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422B1 -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422B1
KR100830422B1 KR1020060107273A KR20060107273A KR100830422B1 KR 100830422 B1 KR100830422 B1 KR 100830422B1 KR 1020060107273 A KR1020060107273 A KR 1020060107273A KR 20060107273 A KR20060107273 A KR 20060107273A KR 100830422 B1 KR100830422 B1 KR 10083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levision
brightness
apl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675A (ko
Inventor
박기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0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화면을 통해 알파파를 발생시키는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 프레임별로 APL(Average pixel level)을 산출하는 단계, 각 프레임의 APL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에 대한 현재 프레임의 밝기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밝기 변화율이 설정 레벨이 이하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설정 레벨 이하이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텔레비전, 교육방송, 알파파, APL

Description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Method for generating alpha-wave of televis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의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파파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모리부
20: 밝기 조절부
30: 스케일러
40: 디스플레이부
50: 마이컴
60: 키입력부
본 발명은 텔레비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텔레비전의 화면을 통해 알파파를 발생시키는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뇌파는 뇌의 활동영역에 따라 네가지로 나누어지며 뇌전도(EEG)에 나타나는 각각의 뇌파 사이클도 다르다. 뇌파의 종류를 보면 13∼30㎐의 베타파, 8∼12㎐의 알파파, 4∼7㎐의 세타파 그리고, 1∼3㎐의 델타파 등이 있다.
뇌는 병렬활동을 하기 때문에 뇌파가 단일 주파로 깨끗하게 구분되어 관찰되는 일은 거의 없다. 뇌의 어느 부분은 알파파, 다른 부분은 베타파, 또 다른 부분은 세타파로 나타나 복잡하게 겹쳐있다. 그러므로 뇌파 상태가 주로 알파파라든가 베타파라고 하는 것이 바른 표현이다.
뇌파(Electroencephalogram:EEG)의 인위적 통제와 조정을 통해 학습능력과 지적활동을 확대시킬 수 있다는 이론이며, 뇌파는 대뇌활동의 각성수준을 나타내는데 주파수에 따라 알파(α), 베타(β), 세타(θ), 델타(δ) 등으로 구분이 된다.
알파(α)와, 세타(θ)라는 뇌파는 저주파로서 뇌가 휴식하고 있을 때 나타나는데 잠이 깊이 들어 있을 대 나타나는 델타(δ)파와는 다른 것으로 기억력, 창의력, 학습능력 발휘와 깊은 뇌파이다. 따라서, 이 두 뇌파를 인위적으로 발생시키거나, 통제함으로써 인간의 고등정신 기능의 발휘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알파파와 베타파에 대해서 설명하면, 알파파의 뇌파는 의식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의식이 가장 높은 상태에서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루고 있을 때 발생되는 뇌파가 알파파다.
알파파를 명상파라고도 하는데, 근육이 이완되고 마음이 편안하면서도 의식이 집중되고 있는 상태를 말하며, 그러므로 알파파가 나오면 몸과 마음이 매우 안정된 상태임을 뜻한다. 그리고 베타파는 의식이 깨어 있을 때의 뇌파이며, 이 상태가 계속되면 뇌는 혼돈에 이르고 초조해진다.
물론 학습효율도 저하되게 되며, 바람직한 상태로 뇌를 유지하고, 뇌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저뇌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알파파를 발생시켜 텔레비전으로 방송되는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음향을 통해 알파파를 출력하는 것에 한정되었다.
따라서, 화면제어를 통해서 알파파를 발생시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 설정된 설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변화시켜 알파파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은 각 프레임별으로 APL(Average pixel level)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 프레임의 APL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에 대한 현재 프레임의 밝기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밝기 변화율이 설정 레벨 이하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레벨 이하이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순차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정 레벨은 20%이고, 상기 프레임 주기는 7개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의 밝기는 상기 프레임 주기로 순차적으로 증가 및 감소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프레임별로 저장하는 메모리부(10),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신호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20), 밝기 조절부(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는 스케일러(30),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 메모리부(10)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통해 각 프레임별로 APL(Average pixel level)을 산출하고, 각 산출된 프레임별 APL이 이전 프레임에 비해 기 설정된 설정레벨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변화시킨다.
또한, 키입력부(60)는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키신호를 발생시켜 마이컴(50)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알파파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알파파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알파파 발생키(미도시)를 구비한다.
즉, 알파파 발생키가 입력되면, 마이컴(50)은 현재 프레임의 APL이 이전 프레임의 APL에 비해 20% 이하인 지를 판단하여 20% 이하이면, 소정 개수 바람직하게는 7개 또는 8개의 프레임 주기로 화면의 밝기를 순차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킨다.
프레임의 개수를 7개 또는 8개로 설정한 것은 통상 텔레비전의 수직동기 주파수가 60㎐ 이므로 8~9㎐의 알파파를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한 현재 프레임의 APL과 이전 프레임의 APL을 비교하여 20% 이하인 지를 판단하는 것은 이러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교육방송인 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교육방송의 경우 화면의 변화가 작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파파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은 사용자가 키입력부(60)의 알파파 발생키가 입력(S10)되면 메모리부(10)에 저장되는 영상신호의 각 프레임별로 APL을 측정하고 이 APL을 통해서 이전 프레임의 APL 대비 현재 프레임의 APL을 통해 프레임별 밝기 변화율을 산출(S20)한다.
이 때, 밝기 변화율이 설정레벨 즉, 20% 이하인 지를 판단(S30)하여 밝기 변 화율이 20% 이하이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반복적으로 변화시킨다.
따라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 또는 8개의 프레임 주기로 프레임 밝기가 순차적으로 증가 및 감소를 반복하여 8~9㎐의 알파파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 의 (a)는 종래의 프레임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밝기가 변화하는 프레임을 나타낸 것으로서,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을 반복적으로 밝기를 변화시켜 알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설정된 설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변화시켜 알파파를 구현함으로써, 교육 방송 시청시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각 프레임별으로 APL(Average pixel level)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각 프레임의 APL을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에 대한 현재 프레임의 밝기 변화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밝기 변화율이 설정 레벨 이하인 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레벨 이하이면, 소정 개수의 프레임 주기로 밝기를 순차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레벨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주기는 7개 또는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4. 삭제
KR1020060107273A 2006-11-01 2006-11-01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KR10083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273A KR100830422B1 (ko) 2006-11-01 2006-11-01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273A KR100830422B1 (ko) 2006-11-01 2006-11-01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675A KR20080039675A (ko) 2008-05-07
KR100830422B1 true KR100830422B1 (ko) 2008-05-20

