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719B1 -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 Google Patents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719B1
KR100835719B1 KR1020060115522A KR20060115522A KR100835719B1 KR 100835719 B1 KR100835719 B1 KR 100835719B1 KR 1020060115522 A KR1020060115522 A KR 1020060115522A KR 20060115522 A KR20060115522 A KR 20060115522A KR 100835719 B1 KR100835719 B1 KR 100835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mage sensor
module
laminated sheet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5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6068A (ko
Inventor
오승만
양홍식
이경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5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7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4Screening from visible, ultraviolet, or infrared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06Inorganic insulating substrates, e.g. ceramic, gla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4Stacked 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9Wire bo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초점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중앙부에 사각의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2층 이상의 시트가 적층 형성된 다층 구조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수용홈 내부에 실장되어 내부 회로 패턴과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센서로 구성된 이미지센서 모듈; 상기 기판의 수용홈이 복개되도록 그 상부에 안착되는 적외선 차단부재;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엑츄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공수를 감소시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엑츄에이터 모듈, 적외선 차단부재, 이미지센서 모듈, 기판, 수용홈, 수직돌조, 단차부, 이미지센서

Description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Image sensor module equipped with image sensor and camera module package using it}
도 1은 종래 VCM 타입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이 채용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기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판이 채용된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조립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엑츄에이터 모듈 120. 적외선 차단부재
200. 이미지센서 모듈 210. 기판
220. 수용홈 223. 수직돌조
222, 224. 단차부 230. 이미지센서
본 발명은 자동 초점(AF:Autofocus)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코일 구동 엑츄에이터 모듈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다층 구조의 기판 내부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됨으로써, 기판 자체가 하우징의 역할을 하게 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이물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의하여 데이터 통신 속도의 향상이나 데이터 통신량의 확대가 실현되고, 휴대전화나 노트북 등의 모바일 전자기기에는 CCD 이미지센서나 CMOS 이미지센서 등의 촬상소자가 실장된 것이 보급되고 있으며, 이들은 문자 데이터 외에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실시간 처리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근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고화소 및 고기능화됨에 따라, 일반 고사양의 디지털 카메라와 유사한 성능을 갖출 만큼의 급격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있으며, 그 가운데 오토포커싱(Auto-Focusing) 기술을 모바일용 크기에 구현하려는 시도가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오토포커싱 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은 카메라 모듈에 내 장되는 부품 수를 증가시키게 됨으로써, 일반 카메라 모듈의 크기보다 전체적인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와 같은 카메라 모듈의 장착 시, 휴대용 단말기 본체내의 카메라 모듈 장착 공간의 부족에 따른 조립성의 어려움이 도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엑츄에이터 방식 중에서 주류를 이루는 것이 VCM(Voice Coil Module)타입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VCM 타입의 액추에이터는, 엑츄에이터 내에 장착된 마그네트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과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가 장착된 구동부가 구동됨으로써 오토포커싱 작업이 수행된다.
아래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VCM 타입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크게 렌즈군(L)이 장착된 렌즈배럴(1)과, 상기 렌즈배럴(1)을 통과하는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모듈(3), 및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3)에서의 오토포커싱 작업을 위하여 상기 렌즈배럴(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2)로 구성된다.
렌즈배럴(1)은, 액추에이터(2)와 상방향으로부터 결합하며, 렌즈 홀더(lens holder)의 기능을 하며 통상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과 같은 수지 에 의해 형성되고, 액추에이터(2) 내부에 삽입되는 바닥부측에 어퍼처(aperture) 및 집광렌즈 등이 설치된다. 어퍼처는 집광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통로를 규정하고, 집광렌즈는 어퍼처를 통과한 빛을 후술하는 이미지센서 소자의 수광부에 수광하도록 한다.
