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921B1 -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921B1
KR100832921B1 KR1020060118228A KR20060118228A KR100832921B1 KR 100832921 B1 KR100832921 B1 KR 100832921B1 KR 1020060118228 A KR1020060118228 A KR 1020060118228A KR 20060118228 A KR20060118228 A KR 20060118228A KR 100832921 B1 KR100832921 B1 KR 10083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distance
seat
seatback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2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두용
유수형
장진호
Original Assignee
김두용
유수형
장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용, 유수형, 장진호 filed Critical 김두용
Priority to KR102006011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9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Abstract

A seat for a vehicle is provided to improve safety and to protect neck of the passenger b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 headrest and a seat back. A seat for a vehicle comprises a headrest(10), a distance sensing unit(35), a headrest rotating unit(40), a control unit(30).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tance sensing unit and judges whether the signal is within a set range, and then controls the headrest rotating unit according to the result in real tim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a passenger and the headrest.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with an ECU, and has an operation switch and an automatic mode shifting unit additionally. The operation switch operates the headrest rotating unit and a seat back operating unit with a manual mode if a select switch is set in a manual operating mode. The automatic mode shifting unit changes mode of the select switch from the manual mode to an automatic mode if speed of the vehicle is over a standard speed.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장치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Vehicle seat device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시트에 탑승자의 착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ating state of the occupant in the general seat

도 2는 충돌시 탑승자의 움직임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movement of a passenger during a collis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시트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shee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장치의 작동 제어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4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트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5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shee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트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5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ee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회로 구성도6 is a circuit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트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shee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 : 헤드레스트 20 : 시트백10: headrest 20: seat back

20a: 상부 시트백 20b: 하부 시트백20a: upper seatback 20b: lower seatback

25 : 회절기구 26 : 시트백 구동수단25 diffraction mechanism 26 seatback driving means

30 : 제어부 35,36: 거리감지수단30: control unit 35, 36: distance detection means

40 :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 headrest rotation means

1. 한국 공개실용 제1999-0026214호(1999.07.15.공개) :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수단과; 헤드레스트에 설치되고 두부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를 운전자의 두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및 상기 충격감지수단으로부터 충격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거리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제공받아 운전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간의 거리를 판단한 후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구동수단으로 출력하여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돌시 헤드레스트 자동 위치조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 1. Korean Laid-Open Utility Publication No. 1999-0026214 (July 15, 1999) : shock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shock of a vehicle; Distance sensing means installed on the headrest and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Driving mean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moving the headrest toward the head of the driver; And when a shock signal is detected from the impact sensing means,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distance sensing means, determines a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driver and the headrest,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driving means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Disclosed is a head restraint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2. 한국 등록특허 제10-0375448호(2003.03.10.등록공고) :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센서와, 헤드레스트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와, 시트백에 장착되어 상기 충돌 감지센서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솔레노이드 및 제2 솔레노이드와, 상기 두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전방 지지대 및 후방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75448 (2003.03.10.registration announcement) : a collision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of the vehicle,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occupant's head mounted inside the headrest, and mounted on the seat back And an electronic controller for receiving and controll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a first solenoid and a second solenoid moved by the control of the electronic controller, and a front support moving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two solenoids. And a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for a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rear sup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3. 한국 등록특허 제10-0353065호(2002.09.18.등록공고) :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의 접촉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시트백(20)의 내부에서 제1회전축에 의해 하단 지지되면서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한 판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앞쪽으로 회전가능한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상단에서 제2회전축에 의해 하단 연결되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뒷쪽으로 회전가능한 제2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 3. Korean Patent No. 10-0353065 (2002.09.18. Registered notification) : a pressure sensor for mounting the interior of the headrest 10 to sense the pressur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occupant's head and the headrest, seat back (20 And a first rod rotatably supported forward by an operation of a leaf spring by a signal of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rotary shaft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by a second rotary shaf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rod. An apparatus for preventing neck injuries of a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which includes a second rod rotatable backward by a signal of a pressure sensor, is disclosed.

4. 한국 공개실용 제2000-0000497호(2000.01.15.공개) : 시트의 등받이부의 내부 하측의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헤드레스트의 결합봉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장공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봉부재와; 이 봉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의 전후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방향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모터는, 차량의 충돌감지 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 팽창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 4. Korean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00-0000497 (published on Jan. 15, 2000) : a rotating shaft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ack of the seat;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One side is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the rod member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rod of the rod member is rotated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nside the guide hole; And a rotation direction restraining means for allowing the rod member to move only in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ackrest part, wherein the driving motor receives the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of the vehicle to control the airbag inflation. Disclosed is a vehicle headrest device which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4').

5.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44524호(2002.06.15.공개) : 시트 백의 상측에 설치되어 탑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 지지부; 이 헤드 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시트 백의 내부로 연장하며, 그 중간 일측이 시트 백의 프레임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 연결부재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이 연결부재의 하단에 고정되며, 전자석을 구비한 가동 전자석부; 이 가동 전자석부의 전자석과 대향하는 전자석을 구비하며, 시트 백의 전측에 고정된 고정 전자석부; 추돌 충격량을 감지하는 추돌 감지 센서; 상기 추돌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량에 비례하는 반발력이 상기 가동 및 고정 전자석부의 전자석들에 발생되도록 상기 가동 및 고정 전자석부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액티브 헤드 레스트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5'라 한다.) 5.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44524 (2002.06.15. Published) : a head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a seat back to support a passenger's head; A connection member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ead support to the inside of the seat back, the middle on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of the seat back; A movable electromagnet portion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by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n electromagnet; A fixed electromagnet portion having an electromagnet facing the electromagnet of the movable electromagnet portion and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at back; Collis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impact amount; An active part of a vehicle seat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strength of a current applied to the movable and fixed electromagnet unit such that a repulsive force proportional to an amount of impact detected by the collision detecting sensor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s of the movable and fixed electromagnet unit A head rest is dis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5').

6.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55700호(2002.07.10. 공개) : 시트백에 내재되어 있는 시트백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상부와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슬롯 및 하부슬롯과; 상기 슬롯에 결착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축과; 충돌 감지센서와 연계되는 한편 상기 충돌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점화부가 발화하여 추진부재가 돌출되는 추진장치와; 상기 추진부재의 충격을 받는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이 목 부상 방지장치에서는 후방 추돌 사고시 상기 추진장치의 추진부재가 상기 지지대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헤드레스트가 전측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간 간격을 최소화 하고, 이에 착좌자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어 목부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6'이라 한다.) 6.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55700 (published Jul. 10, 2002) : a seatback frame and a headrest frame inherent in the seatback; Upper and lower slots respectively formed at upper and center portions of the seat back frame; A guide shaft which is fixed to the slot and slides; A propulsion device associated with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and having a ignition portion ignited by the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to protrude the propelling memb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frame while being impacted by the propulsion member, in this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when the propulsion member of the propulsion device impacts the support during a rear collision accident, the headrest is the front side While moving upward, the gap between the seat head and the headrest is minimized, and the head of the seat is prevented from falling back to prevent neck injury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6').

