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731B1 -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731B1
KR100833731B1 KR1020060102178A KR20060102178A KR100833731B1 KR 100833731 B1 KR100833731 B1 KR 100833731B1 KR 1020060102178 A KR1020060102178 A KR 1020060102178A KR 20060102178 A KR20060102178 A KR 20060102178A KR 100833731 B1 KR100833731 B1 KR 10083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handover
strengt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753A (ko
Inventor
정석종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731B1/ko
Priority to US11/907,484 priority patent/US7940725B2/en
Priority to EP07020158A priority patent/EP1915011B1/en
Publication of KR2008003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04W36/3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by proximity to another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이동국이 인접 셀로 이동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은, 제1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 및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시간적으로 연속된 복수 개의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동 통신, 이동국, 기지국, 핸드 오버, 셀

Description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 방법{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A MOBILE STATION BY EXPECTING ITS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핸드 오버 조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핸드 오버 조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핸드 오버 조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파워 갭 버퍼의 일 구현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통신 환경 110-116: 기지국
120-126: 셀 130: 이동국
300, 400, 500: 서빙 기지국의 CINR
302, 402, 502: 인접 기지국의 CINR
304, 404, 406, 408, 504, 506: CINR 평균 기간
900: 파워 갭 버퍼
본 발명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이동국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국이 인접 셀로 이동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브로(Wibro)와 같은 이동 통신 환경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이동국과, 각 셀에서 이동국과의 무선 접속을 담당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 환경에서, 이동국이 통신 중 여러 셀들을 옮겨 다니더라도, 기지국과의 접속이 끊어지지 않고 통신의 연속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이 통신하면서 여러 셀들을 옮겨 다니더라도 통신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핸드 오버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환경(100)을 도시한다. 전체 지역은 각각 별개의 기지국(110-116)에 의하여 서빙되는 복수 개의 셀들(120-126)로 이 루어지며, 이동국(130)은 현재 자신이 위치하는 셀(120)을 서빙하는 서빙 기지국(110)과 링크 연결되어 통신한다. 이동국(100)이 현재의 셀(120)로부터 인접 셀(121)로 이동할 때, 이동국(100)은 인접 기지국(111)의 ID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위로 송부함으로써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인접 기지국(111)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
이동국(100)은 서빙 기지국(110)과 연결되어 통신하고 있는 동안, 현재의 서빙 기지국(110)의 하향 링크 채널과 관련된 파일럿 신호의 강도뿐만 아니라 인접 기지국들(111-116)의 하향 링크 채널과 관련된 파일럿 신호의 강도도 계속하여 탐색 및 측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100)이 현재의 서빙 기지국(110)의 셀(120)과 인접 기지국(111)의 셀(121)간의 경계 지역을 로밍할 때, 현재의 서빙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비해 인접 기지국(111)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가 특정 레벨(히스테리시스 마진) 이상으로 커질 경우, 이동국(100)은 인접 기지국(111)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 것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국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와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모니터링하여 핸드 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종래의 처리 방법의 흐름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하여 수행된다.
1) 이동국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파워 값을 측정한다(S202).
2) 측정된 신호의 파워 값이 임계치(TH)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04). 임계치(TH)는, 핸드 오버 과정을 준비하기 시작하는 기준이 되는 파워 값으로서,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측정된 신호의 파워 값이 임계치(TH) 이하라고 판정되면, 단계(S20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면, 시작 단계(S200)로 되돌아간다.
3) 현재 서빙 기지국의 하향 링크 채널과 관련된 신호의 강도와 인접 기지국의 하향 링크 채널과 관련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S206).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는, CINR(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값을 소정의 CINR 평균 기간, 예를 들어 100ms 동안 시간 평균함(time-averaging)으로써 구해지며, 데시벨(dB) 단위로 표시된다.
4) 인접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을 감산한 값이 히스테리시스 마진(HM)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S208). 히스테리시스 마진(HM)은, 핸드 오버로의 천이의 기준이 되는 기지국간의 신호 강도의 차이로서, 시스템 구조, 종류, 환경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인접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을 감산한 값이 히스테리시스 마진(HM)보다 크다고 판정되면, 단계(S210)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면, 시작 단계(S200)로 되돌아간다.
