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870B1 -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870B1
KR100836870B1 KR1020060124744A KR20060124744A KR100836870B1 KR 100836870 B1 KR100836870 B1 KR 100836870B1 KR 1020060124744 A KR1020060124744 A KR 1020060124744A KR 20060124744 A KR20060124744 A KR 20060124744A KR 100836870 B1 KR100836870 B1 KR 100836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sun
optical sensor
optical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식
명환춘
함선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2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의 일주운동에 의해 시시각각 달라지는 방위각과 고도각을 측정한 후 그 측정값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을 조절하는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센서에 의해 발생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태양과 수직한 방향에 서도록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2축구동방식에 의해 조절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한 태양추적장치 및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광센서, 태양전지, 방위각, 고도각

Description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Cylindrial type solar tracking apparatus by photodiode and the photovoltaic driving system using thereof}
도 1은 태양의 일주운동 궤적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좌표계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태양추적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을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 구동시스템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태양추적장치 110 : 본체
111 : 제1광경로 112 : 제2광경로
113 : 제3광경로 114 : 제4광경로
115 : 제5광경로
111a,112a,113a,114a,115a : 제1 내지 제5 광센서
200 :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210 : 베이스 220 : 회전 프레임
230 : 태양전지 모듈 240 : 제1축 구동장치
250 : 제2축 구동장치 300 : 제어부
310 : 연산부 320 : 모터 드라이버
본 발명은 태양의 일주운동에 의해 시시각각 달라지는 방위각과 고도각을 측정한 후 그 측정값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을 조절하는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센서에 의해 발생된 전류값을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결정한 후 상기 태양의 위치에 맞도록 상기 태양전지 모듈를 2축구동방식에 의해 조절하여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센서를 이용한 태양추적장치 및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라고 하는 것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를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태양전지를 모듈화한 것을 태양전지 모듈 (photovoltaic module)이라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인바 태양으로부터 최대한의 태양 에너지를 획득하는 것이 효율 향상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상기 태양의 일주 운동 궤적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태양전지모듈을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적인 태양의 일주운동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태양은 우리나라와 같은 중위도 지방을 기준으로 볼 때 동쪽에서 비스듬히 떠서 남쪽으로 비스듬히 지는 궤적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태양은 단순히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1차원적 궤적이 아니고 일주운동중 남쪽으로 기울어지는 2차원적 궤도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도 1의 A는 천구의 북극을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의 태양전지를 구동하는 장치의 경우 단순히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태양의 궤적을 쫓는 한편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구동하는 방식이어서 2차원적 궤도를 가지는 태양의 태양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광센서에 의해 측정하여 정확한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는 한편 그 결정된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을 2축 구동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태양의 궤적을 따라 구동하게 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원통형상의 본체에 광센서를 5개 장치한 후 상기 광센서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비교하여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측정할 수 태양추적장치와, 상기 태양추적장치에 의해 결정된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을 조절할 수 있는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센서에 의해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는 한편 그 결정된 태양의 위치에 맞게 태양전지 모듈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태양을 추적하기 위한 방위각과 고도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방위각과 고도각의 정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좌표계는 태양 추적장치가 장치되는 지점을 통과하는 자오선과 지표면이 만나는 지점을 정남(south)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e 축을 정동, n축을 정북 그리고 z축을 천정을 가리키는 방향으로 설정된 좌표이다.
이때 태양의 고도각(E)은 태양과 추적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지점(좌표원점)을 연결하는 선분이, 추적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지구 지표면과의 이루는 각으로 표시되는 값이다.
또한, 태양의 방위각(A)은 현재 태양의 위치를 지료면에 투영시켰을 때 투영된 태양과 좌표의 원점이 이루는 직선이 좌표상의 정북(n)을 가르키는 직선과 이루는 각으로 정의된다.
이렇게 정의되는 방위각과 고도각을 본 발명의 태양추적장치가 찾아내어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태양추적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추적장치는 태양광에 의해 광센서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는 태양추적장치로서, 원통형상의 본체(110)에 다수개의 광경로와 상기 광경로에 장치되는 광센서로 구성된다.
상기 광경로는 상기 본체(110)의 상하면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태양 광이 도입되는 제1광경로(111)와,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서 바닥면까지 동서남북 각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관통하여 상기 태양광이 각각 도입되는 제2광경로(112), 제3광경로(113), 제4광경로(114) 및 제5광경로(115)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광경로(111)는 상기 본체(110)의 상하를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광경로 내지 제5 광경로(112,113,114,115)는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서 바닥면까지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관통되되, 그 방향은 각각 동서남북을 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광경로 내지 제5광경로(111,112,114,114,115)의 바닥에 각각 장치되어 상기 도입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광센서가 장치된다.