7.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21681호(2003.03.15.공개) : 자동차의 후방 추돌 사고시,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제어되는 가스 발생기의 가스 압력이 구동 수단을 구동시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후방 추돌 사고시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어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7'이라 한다.) 7.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21681 (published on March 15, 2003) : In the case of a rear collision of a vehicle, the gas pressure of a gas generator controlled by a signal input from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drives a driving means so that a headrest An apparatus for preventing neck injuries of a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is disclosed, which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back by preventing the occupant's head from falling back during a rear collision accident by moving upward with respect to the head. It is called.)

8. 한국 등록특허 제10-0461146호(2004.12.14.등록공고) : 후방 추돌순간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인플레이터가 폭발함과 동시에 피스톤이 하강하고, 이 피스톤의 하강력에 의해 'ㄱ'자 형상의 회전로드가 순간 회전함과 동시에 그 회전력으로 헤드레스트 프레임이 헤드레스트와 함께 시트백 프레임에서 순간 전방 이동되어짐으로써,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지지면간 간격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에 착좌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히 젖혀져 발생하는 목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레스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8'이라 한다.) 8.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461146 (December 14, 2004) : Inflator explodes upon receiv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llision sensor at the time of rear collision, and the piston descends. As the 'rod-shaped' rotating rod rotates at the same time and the headrest frame is momentarily moved forward from the seatback frame with the headrest, the gap between the seat head and the headrest support surface can be minimized. An automobile headrest device is disclosed that can prevent neck injuries caused by the head of a child being sharply flipped backwa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8').

9. 한국 공개특허 제1999-0041853호(1999.06.15.공개) : 차량의 충돌 충격을 충격센서가 감지하여 솔레노이드가 스토퍼를 래칫에서 분리시키게 하고, 이로 인해 회전레버가 전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코일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회전레버가 주행관성으로 인해 앞쪽으로 튕겨 나가는 승원의 머리를 따라 앞쪽으로 회전이동되며, 정지시에 작용하는 반동력에 의해 승원의 머리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점층적으로 증강되는 코일스프링(41)의 탄발력이 머리 후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9'라 한다.) 9.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41853 (published on June 15, 1999) : The impact sensor senses a collision shock of a vehicle so that the solenoid separates the stopper from the ratchet, thereby allowing the rotation lever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rotation lever is rotated forward along the head of the crew, which is bounced forward due to the driving inerti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and when the head of the crew is flipped backward by the reaction force acting at the stop. Disclosed is a head restraint structure of a seat for an automobil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41, which is augmented, is supported to the rear of the hea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백은 시트 부품 중 등받이를 말하며, 평상시 착좌자(탑승자)의 등과 허리부위에서 반력을 제공하여 착좌자가 안락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In general, the seat back of the vehicle refers to the backrest of the seat parts, it is a part that allows the restraint to maintain comfort by providing a reaction force at the back of the occupant (passenger).

또한, 상기 시트백은 시트쿠션과 리클라이너(Recliner)를 매개로 조립되어지며, 통상적으로 지지대 역할의 시트백 프레임과, 충격흡수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폼(foam)과, 미관이나 형태의 유지를 위한 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 바, 이 헤드레스트는 주행 중 착좌자의 머리를 편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하고, 추돌시에는 착좌자(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atback is assembled through a seat cushion and a recliner, typically a seatback frame serving as a support, a foam providing shock absorption and comfort, and a cover for maintaining aesthetics or shape. It consists of. In addition, a headres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back, and the headrest functions to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of the seater while driving, and serves to protect the head of the seater (rider) during a collision.

한편, 교차로 등에 정지해 있던 차가 10 ∼ 16㎞의 속도변화를 일으키며 추돌당하는 사고에서는 승객의 목 부위에 상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며, 이를 이른바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착좌자의 상체와 머리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후방 추돌시 시트백의 충격으로 착좌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한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시트에 탑승자의 착좌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헤드레스트(10)는 시트백(20)의 상단에 장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ar stopped at an intersection or the like causes a speed change of 10 to 16 km and is crashed, it is very common to cause injury to the neck of a passenger, which is called a whiplash injury. This whiplash injury, or neck injury, is known to be due to the difference in relative speed between the upper body and the head of the seat. The back of the seat causes the upper body of the seat to move for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seatback, while the head remains in place. The shear force acts on the neck area, and this shear force causes a sudden impact on the joints and muscles of the neck as well as injury to the neck joints.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ating state of a passenger in a general seat, the headrest 1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seat back 20 serves to support the head of the passenger.

한편,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몸이 후방으로 밀리게되고, 이때 탑승자 상체의 후방속도와 머리의 후방속도의 차이에 의해 목이 꺽여지면서 목부상이 발생되며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d)이 좁을 수록 탑승자의 목부상 위험은 줄어든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of the occupant is pushed backward by the inertia during the rear collision of the car, and the neck is bent by bending the neck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r speed of the occupant's upper body and the rear speed of the head. The narrower the gap (d) between (10), the smaller the risk of neck injury for the occupant.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헤드레스트(10)가 장착된 자동차는 탑승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d)이 조절되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자동차의 후방 충돌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는 전방으로 밀리는 차체와 함께 이동하여 착좌자의 상체를 전방으로 급격히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착좌자의 상체가 시트백(20)에 의해 순간적으로 앞으로 밀리면서 머리는 관성에 의해 상체와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상대적인 운동으로 탑승자의 목 부위가 늘어짐을 겪게 되면서 목 부위 관절에 상당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결국,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착좌자의 상체가 앞으로 밀리는 데에 반해 머리와 목은 뒤로 크게 젖혀져, 착좌자의 상체와 머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서로 당기는 형태가 되고, 이에 따라 저속 충돌에서도 스트레스에 의한 목 관절부위의 심각한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다.However,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headrest 10 as described above does not have a separate device in which the distance d between the occupant's head and the headrest 10 is adjusted so that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is illustrated in FIG. 2. As can be seen, the seat moves with the vehicle body pushed forward to rapidly move the upper body of the seat forward. At this time, while the upper body of the seat is pushed forward by the seatback 20 momentarily, the head makes a relative movement with the upper body by the inertia, and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occupant's neck causes a considerable pressure on the neck joint. Will be added. Eventually, while the upper body of the seater is pushed forward for a very short time, the head and neck are tilted backwards, and the upper body and head of the seater are pulled together while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Severe deformation of the joints occurs.

