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572Y1 - 휴대용 열전 발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열전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572Y1
KR200250572Y1 KR2020010020390U KR20010020390U KR200250572Y1 KR 200250572 Y1 KR200250572 Y1 KR 200250572Y1 KR 2020010020390 U KR2020010020390 U KR 2020010020390U KR 20010020390 U KR20010020390 U KR 20010020390U KR 200250572 Y1 KR200250572 Y1 KR 200250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unit
thermoelectric generator
cooling wat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석
Original Assignee
박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석 filed Critical 박양석
Priority to KR2020010020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0Electric motors using thermal effects

Landscapes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한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전 발전기를 용이하게 휴대하여 야외에서 사용할 수 형성함으로써, 휴대와 운반이 간편하기 때문에, 산이나 강가 등의 야외에서 전원을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열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야외에서 사용되도록 한 열전 발전기에 있어서,
열원을 집약되도록 한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 내측에 고열을 전달하도록 한 열선을 형성한 집열부와;
내부에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모듈와, 전원이 공급되는 잭이나 플러그 등이 삽입되도록 한 삽입홈과,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 온도 감지부를 형성한 변환부와;
냉각용수를 주입하고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용수 입출구와, 냉각용수가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로와, 대기에 의해 방열되도록 한 방열부를 형성한 냉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열전 발전기 { A portable Generator }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한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전 발전기를 용이하게 휴대하여 야외에서 사용할 수 형성함으로써, 휴대와 운반이 간편하기 때문에, 산이나 강가 등의 야외에서 전원을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열전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 발전기는 열 에너지를 집열하여, 열전모듈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 되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열전 발전기는 대부분, 열을 집약하도록 한 집열부와, 집열부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한 변환부와,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하도록 한 냉각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열전 발전기는, 상기 집열부에서 열원을 전달받아, 상기 변환부에서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게 되어, 잭 등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자체의 고열을 냉각수 등으로 냉각시키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열전 발전기는,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부피와 크기, 그리고 중량이 크기 때문에, 열전 발전기의 운반이나 휴대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열전 발전기의 휴대와 운반, 그리고 취급이 어렵기 때문에, 산이나 강가 등의 야외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한 열전 발전기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한 열전 발전기를, 휴대와 운반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도록 소형으로 제작함으로써, 크기와 중량이 최소화되어, 열전 발전기의 이동과 운반이 편리하고, 취급과 보관이 손쉽기 때문에, 산이나 강가 등의 야외에서 필요한 전원을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열부 11 : 확개부
12 : 열선 13 : 결합구
14 : 이송관 15 : 발열구
16 : 조절 레버 17 : 지지대
18 : 발열부 18a : 방출홈
20 : 변환부 21 : 열전모듈
22 : 삽입홈 23 : 온도 감지부
30 : 냉각부 31 : 냉각수 입출구
32 : 순환로 33 : 방열부
34 : 저수구
본 고안은 야외에서 사용되도록 한 열전 발전기에 있어서,
열원을 집약되도록 한 확개부와, 상기 확개부 내측에 고열을 전달하도록 한 열선을 형성한 집열부와;
내부에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모듈와, 전원이 공급되는 잭이나 플러그 등이 삽입되도록 한 삽입홈과,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 온도 감지부를 형성한 변환부와;
냉각용수를 주입하고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용수 입출구와, 냉각용수가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로와, 대기에 의해 방열되도록 한 방열부를 형성한 냉각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원을 전달받도록 한 집열부(10)와, 상기 집열부(10)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한 변환부(20)와, 발생되는 고열을 냉각시키도록 한 냉각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집열부(10)는 열원을 집약되도록 한 확개부(11)와, 상기 확개부(11) 내측에 고열을 전달하도록 한 열선(12)을 형성한다.
상기 변환부(20)는 상기 집열부(10)의 상부에 형성하며, 내부에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모듈(21)과, 전원이 공급되는 잭이나 플러그 등이 삽입되도록 한 삽입홈(22)과,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 온도 감지부(23)를 형성한다.
상기 냉각부(30)는 상기 변환부(20)의 상부에 형성하며, 냉각용수를 주입하고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용수 입출구(31)와, 냉각용수가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로(32)와, 대기에 의해 방열되도록 한 방열부(33)를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조리 도구이고, 2는 휴대용 가스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이나 강가 등의 야외에서 열전 발전기를사용하게 될 경우, 버너나 휴대용 가스 렌지 등을 이용하거나, 각종 야외에서 사용하는 폐열 등을 사용하여, 상기 집열부(10)의 확개부(11)를 통하여, 열원을 전달한다.
상기 집열부(10)의 확개부(11)에 전달된 열원은 상기 열선(12)에 집약되고, 상기 변환부(20)에 전달되어 상기 열전모듈(21)에 의해, 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도 감지부(23)에서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냉각부(30)의 냉각수 입출구(31)를 통해, 냉각용수를 주입하게 되면, 냉각수가 상기 순환로(32)를 순환하게 되어, 열전 발전기 자체의 고열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방열부(33)에서 대기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기 때문에, 대류를 통한 냉각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변환부(20)의 삽입홈(22)에 잭을 삽입, 연결하게 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어, 야외에서 사용이 어려웠던 각종의 전자 기기 등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 발전기의 부피와 크기, 그리고 중량이 최소화되고, 구조가 비교적 단순화되기 때문에, 열전 발전기의 이동과 운반, 휴대와 보관, 그리고 사용과 취급이 편리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집열부(10)에 휴대용 가스의 열원으로 집열되도록 한 발열부(18)를 형성하여, 휴대용 가스를 상기 결합구(13)에 결합한 후에 점화시키게 되면, 가스가 상기 이송관(14)을 통해 이송되어, 상기 발열구(15)에서 점화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구(15)에서 점화된 화염은 상기 방출홈(18a)으로 분산되고 상기 발열부(18)에 전달되어, 상기 집열부(10)에 열원을 직접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 레버(16)로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17)를 이용하여 야외에서 휴대용 열전 발전기를 용이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발열부(18)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냉각부(30)를 결합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지지대로 야외의 지면에 휴대용 열전 발전기를 안정된 상태로 고정하고, 휴대용 가스의 열원을 직접 발열부(18)로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저수구(34)에 냉각용수를 주입, 저장되어, 열전 발전기 자체 고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도록 하여, 전력 공급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한 열전 발전기를, 휴대와 운반이 간편하도록 크기와 부피, 그리고 중량을 최소화하고, 구조를 비교적 단순화함으로써, 열전 발전기의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고, 취급과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산이나 강가 등의 야외에서 필요한 각종 전자 기기 등의 전원을 편리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야외에서 휴대하여 사용되도록 한 열전 발전기에 있어서,
    열원을 집약되도록 한 확개부(11)와, 상기 확개부(11) 내측에 고열을 전달하도록 한 열선(12)을 형성한 집열부(10)와;
    내부에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열전모듈(21)과, 전원이 공급되는 잭이나 플러그 등이 삽입되도록 한 삽입홈(22)과, 온도를 감지하도록 한 온도 감지부(23)를 형성한 변환부(20)와;
    냉각용수를 주입하고 배출되도록 하는 냉각용수 입출구(31)와, 냉각용수가 내부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로(32)와, 대기에 의해 방열되도록 한 방열부(33)를 형성한 냉각부(3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전 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집열부(10)를 휴대용 가스가 체결되도록 한 결합구(13)와, 가스가 이송되도록 한 이송관(14)과, 가스에 의해 발열되도록 한 발열구(15)와, 발열량을 조절하도록 한 조절레버(16)와, 상기 발열구(14)를 지지하도록 한 지지대(17)와, 고열이 방출되는 방출홈(18a)이 구비된 발열부(18)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전 발전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발열부(18)의 양측에 상기 냉각부(30)를 결합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전 발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냉각부(30)를 냉각용수가 주입되도록 한 저수구(34)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열전 발전기.
KR2020010020390U 2001-07-06 2001-07-06 휴대용 열전 발전기 KR200250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390U KR200250572Y1 (ko) 2001-07-06 2001-07-06 휴대용 열전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390U KR200250572Y1 (ko) 2001-07-06 2001-07-06 휴대용 열전 발전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232A Division KR20030004648A (ko) 2001-07-06 2001-07-06 휴대용 열전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572Y1 true KR200250572Y1 (ko) 2001-10-19