5) 인접 기지국의 ID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위로 송부함으로써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S210).
이상의 단계를 소정 주기, 예를 들어 125ms마다 반복하여(S200), 핸드 오버 조건이 발생하는지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도 3은 단말기의 이동에 따른 핸드 오버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에서 단말기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CINR 값(300)은 감소하고, 인접 기지국으로부터의 CINR 값(302)은 증가한다.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CINR 평균 기간(304) 동안 측정된 인접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이 서빙 기지국의 평균 CINR 값보다 히스테리시스 마진(HM) 이상으로 크므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가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이동국의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 특히 이동국이 현재의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과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간의 경계 지역에서 들락 날락하는 상황 또는 이동국이 인접 셀로 잠깐 진입하였다가 다시 빠져 나오는 경우 등에 있어서 지나치게 잦은 핸드 오버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4 및 도 5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보여준다. 도 4는, 이동국이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곧바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과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간의 경계 지역에서 들락 날락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장 마지막의 시점(408)에서 한 번의 핸드 오버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시점(404)에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조건이 발생하고, 다시 시점(406)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조건이 발생하고, 다시 시점(408)에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조 건이 발생하므로, 총 3회의 핸드 오버 처리가 수행된다.
도 5는, 이동국은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에서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으로 잠깐 진입하였다가 다시 빠져 나오는 상황을 도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핸드 오버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시점(504)에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조건이 발생하고, 다시 시점(506)에서 인접 기지국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 조건이 발생하므로, 총 2회의 핸드 오버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잦은 핸드 오버 처리로 인하여, 네트워크의 신호 교환 시 복잡도가 증가하고, 네트워크 부하가 증가하며, 핸드 오버 핑퐁 현상 및 이로 인한 패킷 스루풋 저하 및 연결 끊김 현상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국이 인접 셀로 이동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 및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하 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시간적으로 연속된 복수 개의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판정 결과 중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가 소정의 개수 이상 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판정 결과 중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가 소정의 비율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판정 결과 중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가 소정의 개수 이상 연속적으로 존재하거나 소정의 비율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로부터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를 감산한 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가 양수이고 그 절대값이 소정의 수치보다 크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한다고 판정하고, 상기 차가 음수이고 그 절대값이 상기 소정의 수치보다 크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고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회의 판정 결과만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회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의하였을 때 이동국의 인접 기지국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높을 때에만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따라서, 잦은 핸드 오버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에 의하여 수행된다.
1) 처음 시작 단계(S600)에서, 이동국은 서빙 기지국과 연결되어 있는 정상 상태(normal state)에 있다. 본 방법이 시작되면, 이동국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파워 값을 측정한다(S602).
2) 측정된 신호의 파워 값이 임계치(TH)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604). 임계치(TH)는, 핸드 오버 과정을 준비하기 시작하는 기준이 되는 파워 값으로서,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측정된 신호의 파워 값이 임계치(TH) 이하라고 판정되면, 단계(S60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면, 시작 단계(S600)로 되돌아간다.
3) 현재 서빙 기지국의 하향 링크 채널과 관련된 신호의 강도와 인접 기지국의 하향 링크 채널과 관련된 신호의 강도를 측정한다(S606).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는, CINR 값을 소정의 CINR 평균 기간, 예를 들어 100ms 동안 시간 평균함으로써 구해지며, 데시벨(dB) 단위로 표시된다.
4) 서빙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으로부터 인접 기지국의 평균 CINR 값을 감산한 차(D)를 산출한다(S608).
5) 산출된 차(D)의 절대값이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마진(HM)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610). 히스테리시스 마진(HM)은 시스템 구조, 종류, 환경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산출된 차(D)의 절대값이 소정의 히스테리시스 마진(HM) 이하라고 판정되면, 시작 단계(S600)로 되돌아간다. 그렇지 않다고 판정되면, 단계(S612)로 진행한다.
