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677B1 -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677B1
KR100833677B1 KR1020070109028A KR20070109028A KR100833677B1 KR 100833677 B1 KR100833677 B1 KR 100833677B1 KR 1020070109028 A KR1020070109028 A KR 1020070109028A KR 20070109028 A KR20070109028 A KR 20070109028A KR 100833677 B1 KR100833677 B1 KR 10083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current
lightning current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동
유세걸
Original Assignee
서울전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전력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전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육중인 나무의 조직에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조직 속에 기생하고 있는 병해충의 방제를 위한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낙뢰로 인해 발생한 낙뢰 전류를 유도하는 도체를 구비한 도체부와; 상기 도체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도체로 흐르는 낙뢰 전류를 유기하여 흡수하는 낙뢰전류 흡수부와; 상기 낙뢰전류 흡수부에 의해 흡수된 낙뢰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낙뢰 전류를 충전용으로 제공하는 낙뢰전류 검출부와;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에 의해 제공되는 낙뢰 전류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에 의해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제어하고, 일정 주기로 병해충 방제를 위한 고압이 발생하도록 펄스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펄스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압을 고압 전단계의 고주파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고주파 발진부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에서 승압된 고주파 전압으로 고압을 생성하여 병해충 방제 대상 나무에 인가하는 고압 발생기를 포함하여,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를 구현한다.
Figure R1020070109028
낙뢰, 낙뢰전류, 병해충 방제, 충전, 고압

Description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Prevent disease apparatus for damages by blight and harmful insects using thunderbolt}
본 발명은 전류(특히, 낙뢰 전류)를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충해는 병해와 충해로 나누어지는데, 병해는 곡물·채소·과수·꽃·임목 등 농작물을 포함한 모든 유용식물이 병균에 의하여 고사·부패되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충해는 벌레에 의해 식해(食害), 흡수해(吸收害) 등을 입는 것을 말한다. 식물에 피해를 주는 벌레를 해충이라고 한다.
병해는 식물에 기생하는 병원(病原)에 의해 발생하는데, 전파가 빠르고 해를 입는 범위가 넓다. 병해의 피해 정도는 병원균의 종류, 작물의 종류·품종, 병해의 발생시기, 기상조건에 따라 크게 다르다. 병원에는 곰팡이, 세균, 미코플라스마(mycoplasma), 바이러스, 비로이드(viroid) 등이 있다. 해충에는 곤충 이외에 진드기·선충류가 포함되기도 하며, 해충의 종류에 따라 충해를 입히는 방
법이 다르다.
명나방류(Bamboo pyralids)의 유충, 바구미 등은 식물을 씹거나 갉아먹어 해를 입히는데 싹·잎·꽃·열매·씨 등을 바깥쪽에서 먹는 것과 줄기 속으로 들어가 먹는 것이 있다. 말매미충, 진딧물, 노린재 등은 흡수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식물에 침 모양의 흡수구를 찔러넣고 조직 안에 있는 즙을 빨아먹는다. 파리·진드기·털날개류 등은 식물의 조직을 잘게 씹어 이때 배어나오는 즙을 핥아먹음으로써 잎과 열매에 상처를 낸다. 하늘소는 산란에 의해 해를 입히는 해충으로 알을 낳을 때 나무 껍질을 잘게 씹어 해를 입히고, 나무껍질 밑이나 나뭇가지에 알을 낳는데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가 줄기 속을 파먹는다.
산림에는 각종 나무들이 식재되어 자연재해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거나 필요한 산림자원 및 맑은 공기와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산림에 식재된 각종 나무에는 시기에 따라 각종 병충에 의해 훼손되는데, 특히 우리나라에 가장 흔한 나무인 소나무에 기생하는 솔잎혹파리라는 병충으로 인한 훼손이 가장 심각하다. 이와 같은 솔잎혹파리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고, 발생시기는 산림이 가장 울창한 5∼7월에 발생하게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제시기는 약 1개월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솔잎혹파리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2∼3명이 1개 조로 편성되어 방제액을 주입할 수 있는 수간주사기와 소나무에 구멍을 천공하기 위한 천공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한 사람이 소나무에 구멍을 천공하게 되면, 그 뒤를 따라 일정량의 방제액이 투입된 수간주사기를 이용하여 천공된 구멍에 방제액을 주입하는 것이다.
