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273B1 - 비-평면 티슈 제품 - Google Patents

비-평면 티슈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273B1
KR100828273B1 KR1020037002253A KR20037002253A KR100828273B1 KR 100828273 B1 KR100828273 B1 KR 100828273B1 KR 1020037002253 A KR1020037002253 A KR 1020037002253A KR 20037002253 A KR20037002253 A KR 20037002253A KR 100828273 B1 KR100828273 B1 KR 100828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raised
article
topography
raised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390A (ko
Inventor
패트릭 피. 첸
다니엘 알. 스프랭거스
마크 에이. 버라진
웬 슈뢰더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0936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282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9/641,355 external-priority patent/US6464829B1/en
Priority claimed from US09/641,100 external-priority patent/US6478927B1/en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1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05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40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being non-planar, e.g. crêped

Landscapes

  • Paper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융기된 영역을 갖는 두 표면을 가진 티슈가 제공된다. 융기된 영역은 패턴화된 직물, 와이어-메쉬 및(또는) 가압 롤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제지기술 및 장치를 이용해서 티슈의 표면에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슈는 z-방향에서 상당한 섬유밀도구배를 가지고, x-y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밀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티슈는 또한 개선된 흡수 성질을 위해 z-방향에서는 상당한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지고 x-y 평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03005237217-pct00001
티슈, 융기된 영역, 공극크기분포구배, 섬유밀도구배

Description

비-평면 티슈 제품 {Non-Planar Tissue Paper}
소비자들은 티슈와 같은 종이 와이핑(wiping) 제품을 폭넓고 다양한 응용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종류의 티슈가 코 케어(nose care), 화장, 안경 세정 등과 같은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러한 티슈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티슈가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게다가, 사용자는 티슈가 사용시 사용자의 손을 실질적으로 적시지 않고 어느 정도의 양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기를 바라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과거에는,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티슈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면, 많은 경우에 있어서, 티슈는 티슈 제품의 부드러운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학첨가제(즉, 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적용을 통해 부드러워진다. 게다가, 다른 경우에서는, 보다 더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기 위해 티슈의 한쪽면에 반구형(dome)을 부여한다.
과거에는, 반구형이 대표적으로는 압력의 적용에 의해 티슈 표면에 부여되었다. 예를 들면, 티슈형성방법에 관한 한 선행기술이 트로칸(Trokhan) 등의 미국 특허 제5,556,509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 문헌은 전내용을 참고로 본원에 포함시킨다. 트로칸은 가열된 건조기 드럼의 표면에 웹을 부착시키고, 그것을 드럼과 롤러 사이의 한 닙에서 압착시켜서 다른 높이의 융기부를 갖는 웹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웹을 형성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어서, 웹을 건조기로부터 크리핑하고 릴에 감는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티슈가 갖는 한가지 문제점은 대표적으로 그것은 "앞뒤가 따로따로인" 촉감(two-sided feel)을 갖는다는 점이다. 게다가, 이러한 통상의 티슈는 또한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나쁜 흡수성질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한 것과 같은 통상의 티슈는 일반적으로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 및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통상의 티슈는 x-y 평면(또는, 기계방향 및 횡방향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서는 상당한(substantial) 섬유밀도구배를 가지는 반면, z-방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밀도구배를 가져서 더 높은 밀도구배가 z-방향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x-y 평면에 존재한다.
이러한 밀도구배의 결과로서, 상기한 통상의 티슈는 또한 x-y 평면에서는 상당한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지고 z-방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져서 더 높은 공극크기분포구배가 z-방향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x-y 평면에 존재한다. 예를 들면, 통상의 티슈는 그 영역들에 의해 형성된 더 큰 공극 및 그 영역들에 의해 형성된 더 작은 공극을 갖는다. 그러나, 액체는 보통 작은 공극보다는 큰 공극을 통해 더 빠른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선행기술의 티슈를 사용할 때는 사용자의 손이 쉽게 젖을 수 있다. 특히, 물은 그 영역의 공극들을 통해 사용자의 손으로 쉽게 흐를 수 있다.