한편,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시트 착좌자의 목부상을 방지시켜줄 수 있는 방안으로서, 추돌감지수단으로부터 충격신호가 검출되면, 운전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 감지수단에 의해 두부와 헤드레스트 간의 거리를 판단한 후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구동수단으로 출력하여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헤드레스트 자동 위치조정장치가 종래기술1(한국 공개실용 제1999-0026214호(1999.07.15.공개))에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way to prevent the neck injury of the seat occupant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pac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collision detection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by the distance detection means between the head of the driver and the headrest After the determination, the headrest automatic position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by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driving mean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9-0026214 (published on July 15, 1999). )).

이와 유사한 종래기술로서, 충돌 감지센서 신호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승하강 스토퍼를 해제하는 제1 솔레노이드, 탑승자 머리 위치 감지센서의 신호값에 해당하는 만큼 헤드레스트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와, 제2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전방 지지대 및 후방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In the related art, a first solenoid for releasing the elevating stopper of the headrest, a second solenoid for elevating and operating the headrest by a signal value of the occupant head position sensor according to the collision sensor signal; An apparatus for preventing neck injuries of a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which is constituted by a front support and a rear support, which are moved up and down by operation of a second solenoid, is dis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또한, 헤드레스트(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탑승자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의 접촉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시트백(20)의 내부에서 제1회전축에 의해 하단 지지되면서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한 판스프링의 동작에 의해 앞쪽으로 회전가능한 제1로드와, 상기 제1로드의 상단에서 제2회전축에 의해 하단 연결되면서 상기 압력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뒷쪽으로 회전가능한 제2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장치가 한국 등록특허 제10-0353065호(2002.09.18.등록공고)(이하 '종래기술3'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headrest 10 and detects the pressure caus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occupant's head and the headrest, and the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rotating shaft in the seat back 20 A first rod rotatable forward by the operation of the leaf spring by the second rod, and a second rod rotatable backward by the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by a second rotating shaf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rod. A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of a headrest for a vehicle that is configure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53065 (2002.09.18. Registered notif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그리고, 시트의 등받이부의 내부 하측의 소정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일측은 상기 회전축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고, 헤드레스트의 결합봉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장공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는 봉부재와; 이 봉부재가 상기 등받이부의 전후 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회전방향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충돌감지 신호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는 순간에 상기 구동 모터가 작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가 한국 공개실용 제2000-0000497호(2000.01.15.공개)에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4'라 한다.)And, the rotating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inner lower side of the back of the seat;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One side is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otary shaft, the rod member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rod of the rod member is rotated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inside the guide hole; And a rotation direction restraining means for allowing the rod member to move only in one of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backrest part, wherein the driving motor is operated at the moment when the airbag is inflated by a collision detection signal. A vehicle headrest device is disclosed in 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2000-0000497 (published on Jan. 15, 20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4').

그러나, 종래기술1 내지 종래기술4에 개시되어 있는 목 부상 방지를 위한 헤드레스트 장치추돌감지수단에 의한 추돌이 감지된 순간에서부터 구동수단(솔레노이드, 판스프링에 의한 로드 작동)의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이동(또는 승하강)하여 운전자의 두부에 밀착되기까지 2~3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However, the headrest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ans (rod operation by solenoid, leaf spring) from the moment when the collision by the headrest device collision detection means for preventing neck injury disclosed in the prior art 1 to the prior art 4 is detected Has not been put to practical use because it takes more than 2-3 seconds to move (or descend) to get in close contact with the driver's head.

이러한 종래기술1 내지 종래기술4의 문제점(응답속도의 지연)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신속한 응답속도를 얻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6 내지 종래기술8에 도시되어 있는 목부상 방지를 위한 헤드레스트장치는 각종 추진장치를 이용하여 추돌 감지순간에서부터 헤드레스트가 전진하기가지의 응답속도를 개선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As a solu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delay in response speed) of the prior arts 1 to 4, techniques for obtaining a fast response speed have been disclosed. Headrest device for preventing neck injury shown in the prior art 6 to 8 is to improve the response speed of the headrest to advance from the collision detection moment by using various propulsion devices.

먼저,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55700호(2002년 7월 10일 공개)(이하 '종래기술6'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는 목부상 방지장치는 상기 충돌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점화부가 발화하여 추진부재가 돌출되는 추진장치가 헤드레스트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된 구성으로서, 이 목 부상 방지장치에서는 후방 추돌 사고시 상기 추진장치의 추진부재가 상기 지지대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헤드레스트가 전측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간 간격을 최소화 하고, 이에 착좌자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어 목부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First, the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55700 (published Jul. 10, 200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6”) has an ignition part ignited by a signal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A propulsion device for protruding the propelling memb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headrest frame. In this neck injury prevention device, when the propulsion member of the propulsion device impacts the support during a rear collision, the headrest moves upward and upward.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head of the chair and the headrest, and prevent the neck from falling back by preventing the seat head from leaning back.

그리고, 한국 공개특허 제2003-0021681호(2003.03.15.공개)(이하 '종래기술7'이라 한다.)에는 자동차의 후방 추돌 사고시,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로 제어되는 가스 발생기의 가스 압력이 구동 수단을 구동시켜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의 머리에 대해 상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후방 추돌 사고시에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막아주어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목부상 방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21681 (published on March 15, 20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7') includes a gas pressure of a gas generator controlled by a signal input from a collision sensor during a rear collision of a vehicle. By driving the drive means, the headrest is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thereby preventing the neck injury of the occupant's head from falling back in the event of a rear collision, thereby preventing a neck injury of an automobile headrest. Is disclosed.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0461146호(2004.12.14.등록공고)(이하 '종래기술8'이라 한다.)에는 후방 추돌순간 충돌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인플레이터가 폭발함과 동시에 피스톤이 하강하고, 이 피스톤의 하강력에 의해 회전로드가 순간 회전함과 동시에 그 회전력으로 헤드레스트 프레임이 헤드레스트와 함께 시트백 프레임에서 순간 전방 이동되어짐으로써,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지지면간 간격이 최소화 될 수 있고, 이에 착좌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히 젖혀져 발생하는 목부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레스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461146 (Dec. 14, 20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8') receiv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at the moment of rear collision and the piston explodes at the same time. The lowering force of the piston causes the rotary rod to rotate at the same time and the headrest frame is moved forward and forward in the seatback frame with the headrest, there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seat head and the headrest support surface. A car headrest device is disclosed which can prevent neck injuries caused by sharply tilting the head of the seat back.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6 내지 종래기술8에 개시되어 있는 헤드레스트장치는 신속한 응답속도를 얻기 위하여 적용한 각종 추진장치들(폭발력 또는 가스압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큰 힘이 착좌자에게 작용할 위험성이 커 착좌자의 안전을 위협할 우려가 매우 높다.However, since the headrest device disclosed in the prior arts 6 to 8 uses various propulsion devices (explosive force or gas pressure) applied to obtain a quick response speed, a momentary large force may act on the seated person. The risk is high and there is a high risk of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seated person.