상기 렌즈배럴(1)의 하부에는 IR 코팅된 글라스(IR coating glass)(4)가 접착되어 있으며, 어퍼처나 집광렌즈 측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렌즈배럴(1) 내의 렌즈군(L)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 포함된 과도한 적외선을 차단한다.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3)은, 액추에이터(2)의 하방향으로부터 결합하며, 상기 렌즈배럴(1)을 통과한 광을 수광하고 처리하기 위하여 회로기판(6)에 부착되는 이미지센서(5)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카메라용 이미지센서(5)를 패키징하는 방식은 플립칩(Flip-Chip) 방식의 COF(Chip On Flim) 패키징 방식, 와이어 본딩 방식의 COB(Chip On Board) 패키징 방식, 그리고 CSP(Chip Scale Package) 방식 등이 있으며, 이 중 COF 패키징 방식과 COB 패키징 방식이 널리 이용된다.
여기서, 하기 도 1은 이미지센서(5)의 COB 패키징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미지센서(5)는, 렌즈배럴(1)의 집광렌즈로부터 받아들여진 빛을 수광하고 광전변환을 행하는 수광부(5a)와, 상기 수광부에 의하여 발생한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등의 신호처리부(도면 미도시)로 구성된다. 회로기판(6)의 일면과 부착되는 면에 다수의 전극 패드가 형성되며, 상기 전극패드에는 범프(bump)가 형성된다.
일례로서, 상기 이미지센서를 COF 플립칩 패키징 방식으로 부착할 경우, 전극 패드 외관에 돌출시킨 범프와 이방성 전도성 고형물(ACF: Anisotropic Condunctive Film) 또는 전도성이 없는 액상 폴리머(NCP: Non-Conductive Paste)를 사용하여 부착한다. 상기 범프는 스터드형 범프, 무전해형 범프, 전해형 범프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중 스터드형 범프는 플립칩 가압시 범프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세라믹 리드간 단차를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 향상면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2)는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3)에서의 오토포커싱 작업을 위하여 상기 렌즈배럴(1)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2a)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엑츄에이터(2)가 내장된 케이스(2a) 하부에 수광 영역(7a)이 천공된 하우징(7)이 밀착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7) 하부에 이미지센서(5)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6)이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7) 하부에 이미지센서(5)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6)이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이미지센서(5)는 하우징(7)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이미지센서(5)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6)과 상기 이미지센서(5)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7)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품의 증가에 따른 상기 인쇄회로기판(6)과 하우징(7)을 접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추가되어 제작 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7)을 별도 제작하기 위한 금형 비용이 추가되고, 상기 하우징(7)에 회로 부품 조립을 위한 접착제 도포 후 발생되는 가스나 상기 하우징(7)의 강성 유지를 위해 함유된 미세한 글라스파이버가 탈락됨에 따른 이물이 이미지센서(5) 상면에 고착되어 화상 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기장에 의해 코일 구동되는 엑츄에이터 모듈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다층 구조의 기판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됨으로써, 기판 자체가 하우징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중앙부에 사각의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2층 이상의 시트가 적층 형성된 다층 구조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수용홈 내부에 실장되어 내부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이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기판은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최상부층이 돌출된 수직돌조를 가지며, 그 내, 외부로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은 평판형의 다수의 시트가 적층될 때,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될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앙부가 천공된 시트가 적층되고, 상기 적층된 시트의 압착됨에 의해서 이미지센서 실장 공간이 구비된 기판이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기판은 다수의 세라믹 시트를 이용한 세라믹 기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는 상기 기판의 수용홈 내부에서 와이어 본딩 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 실장 공간인 수용홈의 측벽 높이는 상기 이미지센서외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의 본딩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부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단차부 상에는 이미지센서로 유입되는 광 중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부재가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 차단부재는 적외선 차단층이 구비된 글라스 또는 적외선 차단층이 코팅딘 필름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부에 사각의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2층 이상의 시트가 적층 형성된 다층 구조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수용홈 내부에 실장되어 내부 회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센서로 구성된 이미지센서 모듈과, 상기 기판의 수용홈 상부에 안착되는 적외선 차단부재와,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밀착 고정 되는 엑츄에이터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가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기판은 수용홈의 외측 상면의 테두리부를 따라 수직 돌조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조의 내, 외부측에 단차부가 구비되어 상기 내측 단차부에 각 측면이 밀착되도록 적외선 차단부재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의 상부에는 내부에 렌즈배럴 구동을 위한 엑츄에이터가 내장된 엑츄에이터가 실장되는 바,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의 하단부가 상기 이미지센서의 상부에 형성된 