상기 광센서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빛을 받아 전류로 변화시켜 태양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광경로 내지 제5광경로(111,112,113,114,115)의 바닥면에 각각 제1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111a,112a,113a,114a,115a)를 장치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광센서(111a)를 중심으로해서 나머지 제2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112a,113a,114a,115a)를 "+" 형상으로 배열하였다. 이때 상기 제2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112a,113a,114a,115a)가 장착되는 제2광경로 내지 제5광경로(112,114,114,115)는 각각 동서남북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됨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광경로와 광센서가 장치되는 본체(110)의 형상은 균일한 반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본체 상부(110a)와 본체 하부(110c) 그리고 상기 본체 상부(110a)와 본체 하부(110c)사이에 형성되되, 반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 즉 외측면이 경사지는 형상인 본체 중앙부(110b)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본체 상부(110a)의 상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경로(111)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본체 중앙부(110b) 측면에 제2광경로(112), 제3광경로(113), 제4광경로(114) 및 제5경로(115)를 동서남북방향으로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 중앙부(110b)를 경사지도록 형성한 것은 태양빛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함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태양추적장치(100)에 의해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그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광센서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태양빛을 받아 전류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생성되는 전류의 양은 조사된 태양빛의 양 다시 말해서 조사되는 태양빛의 각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광센서에 조사되는 태양빛이 수직방향이면 최대의 전류를 생성하며 그 각도가 줄어듦에 따라 생성되는 전류가 줄어드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생성되는 전류의 값을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광센서(111a)를 기준으로 동서남북 방향으로 각각 제2광센서(112a), 제3광센서(113a),제4광센서 (114a) 그리고 제5광센서(115a)가 배열되며, 이때 상기 제2광센서(112a)는 동쪽, 제3광센서(113a)는 남쪽, 제4광센서(114a)는 북쪽 그리고 제5광센서(115a)는 서쪽을 향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태양의 방위각은 제2광센서(112a)와 제1광센서(111a)의 전류를 비교한 값(이하 측정치1-2로 표기한다)과 측정치 1-5 즉 제5광센서(115a)와 제1광센서(111a)의 비교한 값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즉, 측정치 1-2와 측정치 1-5를 비교하여 측정치1-2의 값이 크면 태양이 동쪽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후술하는 구동창치에 의해 태양전지 모듈을 동쪽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때 상기 측정치 1-2와 측정치 1-5의 값이 동일하게 될때까지 회전시키게 되면 태양전지 모듈이 태양에 수직한 방향에 서게 되어 최대의 발전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태양의 고도각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제1광센서(111a)와 제4광센서(114a)의 비교값 즉 측정치1-4와 제1광센서(111a)와 제3광센서(113a)의 비교값 즉 측정치 1-3을 비교하여 예를 들어 측정치 1-4가 높게 나오면 또 다른 구동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측정치 1-3과 측정치 1-4가 동일하게 나올 때까지 구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에 맞게 태양전지 모듈을 맞출 수 있어 최대의 발전효율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광센서에 빛이 입사되기 위해 상기 광경로의 각도는 상기 제1광경로(111)를 기준으로 제2광경로(112),제3광경로(113),제4광경로(114) 그리고 제5광경로(115)가 각각 30도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광경로(112)와 제5광경로(115) 그리고 제3광경로(113)와 제4광경로(114)는 상호 60도 기울어지는 형상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태양추적장치(100)는 광센서에 의한 전류 값을 상호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하 상기 태양추적장치(100)를 이용한 태양전지모듈의 구동 시스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 시스템은 크게 태양빛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발생부(200)와 상기 전력발생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전력발생부(200)는 태양빛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전지 모듈(230)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230)을 수용하는 회전 프레임(220) 그리고 상기 회전 프레임(220)이 수용되는 베이스(210)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을 구동하는 제1구동장치(240) 및 제2구동장치(250)로 대별된다.