또 다른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44524호(2002.06.15.공개)에서는 추돌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충격량에 비례하는 세기의 전류를 인가하여, 헤드 지지부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탑승객의 머리를 가압하도록 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개시되어 있다.(이하 '종래기술5'라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5 역시 큰 추돌 충격량이 발생된 경우에는 헤드 지지부의 전방이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착좌자의 안전을 오히려 위협하게 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44524 (2002.06.15.Publication) applies a current having an intensit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impact input from a collision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head support is moved forward to press the passenger's head. An active headrest of an automobile seat including a control unit is dis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5') However, the prior art 5 also suddenly moves forward of the head support when a large collision impact amount is generated. By doing so, there is a high risk of threatening the safety of the seat.

후방추돌에 의해 탑승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또 다른 중요한 원인으로서 착좌자의 착좌 자세에 문제가 있다. 비록 안전장비 설계 기술자는 승객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 그 장비를 설계하지만, 승객이 엔지니어의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한 채, 나쁜 운전자세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지침서에서 권고하는 대로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설정하지 않음으로 인해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머리받이(Headrest)의 경우는 후방충돌 발생 시 승객의 목 상해를 막아주는 결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사용자가 머리받이를 머리에 너무 가까이 또는 너무 멀리 위치됨으로써 많은 승객이 후방 추돌시 심각한 목 상해를 당하고 있다. 또한, 안전 방비 설계 기술자들은 정(正) 자세를 취한 인체모형(dummy)을 대상으로 그 장비의 설계를 수행하지만 현실에서 설계자가 원하는 자세를 취하는 승객은 전체에 5%에 불과하다. 즉, 나머지 95%의 승객은 설계 시에 고려되지 않았던 운전 자세로 안전의 사각지대에서 자신이 무슨 위험에 노출되어있는지 조차도 모른 채 차량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Another important cause of injuries to occupants by rear collisions is the problem of seating positions. Although safety equipment design engineers design the equipment for maximum passenger protection, passengers do not understand the engineer's intentions and set up seatbacks and headrests as recommended in the guidelines, for a variety of reasons, including bad driver tax. Injuries may not occur in many cases. For example, the headrest attached to the seat has a decisive role in preventing a passenger's neck injury in the event of a rear collision, but many passengers collide with the rear because the user places the headrest too close to the head or too far. Si suffers a serious neck injury. In addition, safeguarding technicians design the dummy for a dummy, but in reality only 5% of the passengers are in the desired posture. In other words, the remaining 95% of passengers are in a driving position that was not considered in the design, using their vehicle without even knowing what danger they are exposed to in the blind spots of safety.

따라서, 승객의 자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안전 장비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safety equipment that actively copes with changes in attitudes of passeng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돌 또는 후방 추돌 시에 착좌자(이하 탑승자, 승객 등과 동일한 의미임)의 목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켜줄 수 있는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vehicle seat device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neck injury of the seated pers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assenger, passenger, etc.) during a collision or rear collision. It aims to do it.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승객의 착좌 자세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승객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좌자의 안락함을 극대화시킨 차량용 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apparatus which maximizes the comfort of the seat by enabling the passenger to actively support the passenger according to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assenger.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착좌자가 시트에 앉아 있는 동안에,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 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1~3초 간격으로 계속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착좌자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최적의 간격(4~6cm)이 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ly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 and the head rest at intervals of 1 to 3 seconds while the seated person is sitting on the seat, and rotates the headrest in real time. By operating the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and the headrest is maintained at an optimum distance (4-6 cm).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장치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기술구성은, 시트백(20) 상부에 스테이(11)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 레스트(10)와, 상기 헤드레스트(10)에 설치되고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 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운전자의 두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과, 운전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간의 거리를 판단한 후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으로 출력하여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단위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상기 거리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제공받아, 세팅된 적정값의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 레스트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제어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vehicle sea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eature is a head rest 10 supported by the stay 11 on the seat back 20 and a seat rest on the head rest 10. A distance sensing means for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child and the head rest, a headrest rotating means 40 which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moves the headrest 10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driver, and Afte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by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receives the output signal from the distance sensing means at set unit time intervals,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within a set range of appropriate values,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er and the head rest is automatically kept constant. Main control of the headrest rotation means (40).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장치의 제어부의 제어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ular sea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rol flowchart of a control unit of the vehicular sea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schematically.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시트백(20) 상부에 스테이(11)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10)와, 상기 헤드레스트(10)에 설치되고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35)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운전자의 두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과, 운전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간의 거리를 판단한 후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으로 출력하여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며, 일정한 시간 간격(바람직하게는 대략 1~3초 간격)으로 실시간으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제어하여 착좌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includes a headrest 10 supported by the stay 11 on the seatback 20, and installed on the headrest 10. A distance detecting means 35 for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a headrest rotating means 40 which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moves the headrest 10 in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driver; Afte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driver and the headrest and the corresponding signal is output to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30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preferably approximately 1 to 3 seconds) to control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in real time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 and the headrest 10 at all times.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장치의 제어부(3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트장치의 작동이 개시되면, 상기 거리감지수단(35)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적정 거리(바람직하게는 4~6cm)를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만약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이 적정 거리보다 가깝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지속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2초 간격으로 계속하여 상기 거리감지수단(35)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이 적정한 거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적정거리에 도달하였을 때에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의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만약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이 적정 거리보다 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d)이 적정한 거리가 되도록 동작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30 of 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when the operation of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rest 10 and the headrest 10 to determine whether to maintain the proper distance (preferably 4 to 6 cm), 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er and the headrest 10 is determined to be closer than the proper distance. If so, the headrest rotation means 40 is driven. The controller continuously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continuously at intervals of 1 to 2 seconds, and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er and the headrest 10 is an appropriate distance, When the proper distance is reached, the driving of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is stopp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er and the headrest 10 is greater than the proper distance,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reby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er and the headrest 10 ( d) is operated to be an appropriate distance.