이리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고 좋은 흡수성질을 갖는 개선된 티슈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융기된 영역들을 갖는 표면을 가진 티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티슈는 한 토포그라피(topography)를 갖는 한 표면 및 다른 토포그라피를 갖는 또다른 표면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두 표면에 "융기된 영역들"을 갖는 티슈에 관한 것이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된 "융기된 영역"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반구형, 포물선형, 쌍곡선형, 역원뿔형, 그의 복합 또는 조합 또는 가변적 윤곽을 갖는 형상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형상이 티슈 표면에 부여된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티슈에는 두 표면이 다른 피치 깊이, 수(즉, 주어진 면적에서 융기된 영역의 수), 피치 폭, 방향, 형상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도록 융기된 영역을 갖는 두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각 티슈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잘 알려진 다양한 제지 기술 및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접촉되었을 때 티슈의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형성하도록 패턴화된 직물, 패턴화된 롤, 와이어-메쉬(wire-mesh) 등과 같은 돌출부를 함유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티슈를 형성할 때는 쓰루-에어 건조(through-air drying), 크리핑, 엠보싱, 캘린더링 등과 같은 다양한 제지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한 특별한 실시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비크리핑 쓰루-에어 건조라고 알려진 기술을 이용해서 티슈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먼저, 형성직물 위에 섬유웹이 침착된다. 이어서, 필요하다면 진공 상자 또는 슈(shoe)의 도움으로, 웹 이 형성직물로부터 전달직물로 전달된다. 이 전달 단계 동안(즉, "러쉬(rush) 전달"), 웹의 컨시스턴시는 대표적으로 약 35% 건조중량 미만, 특히 약 15% 내지 약 30% 건조중량이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티슈의 한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돌출부가 전달 직물에 제공될 수 있다. 전달 직물의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대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 직물은 피치 깊이가 약 0.010 ㎜ 초과, 특히 약 0.025 내지 약 2 ㎜, 보다 특히 약 1 내지 약 1.8 ㎜이고, 피치 폭이 약 0.001 ㎜ 초과, 특히 약 0.005 내지 약 5 ㎜, 보다 특히 약 0.25 내지 약 2.5 ㎜인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전달 직물은 또한 상이한 돌출 방향, 단위면적 당 수,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이어서, 웹을 실질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섬유웹이 전달 직물로부터 쓰루-에어 건조기(그러나, 다른 건조기들도 똑같이 적당함)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웹이 약 60 중량% 미만, 특히 약 25 내지 약 50% 건조중량의 컨시스턴시로 전달직물로부터 쓰루-에어 건조기로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또한 쓰루-에어 건조기도 티슈의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장치는 쓰루-에어 건조기 둘레를 감싼 패턴화된 직물 또는 와이어-메쉬 표면일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피치 깊이가 약 0.010 ㎜ 초과, 특히 약 0.025 내지 약 2 ㎜, 보다 특히 약 1 내지 약 1.8 ㎜이고, 피치 폭이 약 0.001 ㎜ 초과, 특히 약 0.005 내지 약 5 ㎜, 보다 특히 약 0.25 내지 약 2.5 ㎜인 돌출부 몇개를 갖는 쓰루-에어 건조 직물 이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쓰루-에어 건조 직물은 또한 상이한 돌출 방향, 단위면적 당 수, 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또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쓰루-에어 건조기가 몇개의 와이어 돌출부로 정의된 공간도 갖는 와이어-메쉬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경우, 와이어-메쉬는 그 공간이 전체 와이어-메쉬 표면적의 총면적의 약 20% 이상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한 실시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와이어-메쉬 표면이 약 0.029 ㎜의 직경을 갖는 와이어 돌출부 및 또한 약 0.005 ㎟의 면적을 갖는 돌출부에 의해 정의된 공간을 함유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티슈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압력을 적용하기 위해 가압 롤과 같은 다른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실시태양에서는, 티슈가 닙을 통해 이동할 때 티슈를 쓰루-에어 건조기를 향해 압착할 수 있다. 가압 롤은 평탄한 또는 패턴화된 표면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롤 둘레를 감싸는 평탄한 또는 패턴화된 직물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실시태양에서, 가압 롤은 약 60 psi(pound per square inch) 미만, 특히 약 35 내지 약 40 psi의 압력을 티슈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슈는 일반적으로 두 표면이 융기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각 표면은 피치 깊이, 피치 폭, 단위면적 당 수, 방향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는 융기된 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태양에서, 티슈의 한 표면은 티슈의 다른 한 표면보다 평방인치 당 약 50% 이상 더 많은, 특히 약 50% 내지 약 300%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을 갖는다. 게다가,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티슈의 한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가 티슈의 다른 한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보다 약 20 내지 약 100% 더 크다.
더욱이, 본 발명의 티슈는 z-방향에서 상당한 섬유밀도구배를 갖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티슈는 또한 더 높은 밀도구배가 x-y 평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z-방향에 존재하도록 x-y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밀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섬유밀도구배(들)을 티슈에 제공함으로써, 티슈는 개선된 흡수성과 같은 다양한 개선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티슈는 또한 더 높은 공극크기분포구배가 x-y 평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z-방향에 존재하도록 z-방향에서는 상당한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지고 x-y 평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z-방향에서 상당한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짐으로써, 티슈는 더 느린 속도로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게다가, x-y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갖는 결과, 티슈는 또한 티슈를 통한 액체 흐름에 대한 액체전달배리어로 역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양상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당업계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를 위한 본 발명의 가장 좋은 방식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대한 충분하고 가능케하는 설명을 명세서의 아래 부분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티슈의 표면 위에 융기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한 실시태양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티슈의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한 실시태양의 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티슈의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또다른 실시태양의 횡단면도.
도4는 도3에 예시된 실시태양의 또다른 횡단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티슈의 한 실시태양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패턴화된 직물의 투시도.
도5B는 본 발명의 티슈의 한 실시태양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와이어-메쉬의 투시도.
도6A는 종래의 티슈의 여러 영역의 섬유밀도의 횡단면도.
