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960B1 -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960B1
KR100832960B1 KR1020060137511A KR20060137511A KR100832960B1 KR 100832960 B1 KR100832960 B1 KR 100832960B1 KR 1020060137511 A KR1020060137511 A KR 1020060137511A KR 20060137511 A KR20060137511 A KR 20060137511A KR 100832960 B1 KR100832960 B1 KR 10083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bearing steel
hours
slab
high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7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베어링강의 피로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볼용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 베어링강은 중량%로, C: 0.95~1.05%, Si: 0.15~0.35%, Mn: 0.25~0.45%, P: 0.01~0.025%, S: 0.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r: 1.35~1.60%, Ni: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u: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Al: 0.0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T.[O]: 0.001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주편을 강편 압연 전에 1190-1250℃의 온도에서 1~6시간 유지한 다음 강편 압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대탄화물이 제거되어 피로수명이 우수한 볼용 베어링강 선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베어링강, 균열확산처리, 고탄소, 크롬, 중심편석

Description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high carbon chromium bearing steel}
도 1은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연주주편 중심부에 생성된 거대탄화물의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도 2는 균열확산처리 후 잔존하고 있는 거대탄화물의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도 3은 균열확산처리 후 거대탄화물이 완전히 용해된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3220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48302호
본 발명은 볼용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 중심부의 거대탄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균열확산처리를 행함으로써 베어링강의 피로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볼용 베어링강의 연속주조시 주편 중심부에 발생하는 중심편석은 볼베어링강의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친다. 약 1중량%의 탄소와 1.4중량%의 크롬을 함유한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은 전로에서 제강 후 래들 내에서 강환원성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정련하여 비금속개재물의 양을 저감시키며, 진공탈가스(RH) 공정을 거쳐 산소 함량(T.[O])을 12ppm까지 낮춘 상태에서 정련하며, 이후 연속주조 후 블룸(Bloom) 상태의 주편 중심부에 존재하는 편석을 제거하기 위해 균열확산처리(Soaking)를 실시하고 자연공냉(Air Cooling)을 거쳐 빌레트로 압연된다.
이후 선재압연공정에서 소재를 연화시키기 위하여 극서냉 조업을 실시하여 베어링강 선재로 생산되며, 생산된 소재는 신선 및 구상화 열처리, 냉간압조와 연삭을 거쳐 베어링의 전동체인 볼로 가공하고, 이어서 소입(Quenching), 소려(Tempering) 공정 및 연마공정을 거쳐 최종 제품인 볼베어링으로 생산된다.
상기와 같이 연주공정을 통해 생산된 볼베어링강은 잉곳주조(Ingot Casting)된 강에 비해 소재 중심부에 편석 및 초석 세멘타이트, 즉 거대탄화물의 생성이 용이하여 피로시험 및 실제 사용 중에 이를 기점으로 하는 크랙(Crack)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 1은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연주주편 중심부에 생성된 거대탄화물의 미세조직을 나타낸다.
이러한 베어링강의 기계적 성질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치는 주편 중심부의 거 대 탄화물 생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연속주조시 용강의 과열도를 20℃ 이하로 조정하고 주조속도를 약 0.63m/min으로 조정하여 연주주편에 형성되는 등축정 비율을 높여 편석을 감소시키거나, 선재 제조시 강제 송풍 냉각구역에서 냉각속도를 조정하여 선재 중심부에 초석 세멘타이트가 형성되는 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펄라이트(Pearlite)의 층상간격도 작게 하여 소재 품질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32205호에서는 수직형 연주기에서 조업시 10- 100㎜의 경압하를 실시하여 베어링강에서의 편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248302호에서는 편석을 제어하기 위하여 응고부분에 롤(Roll)을 설치하고 경압하를 실시하는 기술이 제시되는 등 설비에 의해 편석 발생을 제어하려는 시도가 다수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베어링강 주편 중심부의 거대탄화물이 중심편석에 의해 생성되는 만큼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장시간 유지함으로써 확산을 통해 용해시키는 균열확산처리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적정 균열확산처리 온도와 시간을 설정하여 거대탄화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강편 압연 전에 균열확산처리 온도 및 시간을 적절히 제어하여 소재 중심부의 거대탄화물을 제거함 에 의해 베어링강의 피로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95~1.05%, Si: 0.15~0.35%, Mn: 0.25~0.45%, P: 0.01~0.025%, S: 0.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r: 1.35~1.60%, Ni: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u: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Al: 0.0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T.[O]: 0.001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주편을 강편 압연 전에 1190-1250℃의 온도에서 1~6시간 유지한 다음 강편 압연하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에서 소재 중심부의 거대탄화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던 중 강편 압연 전에 균열확산처리 온도 및 시간을 적절히 제어함에 의해 소재 중심부의 거대탄화물을 제어하여 베어링강의 피로수명이 개선된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을 제조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95~1.05%, Si: 0.15~0.35%, Mn: 0.25~0.45%, P: 0.01~0.025%, S: 0.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r: 1.35~1.60%, Ni: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u: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Al: 0.0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T.[O]: 0.001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주편을 대상강판으로 하여 강편 압연전에 균열확산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주편을 갖는 베어링강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주편을 1190~1250℃의 온도에서 1~6시간 유지하는 균열확산처리를 행한다.