본 발명에 의한 시트장치의 작동개시 시점은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좌석의 시트쿠션 내부에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가 On되고, 시트쿠션 내부의 압력센서에 신호가 인가됨에 의해 자동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시트장치가 작동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사용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다.The starting point of operation of the sea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switch, but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in the seat cushion of the seat in general, the start switch of the car is turned on, the seat cushion insid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utomatically start the operation by the signal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of the for convenience and safety improvement.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제어부(30)는 실시간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거리감지수단(35)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착좌자의 머리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이 적정거리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실시간으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제어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signal from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in real time and continuously,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 and the headrest 10 is a suitable distance And control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in real time and continuously to maintain it.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장치는 착좌자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간격을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충격(또는 추돌)이 발생한 순간에 작동이 개시되는 방식의 종래기술들에서 문제되었던 '신속한 응답속도 확보'를 고려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급속한 헤드레스트의 이동속도(작동속도)에 의해 오히려 착좌자를 상해할 수 있는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since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ways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seat and the headrest at a constant interval, the 'fast response' which has been a problem in the prior arts in which the operation is started at the moment of impact (or collision) occurs. Not only does it need to consider securing the speed,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fundamentally preventing the risk of injury to the seat due to the rapid movement of the headrest (working speed).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은, 모터(42)와, 이 모터(42)의 회전에 따라 헤드레스트(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기어(44)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은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다양한 형태의 회동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3,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moves the headrest 10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42 and the motor 42. It may be composed of gears 44 that can be made. However,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and various rotating mechanisms may be applied.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 다이어그램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시트장치의 기구적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 5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conceptually shows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20)을 상하로 2등분되어 상부 시트백(20b)과 하부 시트백(20a)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시트백(20b)과 하부 시트백(20a) 사이에 회절기구(25)를 설치하여 이 회절기구(2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 시트백(20b)이 하부 시트백(2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절기구(25)를 작동시키는 시트백 구동수단(26)과, 상기 상부 시트백(20b)와 착좌자의 어깨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2 거리감지수단(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vehicular sea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ular sea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eat back 20 is divided into two parts, the upper seat back 20b and the lower seat back. It is divided into (20a),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eatback (20b) and the lower seatback (20a) by the operation of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the upper seatback (20b) is a lower seatback And a seatback driving means (26) for operating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and sen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eatback (20b) and the seated shoulder of the seat (20a). It further comprises a distance sensing means 36.

즉, 하부 시트백(20a)은 리클라이너(Recliner)(2)에 의해 시트큐션(1)에 결합되며, 하부 시트백(20a)의 상부에는 회절기구(25)에 의해 상부 시트백(20b)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 시트백(20b)의 내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That is, the lower seatback 20a is coupled to the seat cushion 1 by the recliner 2, and the upper seatback 20b is coupled to the upper seatback 20a by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seatback 20b.

물론, 상기 회절기구(25)는 도 3에 도시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과 같이 기어 군(群)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회동가능한 연결 링크들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공지의 리클라이너(Recliner)(2)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에도 당업자라면 공지의 회동기구들을 적절하게 변형시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절기구(25) 및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f course,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may be made of a group of gears such as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shown in FIG. 3, but may be made of rotatable connecting links, and a known recliner. (Recliner) (2) may be applied, and in addition, since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modify and apply known rotating mechanism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and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 Will be omitted.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시트백은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상부 시트백(20b)의 내부에 구비하여, 상부 시트백(20b)의 어깨받이부(20c)와 헤드레스트(10)로 전후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착좌자의 안락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헤드레스트(10)만이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시트백의 최상단부분에 구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seatback constituting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rest pivoting means 40 inside the upper seatback 20b, and thus the shoulder of the upper seatback 20b. Moving back and forth to the receiving portion 20c and the headrest 10 may further increase the comfort of the seater. Of course, in some cases, in order to move only the headrest 10,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may be configured at the top end of the seatback.

제2 거리감지수단(36)는 스테이(11)에 위치되거나 상기 어깨받이부(20c)에 위치되는 것이 착좌자의 어깨와 시트백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기에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구조에 불과하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형태와는 달리, 상기 어깨받이부(20c)의 높이는 상부 시트백(20b)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제2 거리감지수단(36)의 설치위치는 어깨받이부(20c) 또는 상부 시트백(20b) 중의 어느 한 곳에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distance sensing means 36 is most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stay 11 or on the shoulder 20c to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of the seat and the seatback.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5A and 5B is merely an exemplary structure, and unlike the shape shown in Figs. 5A and 5B, the height of the shoulderrest 20c is the upper seatback 20b. Since it may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height of th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cond distance detecting means 36 may b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shoulder portion 20c or the upper seat back (20b) in an appropriate position.