도6B는 도6A에 예시된 종래의 티슈의 여러 영역의 공극크기분포의 횡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티슈의 한 실시태양의 여러 영역의 섬유밀도의 횡단면도.
도7B는 본 발명의 티슈의 한 실시태양의 여러 영역의 공극크기분포의 횡단면도.
본원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부호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대표적인 실시태양에 대한 상세한 설명
이제, 본 발명의 여러 실시태양을 상세히 언급할 것이고, 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예를 기재한다. 각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사실상, 당업계 숙련자에게는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에서 벗 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 및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추가의 실시태양을 만들기 위해 한 실시태양의 일부로서 예시 또는 기재된 특징을 또다른 실시태양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및 그의 균등물 내에 해당하는 그러한 모든 변형 및 변화를 망라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두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갖는 티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티슈는 피치 깊이, 수(즉, 주어진 면적에서 융기된 영역의 수), 피치 폭, 방향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이 다른 토포그라피를 갖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두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융기된 영역을 갖는 다양한 티슈 또는 다른 종류의 종이웹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슈는 1겹 또는 여러겹 티슈일 수 있다. 보통, 본 발명의 티슈의 기초중량은 약 120 gsm(gram per square meter) 미만, 특히 약 60 gam 미만, 특히 약 10 내지 약 50 gsm 미만, 보다 특히 약 15 내지 약 35 gsm 미만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티슈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적당한 천연섬유는 아바카, 사바이 그래스(sabai grass), 밀크위드 플로스 섬유(milkweed floss fiber), 파인애플잎 섬유와 같은 비목질 섬유; 북부산 및 남부산 침엽수 크라프트 섬유와 같은 침엽수 섬유; 및 유칼립투스, 단풍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포플러 등과 같은 활엽수 섬유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 는다. 다른 적당한 펄프의 예는 남부산 소나무, 미국삼나무, 북미산 솔송나무 및 북미산 가문비나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당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긴 펄프 섬유의 예는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Kimberly-Clark Corporation)으로부터 "롱락-19"(Longlac-19)라는 상표명으로 입수가능한 것들을 포함한다. 게다가, 재생섬유를 포함하는 퍼니쉬(furnishes)도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몇몇 적당한 합성섬유는 레이온 섬유 및 에틸렌 비닐 알콜 코폴리머 섬유와 같은 친수성 합성섬유 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은 소수성 합성섬유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티슈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제지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어떤 특정 제지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사실상, 본 발명에서는 종이웹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지방법은 크리핑, 엠보싱, 습식압착법, 쓰루-에어 건조, 크리핑 쓰루-에어 건조, 비크리핑 쓰루-에어 건조, 싱글 리크리핑(single recreping), 더블 리크리핑(double recreping), 캘린더링, 뿐만 아니라 다른 단계를 티슈 형성에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제, 본 발명의 티슈를 형성하기 위한 한 특정 실시태양을 설명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태양은 비크리핑 쓰루-에어 건조라고 알려진 제지기술을 이용하여 융기된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티슈를 형성하기 위한 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의 예는 쿡(Cook) 등의 미국 특허 제5,048,589호, 수달(Sudall) 등의 미국 특허 제5,399,412호; 헤르만(Hermans) 등의 미국 특허 제5,510,001호; 루고우스키(Rugowski) 등의 미국 특허 제5,591,309호; 웬트(Wendt) 등의 미국 특허 제6,017,417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문헌은 전내용을 참고로 본원에 포함시킨다. 비크리핑 쓰루-에어-드라잉은 일반적으로 (1) 셀룰로스 섬유, 물 및 임의로, 다른 첨가제의 공급물을 형성하는 단계; (2) 공급물을 이동 유공벨트 위에 침착시킴으로써 이동 유공벨트 위에 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 (3) 섬유웹을 쓰루-드라잉시켜 섬유웹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건조된 섬유웹을 이동 유공벨트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1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지기술의 한 실시태양이 예시되어 있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 몇개의 직물 런(run)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 여러 인장 롤을 도식적으로 나타내었지만 번호는 매기지 않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지 헤드박스(10)을 이용해서 제지섬유의 수현탁액 스트림을 형성직물(13) 위에 분사 또는 침착시킬 수 있고, 형성직물은 금방 형성된 습윤 웹(11)이 약 10% 건조중량의 컨시스턴시로 부분탈수되는 동안 웹을 지지하고 공정의 하류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습윤 웹의 추가 탈수는 습윤 웹이 형성직물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예를 들어 진공흡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헤드박스(10)은 통상의 헤드박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다층 단일웹을 형성할 수 있는 층화된 헤드박스일 수 있다. 