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547B1 -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 - Google Patents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547B1
KR100831547B1 KR1020070035960A KR20070035960A KR100831547B1 KR 100831547 B1 KR100831547 B1 KR 100831547B1 KR 1020070035960 A KR1020070035960 A KR 1020070035960A KR 20070035960 A KR20070035960 A KR 20070035960A KR 100831547 B1 KR100831547 B1 KR 10083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oscillation
signal
variable rang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799A (ko
Inventor
요우지 다께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46Circuits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stereophonic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고속으로 목적 주파수로 한다.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목적 주파수로 제어하는 발진 제어 장치로서,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가변 범위 분할부와, 가변 범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부분을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가변 범위 분할부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될 때까지,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부분을 가변 범위로 하고,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70035960
발진 회로, 발진 주파수, 제어 신호, 파일럿 신호

Description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OSCILLATION CONTROL APPARATUS AND CHANNEL SELEC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FM 라디오 수신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고주파 동조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국부 발진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발진 회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원하는 수신 주파수가 80.0㎒인 경우에서의, 제어 신호의 조정 과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어 신호의 조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부호의 설명>
1 : FM 라디오 수신기
10 : 안테나
11 : 고주파 동조 회로
12 : 고주파 증폭 회로
13 : 국부 발진 회로
14 : 혼합 회로
15 : 중간 주파 증폭 회로
16 : 검파 회로
17 : 파일럿 검출 회로
18 : 발진 회로
19 : 스테레오 복조 회로
20L, 20R : 저주파 증폭 회로
21L, 21R : 스피커
24 : 스위치 회로
25 : 카운터
26 : 조작부
27 : 마이크로컴퓨터
50, 60, 70 : 인덕터
53, 54, 64, 74 : 레지스터
C1∼C8, 61, 71 : 캐패시터
S1∼S8 : 스위치 회로
90 : 가변 범위 분할부
95 : 판정부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2-111527호 공보
본 발명은,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FM 라디오 수신기나 AM 라디오 수신기 등에서는,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방송국의 신호를 추출하거나, 수신 신호를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하거나 하기 위해 발진 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진 회로는, 예를 들면, 코일이나 캐패시터, 가변 용량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의 값에 따라서 캐패시터나 가변 용량 다이오드의 용량을 변화시키고,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목적 주파수로 변화시킴으로써, 원하는 방송국의 신호의 추출이나 중간 주파 신호에의 변환 등이 행해진다(특허 문헌 1).
이와 같이 캐패시터나 가변 용량 다이오드 등의 용량을 변화시켜서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발진 회로에서는, 온도 특성이나 제조 변동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발진 주파수를 목적 주파수로 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값을 미리 정해 둘 수 없다. 그 때문에, 발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타이밍에서,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을 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의 값을 구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제어 신호의 값을 가변 범위에서 1단계씩 변화시켜서,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을 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제어 신호의 값을 1단계씩 변화시켜 가기 때문에,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의 값을 얻기까지의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또한,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의 값을 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직선근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직선 근사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적당한 두개의 제어 신호의 값에서의 발진 주파수에 기초하여,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근사 직선이 구해진다. 그리고, 이 근사 직선에 따라서,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의 개산치가 구해진다. 그 후, 제어 신호의 값을 개산치의 근방에서 변화시킴으로써,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가 구해진다.
그러나, 발진 회로에서의 발진 주파수의 주파수 특성은, 2차 곡선 등의 곡선으로, 근사 직선에 의해 얻어지는 제어 신호의 개산치와,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의 값과의 차가 커질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어 신호의 개산치의 근방에서 제어 신호를 변화시키는 범위를 크게 취할 필요가 있어서, 목적 주파수에 따른 제어 신호의 값을 얻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고속으로 목적 주파수로 할 수 있는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진 제어 장치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목적 주파수로 제어하는 발진 제어 장치로서,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가변 범위 분할부와, 상기 가변 범위 분할 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목적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목적 주파수로 될 때까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목적 주파수로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프로세서에,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수순과, 상기 가변 범위가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수순과,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목적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는 수순과,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목적 주파수로 될때까지, 상기 판정되는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국 장치는,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발진 주파수에서 발진함으로써, FM 수신 신호 또는 AM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는 동조 회로와,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수신 주파수로 제어하는 발진 제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국 장치로서, 상기 발진 제어 장치는,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가변 범위 분할부와,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수신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수신 주파수로 될 때까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FM 라디오 수신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M 라디오 수신기(1)는, 안테나(10), 고주파 동조 회로(11), 고주파 증폭 회로(12), 국부 발진 회로(13), 혼합 회로(14), 중간 주파 증폭 회로(15), 검파 회로(16), 파일럿 검출 회로(17), 발진 회로(18), 스테레오 복조 회로(19), 저주파 증폭 회로(20L, 20R), 스피커(21L, 21R), 스위치 회로(24), 카운터(25), 조작부(26), 및 마이크로컴퓨터(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FM 라디오 수신기(1)가 본 발명의 선국 장치에 상당하고, 마이크로컴퓨터(27)가 본 발명의 발진 제어 장치에 상당한다.
