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480B1 -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480B1
KR100832480B1 KR1020070016855A KR20070016855A KR100832480B1 KR 100832480 B1 KR100832480 B1 KR 100832480B1 KR 1020070016855 A KR1020070016855 A KR 1020070016855A KR 20070016855 A KR20070016855 A KR 20070016855A KR 100832480 B1 KR100832480 B1 KR 100832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requency
cable
tuning
frequency t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4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주파수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자동 스캔 시 어느 하나의 주파수 테이블의 방송이 전송되어도 자동으로 선국할 수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 주파수 테이블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채널 자동 검색 방법에 있어서, 채널 자동 탐색 모드 시 상기 복수 주파수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채널 튜닝하고, 상기 채널 튜닝 시 동기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테이블 및 상기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Channel Auto search method of cable TV}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튜너 20: 디코더
30: 코덱 40: 마이컴
50: 리모콘 60: 메모리
본 발명은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주파수 테이블을 사용하고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에서 자동 스캔 시 어느 하나의 주파수 테이블의 방송이 전송되어도 자동으로 선국할 수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지역 케이블 방송의 경우 3개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즉 STD(Standard Frequencies), HRC(Harmonic Related Carries), 및 IRC(Incremental Related Carriers)가 있으며, 각 케이블 방송국에서는 3개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하여 케이블 방송을 서비스하고 있다. 여기서 STD는 FCC(Federal Communication Committee : 미 연방 통신 위원회)가 지상파 전송 방송국에 할당한 주파수 테이블이고, IRC는 텔레비전 신호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때 케이블 플랜트에서의 증폭에 의한 왜곡 및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규격의 주파수 테이블이며, HRC는 상술한 IRC 보다 왜곡의 정도를 더 작게 하기 위해 정해진 규격의 주파수 테이블이다.
이때 STD와 IRC는 채널 5, 6번을 제외하고는 채널 주파수 테이블이 모두 동일하다. 즉 채널 5, 6번은 STD와 IRC의 구분 채널이 된다. 그리고 HRC는 모두 STD에 비하여 채널 주파수가 1.25MHz 낮다. 그 예로 채널 5의 주파수는 STD 주파수 테이블이 79MHz, HRC 방송이 77.75MHz, IRC 방송이 81MHz로 되어 있다. 이때 79MHz를 STD의 채널 5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라 하고, 77.75MHz를 HRC의 채널 5의 중심 주파수라 하며, 81MHz를 IRC의 채널 5의 중심 주파수라 한다. 예를 들어, 'MBC'라는 케이블 채널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STD, IRC, HRC에 따라 그 채널의 중 심 주파수가 다르다.
이에 따라 3가지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에서는 케이블 방송국에서 어느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을 통해 케이블 방송을 전송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특히 케이블 방송 수신기를 처음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 중에 시청 가능한 채널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각 채널을 선택하면서 사용하게 된다.
즉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해당 지역이나 수신기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을 확인하고, 수신 주파수 테이블을 확인된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용자는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잘못된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는 케이블 방송을 제공하는 업체에 문의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또는 3가지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각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마다 채널 검색을 해보고 그 중 가장 많은 채널을 볼 수 있는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을 선택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 시간 낭비이고 또한, 사용자에게 귀찮고 번잡한 조작을 요구하므로 불편함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복수의 주파수 테이블을 몰라도 자동으로 채널 튜닝을 할 수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자동 채널 탐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주파수 테이블에 포함된 주파수에 해당하는 각 채널을 자동 탐색함으로써 채널 튜닝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자동 채널 탐색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인 방법은 복수 주파수 테이블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채널 자동 검색 방법에 있어서, 채널 자동 탐색 모드 시 상기 복수 주파수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채널 튜닝하고, 상기 채널 튜닝 시 동기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테이블 및 상기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인 방법은 STD, HRC 또는 IRC 주파수 테이블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채널 자동 검색 방법에 있어서, 채널 자동 탐색 모드 시 미리 정해진 주파수 테이블 순서대로 채널 튜닝을 하되, 상기 채널 튜닝 시 동기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테이블을 고정시키고, 상기 주파수 테이블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복수 채널을 다시 튜닝한 후 상기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TD, HRC, IRC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자동 채널 검색 명령이 지시되면 각 채널마다 튜닝에 성공하는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에 대해 현재 시청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조작 없이 자동으로 채널이 탐색되기 때문에 편리 하고, 탐색 방법이 용이하며 채널 검색 시간을 단축시켜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번 튜닝한 채널에 대해서는 다시 채널 튜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채널 검색 시간을 단축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때마다 디폴트로 정해진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에서 채널 튜닝을 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역시 채널 검색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장치의 구성도로서, 튜너(10), 디코더(20), 코덱(30), 마이컴(40), 리모콘(50) 및 메모리(60)로 구성된다.