연주주편에 존재하는 거대탄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블룸 형상의 볼베어링강 주편을 균열확산처리하는 공정에서 가열온도를 1190~1250℃로 하는데, 연주시 거대탄화물의 정출온도가 1150℃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가열온도가 1190℃ 보다 낮으면 중심부의 편석을 유발하는 합금원소의 확산이 늦어져 거대탄화물의 용해가 미흡할 수 있다. 반면, 1250℃를 초과하여 가열하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뿐만 아니라 탈탄으로 인한 핫스카핑 문제와 실수율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시간이 1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합금원소가 충분히 확산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거대탄화물의 용해가 불완전할 수 있는 반면 6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한 균열확산처리 시간은 1~2시간이다.
상기 균열확산처리 이후 강편 압연을 행한다.
상기 균열확산처리 이후 강편 압연을 행하여 강편을 얻고, 이어 1100~11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선재압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가열온도가 1150℃ 미만인 경우 고강도의 베어링강의 선재압연이 어려울 수 있고, 115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할 경우에는 강편 표면에 스케일이 다량 발생되어 압연 후에도 두꺼운 스케일이 존재, 제품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선재압연은 900℃ 이하의 마무리 압연온도 조건으로 행하는데, 이는 선재압연 중 입자 조대화와 선재냉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상기와 같이 선재압연한 다음 820~850℃에서 권취하는데, 이는 권취온도가 820℃ 미만의 경우 권취가 어렵고 또한 냉각제어가 어렵기 때문이며, 8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커져서 가공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상기의 온도로 권취한 후 4~8℃/sec의 냉각속도로 630~600℃까지 냉각하고, 이후의 냉각방법은 0.3~0.6℃/sec의 서냉속도로 마르텐사이트 발생을 방지한 후 공냉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조성을 갖는 열처리용 시편을 주조된 300㎜×400㎜의 블룸 형태의 주편 중심부에서 20㎜×20㎜×10㎜의 크기로 가공하였다. 가공 전에 마크로에칭을 실시하여 중심편석대를 확인한 후, 중심편석대 내부에서 20×30㎜의 열처리용 시편을 채취한 후 상기의 크기로 가공하였다.
본 발명에서 실시한 균열확산처리 조건으로는 가열온도를 1190℃, 1200℃, 1210℃, 1225℃, 1240℃, 1250℃로 변화시키며 각 온도에서 0.5시간(30분), 1시간, 1.5시간(90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각각의 가열온도와 유지시간에 따른 균열확산처리에 의해 연주주편 중심부의 거대탄화물이 완전용해되었는지의 여부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C Si Mn P S Cr Ni Cu Al T.[O]
0.97 0.21 0.34 0.012 0.003 1.40 0.01 0.012 0.032 0.0007
가열온도
1190℃ 1200℃ 1210℃ 1225℃ 1240℃ 1250℃
유지시간 0.5시간 × × × × × ×
1시간
1.5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 완전용해, ×: 잔존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거대탄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균열확산처리 조건은 1190~1250℃, 1~6 시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건으로 균열확산처리를 실시한 결과, 도 2는 주편으로부터 채취한 시편을 각각 가열온도 1200℃와 1240℃에서 0.5시간 동안 유지하였을 때 거대탄화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고 결정립계에 흰색의 상으로 잔존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도 3은 주편으로부터 채취한 시편을 각각 가열온도 1200℃와 1240℃에서 1시간 동안 균열확산처리한 결과 거대탄화물이 완전히 용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거대탄화물이 제거되어 피로수명이 우수한 볼용 베어링강 선재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량%로, C: 0.95~1.05%, Si: 0.15~0.35%, Mn: 0.25~0.45%, P: 0.01~0.025%, S: 0.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r: 1.35~1.60%, Ni: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u: 0.2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Al: 0.0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T.[O]: 0.001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주편을 강편 압연 전에 1190-1250℃의 온도에서 1~6시간 유지한 다음 강편 압연하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시간은 1~2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KR1020060137511A 2006-12-29 2006-12-29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KR10083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11A KR100832960B1 (ko) 2006-12-29 2006-12-29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11A KR100832960B1 (ko) 2006-12-29 2006-12-29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960B1 true KR100832960B1 (ko) 2008-05-27