고주파 동조 회로(11)는, 안테나(10)로부터 입력되는 FM 수신 신호로부터, 원하는 수신 주파수 fr의 수신 신호를 추출하는 동조 동작을 행한다. 고주파 동조 회로(11)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조 주파수가 fr로 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고주파 증폭 회로(12)는, 고주파 동조 회로(11)로부터 출력되는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국부 발진 회로(13)는, 수신 주파수 fr보다 소정의 중간 주파수 fi(예를 들면 10.7㎒)만큼 높은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한다. 국부 발진 회로(13)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2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fr+fi로 되도록 제어된다.
혼합 회로(14)는, 고주파 증폭 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fr의 수신 신호와, 국부 발진 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주파수 fr+fi의 국부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그 차성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중간 주파 증폭 회로(15)는, 혼합 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함과 함께, 소정의 중간 주파수 fi 근방의 주파수 성분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중간 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검파 회로(16)는, 중간 주파 증폭 회로(15)로부터 출력되는 중간 주파 신호에 대하여 검파 처리를 행하고, 스테레오 복합 신호(콤포지트 신호)로 변환한다. 이 스테레오 복합 신호는, L 신호(좌음성 신호) 성분과, R 신호(우음성 신호) 성분과, 예를 들면 19㎑의 파일럿 신호를 합성한 것이다.
파일럿 검출 회로(17)는, 검파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 복합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한다. 파일럿 검출 회로(17)에서 검출된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는, 마이크로컴퓨터(27)에 입력된다.
발진 회로(18)는,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예를 들면 19㎑)에 따른 주파수(예를 들면 19㎑를 24배로 한 456㎑)의 신호를 출력한다. 발진 회로(18)에서는, 마이 크로컴퓨터(27)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발진 주파수로 되도록 제어된다.
스테레오 복조 회로(19)는, 발진 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예를 들면 456㎑)의 신호로부터, 예를 들면 파일럿 신호의 2배의 주파수(예를 들면 38㎑)의 주파수의 부반송파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테레오 복조 회로(19)는, 검파 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스테레오 복합 신호를 부반송파 신호에 동기하여 취득함으로써, 스테레오 복합 신호로부터 L 신호 및 R 신호를 취출하여 출력한다.
저주파 증폭 회로(20L)는, 스테레오 복조 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L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1L)에 출력한다. 또한, 저주파 증폭 회로(20R)는, 스테레오 복조 회로(19)로부터 출력되는 R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1R)에 출력한다.
스위치 회로(24)는, 마이크로컴퓨터(27)의 제어에 의해, 고주파 동조 회로(11), 국부 발진 회로(13), 또는 발진 회로(18)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카운터(25)에 출력한다. 카운터(25)는, 입력되는 신호의 소정 시간에서의 발진 횟수를 카운트하여 출력한다.
조작부(26)는, 이용자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다이얼식이나 버튼식 등의 주파수 입력 장치이다.