게다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층상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헤드박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형성직물(13)은 일반적으로 금속 와이어 또는 폴리머 필라멘트와 같은 적당한 다공성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적당한 직물은 알바니 인터내셔날(Albany International; 미국 뉴욕주 알바니)로부터 입수가능한 알바니(Albany) 84M 및 94M; 애스턴 포밍 패브릭스, 인크.(Asten Forming Fabrics, Inc.; 미국 위스콘신주 애플턴)로부터 입수가능한 애스턴(Asten) 856, 866, 892, 959, 937 및 애스턴 신위브 디자인(Asten Synweve Design) 274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그 직물은 트로칸(Trokhan)의 미국 특허 제4,529,480호(이 문헌은 전내용을 참고로 본원에 포함시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직포일 수도 있다. 스펙트라 시리즈(Spectra Series)와 같은 압출된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제조된 스카파 코포레이션(Scapa Corporation)의 것들을 포함하여 부직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형성 직물 또는 펠트도 유용할 수 있다. 웹에 텍스처 및 기초중량 변화를 부여하는 데 적당한 텍스처화된 직물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평탄한 형성직물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적당한 직물은 애스턴 934 및 939, 또는 린드세이(Lindsey) 952-S05 및 2164 직물(Appleton Mills, Wis.)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습윤 웹(11)은 형성직물(13)으로부터 전달직물(17)로 전달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달직물"이라는 용어는 웹 제조공정의 형성 섹션과 건조 섹션 사이에 있는 직물이다. 전달직물(17)은 대표적으로 웹에 증가된 신장도를 부여하기 위해 형성직물(13)보다 더 느린 속도로 이동한다. 두 직물간의 상대 속도 차는 0% 내지 약 80%, 특히 약 10% 초과, 더 특히 약 10% 내지 약 60%, 가장 특히 약 10% 내지 약 40%일 수 있다. 이것은 흔히 "러쉬"(rush) 전달이라고 불린다. 러쉬 전달을 수행하는 한가지 유용한 방법은 엥겔(Engel) 등의 미국 특허 제5,667,636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 문헌의 전내용을 참고로 본원에 포함시킨다.
전달은 형성직물(13) 및 전달직물(17)이 진공슬롯의 선두 에지에서 동시에 수렴 및 발산하도록 하는 진공 슈(18)의 도움으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공 슈(18)은 약 10 내지 약 25 인치의 수은 수준의 압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진공 전달 슈(18)(부압)은 다음 직물 위로 웹을 송풍 전달하기 위해 웹의 반대쪽으로부터 정압을 사용함으로써 보충 또는 대체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섬유 웹(11)을 전달직물(17)의 표면으로 끌어당기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진공 슈(20)과 같은 다른 진공 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러쉬 전달 동안, 섬유웹(11)의 컨시스턴시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25 인치의 수은의 진공 수준에서 진공 슈(18)에 의해 도움을 받을 때, 웹(11)의 컨시스턴시는 약 35% 건조중량 이하일 수 있고, 특히 약 15% 내지 약 30% 건조중량일 수 있다.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전달직물(17)이 웬트 등의 미국 특허 제6,017,417호(이 문헌은 전내용을 참고로 본원에 포함시킴)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돌출부 또는 임프레션 너클(impression knuckle)을 갖는 패턴화된 직물이다. 예를 들면, 도2 및 5A를 보면, 패턴화된 전달직물(17)은 전달직물(17)은 섬유웹(11)이 압착되어 전달직물(17)과 접촉할 때 섬유웹(11)에 융기된 영역이 부여될 수 있게 하는 돌출부(37)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7A -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웹의 한쪽 표면에 융기된 영역이 부여될 수 있다.
패턴화된 전달직물(17)이 이용되는 경우, 그것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어떠한 패턴이라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직물(17)을 위한 패턴은 섬유웹(11)에 평방인치 당 약 5 내지 약 300개의 융기된 영역을 찍을 수 있다. 더우기, 돌출부(37)은 피치 깊이 "a"가 약 0.010 ㎜ 초과, 특히 약 0.025 내지 약 2 ㎜, 더 특히 약 1 내지 약 1.8 ㎜이고, 피치 폭 "b"가 약 0.001 ㎜ 초과, 특히 약 0.005 내지 약 5 ㎜, 더 특히 약 0.25 내지 약 2.5 ㎜일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전달직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은 와이어-메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실시태양에서, 전달직물은 와이어가 1.14 ㎜의 직경 및 8x13의 "메쉬-카운트"를 갖는 와이어-메쉬 표면을 갖는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메쉬-카운트는 일정 방향에서 와이어-메쉬에 의해 인치 당 형성된 개방 공간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8x13의 메쉬-카운트는 8개 공간의 길이 및 13개 공간의 폭을 갖는 와이어-메쉬를 의미한다. 또, 전달직물(17)은 상이한 피치 깊이를 갖는 융기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원한다면 하나 초과의 평면에서 돌출부(37)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특정 간격, 양 또는 크기의 돌출부(37)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전달직물(17)은 또한 원하는 각도로 있는 돌출부(37)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의 피치 방향이 기계방향일 수 있거나, 또는 기계방향으로부터 약 45°이하의 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각도도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좀더 복잡하거나 불규칙한 표면 토폴로지를 갖는 티슈를 형성할 때 그러하다. 게다가, 전달직물(17)의 상이한 돌출부(37)의 피치 방향이 또한 상이한 각도로 있을 수 있다.