튜너(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을 선국한다. 즉, 마이컴(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케이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채널 중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국한 후 선국된 방송 채널로부터 입력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마이컴(30)으로 전송한다.
이때 튜너(10)는 1번 채널부터 선국 신호가 있는 전체 채널을 탐색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데이터의 신호를 ATSC 디코더로 전송한다.
디코더(20)는 ATSC 디코더(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Decoder)로 디지털 채널을 선국할 때 마이컴의 지시에 따라 튜너(10)로 선국 명령을 전송하 고, 그 결과를 피드백 받는다.
디코더(20)는 튜너(10)에서 출력되는 TS-스트림(Transprot Stream)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MPEG 코덱(CODEG)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한 후 코덱(30)으로 전송한다. 즉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인 BT-656으로 변환한다.
이때 코덱으로 전송된 신호는 DVD나 HDD에 기록된다.
여기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MPEG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중화 방식 중 하나로 오류가 있는 채널 환경에서 여러 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보낼 때 사용하는 다중화 방법이다.
즉, 복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비트열로 다중화하므로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TV방송 등에 적합하고 제한수신을 위한 스크램블 기능(비트열을 암호화하여 유료 가입자 이외에는 시청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부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랜덤 액세스가 용이하도록 디렉토리 정보나 개별 비트열에 관한 정보 등을 실을 수 있다.
코덱(30)은 MPEG 코덱으로, DVD 등의 광디스크 또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 데이터를 기록 및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 및 엔코더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컴(40)은 리모콘(50)이나 세트 본체(예를 들어 PC, 텔레비전 등)에 구비된 키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즉 마이컴(40)은 리모콘(50) 또는 본체 키를 통해 채널 자동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튜너(10)를 제어하되, 1번 채널부터 선국 신호가 있는 전체 채널을 탐색하 도록 제어한다.
마이컴(40)은 튜너(10)를 제어하여 복수 채널을 순차적으로 튜닝한 뒤 시청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채널 리스트가 저장되도록 메모리(60)로 전송한다.
또한 마이컴(40)은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 후 리모콘(50) 또는 본체 키를 통해 특정 채널이 입력되면, 입력된 채널에 상응하는 프로그램을 PC 또는 텔레비전 등의 외부 장치를 통해 재생하도록 지시한다.
리모콘(50)은 사용자의 명령 제어 신호를 원격으로 마이컴(40)에 전송한다.
즉, 리모콘(50)은 사용자로부터 지시된 전원 온/오프 명령, 자동 채널 검색 명령, 특정 채널 선택 명령 신호를 마이컴으로 전송한다.
메모리(60)는 마이컴(40)으로부터 전송된 STD, HRC 및 IRC의 주파수 테이블에 포함된 주파수 신호에 따른 채널 데이터, 즉 튜닝된 채널을 저장하고 있다.
즉, 채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는 재 기록 가능한 EEPRO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케이블 방송 수신기가 처음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동 채널 탐색 모드를 선택하면, 마이컴은 자동 채널 탐색 모드로 진입한다.
다음 마이컴(40)은 자동 채널 탐색 모드가 선택되면 복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의 채널 튜닝을 시작한다.
즉, 마이컴(40)은 STD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STD 주파수 테이블에서 튜닝할 채널 번호 CHn(즉, 초기 1번)을 결정하고 그 채널 번호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한다.
튜너(10)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파수 중 마이컴(40)에서 출력된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를 튜닝(S101)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렇게 튜너(10)에서 튜닝된 RF 신호는 IF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더(20)에서 디코딩되고, 동기 신호가 추출되어 마이컴(4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40)은 동기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S102)되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한다.
이렇게 채널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에 성공하면, 이때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그리고 채널 정보를 EEP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S108)한다.
다음 탐색 채널이 채널 135 보다 큰지 비교(S109)한 후 135를 초과하면 채널 자동 탐색 모드를 종료하고, 135 이하이면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 S110)시키고 단계 S101부터 다시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만약, STD 주파수 테이블에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지 못했다고 판별하고 HRC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채널번호(즉, CHn번)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한다.
튜너(10)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파수 중 마이컴(40)에서 출력된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를 튜닝(S103)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렇게 튜너(10)에서 튜닝된 RF 신호는 IF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더(20)에서 디코딩되고, 동기 신호가 추출되어 마이컴(4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40)은 동기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S104)되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한다.
이렇게 채널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에 성공하면, 이때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그리고 채널 정보를 EEP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S108)한다. 다음 탐색 채널이 채널 135 보다 큰지 비교(S109)한 후 135를 초과하면 채널 자동 탐색 모드를 종료하고, 135 이하이면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 S110)시키고 S101단계부터 다시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만약, HRC 주파수 테이블에도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지 못했다고 판별한다.