마이크로컴퓨터(27)는, 고주파 동조 회로(11), 국부 발진 회로(13), 및 발진 회로(18)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7)는, 스위치 회로(24)를 고주파 동조 회로(11)측으로 절환하여 카운터(25)의 출력을 얻는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7)는, 카운터(25)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수가, 조작부(26)에서 선택된 수신 주파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수로 되도록, 제어 신호를 변화시켜서 고주파 동조 회로(11)에 출력한다. 또한, 국부 발진 회로(13)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7)는, 스위치 회로(24)를 국부 발진 회로(13)측으로 절환하여 카운터(25)의 출력을 얻는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7)는, 카운터(25)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수가, 조작부(26)에서 선택된 수신 주파수에 중간 주파수를 가한 주파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수로 되도록, 제어 신호를 변화시켜서 국부 발진 회로(13)에 출력한다. 또한, 발진 회로(18)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27)는, 스위치 회로(24)를 발진 회로(18)측으로 절환하여 카운터(25)의 출력을 얻는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27)는, 카운터(25)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수가,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예를 들면 456㎑)를 나타내는 카운트수로 되도록, 제어 신호를 변화시켜서 발진 회로(18)에 출력한다.
==상세 구성==
다음으로, 고주파 동조 회로(11), 국부 발진 회로(13), 및 발진 회로(18)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고주파 동조 회로(11)는, 인덕터(50), 캐패시터 C1∼C8, 스위치 회로 S1∼S8, 가변 용량 다이오드(51, 52), 레지스터(53, 54), 및 DA 컨버터(DAC)(55)를 구비하고 있다. 고주파 동조 회로(11)는, 인덕터(50), 캐패시터 C1∼C8, 및 가변 용량 다이오드(51, 52)가 병렬로 접속된 동조 회로로서, 스위치 회 로 S1∼S8의 온 오프에 의한 캐패시터의 용량 변화 및 가변 용량 다이오드(51, 52)의 용량 변화에 의해, 동조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레지스터(53, 54)는, 예를 들면 8비트의 기억 회로로서, 마이크로컴퓨터(27)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기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는 8비트인 것으로 한다.
스위치 회로 S1∼S8은, 레지스터(53)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의 각 비트의 값에 따라서 온 오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회로 S1∼S8은, 제어 신호의 대응하는 비트가 "0"인 경우에 온으로 되고, 제어 신호의 대응하는 비트가 "1"인 경우에 오프로 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어 신호가 0x00(0x는 16진 표현을 나타냄)인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 S1∼S8이 모두 온으로 되고, 제어 신호가 0x01인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 S8만이 오프, 스위치 회로 S1∼S7이 온으로 되고, 제어 신호가 0xFF인 경우에는 스위치 회로 S1∼S8이 모두 오프로 된다.
그리고, 고주파 동조 회로(11)에서는, 스위치 회로 S1∼S8이 모두 온일 때에 캐패시터 C1∼C8에 의한 합성 용량이 최대로 되어, 동조 주파수가 최소가 된다. 또한, 스위치 회로 S1∼S8이 모두 오프일 때에 캐패시터 C1∼C8에 의한 합성 용량이 최소로 되어, 동조 주파수가 최대로 된다. 또한, 스위치 회로 S1∼S8의 온 오프에 의한 동조 주파수의 가변 범위는, 예를 들면, 75㎒∼110㎒ 정도로 할 수 있다.
DAC(55)는, 레지스터(5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가변 용량 다이오 드(51, 52)에 인가하는 역바이어스의 전압으로 변화시켜서 출력한다. DAC(5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작아지면, 가변 용량 다이오드(51, 52)의 용량이 커져서, 동조 주파수가 작아진다. 한편, DAC(5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커지면, 가변 용량 다이오드(51, 52)의 용량이 작아져서, 동조 주파수가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터(5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비례하여, DAC(5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어 신호의 값이 작아짐에 따라 동조 주파수가 작아지고, 제어 신호의 값이 커짐에 따라 동조 주파수가 커진다. 또한, 가변 용량 다이오드(51, 52)의 용량 변화에 의한 동조 주파수의 가변폭은 1㎒ 정도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 동조 회로(11)에서는, 우선, 마이크로컴퓨터(27)의 제어에 의해, 레지스터(53)에 설정되는 제어 신호가 조정됨으로써, 동조 주파수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의 근방에 몰아 넣어진다.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27)의 제어에 의해, 레지스터(54)에 설정되는 제어 신호가 조정됨으로써, 동조 주파수가 수신 주파수로 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면, 원하는 수신 주파수가 80.0㎒인 경우, 레지스터(53)에 설정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조 주파수가 79.5㎒∼80.5㎒ 정도로 조정되고, 레지스터(54)에 설정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동조 주파수가 80.0㎒로 되도록 미세 조정된다.
