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845B1 -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845B1
KR100833845B1 KR1020010062625A KR20010062625A KR100833845B1 KR 100833845 B1 KR100833845 B1 KR 100833845B1 KR 1020010062625 A KR1020010062625 A KR 1020010062625A KR 20010062625 A KR20010062625 A KR 20010062625A KR 100833845 B1 KR100833845 B1 KR 100833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passage
heat exchange
flow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474A (ko
Inventor
신수연
조민철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8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6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having one or more openings therein forming tubular heat-exchange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지나는 공기 유동통로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를 지나는 공기의 운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양면에 구비된 열교환판(45a)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주름진 주름판(45b)으로 구성되는 단위 열교환부(45)가 상기 공기 유동통로가 인접한 단위 열교환부의 공기 유동통로와 교차하도록 적층되어, 실외공기의 급기통로(47)와 실내공기의 배기통로(49)를 형성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은 공기 유동통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엠보싱부(45c)와,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상기 엠보싱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찰홈(45d)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를 제공한다.
환기장치, 전열교환기

Description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HRV of ventilating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전열교환기 41 : 지지판
43 : 보강재 45 : 단위 열교환부
45a : 열교환판 45b : 주름판
45c : 엠보싱부 45d : 마찰홈
47 : 급기통로 49 : 배기통로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하는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공기 유동통로 구조를 개선하여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장치이다.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환기장치는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도는 열기가 여과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틀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결핍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 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내로 공급하는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가 제시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형태의 케이스(1)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10)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30)가 구비된다.
상기 급기덕트(10)의 일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급기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급기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20)의 일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배기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배기 배출구(2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는 전열교환기를 중심으로 각각 케이스(1)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횡단하면서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것은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3)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급기덕트(10)의 급기 배출구 측에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급기팬(15)이 구비되고, 급기 흡입구(11)와 전열교환기(30) 사이에 실외공기에 포 함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정화필터(1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20)의 배기 배출구 측에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팬(2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열교환기(30)는 상하 모서리가 케이스(1)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모서리가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를 구획하는 격벽(3)에 의해 지지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 급기덕트(10)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37)와 상기 급기통로와 이웃하며 배기덕트(2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39)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 전열교환기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전열교환기(30)는 밀폐된 양측면의 지지판(31) 사이에 급기되는 실외공기 및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37,39)를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 열교환부(35)가 적층되며, 상기 단위 열교환부의 네 측면 모서리는 V홈을 갖는 보강대(33)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상기 보강대(33)는 단위 열교환부(35)를 지지함과 동시에 환기장치를 이루는 케이스와 격벽에 고정되어 전열교환기(3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단위 열교환부(35)는 양면에 구비된 열교환판(35a)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주름판(35b)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주름판(35b)은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공기 유동통로(37,39)를 형성하며, 상기 열교환판(35a)은 임의의 주름판(35b)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주름판을 지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이웃한 주름판을 지나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와 전도에 의해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단위 열교환부(35)는 주름판(35b)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통로가 서로 직교하도록 적층되며, 따라서 서로 이웃한 공기 유동통로 중 임의의 하나는 급기덕트와 연통되는 실외공기의 급기통로(37)가 되고, 다른 하나는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실내공기의 배기통로(39)가 된다. 일례로, 도면상 상하으로 종단하는 공기 유동통로는 실내공기의 배기통로(39)이며, 좌우로 횡단하는 공기 유동통로는 실외공기의 급기통로(37)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작용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2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실내공기가 배기 흡입구(21)를 통해 배기덕트(20)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의 배기통로(39)를 지나 배기 배출구(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급기팬(1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 흡입구(11)를 통해 급기덕트(10)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의 급기통로(37)를 지나 급기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전열교환기(30)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열교환판(35a)을 통해 열교환하게 된다. 이 과정을 상술하면, 상기 전열교환기(3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경우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분위기일 때 급기되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된 다음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에 있어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열교환은 상기 급기통로(37) 및 배기통로(39)를 지나는 공기와 열교환판(35a) 사이의 온도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며, 대부분은 대류에 의한 것이다. 즉,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는 각각 상기 급기통로(37) 및 배기통로(39)를 지나면서 상하의 열교환판(35a)에 대류에 의해 열을 전달하며, 이 열이 상기 열교환판을 통해 인접한 공기에 전달되는 것이다. 그런데, 대류에 의한 열전달 효율은 공기의 운동량에 비례하기 때문에, 결국 전열교환기(30)의 열교환 효율은 상기 급기통로(37) 및 배기통로(39) 구조에 크게 의존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열교환기의 급기통로(37) 및 배기통로(39)는 각각 주름판(35b)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양분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 이를 지나는 공기의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는 아니었다. 즉, 상기 급기통로(37) 및 배기통로(39)의 구조는 공기의 유동 측면에서는 유리할지 모르나 열교환 측면에서는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상기 급기통로나 배기통로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는 한 일정 수준 이상의 열교환 효율을 기대하기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지나는 공기 유동통로의 구조를 개선하 여, 이를 지나는 공기의 운동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면에 구비된 열교환판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주름진 주름판으로 구성되는 단위 열교환부가 상기 공기 유동통로가 인접한 단위 열교환부의 공기 유동통로와 교차하도록 적층되어, 실외공기의 급기통로와 실내공기의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은 공기 유동통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엠보싱부와,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상기 엠보싱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찰홈을 포함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는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각각 그 경로상에 형성된 마찰홈에 의해 활발한 운동을 하게 되며, 이것은 인접한 열교환판에 대한 대류 열전달을 원활하게 하여 결국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환기장치와 그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전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40)는 밀폐된 양측면의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적층되며 급기되는 실외공기 및 배기되는 실내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47,49)를 형성하는 다수의 단위 열교환부(45)와, 상기 단위 열교환부를 지지하기 위해 단위 열교환부의 네 측면 모서리에 안착되도록 V홈을 갖는 보강대(43)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보강대(43)는 단위 열교환부(45)를 지지함과 동시에 환기장치를 이루는 케이스와 격벽에 고정되어 전열교환기(4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단위 열교환부(45)는 양면에 구비된 열교환판(45a)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주름판(45b)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주름판(45b)은 일정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공기 유동통로(47,49)를 형성하며, 상기 열교환판(45a)은 임의의 주름판(45b)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주름판을 지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가 이웃한 주름판을 지나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와 전도에 의해 열교환하게 된다.