이때 채널 번호가 채널 5 또는 채널 6인지 판별(S105)하고, 채널 5 또는 채널 6이면 IRC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채널번호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한다.
다음 튜너(10)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파수 중 마이컴(40)에서 출력된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를 튜닝(S106)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렇게 튜너(10)에서 튜닝된 RF 신호는 IF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더(20)에서 디코딩되고, 동기 신호가 추출되어 마이컴(4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40)은 동기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S107)되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한다.
이렇게 채널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에 성공하면, 이때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그리고 채널 정보를 EEP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S108)한다. 다음 탐색 채널이 채널 135 보다 큰지 비교(S109)한 후 135를 초과하면 채널 자동 탐색 모드를 종료하고, 135 이하이면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 S110)시키고 S101단계부터 다시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만약, 채널번호가 채널 5 또는 채널 6이 아니면, STD와 IRC 주파수 테이블의 중심주파수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STD 주파수 테이블인지 IRC 주파수 테이블인지 구분할 수 없어 채널 자동 탐색을 종료한다.
실시예에서 채널수를 135로 한정하는 것은 케이블의 전체 채널 수가 135개 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널 수가 더 커진다면 채널 수를 변경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채널 1에서 채널 135까지 채널이 자동 탐색되면 탐색된 채널은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한편 채널의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채널 번호에는 방송 신호가 없다고 판별한다. 이 경우는 현재 시청 가능한 채널 리스트 생성 시 포함되지 않는다.
이렇게 채널 리스트가 생성되어 저장되면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리모콘을 통해 특정 채널 선택 시, 마이컴은 현재 수신 주파수 테이블로 설정되어 있는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에서 선택된 채널을 튜닝하도록 튜너(10)에 튜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 튜너(10)는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 파수 중 제어부(200)에서 출력된 튜닝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의 RF 신호만을 튜닝하여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한 후 디코더로 출력한다. 여기서 디코더는 IF 신호에 대해 레벨 증폭, 잡음 제거, 이득 제어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코덱(30)으로 출력한다.
이때 코덱(30)은 디코딩된 동기 신호를 마이컴으로 출력하고, 마이컴(40)은 튜닝된 방송 신호가 유효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 유효 채널이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튜닝된 방송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의 순서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케이블 방송 수신기가 처음으로 설치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자동 채널 탐색 모드를 선택하면, 마이컴(40)은 자동 채널 탐색 모드로 진입한다.
다음 마이컴(40)은 자동 채널 탐색 모드가 선택되면 복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의 채널 튜닝을 시작한다.
즉, 마이컴(40)은 STD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STD 주파수 테이블에서 튜닝할 채널 번호 n(즉, 초기 1번)을 결정하고 그 채널 번호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한다.
튜너(10)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파수 중 마이컴(40)에서 출력된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를 튜닝(S201)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렇게 튜너(10)에서 튜닝된 RF 신호는 IF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더(20)에서 디코딩되고, 동기 신호가 추출되어 마이컴(4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40)은 동기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S202)되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한다.
이렇게 채널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에 성공하면, 이때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그리고 채널 정보를 EEP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주파수 테이블을 STD로 고정(S203)한다.
다음 주파수 테이블을 STD로 고정시킨 후 탐색 채널이 채널 135 보다 큰지 비교(S204)한 후 135를 초과하면 채널 자동 탐색 모드를 종료하고, 135 이하이면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S205)시켜 STD 주파수 테이블에 대한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만약, STD 주파수 테이블에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지 못했다고 판별하고 HRC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채널번호(즉, CHn번)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한다.
튜너(10)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파수 중 마이컴(40)에서 출력된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를 튜닝(S206)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렇게 튜너(10)에서 튜닝된 RF 신호는 IF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더(20)에서 디코딩되고, 동기 신호가 추출되어 마이컴(4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40)은 동기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S207)되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한다.
이렇게 채널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에 성공하면, 이때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그리고 채널 정보를 EEP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주파수 테이블을 HRC로 고 정(S208)한다.
다음 주파수 테이블을 HRC로 고정시킨 후 탐색 채널이 채널 135 보다 큰지 비교(S209)한 후 135를 초과하면 채널 자동 탐색 모드를 종료하고, 135 이하이면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S210)시켜 HRC 주파수 테이블에 대한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만약, HRC 주파수 테이블에도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지 못했다고 판별한다.
다음 IRC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채널번호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한다.
다음 튜너(10)는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들의 채널 주파수 중 마이컴(40)에서 출력된 튜닝 제어 신호에 따른 채널 주파수를 튜닝(S211)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렇게 튜너(10)에서 튜닝된 RF 신호는 IF 신호로 변환된 후 디코더(20)에서 디코딩되고, 동기 신호가 추출되어 마이컴(40)으로 출력된다. 이때 마이컴(40)은 동기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별(S212)되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한다.