도 3은, 국부 발진 회로(13)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국부 발진 회로(13)는, 인덕터(60), 캐패시터(61), 가변 용량 다이오드(62, 63), 레지스터(64), 및 DAC(65)를 구비하고 있다. 국부 발진 회로(13)는, 인덕터(60), 캐패시터(61), 및 가변 용량 다이오드(62, 63)가 병렬로 접속된 동조 회로로서, 가변 용량 다이오드(62, 63)의 용량 변화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레지스터(64)는, 예를 들면 8비트의 기억 회로로서, 마이크로컴퓨터(2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가 기억된다.
DAC(65)는, 레지스터(6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가변 용량 다이오드(62, 63)에 인가하는 역바이어스의 전압으로 변화시켜서 출력한다. DAC(6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작아지면, 가변 용량 다이오드(62, 63)의 용량이 커져서, 발진 주파수가 작아진다. 한편, DAC(6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커지면, 가변 용량 다이오드(62, 63)의 용량이 작아져, 발진 주파수가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지스터(6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비례하여, DAC(6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어 신호의 값이 작아짐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작아지고, 제어 신호의 값이 커짐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커진다.
도 4는, 발진 회로(18)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진 회로(18)는, 인덕터(70), 캐패시터(71), 가변 용량 다이오드(72, 73), 레지스터(74), 및 DAC(7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부(70∼75)의 상세 내용은, 국부 발진 회로(13)의 각 부(60∼64)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국부 발진 회로(13) 및 발진 회로(18)에서도, 고주파 동조 회로(11)와 마찬가지로, 제어 신호에 따라서 캐패시터(61, 71)의 용량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마이크로컴퓨터(27)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이크로컴퓨터(27)는, 가변 범위 분할부(90) 및 판정부(95)를 구비하고 있다. 각 부(90, 95)는, 마이크로컴퓨터(27) 내의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가, 마이크로컴퓨터(27) 내의 ROM(Read Only Memory) 등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블록(부분)으로 분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를 8비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의 초기값은 0x00∼0xFF로 된다.
판정부(95)는, 가변 범위 분할부(90)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의 경계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고주파 동조 회로(11), 국부 발진 회로(13), 또는 발진 회로(18)의 발진 주파수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판정부(95)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블록을 판정한다.
그리고,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될 때까지, 판정부(95)에 의해 판정되는 블록을 가변 범위로 하고,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에 의해,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이 특정된다.
==동작 설명==
다음으로, FM 라디오 수신기(1)에서의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구체예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의 조정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원하는 수신 주파수가 80.0㎒인 경우에서의, 고주파 동조 회 로(11)의 레지스터(53)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조정 과정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를 8비트로 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상태에서의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는 0x00∼0xFF로 되어 있다.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이 가변 범위를 예를 들면 4개의 블록(부분)으로 분할한다. 즉, 도 6의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0x00∼0x3F, 0x40∼0x7F, 0x80∼0xBF, 0xC0∼0xFF의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판정부(95)는, 가변 범위 분할부(90)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동조 주파수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6의 (1)의 단계에서는, 판정부(95)는, 동조 주파수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 이상으로 될 때까지, 각 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인 0x3F, 0x7F, 0xBF를 순서대로 출력해 간다. 도 6의 (1)의 예에서는, 판정부(95)는, 제어 신호 0x3F를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 미만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제어 신호 0x7F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 0x7F를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보다 크기 때문에, 판정부(95)는, 동조 주파수가 80.0㎒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은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블록이라고 판정한다.
판정부(95)에 의해 동조 주파수가 80.0㎒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이 판정되면,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그 블록을 더 예를 들면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즉, 도 6의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0x40∼0x4F, 0x50∼0x5F, 0x60 ∼0x6F, 0x70∼0x7F의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판정부(95)는, 가변 범위 분할부(90)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 0x4F, 0x5F, 0x6F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동조 주파수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을 판정한다. 도 6의 (2)의 예에서는, 판정부(95)는, 제어 신호 0x4F를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 미만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제어 신호 0x5F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 0x5F를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보다 크기 때문에, 판정부(95)는, 동조 주파수가 80.0㎒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은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블록이라고 판정한다.