헤드레스트(10)와 착좌자의 두부와의 유지 간격은 4~6cm가 가장 적절하지만, 상부 시트백(20b)과 착좌자의 어깨와의 거리는 이보다 약간 적은 2~4cm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거리감지수단(35)에 의하여 입력받은 신호에 대한 비교 판단과, 상기 제2 거리감지수단(36)에 의하여 입력받은 신호에 대한 비교 판단을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비교판단부(31)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Since the headrest 10 and the head of the seat holder have a 4 to 6 cm length,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eatback 20b and the seat shoulder is known to be 2 to 4 cm,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this. In the configuration, the control unit 30 performs a comparison determination on the signal input by the first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a comparison determination on the signal input by the second distance sensing means 36, respectively.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configure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31 to be able to do so.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은, 첫째로 헤드레스트(10)와 상부 시트백(20b)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착좌자에게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착좌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headrest 10 and the upper seatback (20b) is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not only can provide comfort and comfort to the seated person Howev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risk of impact that may occur in the wrong seating state in advance.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승객의 착좌 자세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승객을 지지해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좌자의 안락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ea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omfort of the seat by enabling the vehicle sea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tively support the passenger in accordance with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assenger.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부(30)를 구성하는 비교판단부(31) 및 모터구동부(32)의 회로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어부(30)는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의 모터(42) 또는 시트백 구동수단(26)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리감지수단(35)(36)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어회로에 입력이 된다. 착좌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10) 사이의 간격을 감지한 거리감지수단(35)(36)의 감지신호(S1,S2)는 제어부(30)를 구성하는 비교판단부(31)를 거쳐 모터구동부(Mortor Driving Unit)(32)로 입력되어 릴레이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의 모터(42) 또는 시트백 구동수단(2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FIG. 6 conceptually shows a circuit diagram of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31 and the motor driving unit 32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the headrest rotating unit 4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tor 42 or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of. As shown in Fig. 6, the signal output from the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36 is input to the control circuit. The motor driving unit passes through the comparison unit 31 constituting the control unit 30 by the detection signals S1 and S2 of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and 36 which detect the gap between the head of the seat and the headrest 10. It is input to the (Mortor Driving Unit) 3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42 or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of the headrest rotation means 40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elay switch.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거리감지수단(35)(36)에 의해 측정된 거리가 0~4cm이면 강기 거리감지수단(35)(36)에서 (0,0)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측정 거리가 4~6cm이면 (1,0)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측정거리가 6cm 이상이면 (1,1)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였으며, AND게이트와 NOR게이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부(30)의 비교판단부(31)를 예시적 형태로서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목적과 작용효과를 위하여 여러가지의 다른 구성요소로 치환될 수 있다.If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36 in the present invention is 0 to 4 cm, the force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36 output a signal of (0, 0), and the measured distance is If 4 ~ 6cm to output a signal of (1,0), and if the measurement distance is more than 6cm to output a signal of (1,1), the controller 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AND gate and the NOR gate The comparative determination part 31 of Fig. 3 is shown as an exemplary for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emplary embodiments, and may be substituted with various other components for the same purpose and effect a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착좌자(승객)의 두부와 헤드레스트와의 거리 및 착좌자(승객)의 어깨와 상부 시트백(20b)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거리감지수단(35)(36)으로는 초음파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존에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가 개발되어 있다. 적외선 센서의 경우 초음파 센서보다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적외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조도의 영향을 받고 색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적외선 센서를 거리감지수단(35)(36)으로 적용할 경우에는 차량 내부의 조도에 따라 측정값이 변하고 검은머리나 검은색 옷을 입었을 경우 정확한 거리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 초음파센서는 적외선 센서에 비해 비싼 단점이 있으나, 조도와 색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이미 이상생활에서 자동차 주차레이더로도 사용되어 안정성이 인정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였다. 다만, 초음파 센서의 경우 음파가 도달하는 면의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아 파마머리, 곱슬머리의 경우에는 정확한 거리측정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거리감지수단(35)(36)으로 초음파 센서를 채택하되, 헤드레스트에 설치하지 않고 헤드 레스트(10)를 지지하는 스테이(11)에 초음파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사람의 신체에서 평평한 부분인 목과 등에 초음파 센서가 조사되도록 하여 초음파 센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occupant (passenger) and the headres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of the occupant (passenger) and the upper seatback 20b, ultrasonic waves ar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36. Most preferably, the sensor is mounted. Conventionally, infrared sensors and ultrasonic sensors have been developed as distance measuring sensors. Infrared sensor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cheaper than ultrasonic sensors, but due to the use of infrared light, they are affected by illuminance and color. Therefore, when the infrared sensor is applied as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and 36, the measured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illu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te distance measurement is difficult when the black hair or the black clothes are worn. On the other hand, the ultrasonic sensor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expensive compared to the infrared sensor, but the ultrasonic sensor was used because it is recognized as stability because it is already used as a car parking radar in abnormal life without being affected by illuminance and color. However, in the case of the ultrasonic sensor, the ultrasonic wave is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36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accurate distance measurement is difficult in the case of the perm hair and the curly hair due to the shape of the sound wave reaching surface. Adopt a sensor, but by installing the ultrasonic sensor on the stay (11) for supporting the head rest 10 without installing in the head rest, so that the ultrasonic sensor is irradiated to the neck and back, which is a flat part of the human body, the disadvantage of the ultrasonic sensor I tried to overcome.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거리감지수단(35)(36)의 범위는 초음파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착좌자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 또는 착좌자와 상부 시트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 및 작용효과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목적과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구성이라면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owever, the range of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and 36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ltrasonic sensor,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and the headres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and the upper seatback. And if it is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nd effect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ffect will naturally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음파센서에 의해 착좌자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간격이 0~4cm로 측정된 경우, (0,0)의 신호를 받은 비교판단부(31)는 AND게이트에서는 (0)의 신호를, NOR게이트에서는 (1)의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구동부의 릴레이스위치②와 릴레이스위치③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모터구동부(32)에 연결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의 모터(42)가 구동하게 되며, 헤드레스트(10)는 착좌자의 두부에서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 and the headrest is measured by an ultrasonic sensor at 0 to 4 cm,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31 that receives the signal of (0,0) is connected to the AND gate ( A signal of 0) is output from the NOR gate and the relay switch ② and relay switch ③ of the motor drive section are operated. Therefore, the motor 42 of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connected to the motor driving part 32 is driven, and the headrest 1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ead of the seat (rear).

만약, 측정거리가 4~6cm이면 초음파센서에서 (1,0)의 신호를 출력하고, 그 신호를 받은 비교판단부(31)의 AND게이트에서는 (0)을, NOR게이트에서는 (0)의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은 작동하지 않고 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If the measurement distance is 4 ~ 6cm, the ultrasonic sensor outputs a signal of (1,0), and the signal of (0) at the AND gate and (0) at the NOR gate of the comparison judgment unit 31 receiving the signal. Do not operate the relay switch by outputting Thus,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does not operate and maintains the current state.

그리고, 측정된 거리가 6~∞cm이면 초음파센서에서 (1,1)의 신호를 출력하고, AND게이트에서는 (1)의 신호를, NOR게이트에서는 (0)의 신호를 출력하여 릴레이스위치①과 릴레이스위치④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모터구동부(32)에 연결된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의 모터(42)가 반대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며, 헤드레스트(10)는 착좌자의 두부에 밀착되는 방향(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If the measured distance is 6 ~ ∞cm, the ultrasonic sensor outputs the signal of (1,1), the signal of (1) is output from the AND gate, and the signal of (0) is output from the NOR gate. Activate relay switch④. Therefore, the motor 42 of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connected to the motor driving part 32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headrest 10 moves in a direction (forward)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seat.

이와 같이 제어부의 비교판단부(31)에서 출력된 신호에 따라, 릴레이스위치②와 ③이 동시에 작동을 하고, 릴레이스위치①과 ④가 동시에 작동을 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여 승객에게 밀착되거나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y switches ② and ③ operate simultaneously with the signals output from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unit 31 of the control unit, and the relay switches ① and ④ operate simultaneously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40) moves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it is close to or away from the passenger.

이와 같은 제어부의 구성은, 상부 시트백(20b)과 하부 시트백(20a) 사이에 구비되는 시트백 구동수단(26)에도 그대로 적용되며, 시트백 구동수단(26)의 작동으로 회절기구(25)가 회전을 하면서 상부 시트백(20b)이 하부 시트백(2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부 시트백(20b)이 착좌자의 어깨에 밀착되거나 멀어지게 작동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is also applied to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provided between the upper seatback 20b and the lower seatback 20a as it is, and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While the upper seatback 20b is rotated relative to the lower seatback 20a, the upper seatback 20b is operated to be in close contact or away from the shoulder of the seat.

나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제어부(30)는 수동조작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가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엔진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승객(또는 운전자)가 앉은 평상시 상태에서는 상기 거리감지수단(35)(36)에 의해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 및 시트백 구동수단(26)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착좌자와의 적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는 반면, 특정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 및 시트백 구동수단(26)이 자동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 또는 시트백 구동수단(26)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anual operation mode and an automatic mode, so that the distance detection is performed in a normal state in which a passenger (or driver) sits in an engine start state.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and the seatback drive means 26 are actuated automa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s input by the means 35 and 36 to maintain the proper distance from the seat, while in certain cases necessary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and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are not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above, and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or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can be driven by operating an operation switch. By doing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further maximized.