6) 산출된 차(D)가 양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612). 산출된 차(D)가 양수라는 것은, 이동국이 현재의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단계(S614)로 진행한다. 반면, 산출된 차(D)가 양수가 아니라는 것은, 이동국이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단계(S616)로 진행한다.
7) 단계(S614)에서는, 파워 갭 버퍼에 '0'을 기록하고, 단계(S616)에서는, 파워 갭 버퍼에 '1'을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0'은 이동국이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를, '1'은 이동국이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를 나타낸다. 파워 갭 버퍼는, 단계(S612)에서의 판정 결과를 기록하기 위한 장소로서, 도 9는, 파워 갭 버퍼의 일 구현 형태를 도시한다. 파워 갭 버퍼(900)는, 복수 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회의 판정 결과를 1개의 비트에 기록한다. 시간적으로 연속된 복수 회의 판정 결과가 연 속된 복수 개의 비트에 화살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기록되며, 버퍼가 가득 찰 경우, 가장 최신의 판정 결과가 가장 오래된 판정 결과에 오버라이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8) 파워 갭 버퍼에 기록된 연속적인 "1"의 개수가 카운터 값(C)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618). 카운트 값(C)은 시스템 구조, 종류, 환경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연속적인 "1"의 개수가 카운터 값(C) 이상이라는 것은, 이동국이 C회 연속으로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카운터 값(C)을 2로 설정한 실시예의 동작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의 점선 부분에 "1"이 2개 연속되어 있으므로, 연속적인 "1"의 개수가 카운터 값(C), 즉 2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한다. 이 경우, 핸드 오버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인식하는 동적 상태(active state)로 되며, 단계(S622)로 진행한다. 반면, 연속적인 "1"의 개수가 카운터 값(C) 미만인 경우, 핸드 오버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므로, 현재 서빙 기지국과의 연결을 유지하는 유지 상태(holding state)로 되며, 시작 단계(S600)로 되돌아간다.
9) 파워 갭 버퍼에 기록된 판정 결과들을 클리어한다(S622).
10) 인접 기지국의 ID를 포함하는 핸드 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위로 송부함으로써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한다(S624).
이상의 단계를 소정 주기, 예를 들어 125ms마다 반복하여(S600), 핸드 오버 조건이 발생하는지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이상의 방법에 의하면, 일 회의 판정 결과에만 기초하여 핸드 오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회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의하였을 때 이동국의 인접 기지국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높을 때에만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이동국의 셀간 경계 지역에서의 순간적인 출입이 잦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잦은 핸드 오버 처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단계(S700-S716, S722-S724)는, 제1 실시예의 단계(S600-S616, S622-S624)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파워 갭 버퍼에 "1"이 소정 비율(R) 이상 존재한다는 것을 핸드 오버 조건(S718)으로 한다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핸드 오버 조건(S618)과 차이가 있다. 소정 비율(R)은 시스템 구조, 종류, 환경 등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어, 소정 비율(R)을 60%로 설정한 실시예의 동작을 도 9를 참조하여설명한다. 도 9에서, 파워 갭 버퍼에 기록된 10개의 판정 결과 중, "1"이 6개이므로, "1"이 소정 비율(R), 즉 60% 이상 존재한다는 조건을 만족한다. 이 경우, 핸드 오버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인식하는 동적 상태(active state)로 되며, 단계(S722)로 진행한다. 이하의 동작은 제1 실시예와 같다.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 회의 판정 결과에만 기초하여 핸드 오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회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의하였을 때 이동국의 인접 기지국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높을 때에만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따라서, 잦은 핸드 오버 처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단계(S800-S816, S822-S824)는, 제1 실시예의 단계(S600-S616, S622-S624)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는, 파워 갭 버퍼에 연속적인 "1"의 개수가 카운터 값(C) 이상이거나 "1"이 소정 비율(R) 이상 존재한다는 것을 핸드 오버 조건(S818, S820)으로 한다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핸드 오버 조건(S618) 및 제2 실시예의 핸드 오버 조건(S718)과 차이가 있다.