계속해서,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그 블록을 더욱 예를 들면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즉, 도 6의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0x50∼0x53, 0x54∼0x57, 0x58∼0x5B, 0x5C∼0x5F의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판정부(95)는, 가변 범위 분할부(90)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 0x53, 0x57, 0x5B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동조 주파수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을 판정한다. 도 6의 (3)의 예에서는, 판정부(95)는, 제어 신호 0x53을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미만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제어 신호 0x57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 0x57을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보다 크기 때문에, 판정부(95)는, 동조 주파수가 80.0㎒가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은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블록이라고 판정한다.
계속해서,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그 블록을 더욱 예를 들면 4개의 블록으로 분할한다. 즉, 도 6의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0x54, 0x55, 0x56, 0x57의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판정부(95)는, 가변 범위 분할부(90)에 의해 분할된 각 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 0x54, 0x55, 0x56을 순서대로 출력하고, 동조 주파수가 원하는 수신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을 판정한다. 도 6의 (4)의 예에서는, 판정부(95)는, 제어 신호 0x55를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 미만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제어 신호 0x56을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 0x56을 출력했을 때의 동조 주파수가 80.0㎒보다 크기 때문에, 판정부(95)는, 동조 주파수가 80.0㎒로 되는 제어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블록은 좌측으로부터 3번째의 블록, 즉 제어 신호 0x56이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동조 주파수가 수신 주파수로 될 때까지, 판정부(95)에 의해 판정되는 블록을 가변 범위로 하고,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레지스터(53)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값을 조정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레지스터(54), 국부 발진 회로(13)의 레지스터(64), 발진 회로(18)의 레지스터(74)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값의 조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행해진다.
다음으로,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의 조정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어 신호의 조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여 기에서는,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레지스터(53)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우선, 목적 주파수를 나타내는 카운트수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이 카운트수를 상수 Scount로 세트한다(S701). 그리고,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의 선두를 나타내는 변수 Stop에 0x00을 세트하고, 가변 범위의 말미를 나타내는 변수 Send에 0xFF를 세트한다(S702). 이에 의해,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로서, 0x00∼0xFF의 전체 범위가 지정된다.
그 후,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가변 범위의 분할 폭을 나타내는 변수 Sstep에, Send-Stop을 예를 들면 2비트 우시프트한 값을 세트하고, 변수 i에 초기값 3을 세트한다(S703). 즉, 가변 범위를 2비트 우시프트함으로써, 가변 범위의 1/4이 분할폭으로 되어, 가변 범위는 4블록으로 분할된다.
판정부(95)는, Stop+Sstep을 제어 신호로서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레지스터(53)에 출력한다(S704). 즉, 블록의 경계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판정부(95)는, 이 때 카운터(25)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수를 발진 주파수의 카운트 결과를 나타내는 변수 Count로 세트한다(S705).
판정부(95)는, Count가 Scount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 확인한다(S706). 즉,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와 일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이 행해진다. Count가 Scount와 일치하고 있는 경우(S706: 아니오), 판정부(95)는, 이 시점에서 레지스터(53)에 출력되어 있는 제어 신호가,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라고 판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Count가 Scount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S706: 예), 판정부(95)는, Count가 Scount보다 큰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07). Count가 Scount보다 큰 경우 (S707: 예), 판정부(95)는, Sstep이 0인지의 여부, 즉, 블록이 최소 단위로 분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08). Sstep이 0인 경우(S708: 예), 판정부(95)는, 이 시점에서 레지스터(53)에 출력되어 있는 제어 신호가,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라고 판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Count가 Scount보다 작은 경우(S707: 아니오), 판정부(95)는, Stop에 Stop+Sstep+1을 세트하고, i를 1 줄인다(S709). 그리고, 판정부(95)는, i가 0인지의 여부 판정하여(S710), i가 0이 아닌 경우에는(S710: 아니오), 다음의 블록의 경계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S704)로 되돌아간다. 즉,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 이상으로 될 때까지, 블록의 경계의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된다(S704∼S710). 또한, i가 0인 경우(S710: 예), 판정부(95)는, Sstep이 0인지의 여부, 즉, 블록이 최소 단위로 분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711). Sstep이 0인 경우(S711: 예), 판정부(95)는,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가 Send라고 판정하고, Send를 제어 신호로서 레지스터(53)에 출력하고(S712), 처리를 종료한다.
Sstep이 0이 아닌 경우(S708: 아니오, S711: 아니오),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Send에 Stop+Sstep을 세트한다(S713). 즉, 판정부(95)에 의해 판정된,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블록이, 새로운 가변 범위로서 설정된다.