이렇게 채널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에 성공하면, 이때의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 그리고 채널 정보를 EEPROM 등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주파수 테이블을 IRC로 고정(S213)한다.
다음 주파수 테이블을 IRC로 고정시킨 후 탐색 채널이 채널 135 보다 큰지 비교(S214)한 후 135를 초과하면 채널 자동 탐색 모드를 종료하고, 135 이하이면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S215)시켜 IRC 주파수 테이블에 대한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이때 채널 카운트 변수를 1 증가(CHn+1=CHn+1)(S215)시켜 IRC 주파수 테이블에 대한 채널 자동 탐색 시 IRC 주파수 테이블에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채널 번호에서 튜닝이 성공하지 못했다고 판별(S212)하고 STD 주파수 테이블로 전환하고 채널 카운트 변수 1이 증가된 채널 번호(즉, CHn+1=CHn+1, S216)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튜닝 제어 신호를 튜너(10)로 출력함으로써 단계 S201부터 시작하여 채널 자동 탐색을 실행한다.
실시예에서 채널수를 135로 한정하는 것은 케이블의 전체 채널 수가 135개 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채널 수가 더 커진다면 채널 수를 변경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채널 1에서 채널 135까지 채널이 자동 탐색되면 탐색된 채널은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한편 채널의 동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채널 번호에는 방송 신호가 없다고 판별한다. 이 경우는 현재 시청 가능한 채널 리스트 생성 시 포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TD, HRC, IRC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적어도 하나 이상 수신할 수 있는 케이블 방송 수신기에서 자동 채널 검색 명령이 지시되면 각 채널마다 튜닝에 성공하는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에 대해 현재 시청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조작 없이 자동으로 채널이 탐색되기 때문에 편리하고, 탐색 방법이 용이하며 채널 검색 시간을 단축시켜 시간 낭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번 튜닝한 채널에 대해서는 다시 채널 튜닝을 하지 않기 때문에 채널 검색 시간을 단축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 채널 검색을 수행할 때마다 디폴트로 정해진 케이블 주파수 테이블에서 채널 튜닝을 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역시 채널 검색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복수 주파수 테이블 중 하나 이상의 주파수 테이블의 케이블 방송을 수신하는 수신기의 채널 자동 검색 방법에 있어서,
    채널 자동 탐색 모드 시 상기 복수 주파수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채널 튜닝하되, 복수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채널 튜닝하고,
    상기 채널 튜닝 시 동기 신호가 존재하는 주파수 테이블 및 상기 채널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주파수 테이블은
    STD, HRC 및 IRC 주파수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주파수가 동일한 채널을 포함하는 주파수 테이블에 대해서는 하나의 주파수 테이블에서만 채널 튜닝을 수행하고, 다른 주파수의 채널은 복수 주파수 테이블에 서 모두 채널 튜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70016855A 2007-02-16 2007-02-16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55A KR100832480B1 (ko) 2007-02-16 2007-02-16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855A KR100832480B1 (ko) 2007-02-16 2007-02-16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480B1 true KR100832480B1 (ko) 2008-05-27

Family

ID=3966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8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480B1 (ko) 2007-02-16 2007-02-16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4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299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복합 방송 수신기의 케이블 방송 채널 자동 검색 방법
KR20060007163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KR20060010121A (ko) * 2004-07-2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1412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2299A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복합 방송 수신기의 케이블 방송 채널 자동 검색 방법
KR20060007163A (ko) * 2004-07-19 2006-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KR20060010121A (ko) * 2004-07-2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11412A (ko) * 2004-07-30 200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밴드 자동 검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41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갱신방법 및 장치
KR101569113B1 (ko) 방송수신기의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JP2007318803A (ja) 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ソース情報の組合せ
US7929062B2 (en) Channel scanning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a plurality of tuners
EP1916837B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s thereof
US8161507B2 (en) Channel switch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90044247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US8490130B2 (en) Television channel list system and method
KR100832480B1 (ko) 케이블 텔레비전의 채널 자동 탐색 방법
KR100445008B1 (ko)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109496A (ko) 기록 모드로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20090064831A (ko) 자동 채널을 설정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608277B1 (ko) 데이타방송 자동 저장기능을 갖는 디지탈방송수신시스템
KR10097109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KR20090002453A (ko) 선호 채널 선국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KR100441337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자동 채널 설정방법
JP400670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KR20060007162A (ko) 케이블 디지털 텔레비전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KR19990026868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선택 방법
JP2004194031A (ja) 番組選択方式
KR100247048B1 (ko) 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 전환방법
KR100736611B1 (ko) 디지털 방송의 채널 튜닝 장치와, 그 제어방법, 그리고 그시스템
KR100716951B1 (ko) 방송 채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80017514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로그파일 관리방법
KR2007006481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채널 튜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