Family

ID=3964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273A KR100830422B1 (ko) 2006-11-01 2006-11-01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732A (ja) * 2004-03-23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732A (ja) * 2004-03-23 2005-10-06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675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291B2 (en) Modifying a psychophysiological state of a subject
CN103796702B (zh) 用于诱发和维持睡眠的设备
CN102473394B (zh) 液晶显示装置
US20080319253A1 (en) Environment Adjustment System and Environment Adjustment Method, and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US20160030702A1 (en) Audio 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audio play device
TWI533273B (zh) 電力管理方法與電力管理裝置
JP2008203647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10104457A (ja) リフレッシュ誘導システム、リフレッシュ誘導方法
KR100830422B1 (ko) 텔레비전의 알파파 구현 방법
JP2010104456A (ja) 呼吸誘導システム
KR20120051125A (ko)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수면 환경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54393B2 (ja) 睡眠学習制御装置
JPH11234583A (ja) 輝度抑制装置
JP2008100086A (ja) 低周波治療装置の電気刺激方式及びその方法。
JP2011013558A (ja) 液晶表示装置
JP2010104455A (ja) 呼吸誘導システム、呼吸誘導方法、呼吸誘導プログラム
JP2007144112A (ja) 睡眠治療装置と、その脳波誘導方法を用いた脳波賦活方式、及び、サブリミナル学習システム。
CN108159546A (zh) 睡眠唤醒的方法和系统、监测设备、音频设备、灯光设备
JP4165707B2 (ja) 刺激提示システム
JP2008200507A (ja) 睡眠治療装置と、その脳波誘導方法を用いた脳波賦活方式、及び、サブリミナル学習システム。
CN110935089A (zh) 一种助眠和心理疗愈系统
KR100525413B1 (ko)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JP4916207B2 (ja) 浴室用機器の制御装置
KR100713287B1 (ko) 영상표시기기 및 알파파 발생 유도방법
JP2007507926A (ja) ビデオ信号の輝度レベルを調節することでビデオ信号におけるデータを送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