그리고, 가변 범위 분할부(90)는, 새로운 가변 범위를 4블록으로 분할한다(S703). 판정부(95)는, 새롭게 분할된 4블록에 대해서, 전술한 처리(S704∼S712)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와 같이, 가변 범위의 분할 처리와,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블록의 판정 처리가 반복하여 행해짐으로써, 목적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의 값이 특정된다.
또한,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레지스터(53)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레지스터(54), 국부 발진 회로(13)의 레지스터(64), 발진 회로(18)의 레지스터(74)에 출력하는 제어 신호의 조정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행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의 분할 처리와,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블록의 판정 처리를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제어 신호의 값을 가변 범위에서 1단계씩 변화시키는 방법이나, 직선 근사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을 고속으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예에서, 제어 신호의 값을 가변 범위에서 1단계씩 변화시키는 방법에서는, 제어 신호의 값을 최대로 255회 변경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의 값을 변경하는 횟수는 최대로 12회로 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 범위의 분할수를 고정(본 실시예에서는 4)으로 함으로써, 1개의 분할 처리를 재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어 신호를 조정하는 프로그램의 스텝수가 삭감되어, 프로 그램 저장에 필요한 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처리에 따라서, 고주파 동조 회로(11)의 동조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을 특정함으로써, 안테나(10)로부터 수신한 FM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주파수의 신호를 고속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동조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PLL 회로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한 처리에 따라서, 국부 발진 회로(13)의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을 특정함으로써, 중간 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위해 필요해지는 발진 신호를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PLL 회로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처리에 따라서, 발진 회로(18)의 발진 주파수가 목적 주파수로 되는 제어 신호의 값을 특정함으로써, 스테레오 복조 처리를 행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발진 신호를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발진 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해 PLL 회로를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로 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FM 라디오 수신기(1)에 포함되는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AM 라디오 수신기에 포함되는 발진 회 로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발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를 8비트로 하였지만, 제어 신호는 8비트 이외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실시예에서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4분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가변 범위의 분할수는 4 이외이어도 된다.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고속으로 목적 주파수로 할 수 있는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발진 회로의 발진 주파수를 목적 주파수로 제어하는 발진 제어 장치로서,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가변 범위 분할부와,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목적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목적 주파수로 될 때까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가변 범위를 소정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는, FM 수신 신호 또는 AM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목적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는 동조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는, FM 수신 신호 또는 AM 수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수신 주파수의 신호에 혼합시켜서 중간 주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수신 주파수에 따른 상기 목적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국부 발진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회로는, FM 검파된 스테레오 복합 신호로부터 좌우의 음성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스테레오 복합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에 따른 상기 목적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6.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발진 주파수에서 발진함으로써, FM 수신 신호 또는 AM 수신 신호로부터 상기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추출하는 동조 회로와,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수신 주파수로 제어하는 발진 제어 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국 장치로서,
    상기 발진 제어 장치는,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가변 범위 분할부와,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수신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동조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수신 주파수로 될 때까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국부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국부 발진 회로와,
    상기 동조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수신 주파수의 신호에, 상기 국부 발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수신 주파수에 따른 상기 국부 발진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혼합 회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수신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국부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수신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될 때까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주파 신호를 FM 검파하여 스테레오 복합 신호를 출력하는 FM 검파 회로와,
    입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발진 회로와,
    상기 FM 검파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테레오 복합 신호와, 상기 발진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스테레오 복합 신호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의 신호에 기초하여, 좌우의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스테레오 복조 회로
    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값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상기 제어 신호의 가변 범위를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에 의해 분할된 각 부분의 경계의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되는 상기 제어 신호가 포함되는 상기 부분을 판정하고,
    상기 가변 범위 분할부는,
    상기 발진 회로의 상기 발진 주파수가 상기 파일럿 신호의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로 될 때까지,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되는 상기 부분을 상기 가변 범위로 하고, 상기 가변 범위의 분할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국 장치.