상기 단위 열교환부(45)는 주름판(45b)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통로가 서로 직교하도록 적층되며, 따라서 서로 이웃한 공기 유동통로 중 임의의 하나는 급기덕트와 연통되는 실외공기의 급기통로(47)가 되고, 다른 하나는 배기덕트와 연통되는 실내공기의 배기통로(49)가 된다. 일례로, 도면상 상하으로 종단하는 공기 유동통로는 실내공기의 배기통로(49)이며, 좌우로 횡단하는 공기 유동통로는 실외공기의 급기통로(47)이다.
이 때, 상기 급기통로(47)와 배기통로(49)는 이를 지나는 공기의 대류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각 공기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엠보싱부와 공기의 마찰운동을 활성화하는 다수의 마찰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전술한 급기통로와 배기통로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단위 열교환부 중 급기통로를 형성하는 단위 열교환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4b는 도 4a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단위 열교환부(45)는 실외공기의 급기통로를 형성하는 주름판(45b)과, 상기 주름판의 상하 양면에 구비되며 실외공기가 이웃한 배기통로(도시생략)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는 사각 형상의 열교환판(45a)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주름판(45b)은 급기통로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깊이를 가지며 실외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엠보싱부(45c)와,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상기 엠보싱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찰홈(45d)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엠보싱부(45c)는 실외공기의 유동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실외공기가 상하 양면의 열교환판(45a)을 통해 실내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실외공기의 유동을 상하로 구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엠보싱부(45c)는 단면 ∩자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홈(45d)은 실외공기가 지나는 급기통로의 표면에 미세한 굴곡을 형 성하여 실외공기의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마찰홈(45d)은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홈(45d)은 미세한 굴곡을 형성하기 위해 엠보싱부(45c)의 돌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아니면 상기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찰홈(45d)은 엠보싱부(45c)와 엠보싱부 사이에, 아니면 상기 엠보싱부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마찰홈(45d)이 엠보싱부가 형성되지 않는 주름판(45b) 부분에 상기 엠보싱부(45c)의 돌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마찰홈이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마찰홈(45d) 역시 엠보싱부(45c)와 마찬가지로 실외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마찰홈(45d)의 깊이는 공기의 운동량과 압력손실 측면에서 중요한 인자가 된다. 즉, 상기 마찰홈(45d)은 깊을수록 공기와의 마찰면적을 넓힐 수 있어 공기의 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반면에 상기 급기통로의 유로 단면적을 축소시켜 급기통로 전후방에서 압력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상기 마찰홈(45d)이 엠보싱부(45c)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마찰홈으로 인한 압력손실은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마찰홈의 깊이(h2)가 엠 보싱부의 깊이(h1)에 대해 대략 1/10 정도의 값을 갖는 것을 제시한다. 즉, 상기 마찰홈(45d)은 엠보싱부(45c)의 깊이에 대해 대략 10% 정도의 깊이를 가지면서 상기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또는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전술한 수치는 공기의 마찰 운동량과 압력손실 측면을 고려하여 여러차례 실험에 의해 도출된 최적의 값이다.