다른 병해충으로는 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소나무 재선충이 있는데 소나무 재선충은 선충으로 암수 1마리가 20일이면 20만 마리로 늘어나 나무의 물을 빨아올리지 못하게 막아 나무를 고사시키고 크기가 1mm이하로 눈에 보이지 않고, 솔수염하늘소에 의해 다른 나무로 전염되면 100%가 말라죽을 정도로 치명적인 병이다.
그러나 솔잎혹파리는 산림이 가장 울창한 시기에 발생하게 되므로 구멍을 천공하는 사람과 수간주사기를 이용하여 방제액을 주입하는 사람이 서로 식별이 어렵게 되어 방제액이 주입된 구멍에 다시 방제액을 주입하게 되거나 또는 구멍에 방제액이 주입되지 않은 채 지나쳐버리게 되므로 방제 효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방제액을 수간주사기에 투입시 인체 상에 묻게 되면 인체에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 방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우리나라 전 국토의 약 65% 정도가 산림이고, 그 중 대부분이 주로 소나무인 것을 감안하면, 인력에 의해 전 국토의 65%의 대부분인 소나무를 전부 방제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인력이 필요함은 물론 인력 동원에도 수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소나무 재선충의 방제방법으로는 항공기를 이용하는 항공방제를 통상적으로 이용하나 상기 항공방제 대상 지역은 음식물이나 빨래 등에 약물이 떨어져 양어·양봉·목축 등 농가와 차량 등에 피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병해충에 의한 방제 방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류(특히, 낙뢰 전류)를 이용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생육중인 나무의 조직에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조직 속에 기생하고 있는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나무에 전기적인 충격을 인가하여 애벌레나 해충의 정상적인 성장을 억제하여 성장 밀도를 낮춤은 물론 나아가 완전 방제를 하도록 한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는,
낙뢰로 인해 발생한 낙뢰 전류를 유도하는 도체를 구비한 도체부와;
상기 도체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도체로 흐르는 낙뢰 전류를 유기하여 흡수하는 낙뢰전류 흡수부와;
상기 낙뢰전류 흡수부에 의해 흡수된 낙뢰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낙뢰 전류를 충전용으로 제공하는 낙뢰전류 검출부와;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에 의해 제공되는 낙뢰 전류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에 의해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제어하고, 일정 주기로 병해충 방제를 위한 고압이 발생하도록 펄스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펄스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압을 고압 전단계의 고주파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고주파 발진부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에서 상승된 고주파 전압으로 고압을 생성하여 병해충 방제 대상 나무에 인가하는 고압 발생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는,
상기 고압 발생기에서 발생한 전류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출력 전류 검출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낙뢰전류 흡수부는,
상기 도체에 흐르는 낙뢰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의 방향에 축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유도 기전력을 유기하는 복수의 낙뢰전류 흡수코일을 포함한다.
또한, 낙뢰전류 검출부는,
상기 낙뢰전류 흡수코일에 흡수된 유도 기전력을 충전한 후 충전전류로 공급하는 RC충전회로와;
상기 충전전류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프로그램 메모리나 램과 같은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 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제어 주기를 추출하여 그 주기에 대응하게 고압 발생을 제어하며, 출력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 레벨에 따라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 제어시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을 단속하거나 펄스의 폭과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육중인 나무의 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면서도 조직 속에 기생하고 있는 병해충의 정상적인 성장을 억제하여 성장 밀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나아가 완전 방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낙뢰를 전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산(특히, 높은 산)까지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전원 공급을 위한 비용이나 노력 및 기타 설치에 따르는 제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체부(110), 낙뢰전류 흡수부(120), 낙뢰전류 검출부(130), 충전부(140), 제어부(150), 고주파 발진부(160), 고압 발생기(170), 출력전류 검출기(180)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91 ~ 190+N은 병해충 방제대상인 나무를 나타낸다.
도체부(110)는 낙뢰로 인해 발생한 낙뢰 전류를 유도하는 것으로서, 낙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도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뢰전류 흡수부(120)는 상기 도체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도체로 흐르는 낙뢰 전류를 유기하여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체에 흐르는 낙뢰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의 방향에 축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유도 기전력을 유기하는 복수의 낙뢰전류 흡수코일을 구비한다.