이어서, 전달직물(17)로부터 섬유웹(11)이, 임의로 진공 전달 슈(42) 또는 롤의 도움으로, 쓰루-에어 건조기(21)로 전달된다. 진공 전달 롤 또는 슈(42)(부압)는 또한 웹을 다음 직물로 송풍 전달하기 위해 웹의 반대쪽으로부터 정압을 사 용함으로써 보충 또는 대체될 수 있다. 웹(11)은 대표적으로 약 60 중량% 미만, 특히 약 25 내지 약 50% 건조중량의 컨시스턴시로 닙(40)에서 전달직물(17)로부터 쓰루-에어 건조기(21)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11)을 쓰루-에어 건조기(21)을 향해 닙(40)에서 압착하기 위해 가압 롤(45)가 이용될 수 있다. 롤(45)는 스틸, 알루미늄, 마그네슘, 놋쇠 또는 경질 우레탄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압 롤(45)의 표면은 제지공정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섬유웹(11)의 "롤쪽 면"에 패턴화된 전달직물(17)에 의해 반구형들이 이미 부여되었을 때는, 가압 롤(45)가 평탄한 표면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섬유웹의 "롤쪽 면"이라는 용어는 닙(40)에서 가압 롤(45)쪽으로 향하는 웹(11)의 면을 의미한다. 평탄한 표면을 갖는 가압 롤(45)가 사용될 때, 그것은 다양한 잘 알려진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 롤(45) 자체가 상대적으로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상대적으로 평탄한 직물로 가압 롤(45) 둘레를 감쌀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가압 롤(45)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패턴화된 표면을 갖거나 또는 패턴화된 직물로 감싸여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화된 가압 롤(45)는 전달직물(17)이 평탄한 표면을 가질 때 섬유웹의 "롤쪽 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패턴화된 가압 롤(4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 롤(45)의 표면은 평탄한 것이건 패턴화된 것이건 여하간에, 일반적으로 닙(40)에서 섬유웹(11)을 쓰루-에어 건조기(21)를 향해 가압한다. 일반적으로, 가압 롤(45)는 다양한 압력으로 웹(11)을 쓰루-에어 건조기(21)을 향해 압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태양에서, 약 60 psi 미만, 특히 약 35 내지 약 40 psi의 롤 압력이 이용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태양에서, 쓰루-에어 건조기(21)에는 웹(11)의 "건조기쪽 면"에 반구형을 부여하기 위해 패턴화된 표면이 제공된다. "롤쪽 면"의 반대쪽인 웹(11)의 "건조기쪽 면"은 일반적으로 닙(40)에서 건조기(21)쪽으로 향하는 섬유웹(11)의 면을 의미한다. 웹(11)의 건조기쪽 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쓰루-에어 건조기(21)에 패턴화된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태양에서, 쓰루-에어 건조기(21)은 웹의 "건조기쪽 면"에 융기된 영역을 갖는 표면을 부여하기 위해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어-메쉬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특별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루-에어 건조기(21)은 와이어(47)이 약 0.029 ㎜의 직경을 가지고 와이어에 의해 정의된 공간(49)가 약 0.005 ㎟의 면적을 갖는 와이어-메쉬 표면을 갖는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와이어(47)은 약 1 ㎜의 직경 및 4x4의 메쉬-카운트를 갖는다. 게다가, 대부분의 실시태양에서, 와이어-메쉬는 개방 공간(49)가 전체 와이어-메쉬 표면적의 총면적의 약 20% 이상을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크기의 와이어-메쉬 표면들이 적당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쓰루-에어 건조기(21)에는 또한 도 1 및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쓰루-에어 건조 직물(19)가 제공될 수 있다.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전달직물(17)과 거의 동일한 속도로 또는 다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한다면,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신장도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더 느린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쓰루-에어 건조 직물(19)가 이용될 때, 쓰루-에어 건조 직물(19)에는 대표적으로 섬유웹의 "건조기쪽 면"에 융기된 영역을 갖는 표면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돌출부 또는 임프레션 너클이 제공된다. 이러한 직물의 몇몇 예는 웬트(Wendt) 등의 미국 특허 제6,017,417호에 기재되어 있다.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직포 또는 부직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패턴화된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원하는 어떠한 패턴이라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쓰루-에어 건조 직물(19)의 돌출부(47)은 섬유웹(11)에 평방인치 당 약 5 내지 약 300 개의 융기된 영역을 찍을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47)은 피치 깊이 "a"가 약 0.010 ㎜ 초과, 특히 약 0.025 내지 약 2 ㎜, 더 특히 약 1 내지 약 1.8 ㎜일 수 있고, 피치 폭 "b"가 약 0.001 ㎜ 초과, 특히 약 0.005 내지 약 5 ㎜, 더 특히 약 0.25 내지 약 2.5 ㎜일 수 있다. 또한,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원한다면, 상이한 피치 깊이를 갖는 융기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초과의 평면에 돌출부(47)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어떤 특정 수 또는 크기의 돌출부(47)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또한 원하는 각도로 있는 돌출부(47)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47)의 피치 방향이 기계방향일 수 있거나, 또는 기계방향으로부터 약 45°이하의 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각도도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좀더 복잡하거나 불규칙한 표면 토폴로지를 갖는 티슈를 형성할 때 그러하다. 게다가, 쓰루-에어 건조 직물(19)의 상이한 돌출부(47)의 피치 방향이 또한 상이한 각도로 있을 수 있다.