외측 단차부에 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의 케이스 내부에는 중앙부에 삽입된 렌즈배럴을 전자기력에 의해서 상, 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코일과 자석이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이 채용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기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모듈(200)은 중앙부에 수용홈(220)이 구비된 기판(210)과, 상기 수용홈(220) 내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230)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210)은 2층 이상의 개별 시트(211~215)가 적층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가압됨에 의해서 일체의 기판(210)으로 형성되며, 각 시트(211~215)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221)가 상기 이미지센서(230) 실장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기판(210)에 형성된 패드(221)는 수용홈(220)의 내부 저면 상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20)은 중앙부에 윈도우(213a)(214b)가 형성된 시트(213)(214)의 적층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기판(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각 시트(211~215)의 적층 수에 따라서 소정의 깊이, 즉 이미지센서(230)가 실장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220)은 그 내부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230)의 화소별 규격에 따라 그 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이미지센서(230)가 사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각의 형태로 하향 도피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홈(220)은 그 내부에 수광부(231)가 상면에 구비된 이미지센서(230)가 밀착 결합되는 바, 상기 수용홈(220)의 저면에 상기 이미지센서(230)의 하면이 밀착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수용홈(220) 저면에 형성된 패드(221)와 이미지센서(230) 상면에 형성된 패드(232)가 와이어(W)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이미지센 서(230)와 기판(210)이 본딩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판(210)은 중앙부에 형성된 수용홈(220)의 외측 테두리부에 그 내, 외부측으로 단차부(222)가 형성되는 수직돌조(22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직돌조(222)는 그 내, 외측면에 각각 적외선 차단부재(120)와 엑츄에이터 모듈(110)의 케이스 하단부가 밀착 결합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200)에 엑츄에이터 모듈(110)이 밀착된 상태의 후술될 카메라 모듈 패키지(100)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모듈(200)에 적용되는 기판(210)을 아래 도시된 도 3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판(210)은 알루미나(Al2O3) 또는 산화규소(SiO2) 등의 분말을 혼합하여 압출 또는 인발 가공을 거쳐 판형의 시트(sheet)로 성형한 후,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는 컷팅(cutting) 공정을 거쳐 그 상면에 비아홀을 형성시키기 위한 펀칭(punching) 공정 및 기 설계된 회로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printing) 공정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개별 시트(211~215)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쇄 공정에서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회로 패턴이 인쇄된다.
상기 시트(211~215)는 그 적층될 위치에 따라 제1 적층시트(211) 내지 제 5 적층시트(215)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 적층시트(211)와 제2 적층시트(212)는 기판(210)의 하부가 형성될 수 있는 평판형으로 구성되며, 제3 적층시트(213)와 제4 적층시트(214)는 기판(210)의 중앙부에 수용홈(220)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이 구성될 수 있는 윈도우(213a)(214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210)의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5적층시트(215)는 제4 적층시트(214)의 상면 테두리부에 안착될 수 있는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며, 상기 제4 적층시트(214) 상면 중앙부에 밀착되어 그 내, 외 측면 상에 단차부(223)(224)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5 적층시트(211~215)가 적층된 기판(210)의 상면에는 패드(221) 형성 부위에 니켈(Ni) 또는 금(Au) 도금층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도금(plating) 공정이 수행되며, 소결(firing) 공정을 거쳐 이미지센서 모듈 제작을 위한 각 단위 기판(210)으로 절단(singulation)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5 적층시트(211~215)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소정의 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단부에 수직돌조(215)가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사각의 수용홈(220)이 형성된 기판(21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210)은 다수의 적층시트(211~215)가 세라믹 시트로 구성된 세라믹기판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적층시트(211~215)의 수는 그 내부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230)의 두께나 이미지센서(230)와 기판(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W)의 본딩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230)의 실장 공간인 수용홈(220)의 측벽 높이는 상기 이미지센서(230)와 기판(210)에 접속된 와이어(W)의 본딩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이미지센서(230)의 상부측, 즉 기판(210)에 형성된 단차부(222)에 안착되는 적외선 차단부재(120)의 하면과 본딩된 와이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카메라 모듈 패키지
한편, 도 2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 모듈을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조립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0)은 중앙부에 수용홈(220)이 구비된 기판(210)과, 상기 수용홈(220) 내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230)로 구성된 이미지센서 모듈(200)의 상부에 코일 구동형 엑츄에이터가 내장된 엑츄에이터 모듈(110)이 장착된 구조이다.