한편, 전열교환기의 급기통로와 배기통로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위 열교환부(45)의 구조는 급기통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배기통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충분히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열교환기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기팬 및 배기팬의 운전으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는 각각 소정의 경로를 통해 상기 전열교환기의 급기통로(47) 및 배기통로(49)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급기통로와 배기통로를 지나는 공기는 주름판(45b)의 표면에 형성된 마찰홈(45d)에 부딪히면서 그 운동에 탄력을 받게 된다. 즉, 공기가 상기 마찰홈(45d)에 마찰되면서 그 유동이 난류화 되어 운동량이 증가하며, 결국 인접한 열교환판(45a)으로의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판(45a)을 중심으로 그 상하에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전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한 열교환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열교환기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급기통로 또는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단위 열교환부의 주름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열교환부 의 주름판(55b)은 급기통로 또는 배기통로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깊이를 가지며 실외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엠보싱부(55c)와,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상기 엠보싱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찰홈(55d)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엠보싱부(55c)와 마찰홈(55d)의 형상과 기능은 전술한 도 4의 것과 동일하나, 상기 마찰홈(55d)이 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엠보싱부와는 달리 공기의 통과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 다른 점이다.
상기 마찰홈(55d)이 일정 경사각(α)을 가지고 경사진 이유는 이를 지나는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함이다. 즉, 상기 단위 열교환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엠보싱부(55c)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기 마련이며, 이 때 상기 마찰홈(55d)이 엠보싱부에 대해 일정 경사각(α)만큼 경사짐으로 인해 상기 마찰홈은 엠보싱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어느 정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마찰홈(55d)은 공기의 유동을 정체시키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유동에 탄력을 주어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찰홈(55d)을 지나는 공기는 운동량이 증가된 만큼 인접한 열교 환판(도시생략)에 열을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찰홈의 경사각(α)은 공기의 유동 측면과 열교환 효율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적정 범위의 값을 가져야 하며, 본 발명은 그 중에서도 상기 경사각이 30°인 것을 제시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는 급기통로 및 배기통로 상에 다수의 마찰홈을 형성함으로써,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각각 마찰홈에 의해 활발한 운동을 하게 되며, 이것은 인접한 열교환판에 대한 대류 열전달을 원활하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양면에 구비된 열교환판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주름진 주름판으로 구성되는 단위 열교환부가 상기 공기 유동통로가 인접한 단위 열교환부의 공기 유동통로와 교차하도록 적층되어, 실외공기의 급기통로와 실내공기의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은 공기 유동통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엠보싱부와,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상기 엠보싱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찰홈을 포함하며,
    상기 마찰홈의 길이방향은 공기 유동이 상기 엠보싱부의 길이방향과 경사져서 흐르도록 상기 엠보싱부의 길이방향과 소정각도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홈은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홈은 엠보싱부의 돌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6. 양면에 구비된 열교환판과 상기 열교환판 사이에 구비되며 공기의 일방향 유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주름진 주름판으로 구성되는 단위 열교환부가 상기 공기 유동통로가 인접한 단위 열교환부의 공기 유동통로와 교차하도록 적층되어, 실외공기의 급기통로와 실내공기의 배기통로를 형성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주름판은 공기 유동통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공기의 통과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엠보싱부와, 공기의 마찰에 의한 대류효과를 증진시키도록 상기 엠보싱부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마찰홈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홈의 깊이는 엠보싱부의 깊이의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KR1020010062625A 2001-10-11 2001-10-11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KR100833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625A KR100833845B1 (ko) 2001-10-11 2001-10-11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625A KR100833845B1 (ko) 2001-10-11 2001-10-11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474A KR20030030474A (ko) 2003-04-18
KR100833845B1 true KR100833845B1 (ko) 2008-06-02

Family

ID=2956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625A KR100833845B1 (ko) 2001-10-11 2001-10-11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054B1 (ko) * 2016-06-05 2018-08-29 (주)제이하우스 전열교환닥트의 구조와 제작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062U (ko) * 1977-12-19 1979-07-05
JPS5634096A (en) * 1979-08-27 1981-04-06 Toshimi Kuma Heat exchanging element
JPH04208395A (ja) * 1990-11-30 1992-07-30 Daikin Ind Ltd 熱交換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5062U (ko) * 1977-12-19 1979-07-05
JPS5634096A (en) * 1979-08-27 1981-04-06 Toshimi Kuma Heat exchanging element
JPH04208395A (ja) * 1990-11-30 1992-07-30 Daikin Ind Ltd 熱交換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474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078B1 (ko) 콤팩트형 환기시스템
KR102011247B1 (ko)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KR100519310B1 (ko) 급배기 직결형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KR100519306B1 (ko) 환기일체형 공조시스템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100684257B1 (ko) 고효율 전열교환 환기장치
KR100845837B1 (ko) 환기장치
KR100833845B1 (ko)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KR100762511B1 (ko) 핀 피치가 다른 열교환부를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236445B1 (ko) 저소음 고효율형 전열교환기
KR100740404B1 (ko)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KR102079214B1 (ko) 소음 개선용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789810B1 (ko) 환기장치
KR20060037585A (ko) 환기장치
KR20030063858A (ko)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KR20060121053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설치방법
WO2022230757A1 (ja) パーティション
KR102105008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070100434A (ko) 공조 시스템
KR100601219B1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0850943B1 (ko) 환기장치의 전열교환기 지지구조
KR20030063868A (ko) 환기장치
KR102225624B1 (ko) 대형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1147743B1 (ko) 콤팩트형 환기시스템
KR102417603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