상기 베이스(210)는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형상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에서 일측을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베이스(210)에는 베이스 회전축(211)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회전축(211)에 장치된 회전 프레임(22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220) 내부에는 태양전지 회전축(221)이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에 장치된 태양전지 모듈(230)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회전축(211)과 태양전지 회전축(221)을 회전시키기 위해 2개 방향의 구동장치가 구비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에 각각 맞추기 위해 2축 구동이 필요하게 되고 이를 위해 2개 방향의 구동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 회전축(211)을 회전하는 제1축 구동장치(240)와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을 회전시키는 제2축 구동장치(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축 구동장치(240)는 상기 베이스(210)의 일측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241)와, 상기 모터(241)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242)와 상기 제1기어(242)와 치차 결합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 회전축(211)에 장치되는 제2기어(24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241)에 의해 상기 베이스 회전축(211)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20)이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 프레임(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의 경사면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형 틀 형상의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회전 프레임(220) 내부에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회전축(221)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상에 태양전지 모듈(230)이 장치된다.
즉,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이 회전됨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230)이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술한 제2구동장치(250)는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회전 프레임(220) 일측에 장치되는 모터(251)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모터 회전축(252)와 상기 모터 회전축(252)상에 다수개 장치되는 제1기어(253)와 상기 제1기어(254)와 치차결합하는 한편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상에 장치되어 상기 모터(251)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으로 전달하는 제2기어(25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을 회전시키고 결국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221)에 장치되는 태양전지 모듈(230)을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구동장치(250)에 의해 상기 태양추적장치(100) 또한 회전된다.
즉, 상기 제2구동장치(250)의 모터 회전축(252)상에 장치되는 제1기어(253)과 치차결합되는 제3기어(255)가 상기 태양추적장치(100)에 장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모터(25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상기 태양추적장치(100)까지 전달되어 상기 태양전지 모듈(230)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254)와 제3기어(235)를 동일한 기어를 사용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230)과 상기 태양추적장치(100)를 동일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태양추적장치(100)를 사용하여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를 구동하는 태양전지 구동시스템(200)을 구비한다.이때 상기 태양추적장치(100)에 의해 산출된 값을 연산하고 그 연산된 값에 따라 상기 구동시스템(200)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필요한 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300)는 연산부(310)와 모터 드라이버(320)로 구성된다. 상기 연산부(310)에서는 상기 태양추적장치(100)에서 전류의 값을 상호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의 방위각은 제2광센서(112a)와 제1광센서(111a)의 전류를 비교한 값 즉,측정치1-2와 제5광센서(115a)와 제1광센서(111a)의 비교한 값 즉, 측정치 1-5를 비교하여 판단 한다.
즉, 상기 태양추적장치에서 상기 제1광센서(111a)와 제2광센서(112a)에서 나온 전류값을 상기 연산부(310)에서 수신한다. 이 후 상기 연산부(310)에서 상기 전류값을 비교하여 측정치 1-2를 산출하게 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1광센서(111a)와 제5광센서(115a)의 전류값을 수신한 후 비교한 측정치 1-5를 산출한다.
이 후 상기 측정치 1-2와 1-5를 상호 비교하여 태양이 어디에 있는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산부(310)에 의해 태양의 위치가 결정되면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로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1구동장치(240)와 제2구동장치(250)의 모터(241,251)를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어부(300)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300)의 연산부(310)는 앞서 설명한 각 광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11,312,313,314,315,316)와, 상기 증폭기(311,312,313,314,315,316)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호 비교하는 비교기(317,318)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300)의 모터 드라이버(320)에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모터 드라이버(320)는 상기 제1구동장치(240) 및 제2구동장치(250)를 각각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321,322)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앞서 살펴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 순서에 대해 다시 설명한 다.
우선 상기 태양추적장치(100)에서 태양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상술한 예를 다시 들어 설명하면 상기 태양의 방위각은 제2광센서(112a)와 제1광센서(111a)의 전류를 비교한 측정치1-2와 측정치 1-5 즉 제5광센서(115a)와 제1광센서(111a)의 비교한 값을 기준으로 상기 제어부(300)의 연산부(310)에 의해 판단한다.
즉, 측정치 1-2와 측정치 1-5를 비교하여 측정치1-2의 값이 큰 경우 태양이 동쪽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후 상기 연산부(310)는 모터 드라이브(32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1구동장치(240)를 구동한다. 물론 본 발명의 태양전지 구동시스템(200)의 베이스(210)의 방향을 바꾸면 제2구동장치(250)를 구동하면 된다. 이하 상기 제1구동장치(240)에 의해 태양의 동서방향을 추적하는 것을 대상으로 설명을 계속한다.