이용된 메카니즘에 상관없이, 섬유웹(11)의 "건조기쪽 면"에는 일반적으로 "롤쪽 면"과 다른 패턴의 융기된 영역이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서, 가압 롤(45)는 동시에 닙(40)에서 전달직물(17) 및 쓰루-에어 건조 직물(19)와 접촉하도록 섬유웹(11)을 압착한다. 전달직물(17)은 제1 패턴의 돌출부(37)을 가지고, 웹(11)의 "롤쪽 면"에 제1 패턴의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고, 한편, 쓰루-에어 건조 직물(19)는 제2 패턴의 돌출부(47)을 가지고, 웹(11)의 "건조기쪽 면"에 제2 패턴의 융기된 영역을 부여한다.
가압 롤(45)가 일단 섬유웹(11)을 쓰루-에어 건조기(21)을 향해서 찍으면, 쓰루-에어 건조기(21)은 어떠한 기계적 압력을 적용하지 않고도 웹을 통해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웹(11)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쓰루-에어 건조는 웹의 벌크 및 부드러움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쓰루-에어 건조기는 회전가능한 구멍뚫린 실린더, 및 쓰루-에어 건조 직물(19)가 실린더의 윗부분 위로 섬유웹(11)을 운반할 때 실린더의 구멍을 통해 송풍된 뜨거운 공기를 수용하기 위한 후드(50)을 함유할 수 있다. 가열된 공기가 쓰루-에어 건조기(21)의 실린더의 구멍들을 통해 강제로 송풍되어, 섬유웹(11)로부터 남아있는 물을 제 거한다. 쓰루-에어 건조기(21)에 의해 섬유웹(11)을 통해 강제 송풍된 공기의 온도는 다양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약 250 내지 약 500 ℉이다. 또한, 자외선 또는 적외선 가열과 같은 다른 비압축 건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게다가, 원한다면, 양키 건조기와 같은 몇몇 압축 가열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웹은 쓰루-에어 건조 직물(19)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동안, 쓰루-에어 건조기(21)에 의해 약 95% 이상의 컨시스턴시로 건조된 후 캐리어 직물(22)로 전달된다. 이어서, 양면이 융기된 영역을 갖는 건조된 베이스시트(23)이 캐리어 직물(22)로부터 릴(24)로 수송되어 거기에 감겨진다. 캐리어 직물(22)로부터 릴(24)로의 웹 전달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임의로 터닝 롤(26)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융기된 영역을 갖는 티슈를 형성하기 위한 한 방법에 지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크리핑 등과 같은 다른 잘 알려진 제지 단계들도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티슈를 형성하는 방법은 또한 티슈의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장치(예: 전달직물, 가압 롤, 쓰루-에어 건조 직물 등)를 사용하는 것에만 제한되는 것도 아니다. 사실상, 원하는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직물, 롤 등과 같은 다른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다.
티슈의 각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그 티슈가 개선된 부드러움 및 흡수성과 같은 다양한 개선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티슈는 각 표면에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합된 융기된 영역들을 가지기 때문에, 티슈의 각 면은 부드러운 촉감을 가진다.
게다가, 본 발명의 티슈는 또한 다양한 다른 유리한 성질을 갖는다. 예를 들면, 티슈의 표면은 액체의 흡수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있거나) 티슈를 통한 액체 전달에 대한 배리어로서 역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티슈는 일반적으로 더높은 밀도구배가 x-y 평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z-방향으로 존재하도록 x-y 평면(또는 기계방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밀도구배를 가지면서, 또한 z-방향에서는 상당한 섬유밀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각 티슈 표면에는 상이한 깊이, 폭, 방향, 단위면적 당 융기된 영역의 수 등과 같이 상이한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는 융기된 영역이 부여된다. 예를 들면,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티슈의 한 표면이 티슈의 다른 한 표면보다 평방인치 당 약 50% 이상, 특히 약 50% 내지 약 300%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을 갖는다. 게다가,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티슈의 한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가 티슈의 다른 한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보다 약 20 내지 약 100% 더 크다.
도7A-7B에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1겹 티슈(60)의 한 실시태양이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60)은 제1 표면(62)가 제2 표면(72)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도록 융기된 영역(63)을 갖는 제1 표면(62) 및 융기된 영역(73)을 갖는 제2 표면(7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이 실시태양에서, 융기된 영역(73)의 수(즉, 평방인치 당 융기된 영역 수)가 융기된 영역(63)의 수보다 적고, 한편 융기된 영역(73)은 융기된 영역(63)보다 더 큰 피치 폭 및 깊이를 갖는다. 융기된 영역(73)은 평방인치 당 수가 더 작고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대표적으로 서로간에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를 유지하는 섬유를 함유한다. 따라서, 섬유간에 더 작은 수소결합이 형성될 것이고, 따라서 융기된 영역(73)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섬유밀도를 갖는 경향이 있다. 한편, 융기된 영역(63)은 대표적으로 서로간에 상대적으로 더 짧은 거리를 유지하는 섬유를 함유한다. 따라서, 제1 표면(62)의 융기된 영역(63)은 제2 표면(72)의 융기된 영역(73)보다 더 높은 섬유밀도를 갖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티슈는 z-방향에서 상당한 섬유밀도구배를 갖는다.