낙뢰전류 검출부(130)는 상기 낙뢰전류 흡수부(120)에 의해 흡수된 낙뢰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낙뢰 전류를 충전용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낙뢰전류 검출부(130)는 상기 낙뢰전류 흡수코일에 흡수된 유도 기전력을 충전한 후 충전전류로 공급하는 RC충전회로와, 상기 충전전류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140)는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낙뢰 전류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가능하면 장시간 나무(191 ~ 190+N)에 고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50)는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130)에 의해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충전부(140)의 충전을 제어하고, 일정 주기로 병해충 방제를 위한 고압이 발생하도록 펄스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프로그램 메모리나 램과 같은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제어 주기를 추출하여 그 주기에 대응하게 고압 발생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출력전류 검출기(180)에 의해 검출된 전류 레벨에 따라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 제어시에는 고압의 출력을 단속하거나 펄스의 폭과 주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고압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고주파 발진부(160)는 상기 제어부(150)에서 발생하는 펄스에 따라 상기 충전부(140)에서 충전된 전압을 고압 전단계의 고주파 전압으로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직류 전압을 교류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압 발생기(170)는 상기 고주파 발진부(160)에서 출력된 고주파 전압으로 고압을 생성하여 병해충 방제 대상 나무(191 ~ 190+N)에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출력전류 검출기(180)는 상기 고압 발생기(170)에서 발생한 전류의 레벨을 검출하여 과전류일 경우 상기 고압 발생기(170)의 고압 발생을 단속하거나 출력 레벨 조정을 하도록 상기 제어부(150)에 검출 전류 값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는, 고압 발생기(170)에 접속된 고압 공급선을 병해충 방제 대상인 나무(191 ~ 190+N)의 가지에 연결하고, 상기 나무의 하단부에는 대지와 접지된 접지 라인을 연결한다.
아울러 도체부(110)의 도체는 낙뢰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곳에 여러 개 설치하고, 상기 도체부(110)와 일정 간격 떨어진 장소에 낙뢰전류 흡수부(120) 내의 낙 뢰전류 흡수코일을 설치한다. 여기서 낙뢰코일 흡수코일은 적어도 2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체에 흐르는 낙뢰 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의 방향에 코일 축이 향하도록 배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서 낮은 곳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가볍거나 또는 높은 곳의 공기가 너무 무거운 경우,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상승기류가 발생하는 데, 상승 기류에 의한 온도 하강으로 수증기가 수적(얼음 알갱이)이 되어 뇌우가 발생하며, 수적의 상승, 하강에 의한 마찰로 뇌우의 상층부에는 양전하가, 하층부에는 음전하가 대규모로 충전된다. 충전 전하가 지상으로 방전될 때 이를 낙뢰라고 한다.
주지한 바와 같은 낙뢰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곳에 도체를 설치한 상태에서, 낙뢰가 발생하여 도체로 낙뢰 전류가 흐르게 되면, 낙뢰전류 흡수부(120)내의 복수의 낙뢰전류 흡수코일로는 유도 기전력이 유기된다. 여기서 낙뢰전류 흡수코일로는 낙뢰 검출용으로 이미 널리 알려진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로고스키코일을 사용할 경우 장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비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소형의 낙뢰검출 흡수코일을 여러 개 사용하고, 낙뢰전류 검출부(130)에서 저항 및 콘덴서로 이루어진 RC충전회로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장비의 사이즈를 줄였다.
상기에서 유도 기전력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낙뢰전류 흡수코일을 도체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뢰전류 흡수부(120)에 의해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면, 낙뢰전류 검출 부(130)의 RC충전회로는 상기 유도 기전력을 충전하게 되고, 이를 충전부(140)에 제공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낙뢰전류 검출부(130)내의 낙뢰전류 검출기는 상기 충전부(140)에 충전되는 낙뢰전류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상기에서 RC충전회로나 낙뢰전류 검출기 등은 낙뢰에 의해 파생되는 고전압에서도 장비의 손상이 없도록 고용량의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장비의 선택은 실험 등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낙뢰가 검출되고, 그에 대응하여 낙뢰전류가 충전부(140)에 충전된 것으로 판단되면, 내부에 구비된 프로그램 메모리나 램과 같은 저장장치에 기 저장된 고압 발생 제어 주기를 추출한다. 여기서 고압 발생 제어 주기는 1회의 고압 발생으로 나무(191 ~ 190+N)에 존재하는 해충이나 나무의 병원균을 전부 제거하기 에는 무리이며, 이 경우에는 나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간헐적으로 고압을 발생하여 수십 회 이상 나무에 인가하기 위한 주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주기를 추출한 후 최초의 제어 타임에 고주파 발진부(160)에 펄스폭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고주파 발진부(160)는 이러한 펄스 폭 제어신호에 따라 충전부(14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고주파 전압으로 승압하여 고압 발생기(170)에 제공한다. 여기서 고주파 전압은 150V가 적당하다.