즉 상기 제1구동장치(240)의 모터(241)를 구동하여 상기 베이스 회전축(211)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회전 프레임(22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220)에 장치되는 태양전지 모듈(230) 역시 같이 회전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추적장치(100)가 상기 회전 프레임(220)에 같이 장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230)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태양추적장치(100)가 동쪽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측정치 1-2와 측정치 1-5의 값의 차이가 줄어들다가 결국은 동일하게 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추적장치(100) 혹은 태양전지 모듈(230)이 상기 태양과 수직한 방향에 있다는 것을 뜻하며 이 각도에서 최대의 발전효율이 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연산부(310)가 상기 측정치 1-2와 1-5의 값이 동일하게 됨을 인식하면 상기 모터 드라이브(32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1구동장치(240)의 모터(241)구동을 멈추게 한다.
이는 태양의 고도각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제1광센서(111a)와 제4광센서(114a)의 비교값 즉 측정치1-4와 제1광센서(111a)와 제3광센서(113a)의 비교값 즉 측정치 1-3을 상기 연산부(310)에서 비교하여 측정치 1-4가 높게 나오면 상기 모터 드라이브(320)에 신호를 보내어 제2 구동장치를 구동(250)하여 상기 측정치 1-3과 측정치 1-4가 동일하게 나올 때까지 구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상기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에 맞게 태양전지 모듈을 맞출 수 있어 최대의 발전효율을 얻게 된다.
이때 상기 태양추적장치(100)와 태양전지 모듈(230)이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태양추적장치(100)와 태양전지 모듈(230)이 동일하게 회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태양추적장치(100)가 태양빛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구동하게 되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230) 역시 상기 태양빛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동되기 위해서는 상기 태양추적장치 (100)와 동일하게 회전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센서에 의해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는 한편 그 결정된 태양의 위치에 맞게 태양전지 모듈을 구동하는 구성을 가지며, 이 에 의해 상기 태양의 방위각과 고도각에 맞게 태양전지를 구동할 수 있어 최대한의 발전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태양광을 받아 광센서가 생성하는 전류를 비교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는 태양추적장치로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하면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태양광이 도입되는 제1광경로;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 바닥면까지 동서남북 각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관통하여 상기 태양광이 각각 도입되는 제2광경로, 제3광경로, 제4광경로 및 제5광경로;와, 상기 제1광경로 내지 제5광경로의 바닥에 각각 장치되어 상기 도입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류를 발생하는 제1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균일한 반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서 상면에 상기 제1광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상부;와, 상기 본체 상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반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을 구비하며 그 측면에 상기 제2광경로 내지 제5광경로가 형성되는 본체 중앙부;와, 상기 본체 중앙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균일한 반경을 가지며, 상기 반경은 상기 본체 중앙부의 최하측 반경과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그 바닥면에 상기 제1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가 장치되며,
    상기 각 광센서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태양을 위치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는 상기 제1광센서를 중심으로 나머지 제2광센서 내지 제5광센서가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경로,제3광경로,제4광경로,제5광경로는 상기 제1광경로를 기준으로 30도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태양추적장치를 이용한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으로서,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경사면에 장치되는 베이스 회전축과 결합하는 사각형 틀 형상의 회전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내에 다수개 장치된 태양전지 회전축과 결합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베이스 회전축을 구동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을 회전하는 제1축 구동장치와, 상기 회전 프레임 일측에 장치되는 한편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을 구동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회전하는 제2축 구동장치와, 상기 제2축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모듈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태양추적장치로 이루어지는 전력발생부;와,
    상기 태양추적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태양의 위치를 결정하는 연산부와, 상기 연산부에 의해 결정된 태양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축 구동장치 및 제2축 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모터 드라이브로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태양의 위치에 맞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구동장치는 상기 베이스 일측에 장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차 결합하는 한편 상기 베이스 회전축에 장치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 프레임 일측에 장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모터 회전축;과,
