三真空双级超导快热型取暖装置
RU2172448C1 (ru) Отопительно-варочная печь
KR20030004648A (ko) 휴대용 열전 발전기
KR200283718Y1 (ko) 히트 파이프 전기 열풍기
KR100435904B1 (ko) 전자 보일러
CN216011290U (zh) 一种不易产生水垢且节能的便携式热水暖风机
KR20000010045U (ko) 열매체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
KR100402093B1 (ko) 카본발열체를 이용한 온풍장치
CN213208240U (zh) 用于燃气壁挂炉的防护组件及燃气壁挂炉
KR20090093412A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열풍기
KR200302341Y1 (ko) 히트파이프를이용한냉온풍기
JPS56150808A (en) Prevention device of formation of dew in case body
KR200250572Y1 (ko) 휴대용 열전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