게다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슈는 또한 x-y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밀도구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다시 도7A를 보면, 제1 표면(62) 및 제2 표면(72)의 섬유밀도가 x-y 평면에서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특히, 티슈의 각 표면에 융기된 영역의 사용은 섬유 압축의 대부분이 제2 표면(72)의 더 큰 융기된 영역(73) 가까이에서가 아니라 제1 표면(62)의 더 작은 융기된 영역(63) 가까이에서 일어나게 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따라서, x-y 평면에서의 섬유밀도가 한 표면에 대해서 약간 달라질 수는 있지만(즉, 융기된 영역을 형성하는 표면의 부분과 돌출부 사이에서 찍힌 표면의 부분이 다름), x-y 평면에서의 섬유밀도가 통상의 티슈에서처럼 실질적으로 변하지는 않는다.
z-방향에서의 상당한 섬유밀도구배 및 x-y 평면에서의 상대적으로 낮은 섬유밀도구배를 제공함으로써, 이렇게 하여 얻은 티슈는 개선된 흡수성과 같이 다양한 개선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섬유간의 수소결합이 적은 융기된 영역은 일 반적으로 섬유간의 수소결합이 큰 융기된 영역보다 더 큰 공극크기분포를 가진다. 예를 들면, 도7B를 보면, 제2 표면(72)의 더 큰 융기된 영역(73)은 일정 면적의 공극(74)를 갖는다. 이에 반해, 제1 표면(62)의 더 작은 융기된 영역(63)은 일반적으로 공극(74)보다 면적이 더 작은 공극(64)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티슈는 대표적으로 더 높은 공극크기분포구배가 x-y 평면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z-방향에 존재하도록 z-방향에서는 상당한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지고 x-y 평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티슈가 z-방향에서 이러한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동하는 액체가 작은 공극보다는 큰 공극을 통해 더 쉽게 흐르게 하는 모세관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고 믿어진다. 작은 공극은 액체를 큰 공극으로부터 유인하는 "진공"으로 역할함으로써, 티슈 표면으로부터의 액체 흡수속도를 증가시킨다. 게다가, 액체가 작은 공극을 통해서는 느린 속도로 흐르기 때문에, 액체는 작은 공극에 더 오랜 기간 동안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x-y 평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가지는 결과, 액체가 x-y 평면에서 몇몇 작은 공극으로부터 다른 작은 공극으로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공극은 종종 티슈를 통한 액체 흐름에 대한 액체 전달 배리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7B를 보면, 본 발명의 티슈는 큰 공극(74) 및 작은 공극 (64)를 가질 수 있다. 액체가 큰 공극(74)를 갖는 제2 표면과 접촉할 때, 그것은 그를 통해 빨리 흐른다. 액체가 일단 큰 공극을 통해 흐른 다음에는, 그것은 작은 공극(64)와 접촉하고, x-y 평면에서 분산된다. 따라서, 한 티슈 표면에 의해서는 액체 흡수속도가 증가되고, 다른 한 티슈 표면에 의해서는 사용자의 손을 상대적으로 마르게 유지시키는 액체 전달 배리어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액체가 작은 공극(64)를 갖는 제1 표면(62)와 먼저 접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표면(62)는 사용자의 손을 상대적으로 마르게 유지시키는 액체 전달 배리어로 여전히 역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티슈는 1겹 또는 여러겹 티슈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러겹 티슈를 이용할 때, 그들 중 1겹 이상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어떤 경우에는, 여러겹 티슈의 바깥 표면들에만 융기된 영역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실시태양에서는, 2겹 티슈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겹은 융기된 영역을 가진 한 표면 및 융기되지 않은 영역을 가진 다른 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겹도 융기된 영역을 가진 한 표면 및 융기되지 않은 영역을 가진 다른 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1겹의 융기되지 않은 영역을 가진 표면을 제2겹의 융기되지 않은 영역을 가진 표면과 인접하게 둠으로써 융기된 영역을 가진 두 표면을 갖는 여러겹 티슈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는, 1겹의 양쪽 표면이 다른 크기의 융기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겹은 큰(예: 깊이, 폭 등) 융기된 영역을 갖는 한 표면 및 작은 융기된 영역을 갖는 다른 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또, 제2겹도 큰 융기된 영역을 갖는 한 표면 및 작은 융기된 영역을 갖는 다른 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제1겹의 작은 융기된 영역을 제2겹의 작은 융기된 표면에 인접하게 둠으로써 몇가지 이로운 성질을 갖는 여러겹 티슈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액체 가 여러겹 티슈의 중앙으로 빨리 흡수될 수 있고, 작은 융기된 영역을 갖는 표면들에 의해 x-y 평면에 분산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여러겹 티슈가 소비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소비자들은 한꺼번에 하나 초과의 티슈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각 바깥 겹의 바깥 표면이 본 발명에 따라 융기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때, 액체는 z-방향을 따라서 흐르는 대신 x-y 평면을 따라 흐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티슈를 통해 액체가 전달되는 데 요하는 시간이 증가된다. 이것은 티슈의 액체 흡수력을 늦추지 않고서도 소비자의 손이 보호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이익을 제공한다.