Family

ID=7305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390U KR200250572Y1 (ko) 2001-07-06 2001-07-06 휴대용 열전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5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4185A (en) Multi stag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sing an ammonia absorption refrigeration cycle and thermoelectric elements at numerous locations in the cycle
US6307142B1 (en) Combustion heat power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332372Y (zh) 利用液冷循环冷却的余热温差发电系统
CA2367099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uel cell facility, and fuel cell facility
RU2359363C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генератор
Li et al. Miniature self-powering and self-aspirating combustion-powered thermoelectric generator burning gas fuels for combined heat and power supply
US7060891B2 (en) Thermophotovoltaic generator apparatus
KR20030004648A (ko) 휴대용 열전 발전기
RU57969U1 (ru) Автономный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тока
KR200250572Y1 (ko) 휴대용 열전 발전기
JP2015178950A (ja) 温風発生装置及び温風発生方法
CN201742345U (zh) 一种小型温差烟囱发电装置
CN219222632U (zh) 热电联产装置、温差发电系统及供暖设备
KR100812797B1 (ko) 휴대용 열전발전기
KR102199556B1 (ko) 열전발전기
CN210839394U (zh) 一种太阳能温差发电音响
KR100332638B1 (ko) 가스 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장치
JPH10141668A (ja) 熱電変換器を備えるアルコール・ストーブ
KR20170050982A (ko) 휴대 가능한 열 저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통합 발전 시스템
JP4114528B2 (ja) 熱発電装置
JPH02303381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EP1366697A3 (en) Electrical appliance using thermal conductor
Carlson et al. Adapting TPV for use in a standard home heating furnace
KR102553760B1 (ko) 열병합 열전 발전 장치
JPS5975684A (ja) 熱発電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