상기 이미지센서(230)가 내부 실장된 기판(210) 상부에 장착되는 엑츄에이터 모듈(120)은 중앙부에 렌즈배럴(111)이 결합된 보빈(112)과, 상기 보빈(112)의 외측면을 감싸는 코일(113)과, 상기 코일(113)과 이격 거리를 형성하여 상기 보빈(112)의 외측에 설치되는 마그네트(114)와, 상기 렌즈배럴(111)이 장착된 보빈(112)과 마그네트(114)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115)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200)의 상면에는 적외선 차단부재(120)의 안착 후 그 상부로 내부에 렌즈배럴(111)을 코일 구동시키기 위한 엑츄에이터의 구성 부재가 내장된 엑츄에이터 모듈(110)의 하단부가 밀착 결합된다.
즉, 상기 이미지센서 모듈(200)의 기판(210) 상면에 구비된 수직돌조(223) 내측으로 형성된 단차부(222)에는 적외선 차단부재(120)의 각 측면이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수직돌조(223)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부(224)에는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110)의 외부 케이스(115) 하단부가 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230)의 상부에 결합된 적외선 차단부재(120)는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110) 내의 렌즈배럴(111) 내의 렌즈군(L)을 통해 입사되는 광 중에 포함된 과도한 적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면 또는 하면 중 일면에 적외선 차단층이 구비된 글라스의 형태 또는 필름의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이미지센서(230)와 수평의 상태로 안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패키지에 채용되는 기판(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면에 형성되는 패드(도면 미도시) 외에도 직접 소켓 접속할 수 있도록 그 측면에 외부 기기 연결용 패드(250)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패키지(100)는 중앙부에 수용홈(220)이 형성된 기판(210)을 통해 그 수용홈(220) 내부로 이미지센서(230)가 실장되어 와이어 본딩되고, 상기 이미지센서(230)가 내장된 기판(210)의 상부에 직접 적외선 차단부재(120)와 엑츄에이터 모듈(110)이 밀착 고정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230)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하우징 없이도 카메라 모듈 패키지가 구성 가능함에 따라 조립 부품과 조립 공수가 간략화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패키지는, 전자기장에 의해 코일 구동되는 엑츄에이터 모듈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다층 구조의 기판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에 이미지센서가 실장됨으로써, 상기 이미지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품의 공수를 감소시켜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 후 기판 및 이미지센서를 조립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도포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하우징 가공시 발생되는 이물 불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의 제작이 다수의 세라믹 시트를 이용한 어레이(arrey)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센서의 실장과 와이어 본딩 공정까지의 이미지센서 모듈 제작 공정을 일렬로 인-라인(in-line)화시킴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 고 카메라 모듈 패키지의 수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0)

  1. 중앙부에 사각의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적층시트 내지 제5 적층시트가 적층 형성된 다층 구조의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수용홈 내부에 실장되어 내부 회로 패턴과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센서;
    를 포함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수직돌조를 가지며, 그 내, 외 측면 상에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다수의 세라믹 시트를 이용한 세라믹 기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측벽 높이는, 상기 이미지센서외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의 본딩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적층될 위치에 따라 제1 적층시트 내지 제 5적층시트로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시트와 제2 적층시트는 기판의 하부가 형성될 수 있는 평판형으로 구성되며, 제3 적층시트와 제4 적층시트는 기판의 중앙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이 구성될 수 있는 윈도우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적층시트의 상면 테두리부에 안착될 수 있는 비교적 좁은 폭을 가지는 제5 적층시트는 상기 제4 적층시트 상면 중앙부에 밀착되어 그 내, 외 측면 상에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형성된 단차부 상에는 적외선 차단부재가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7. 중앙부에 사각의 수용홈이 구비되도록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적층시트 내지 제5 적층시트가 적층 형성된 다층 구조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수용홈 내부에 실장되어 내부 회로 패턴과 와이어 본딩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미지센서로 구성된 이미지센서 모듈;
    상기 기판의 수용홈이 복개되도록 그 상부에 안착되는 적외선 차단부재; 및