KR1020070035960A 2006-04-13 2007-04-12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 KR100831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0879 2006-04-13
JP2006110879A JP2007288326A (ja) 2006-04-13 2006-04-13 発振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選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799A KR20070101799A (ko) 2007-10-17
KR100831547B1 true KR100831547B1 (ko) 2008-05-22

Family

ID=38605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960A KR100831547B1 (ko) 2006-04-13 2007-04-12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6496B2 (ko)
JP (1) JP2007288326A (ko)
KR (1) KR100831547B1 (ko)
CN (1) CN101056096A (ko)
TW (1) TW2007466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5083A (ja) * 2006-06-02 2007-12-13 Neuro Solution Corp アンテナ入力同調回路
US8587124B2 (en) * 2007-09-21 2013-11-19 Teramikro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low dielectric insulat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816765B2 (ja) 2009-06-03 2011-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波受信装置
JP4816766B2 (ja) * 2009-06-03 2011-1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波受信装置
JP5263017B2 (ja) * 2009-06-11 2013-08-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波受信装置
CN111478743B (zh) * 2020-04-20 2021-06-22 吉林省广播电视研究所(吉林省广播电视局科技信息中心) 调频立体声测频解码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89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카 오디오의 자동 선국 방법
KR19990039237A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튜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352C (zh) * 1997-03-18 2004-06-09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接收机调谐系统
JP2002111527A (ja) 2000-10-02 2002-04-12 Niigata Seimitsu Kk 受信機およびそのトラッキング調整方法
US6960962B2 (en) * 2001-01-12 2005-11-01 Qualcomm Inc. Local oscillator leakage control in direct conversion processes
JP2002368642A (ja) * 2001-06-08 2002-12-20 Sony Corp 受信機およびic
US6819912B2 (en) * 2001-11-05 2004-11-1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ariable frequency switching amplifier and method therefor
JP3854912B2 (ja) * 2002-08-28 2006-12-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発振回路
TW200518484A (en) * 2003-11-26 2005-06-01 Niigata Seimitsu Co Ltd AM/FM radio receiver and local oscillation circuit using the same
US7202752B2 (en) * 2005-05-11 2007-04-10 Sigmatel, Inc. Controllable phase locked loop with output oscillation adjust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utput oscillation for use therewith
US7587184B2 (en) * 2005-06-30 2009-09-08 Silicon Laboratories Inc. Controlling fine frequency changes in an oscillator
US7936229B2 (en) * 2005-08-11 2011-05-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cal oscillator incorporating phase command exception handling utilizing a quadrature swi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789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카 오디오의 자동 선국 방법
KR19990039237A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튜닝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799A (ko) 2007-10-17
CN101056096A (zh) 2007-10-17
US7756496B2 (en) 2010-07-13
US20070243834A1 (en) 2007-10-18
JP2007288326A (ja) 2007-11-01
TW200746633A (en) 200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547B1 (ko)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
JP4916974B2 (ja) Fmチューナ
HU214918B (hu) Eljárás széles dinamikai tartományú, zárt hatásláncú automatikus erősítésszabályozás megvalósítására, valamint erősítésszabályozó áramkör
US7660566B2 (en) System for creating a programmable tuning voltage
JPH07202573A (ja) Fm搬送波の復調方法および復調回路
US5535442A (en) FM tuner having improved tuning speed
DK166059B (da) Afstemningssystem til fjernsynsapparater
EP0451277A1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KR0156938B1 (ko) 자동 선국 회로에 있어서 신호 강도의 피크 검출 회로
KR100831548B1 (ko) 발진 제어 장치, 및 선국 장치
DK163622B (da) Afstemningssystem til automatisk afstemning af en tuner i et fjernsynsmodtageapparat
KR100243832B1 (ko) 라디오 수신기
KR20010022059A (ko) 라디오 수신기
US6850113B2 (en) Demodulato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N1086868C (zh) 多信道通信系统中分开控制多信道增益的电路
KR100281360B1 (ko) 위상동기루프 에프엠/에이엠 튜너의 약전계 보상장치
CN100471039C (zh) 具有锁相回路的电路装置及具该电路装置的收发器
US6215829B1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eiving carrier wave signals
KR100809267B1 (ko) 전력 검출 방식 필터 튜닝 회로
JP6985592B2 (ja) 周波数調整装置、周波数調整方法、および無線機器
US20020146086A1 (en) Method and phase-locked loop for synchronization with a subcarrier contained in an intelligence signal
US20130324067A1 (en) Tuning circuit
SU760408A1 (ru) Диапазонный селективный усилитель 1
KR100743811B1 (ko) 송신 장치
US20030156221A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