또한, 수동모드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특히 탑승자에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에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와 차량의 ECU를 연결시켜 상기 제어부가 ECU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모드 자동전환스위치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ECU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차량 주행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모드 자동전환스위치를 제어하여 수동조작모드 상태를 자동모드로 강제 전환시키도록 하여, 고속 주행 중에는 항상 탑승자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 및 탑승자와 시트백 사이의 거리가 자동으로 적정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실수나 착오에 의해 시트백 또는 헤드레스트가 부적절한 위치에 설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적절한 위치로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가 이동되어 재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driving in the manual mode, it may be particularly dangerous for the occupant, so that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with the ECU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from the ECU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afety of the occupant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de automatic switching switch when the vehicle driving speed exceeds the reference value by additionally configuring a mode automatic switching switch in the control unit. It is necessary to force to switch to the automatic mod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headres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ccupant and the seatback are automatically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during high speed driving at all times. The seat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eatback and headrest automatically mov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especially during high speed, even when the driver or passenger is set to an inappropriate position by mistake or error. It can be moved and reset, further increasing the occupant's safety.

특히, 최근의 자동차는 ECU의 성능이 급격히 향성됨에 따라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들을 ECU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부(30)가 상기 ECU로부터 위험상황 신호(예를 들어 급가속 신호 또는 급감속 신호 등)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러한 신호가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면, 충돌 또는 추돌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 레스트 사이의 거리 및 착좌자의 어깨와와 상부 시트백(20b)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각각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 및 시트백 구동수단(26)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착좌자를 시트 및 헤드레스트에 밀착시켜 탑승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a recent automobile can receive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from the ECU as the performance of the ECU is sharply improved, as shown in Figure 7, the control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ngerous situation signal from the ECU (E.g., a rapid acceleration signal or a rapid deceleration signal, etc.), and when such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it is determined that a collision or collision has occurred and thu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 and the head rest and By operating the headrest pivoting means 40 and the seatback driving means 26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of the seat and the upper seatback 20b is minimized, the seated pers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 and the headrest, thereby injuring the occupant.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minimize.

사고 발생 순간에서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 및 승객의 등과 시트백(20a) 사이의 최적거리는 0cm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지만, 평상시에는 안전성과 편의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최적거리(4~6cm)를 유지하다가, 사고 발생 순간에서 이보다 더 짧은 간격이 되도록 작동됨으로써 탑승자의 사고발생에 따른 상해를 조금이라도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At the moment of the accident, the optimal distance between the passenger's head and the headrest and the passenger's back and seat back 20a should be 0cm, but the optimum distance (4 ~ 6cm) can satisfy both safety and convenience in normal times. By maintaining a shorter interval at the time of the accident, it will be possible to obtain a further effect to reduce the injury caused by the accident of the occupant even mor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에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중의 일부를 변경 또는 변형한 경우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목적 및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라면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configure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some of the elements are changed or modified, it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purpose and the same effect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머리, 어깨의 위치를 감지한 센서신호에 의해 머리받이(헤드레스트)와 등받이(시트백)를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거리(4~6Cm)가 되도록 자연스럽게 이동시킨다. 승객의 머리와 등받이가 거리가 너무 멀 경우에는 등받이가 승객 방향으로 움직이고, 반대로 등받이와 사람이 접촉했거나 또는 너무 가까워서 사람이 불편함을 느낄만한 거리가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승객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면서도 불편함은 느끼지 않는 거리(대략 4~6Cm)까지 다시 이동을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drest (headrest) and the backrest (seatback) by the sensor signal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and shoulder distance (4 ~)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6 cm) to move naturally. If the passenger's head and backrest are too far apart, the backrest will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 conversely, if the backrest is in contact with the person or is too close, the sensor will detect this and secure the passenger's safety. It is possible to move back to the distance (about 4 ~ 6cm) does not feel uncomfortable.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장치는 충돌 또는 후방 추돌 시에 착좌자의 목 부상을 효과적으로 방지시켜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의 착좌 자세에 맞추어 능동적으로 승객(착좌자)의 머리와 어깨부분을 지지해 줄 수 있어서 착좌자의 안락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 vehicle sea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the neck injury of the seated person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r rear collision, and also can actively support the head and shoulders of the passenger (seater) according to the seating position of the passenger. Thus, the comfort of the seat can be maximized.

나아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실수나 착오에 의해 시트백 또는 헤드레스트가 부적절한 위치에 설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고속으로 주행하는 동안에 자동으로 적절한 위치로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가 이동되어 재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의 안전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자동차 산업분야에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Furthermore, even if the driver or occupant is accidentally or accidentally set up the seatback or headrest in an improper position, the seatback and headrest may be moved and reset to the proper position automatically during high-speed driving,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It can be further increased to be a very useful invention in the automotive industry.