    상기 기판의 상부에 밀착 고정되는 엑츄에이터 모듈;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은, 중앙부에 렌즈배럴이 결합된 보빈과, 상기 보빈의 외측면을 감싸는 코일과, 상기 코일과 이격 거리를 형성하여 상기 보빈의 외측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된 보빈과 마그네트를 감싸고 있는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배럴이 상, 하 구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면 테두리부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수직돌조를 가지며, 그 내, 외 측면 상에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면에 구비된 수직돌조 내측으로 형성된 단차부에는 적외선 차단부재의 각 측면이 밀착되도록 안착되며, 상기 수직돌조의 외측에 형성된 단차부에는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의 외부 케이스 하단부가 밀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KR1020060115522A 2006-11-21 2006-11-21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KR10083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22A KR100835719B1 (ko) 2006-11-21 2006-11-21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5522A KR100835719B1 (ko) 2006-11-21 2006-11-21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68A KR20080046068A (ko) 2008-05-26
KR100835719B1 true KR100835719B1 (ko) 2008-06-05

Family

ID=3966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5522A KR100835719B1 (ko) 2006-11-21 2006-11-21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7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80B1 (ko) 2008-08-06 201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5449B1 (ko) * 2009-09-03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8351488A (zh) * 2015-08-31 2018-07-3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相机模块和光学仪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011B1 (ko) * 2008-07-24 2010-07-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06592B1 (ko) * 2013-11-05 2021-01-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663664B1 (ko) * 2016-04-04 2016-10-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491A (ko) * 2002-07-18 2005-03-15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용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20050026487A (ko) * 2002-07-18 2005-03-15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카메라 모듈,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491A (ko) * 2002-07-18 2005-03-15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용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KR20050026487A (ko) * 2002-07-18 2005-03-15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카메라 모듈, 홀더, 카메라 시스템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80B1 (ko) 2008-08-06 2010-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5449B1 (ko) * 2009-09-03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8351488A (zh) * 2015-08-31 2018-07-3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单元、相机模块和光学仪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068A (ko) 2008-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214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パッケージ
US8564716B2 (en) Camera module
KR100704980B1 (ko) 카메라 모듈 패키지
US7679669B2 (en) Camera module package
JP4584214B2 (ja)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824812B1 (ko) 초소형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5491628B2 (ja) 配線基板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撮像装置モジュール
EP1708269A1 (en) Semiconductor device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module
KR100770680B1 (ko) 모바일용 카메라모듈 패키지 및 이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
JP5375219B2 (ja) 撮像装置
KR100835719B1 (ko) 센서 내장형 이미지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패키지
JP2010525412A (ja) 底部にキャビティを備えるウエハーレベル光学部品とフリップチップ組立を用いた小型フォームファクタモジュール
US20220102417A1 (en) Substrate for image sensor
KR101133135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655831B1 (ko) 이미지 센서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26975A (ko) 이미지 센서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2770019B (zh) 感光组件及其制备方法和摄像模组
KR101973656B1 (ko) 카메라 모듈
JP607912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2019129224A (ja) パッケージおよび電子装置
JP4923967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US8816414B2 (en) Module structure with partial pierced substrate
JP2008166521A (ja) 固体撮像装置
KR100721153B1 (ko) 카메라모듈 패키지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커팅 지그
JP7345548B2 (ja) イメージセンサー用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