고압 발생기(170)는 제공되는 약 150V 정도의 고주파 전압을 내부에 구비된 트랜스의 권선비를 이용하여 약 20KV정도의 고압을 생성하게 되고, 그 생성한 고압 을 접속된 고압 출력전선을 이용하여 나무(191 ~ 190+N)에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고압을 나무에 인가하는 방법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생육중인 나무의 가지에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갖는 높은 전압을 순간적으로 임펄스 상태로 0.5초 이내의 시간에 인가하고, 이를 1일 수십 횟수로 간헐적으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나무에 기생중인 애벌레에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성장을 억제하고 전체 밀도를 저하시키게 되며, 병균을 소멸시키게 되는 것이다.
고압 발생기(170)에 의해 나무에 고압이 인가되면, 출력전류 검출기(180)는 상기 나무에 인가되는 고압 출력전류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부(150)에 제공한다. 이것은 장마철이나 과도한 습도 등으로 나무의 표피층에 과도한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출력전류 검출기(180)에서는 나무에 인가되는 고압 출력전류를 검출하게 되며, 제어부(150)는 그 검출되는 고압 출력전류의 레벨을 미리 저장된 기준 전류와 비교하여 대소 여부에 따라 고주파 발진부(160)를 제어한다. 이로써 고압출력장치와 수목을 동시에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주파 발진부(160)의 제어 방식은 펄스 폭 제어신호를 단속하거나 펄스의 폭과 주기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고압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나무에 인가되는 고압 출력전류가 설정전압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고압 출력전류가 설정전압이 될 수 있도록 발생하는 고압을 하향 조절하게 되며, 이와는 달리 고압 출력전류가 설정전압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고압 출력전류가 설정전압이 될 수 있도록 발생하는 고압을 상향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펄스의 폭 제어를 통해 발생하는 고압을 다르게 하는 제어 방식은 고압을 발생하는 당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제어 장치를 그대로 적용하여 고압 출력전류를 조절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자연 현상으로 발생한 전류를 충전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압을 생성하여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모든 산업 분야에 이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도체부
120… 낙뢰전류 흡수부
130… 낙뢰전류 검출부
140… 충전부
150… 제어부
160… 고주파 발진부
170… 고압 발생기
180… 출력전류 검출기
191 ~ 190+N… 나무

Claims (6)

  1.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낙뢰로 인해 발생한 낙뢰 전류를 유도하는 도체를 구비한 도체부와;
    상기 도체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도체로 흐르는 낙뢰 전류를 유기하여 흡수하는 낙뢰전류 흡수부와;
    상기 낙뢰전류 흡수부에 의해 흡수된 낙뢰 전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낙뢰 전류를 충전용으로 제공하는 낙뢰전류 검출부와;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에 의해 제공되는 낙뢰 전류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에 의해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기 충전부의 충전을 제어하고, 일정 주기로 병해충 방제를 위한 고압이 발생하도록 펄스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펄스에 따라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압을 교류 고주파 전압으로 승압시키는 고주파 발진부와;
    상기 고주파 발진부에서 승압된 고주파 전압으로 고압을 생성하여 병해충 방제 대상 나무에 인가하는 고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는,
    상기 고압 발생기에서 발생한 전류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출력 전류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전류 흡수부는,
    상기 도체에 흐르는 낙뢰전류에 의해 생기는 자속의 방향에 축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유도 기전력을 유기하는 복수의 낙뢰전류 흡수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전류 검출부는,
    상기 낙뢰전류 흡수코일에 흡수된 유도 기전력을 충전한 후 충전전류로 공급하는 RC충전회로와;