제3 실시예도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 회의 판정 결과에만 기초하여 핸드 오버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회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의하였을 때 이동국의 인접 기지국으로의 이동 가능성이 높을 때에만 핸드 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한다. 따라서, 잦은 핸드 오버 처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강도를, 평균 CINR에 의하여 구하였지만, CINR이 아닌 다른 필드의 값, 예를 들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필드의 값에 의하여 구할 수도 있으며, 시간 평균값이 아닌 순간 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다. 또한, 핸드 오버 조건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조건과 다르게 하거나, 서로 다른 몇 가지 조건을 조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국이 인접 셀로 이동할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결과에 따라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국의 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 특히 이동국이 현재의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과 인접 기지국의 셀 영역간의 경계 지역에서 들락 날락하는 상황 또는 이동국이 인접 셀로 잠깐 진입하였다가 다시 빠져 나오는 경우 등에 있어서 잦은 핸드 오버가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잦은 핸드 오버 처리로 인한 네트워크의 신호 교환 시 복잡도의 증가, 네트워크 부하의 증가, 핸드 오버 핑퐁 현상 및 이로 인한 패킷 스루풋 저하 및 연결 끊김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이동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 및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시간적으로 연속된 복수 개의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판정 결과 중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가 소정의 개수 이상 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3. 이동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 및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시간적으로 연속된 복수 개의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판정 결과 중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가 소정의 비율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4. 이동 통신 환경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지역을 서비스하는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 및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시간적으로 연속된 복수 개의 상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 개의 판정 결과 중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는 판정 결과가 소정의 개수 이상 연속적으로 존재하거나 소정의 비율 이상 존재할 경우 상기 제1 기지국에서 상기 제2 기지국으로의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5.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제1 신호의 강도로부터 상기 측정된 제2 신호의 강도를 감산한 차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차가 양수이고 그 절대값이 소정의 수치보다 크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지역에 위치한다고 판정하고, 상기 차가 음수이고 그 절대값이 상기 소정의 수치보다 크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2 지역에 위치한다고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6.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 후에, 상기 판정 결과를 시간 순서에 따라 기억 장치에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기억 장치에 기록된 판정 결과를 모두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8.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신호의 강도는 CINR 값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9.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신호의 강도는 RSSI 값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10.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신호의 강도는 시간 평균값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11.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강도 및 제2 신호의 강도는 순간값인 이동국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
KR1020060102178A 2006-10-20 2006-10-20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KR10083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78A KR100833731B1 (ko) 2006-10-20 2006-10-20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US11/907,484 US7940725B2 (en) 2006-10-20 2007-10-12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ased on information of movement between cells
EP07020158A EP1915011B1 (en) 2006-10-20 2007-10-15 Mobile sta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ased on information of movement between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178A KR100833731B1 (ko) 2006-10-20 2006-10-20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753A KR20080035753A (ko) 2008-04-24
KR100833731B1 true KR100833731B1 (ko) 2008-05-29

Family

ID=3898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178A KR100833731B1 (ko) 2006-10-20 2006-10-20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40725B2 (ko)
EP (1) EP1915011B1 (ko)
KR (1) KR100833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5775B2 (en) * 2008-05-01 2012-10-23 Broadcom Corporation Determining a handoff metric
JP5343803B2 (ja) * 2009-10-01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移動端末
US9031599B2 (en) * 2009-12-08 2015-05-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US8515474B2 (en) * 2010-01-20 2013-08-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users on a wireless network
ES2897486T3 (es) * 2010-04-29 2022-03-01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 Inst Método de traspaso basado en agregación de portadoras
US8642380B2 (en) * 2010-07-02 2014-02-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US8725079B2 (en) * 2011-06-07 2014-05-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everity of interference in different areas of a cellular radio network and coordinat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features in response