    상기 모터 회전축에 장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차 결합하는 한편 상기 태양전지 회전축에 장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치차 결합하는 한편 상기 태양추적장치에 장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3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와 제3기어는 동일한 기어를 사용하여 상기 태양추적장치와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제2축 구동장치에 의해 동일하게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연산부는 상기 각 광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호 비교하는 비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KR1020060124744A 2006-12-08 2006-12-08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KR100836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744A KR100836870B1 (ko) 2006-12-08 2006-12-08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744A KR100836870B1 (ko) 2006-12-08 2006-12-08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870B1 true KR100836870B1 (ko) 2008-06-11

Family

ID=3977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744A KR100836870B1 (ko) 2006-12-08 2006-12-08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8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29A1 (en) * 2009-08-31 2011-03-03 Sdn Co., Ltd Solar servo control tracking device using pyranometer
WO2011074889A2 (ko) * 2009-12-16 2011-06-23 미래에너지기술주식회사 태양위치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122617B1 (ko) * 2011-07-27 2012-03-16 지앤씨테크(주) 태양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CN102494415A (zh) * 2011-12-07 2012-06-13 苏州同济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太阳能热水器
KR101277764B1 (ko) * 2011-10-28 2013-06-24 (주)에이엔티이십일 태양위치 추적 센서와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태양위치 추적 방법
KR101563509B1 (ko) * 2013-08-27 2015-10-27 공비호 태양광량 측정장치
KR101745877B1 (ko) * 2015-05-16 2017-06-13 코리아터빈(주) 태양광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추적 방법
KR10220795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속 역광보정 장치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KR20210101910A (ko) * 2020-02-11 2021-08-19 (주)큐디 스마트 태양광 가로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249A (ko) * 2004-12-27 2006-07-03 (주)에타솔라 태양추적장치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249A (ko) * 2004-12-27 2006-07-03 (주)에타솔라 태양추적장치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29A1 (en) * 2009-08-31 2011-03-03 Sdn Co., Ltd Solar servo control tracking device using pyranometer
WO2011074889A2 (ko) * 2009-12-16 2011-06-23 미래에너지기술주식회사 태양위치추적 장치 및 방법
WO2011074889A3 (ko) * 2009-12-16 2011-12-22 미래에너지기술주식회사 태양위치추적 장치 및 방법
KR101122617B1 (ko) * 2011-07-27 2012-03-16 지앤씨테크(주) 태양 위치 추적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277764B1 (ko) * 2011-10-28 2013-06-24 (주)에이엔티이십일 태양위치 추적 센서와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및 태양위치 추적 방법
CN102494415A (zh) * 2011-12-07 2012-06-13 苏州同济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太阳能热水器
KR101563509B1 (ko) * 2013-08-27 2015-10-27 공비호 태양광량 측정장치
KR101745877B1 (ko) * 2015-05-16 2017-06-13 코리아터빈(주) 태양광 추적식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추적 방법
KR20210101910A (ko) * 2020-02-11 2021-08-19 (주)큐디 스마트 태양광 가로등
KR102292930B1 (ko) * 2020-02-11 2021-08-24 (주)큐디 스마트 태양광 가로등
KR10220795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속 역광보정 장치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870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원통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JP4964857B2 (ja) 太陽追尾装置およびその追尾方法
Chong et al. General formula for on-axis sun-track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 in improving tracking accuracy of solar collector
US6519029B1 (en) Low cost transmitter with calibration means for use in position measurement systems
CN101995233B (zh) 用于太阳精密跟踪的数字式光电角度传感器
CN110308746B (zh) 一种适用于三轴转台式测控天线的星体标校方法
KR100799094B1 (ko) 태양에너지 집열 및 발전 시스템용 태양광 추적 장치
KR101185875B1 (ko) 시추공형 지진센서의 방위각 및 수평 경사 보정 장치 및 방법
CN101859014A (zh) 一种反射镜面与旋转中心偏离的定日镜的方位-俯仰跟踪方法
CN205336202U (zh) 全天候太阳方位跟踪装置
JP2009186094A (ja) 太陽追尾装置および太陽追尾装置の追尾方法
JP5503818B1 (ja) 太陽追尾装置および方法、太陽光発電装置、ならびに制御装置
CN104834325A (zh) 一种漂浮式太阳能发电单轴跟踪系统及其控制方法
KR20080052923A (ko) 광센서를 이용한 판체형 태양추적장치 및 이를 이용한태양전지 구동 시스템
CN101929860A (zh) 旋转激光出射装置
CN204240979U (zh) 微型光学扫描测距装置、系统及光学测距系统
JP6232032B2 (ja) ロボットヘリオスタットの較正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552285B2 (en) Device and method for solar-tracking according to sensor
CN106052663A (zh) 相干测风激光雷达中提高方位角测量精度的装置及方法
JP2012122635A (ja) ヘリオスタットおよび太陽光集光システム
CN104697488B (zh) 一种平面法线方位角测量方法及其应用
CN109916097A (zh) 一种定日镜超声波校正系统及方法
JP2013004684A (ja) 太陽追尾装置及び太陽光発電装置
CN108445449B (zh) 一种户外施工机械实时高精度定位方法及装置
KR101230559B1 (ko) 태양 추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