    상기 충전전류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로그램 메모리나 램과 같은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낙뢰전류가 검출되면 상 기 저장장치에 저장된 제어 주기를 추출하여 그 주기에 대응하게 고압 발생을 제어하며, 출력전류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전류 레벨에 따라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 제어시 발생하는 고압의 출력을 단속하거나 펄스의 폭과 주기를 제어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고압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KR1020070109028A 2007-10-29 2007-10-29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KR100833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028A KR100833677B1 (ko) 2007-10-29 2007-10-29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028A KR100833677B1 (ko) 2007-10-29 2007-10-29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3677B1 true KR100833677B1 (ko) 2008-05-29

Family

ID=3966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028A KR100833677B1 (ko) 2007-10-29 2007-10-29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24B1 (ko) 2008-11-27 2009-07-01 대한민국 식물기생 선충 검역 및 세척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52A (ja) 1996-07-11 1998-01-27 Eiritsu Denshi Sangyo Kk 害虫被害を受けた立木の枯れ抑制方法
JP2000050787A (ja) 1998-08-06 2000-02-22 Norio Akamatsu 植物保護装置
KR20000032512A (ko) * 1998-11-16 2000-06-15 박동규 전격살충장치 및 그 방법
JP2003070405A (ja) 2001-09-04 2003-03-11 Eiritsu Denshi Sangyo Kk 害虫による松枯れ予防法と松枯れ予防処理装置
KR20050016785A (ko) * 2003-08-02 2005-02-21 김민교 전류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방법 및 그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52A (ja) 1996-07-11 1998-01-27 Eiritsu Denshi Sangyo Kk 害虫被害を受けた立木の枯れ抑制方法
JP2000050787A (ja) 1998-08-06 2000-02-22 Norio Akamatsu 植物保護装置
KR20000032512A (ko) * 1998-11-16 2000-06-15 박동규 전격살충장치 및 그 방법
JP2003070405A (ja) 2001-09-04 2003-03-11 Eiritsu Denshi Sangyo Kk 害虫による松枯れ予防法と松枯れ予防処理装置
KR20040036930A (ko) * 2001-09-04 2004-05-03 에이리쓰 덴시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해충에 의한 소나무 고사 예방법과 소나무 고사예방처리장치
KR20050016785A (ko) * 2003-08-02 2005-02-21 김민교 전류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방법 및 그 방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224B1 (ko) 2008-11-27 2009-07-01 대한민국 식물기생 선충 검역 및 세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239B1 (en) Codling moth trap
Diprose et al. Electrical methods of killing plants
KR100847900B1 (ko) 이동식 병충해 방제 장치
JP2011505117A5 (ko)
CN107205357A (zh) 用于驱逐/控制有害生物入侵区域的装置及其用途
CN208047805U (zh) 一种农业病虫害诱杀器
CN105993733A (zh) 一种灭除农作物叶面害虫的高压物理电场电流装置
CN204157509U (zh) 一种单波长金龟子专用杀虫灯
US201601986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igh voltage treatment of soil and plant
KR20150046839A (ko) 과실수 보호 커버
KR100833677B1 (ko) 낙뢰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 장치
KR20140013479A (ko) 분무수와 충격 전압을 이용한 식물 병해충 퇴치장치
KR100504953B1 (ko) 전류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방법 및 그 방제장치
CN107853259A (zh) 一种基于LoRa技术的智能互联灭虫云平台
CN107787746A (zh) 软枣猕猴桃树避免虫害的方法
Alston et al. San Jose Scale (Quadraspidiotus perniciosus)
KR100695595B1 (ko) 소나무 고사예방 처리장치 및 소나무 고사예방 처리장치의 사용방법
KR200336251Y1 (ko) 전류를 이용한 병해충 방제장치
Conover Reducing raccoon and bird damage to small corn plots
Verghese Non-destructive control of the bat, Cynopterus sphinx Vahl (Chiroptera: Pteropodidae) in grapes (Vitis vinifera Linnaeus) in India
CN203072720U (zh) 一种基于高压静电的智能除虫系统
CN207978815U (zh) 一种跳甲防控装置
JP3343322B2 (ja) 害虫被害を受けた立木の枯れ抑制方法
CN105284760A (zh) 一种喷水通电流法防治农、林、园作物病虫害的装置及方法
CN208523372U (zh) 对树木坐果期实施保护和果实安全采收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