US8995388B2 (en) 2012-01-19 2015-03-3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resource allocation
US9301331B2 (en) * 2013-09-13 2016-03-29 Intel IP Corporatio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207A (ko) * 1996-12-02 1998-09-0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빈도수 조정방법
KR19990048321A (ko) * 1997-12-09 1999-07-05 윤종용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드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20010017860A (ko) * 1999-08-16 2001-03-05 이계철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KR20020078422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이들 핸드오프 수행 방법
KR20030056308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파라미터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2044D0 (en) 1990-05-30 1990-07-18 British Telecomm Cellular radio
US6496700B1 (en) * 1996-04-04 2002-12-17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for determining organiza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285883B1 (en) 1997-12-24 2001-09-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aptive handoff hysteresi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s
GB2338624A (en) 1998-06-17 1999-12-22 Motorola Inc Handover determ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GB2343330A (en) * 1998-10-29 2000-05-03 Fujitsu Ltd Soft handoff method using a backup link
WO2002030135A2 (en) 2000-10-03 2002-04-11 Ericsson, Inc. Adaptive cellular communication handoff hysteresis
US6999790B2 (en) * 2001-09-20 2006-02-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terminal, controlled apparatus controlled by portable terminal, and cooperation system
JP2003116162A (ja) 2001-10-05 2003-04-18 Toshiba Corp 移動通信端末装置及びシステム選択方法
KR100744315B1 (ko) * 2004-05-31 2007-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랜에서의 빠른 핸드오프를 위한 접속노드 탐색 방법
US7594151B2 (en) * 2004-06-18 2009-09-22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power control in an orthogonal system
US7489929B2 (en) * 2005-03-31 2009-02-10 Alcatel-Lucent Usa Inc. Hard handoff procedure for dedicated and high speed shared channels
US7647050B2 (en) * 2005-12-28 2010-01-12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adjusting a power level of communications over a channel in a wirelss 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207A (ko) * 1996-12-02 1998-09-05 김영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빈도수 조정방법
KR19990048321A (ko) * 1997-12-09 1999-07-05 윤종용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드 핸드오프 처리 방법
KR20010017860A (ko) * 1999-08-16 2001-03-05 이계철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KR20020078422A (ko) * 2001-04-09 2002-10-1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이들 핸드오프 수행 방법
KR20030056308A (ko) * 2001-12-28 2003-07-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파라미터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5011A1 (en) 2008-04-23
US20080096568A1 (en) 2008-04-24
EP1915011B1 (en) 2011-09-07
KR20080035753A (ko) 2008-04-24
US7940725B2 (en) 201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731B1 (ko) 이동국의 이동 가능성의 예측에 기초한 핸드 오버 수행방법
US6389285B1 (en) Handover determ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0444687C (zh) 移动通信系统中切换目标小区选择方法
US675146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for supporting efficiently hierarchical cell structures
EP114558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threshold adjustment for handoff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US5907808A (en) Handover with fast moving mobile station detection between a microcell and a macrocell
KR1007616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셀 재선택 결정방법 및 장치
JP4433123B2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
US5884176A (en) Fast handover by preassigning neighboring candidate cells
CN111713139B (zh) 一种测量方法及装置
CA2143539A1 (en) Method for determining handover candidate in a multicellular environment
US5542098A (en) Method of handover in a cellular system
Benvenuto et al. A least squares path-loss estimation approach to handover algorithms
KR100818637B1 (ko) 위성 통신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에서의 핸드 오버를 위한방법 및 장치
KR101403308B1 (ko) 단말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네트워크 요소, 기지국, 및 통신 시스템
WO1998036604A2 (en) Method of selecting a voice channel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934450B2 (en) Mobile station with a semi-active mode
JPH0677888A (ja) セル方式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700144B1 (ko) 계층적 셀 구조에서 배터리 전력에 따른 셀 재선택 기능을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EP0685974A1 (en) Dual stage approach for evaluating a received signal in a communications system
KR100266863B1 (ko) 씨디엠에이-에이엠피에스 및 씨디엠에이-씨디엠에이 하드 핸드오프 방법
JPH10248090A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フェージングを応用した速度検出方式
KR1005247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KR20000003011A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공통 주파수를 이용한 하드 핸드오프 방법
US20060009206A1 (en) Method of adding a sector to an activ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