특히, 상부 시트백과 하부 시트백으로 나뉘어진 시트백(20)은 회절기구에 의해 착좌자의 앉은 자세에 따라 자동으로 등을 받쳐주게 되므로, 시트의 안락함 향상에 큰 도움을 줌으로써 시트의 고급화에 큰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particular, the seatback 20 divided into an upper seatback and a lower seatback automatically supports the back according to the seated position of the seat by the diffraction mechanism, and thus plays a big role in improving the seat comfort by greatly assisting in improving seat comfor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can be increased to satisfy the needs of consumers.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차량의 시트백(20) 상부에 스테이(11)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레스트(10)와;A headrest 10 supported by the stay 11 on the seatback 20 of the vehicle; 상기 헤드레스트(10) 또는 스테이(11)에 설치되고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 레스트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수단(35)과; Distance detecting means (35) installed on the headrest (10) or stay (11) and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the head restraint of the seat and the headrest;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헤드레스트(10)를 운전자의 두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과; Headrest rotation means (40)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moving the headrest (10) in the head direction of the driver; 운전자의 두부와 헤드레스트 간의 거리를 판단한 후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회동수단(40)으로 출력하여 상기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로 구성되며,And a controller 30 which determines a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driver and the headrest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rotation means 4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headrest. 상기 제어부(30)는 설정된 단위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상기 거리감지수단(35)으로부터 신호값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값이 세팅된 적정 값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40)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착좌자의 두부와 상기 헤드레스트 사이의 거리가 항상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시트장치에 있어서,The control unit 30 continuously receives the signal value from the distance detecting means 35 at set unit time intervals,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value corresponds to the set value, and sets the headrest rotating means 40. In the vehicle seat apparatus for controlling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of the seat and the headrest is always maintained by controlling in real time, 상기 시트백(20)은, 리클라이너(Recliner)에 의해 시트큐션에 결합되는 하부 시트백(20a)과,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상부 시트백(20b)으로 나뉘어지되,The seatback 20 is divided into a lower seatback 20a coupled to the seat cushion by a recliner and an upper seatback 20b coupled to the headrest, 상기 상부 시트백(20b)에는 상기 상부 시트백(20b)과 착좌자의 어깨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제2 거리감지수단(36)이 구비되며,The upper seatback 20b is provided with a second distance sensing means 36 for det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eatback 20b and the shoulder of the seater. 상기 상부 시트백과 하부 시트백은 회절기구(25)에 의해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절기구(25)를 작동시키는 시트백 구동수단(26)이 더 구비되며,The upper seatback and the lower seatback are rotatably coupled back and forth by a diffraction mechanism 25, and further includes seatback driving means 26 for operating the diffraction mechanism 25,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ECU에 결합되어 구성되며,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ECU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에는 수동조작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가 더 구비됨으로써,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anual operation mode and an automatic mode, 상기 제어부의 선택스위치가 수동조작모드인 경우에 상기 헤드레스트 회동수단 또는 시트백 구동수단을 수동으로 조작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가 더 포함되며,An operation switch for manually operating the headrest rotating means or the seatback driving means when the selection switch of the controller is in the manual operation mode, 상기 ECU로부터 입력받은 차량의 속도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수동조작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모드 선택스위치를 자동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 자동전환수단이 더 구비되며,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peed value of the vehicle input from the ECU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de automatic switching means for switch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set to the manual operation mode to the automatic mode, 상기 거리감지수단(35) 및 제2 거리감지수단(36)은 초음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장치.The distance sensing means (35) and the second distance sensing means (36) is a vehicle sea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ltrasonic sensor.
KR1020060118228A 2006-11-28 2006-11-28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KR100832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28A KR100832921B1 (en) 2006-11-28 2006-11-28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228A KR100832921B1 (en) 2006-11-28 2006-11-28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921B1 true KR100832921B1 (en) 2008-05-28

Family

ID=3966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228A KR100832921B1 (en) 2006-11-28 2006-11-28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921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99B1 (en) * 2010-07-19 2013-04-05 현대다이모스(주) Auto-moving apparatus of headrest for precrash
CN103568871A (en) * 2012-08-03 2014-02-12 佛吉亚汽车座椅公司 Vehicle seat comprising a motorized adjustable part, electric control unit of a motor vehicle
US8690252B2 (en) 2009-04-10 2014-04-08 Fujikura Ltd. Headrest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headrest position adjusting method
CN109532601A (en) * 2018-10-16 2019-03-29 江苏敏安电动汽车有限公司 Guard system and automobile are touched after car seat headrest
CN110936961A (en) * 2018-09-21 2020-03-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System for correcting passenger posture in automatic driving vehicle
CN111204268A (en) * 2020-01-20 2020-05-29 恒大新能源汽车科技(广东)有限公司 Vehicle and seat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139A (en) * 1995-01-06 1996-07-23 Nec Home Electron Ltd On-board headrest device
KR19980018096U (en)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Head rest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its circuit
KR20000000155A (en) * 1999-09-22 2000-01-15 전운장 The angle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of head rest for vehicles
JP2000309242A (en) 1999-04-14 2000-1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evice for adjusting head rest and method for using this kind of device
JP2006160152A (en) 2004-12-09 2006-06-22 Toyota Boshoku Corp Headrest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7139A (en) * 1995-01-06 1996-07-23 Nec Home Electron Ltd On-board headrest device
KR19980018096U (en) * 1996-09-25 1998-07-06 임경춘 Head rest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its circuit
JP2000309242A (en) 1999-04-14 2000-1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Device for adjusting head rest and method for using this kind of device
KR20000000155A (en) * 1999-09-22 2000-01-15 전운장 The angle control apparatus and its method of head rest for vehicles
JP2006160152A (en) 2004-12-09 2006-06-22 Toyota Boshoku Corp Headrest control devi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0252B2 (en) 2009-04-10 2014-04-08 Fujikura Ltd. Headrest position adjusting device and headrest position adjusting method
KR101252199B1 (en) * 2010-07-19 2013-04-05 현대다이모스(주) Auto-moving apparatus of headrest for precrash
CN103568871A (en) * 2012-08-03 2014-02-12 佛吉亚汽车座椅公司 Vehicle seat comprising a motorized adjustable part, electric control unit of a motor vehicle
CN103568871B (en) * 2012-08-03 2016-05-11 佛吉亚汽车座椅公司 Comprise the vehicle seat of motor-driven adjustable part, the ECU of automotive vehicle
CN110936961A (en) * 2018-09-21 2020-03-3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System for correcting passenger posture in automatic driving vehicle
KR20200036091A (en) * 2018-09-21 2020-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correcting passenger's posture in the self-driving vehicle
KR102602419B1 (en) * 2018-09-21 2023-1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for correcting passenger's posture in the self-driving vehicle
CN109532601A (en) * 2018-10-16 2019-03-29 江苏敏安电动汽车有限公司 Guard system and automobile are touched after car seat headrest
CN109532601B (en) * 2018-10-16 2023-12-22 江苏敏安电动汽车有限公司 Automobile seat headrest back collision protection system and automobile
CN111204268A (en) * 2020-01-20 2020-05-29 恒大新能源汽车科技(广东)有限公司 Vehicle and seat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5805B1 (en) An airbag arrangement
US5484189A (en) Retractable pop-up head rest usable with a vehicle passenger seat
KR100832921B1 (en) Active seat back system for vehicle
JP2016043813A (en) Vehicle seat device
WO2006126450A1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2008504168A (en) Automotive safety devices
US20230365098A1 (en) Vehicle seat device
JP2004217109A (en) Safety seat for vehicle
JP2003054343A (en) Headrest device for vehicle
CN111231794B (en) Adjustable automobile seat headrest and automobile seat
JP2008222154A (en) Occupant crash protection device
US2022000182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restraint system, and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KR20210060236A (en) Front airbag divice for vehicle
KR101438848B1 (en) Rear seat adjustment system for vehicle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501518B1 (en) Shock absorber of head rest for vehicle
JP2006327373A (en) Vehicular seat device
KR100461146B1 (en) Automobile head rest device for neck anti-injury
KR100512445B1 (en) Seat safety apparatus of car
JP2018161977A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7168506B2 (en) vehicle seat
KR0130281Y1 (en) Structure of car seat
KR100435329B1 (en) System for decreasing the wounded of a driver and passingers for an automobile
JP2524255B2 (en) Seat back fixing device for airbag-equipped seats
KR100579999B1 (en) Active headrest device for automobile
KR20230175289A (en) Occupant restraint devices for vehicles, vehicles equipped with at least one occupant restraint devi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occupant restraint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