Family

ID=3966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11A KR100832960B1 (ko) 2006-12-29 2006-12-29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9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034A (zh) * 2017-10-20 2018-03-02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轴承用高碳铬轴承钢及其制备方法
CN113333499A (zh) * 2021-06-08 2021-09-03 湖南三一中阳机械有限公司 一种钢管的成型方法和钢管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939A (ja) * 1993-04-07 1994-10-21 Kobe Steel Ltd 高温転動疲労性に優れた軸受部品
JP2001294972A (ja) 2000-04-18 2001-10-26 Sumitomo Metal Ind Ltd 軸受用鋼材
JP2002275584A (ja) 2001-03-16 2002-09-25 Sumitomo Metal Ind Ltd 被削性に優れた軸受要素部品用鋼材
JP2003013179A (ja) 2001-06-26 2003-01-15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軸受要素部品用丸鋼材
KR20050021547A (ko) * 2002-07-23 2005-03-0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알루미나 클러스터가 적은 강재
KR20060072074A (ko) * 2004-12-22 2006-06-2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신선 가공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939A (ja) * 1993-04-07 1994-10-21 Kobe Steel Ltd 高温転動疲労性に優れた軸受部品
JP2001294972A (ja) 2000-04-18 2001-10-26 Sumitomo Metal Ind Ltd 軸受用鋼材
JP2002275584A (ja) 2001-03-16 2002-09-25 Sumitomo Metal Ind Ltd 被削性に優れた軸受要素部品用鋼材
JP2003013179A (ja) 2001-06-26 2003-01-15 Sumitomo Metal Ind Ltd 熱間加工性に優れた軸受要素部品用丸鋼材
KR20050021547A (ko) * 2002-07-23 2005-03-07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알루미나 클러스터가 적은 강재
KR20060072074A (ko) * 2004-12-22 2006-06-27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신선 가공성이 우수한 고탄소강 선재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47034A (zh) * 2017-10-20 2018-03-02 江阴兴澄特种钢铁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轴承用高碳铬轴承钢及其制备方法
CN113333499A (zh) * 2021-06-08 2021-09-03 湖南三一中阳机械有限公司 一种钢管的成型方法和钢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800B1 (ko) 고탄소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423826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5531109B2 (ja) 双ロール式薄板鋳造工程により製造さ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394639B (zh) 一种高耐磨齿轮钢的制造方法
KR101239589B1 (ko) 고내식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JP2004315890A (ja) 転動疲労寿命の優れた鋼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8256B1 (ko) Mn-오스테나이트가 주조직인 강대 또는 강판 제조 방법
KR20120013710A (ko)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832960B1 (ko)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KR101304744B1 (ko) 고강도 pc강연선용 선재, pc강연선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68513A (ko) 스케일 박리성이 우수한 열처리 생략형 타이어코드 선재 및그 제조방법
KR101322972B1 (ko) 고탄소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419046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KR101696095B1 (ko) 신선성이 우수한 열처리재의 제조방법
KR20110010195A (ko)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의 균열확산처리 방법
KR100946068B1 (ko) 고강도 과공석강 및 이를 이용한 과공석강 선재의 제조방법
KR100435483B1 (ko) 표면결함이 없고 표면탈탄이 우수한 철도레일크립용선재의 제조방법
KR20120058258A (ko)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 주편의 거대탄화물 제거방법
KR101359125B1 (ko) 피로수명이 향상된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용 선재의 제조방법, 상기 선재를 이용한 베어링강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탄소 크롬 베어링강
KR100353631B1 (ko) 중심 편석이 우수한 베어링강 주편의 열처리방법
KR100775252B1 (ko) Cu함유 고강도 콘크리트 보강용 선재의 제조방법
KR20240056258A (ko) 1차 탄화물 품질이 우수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804681B1 (ko) 원심주조법을 이용한 연주 가이드롤 및 그 제조방법
KR100940723B1 (ko) 고탄소 베어링의 제조방법
KR101758476B1 (ko) 쌍롤식 박판 주조기를 이용한 고Cu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Cu 스테인리스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