위에서 논의된 이익 및 이점 이외에도, 본 발명의 티슈는 또한 다양한 다른 이익들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갖는 티슈는 티슈의 캘리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것은 원하는 시트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더 작은 융기된 영역(예: 작은 피치 깊이 또는 폭)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티슈의 각 표면이 어느 정도의 수소결합을 가지기 때문에, 린트(lint) 및 슬러프(slough)가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태양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계 숙련자들은 상기 내용을 이해하면 이들 실시태양에 대한 변경, 변화 및 균등물을 쉽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의 균등물의 범위로 평가되어야 한다.

Claims (35)

  1. 제1 토포그라피를 형성하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토포그라피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는 제2 토포그라피를 형성하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제2 표면을 포함하고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섬유밀도구배를 갖는 티슈를 포함하는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이 피치 깊이, 피치 폭, 방향, 단위면적 당 융기된 영역의 수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보다 상기 제2 표면에 평방인치 당 50% 이상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이 부여된 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보다 상기 제2 표면에 평방인치 당 50 내지 300%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이 부여된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가 상기 제1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보다 20% 내지 100% 더 큰 제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가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갖는 제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가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제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가 120 gsm(gram per square meter) 미만의 기초중량을 갖는 제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가 60 gsm 미만의 기초중량을 갖는 제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가 여러 겹을 포함하는 제품.
  11. 제10항에 있어서, 1겹은 상기 제1 표면을 정의하고, 또다른 1겹은 상기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제품.
  12. 제10항에 있어서, 1겹이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을 정의하는 제품.
  13. 제1 토포그라피를 형성하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1 토포그라피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는 제2 토포그라피를 형성하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제2 표면을 가지고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섬 유밀도구배를 가지고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갖는 펄프섬유 포함 섬유웹을 포함하는 티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이 피치 깊이, 피치 폭, 방향, 단위면적 당 융기된 영역의 수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티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보다 상기 제2 표면에 평방인치 당 50% 이상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이 부여된 티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보다 상기 제2 표면에 평방인치 당 50 내지 300%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이 부여된 티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가 상기 제1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보다 20% 내지 100% 더 큰 티슈.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가 여러 겹을 포함하고, 여러 겹중 1겹이, 티슈의 한 바깥 표면이 상기 섬유웹의 제1 표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섬유웹을 포함하는 티슈.
  19. 제18항에 있어서, 제3 토포그라피를 형성하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제1 표면 및 상기 제3 토포그라피와는 다른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을 갖는 제4 토포그라피를 형성하는 융기된 영역을 갖는 제2 표면을 가지고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섬유밀도구배를 가지고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공극크기분포구배를 갖는 펄프섬유 포함 제2 섬유웹을 더 포함하는 티슈.
  20. 제19항에 있어서, 여러 겹들 중에서 또다른 1겹이, 티슈의 다른 한 바깥 표면이 상기 제2 섬유웹의 제1 표면에 의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섬유웹을 포함하는 티슈.
  21.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갖는 섬유 포함 종이웹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종이웹의 제1 표면을 돌출부를 함유하는 제1 장치와 상기 제1 장치의 돌출부가 상기 제1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도록(이렇게 해서 부여된 상기 제1 표면의 융기된 영역은 제1 토포그라피를 형성함)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종이웹의 제2 표면을 돌출부를 함유하는 제2 장치와 상기 제2 장치의 돌출부가 상기 제2 표면에 융기된 영역을 부여하도록(이렇게 해서 부여된 상기 제2 표면의 융기된 영역은 상기 제1 토포그라피와는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이 다른 제2 토포그라피를 형성함)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x-y 평면에서보다 z-방향에서 더 높은 섬유밀도구배를 갖는 종이웹을 제조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직물, 와이어-메쉬 및 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가 직물, 와이어-메쉬 및 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상기 제1 표면과 접촉해 있는 동안 상기 제1 표면에 압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제2 표면과 접촉해 있는 동안 상기 제2 표면에 압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 적용된 압력이 60 psi(pound per square inch) 미만인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 적용된 압력이 35 내지 45 psi인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치가 상기 제2 표면과 접촉해 있는 동안 상기 제2 표면에 압력을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에 적용된 압력이 60 psi 미만인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에 적용된 압력이 35 내지 45 psi인 방법.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웹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가 쓰루-에어(through-air) 건조에 의해 달성되는 방법.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토포그라피 특성이 피치 깊이, 피치 폭, 방향, 단위면적 당 융기된 영역의 수, 및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
  3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에보다 상기 제2 표면에 평방인치 당 50% 이상 더 많은 융기된 영역이 부여되는 방법.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가 상기 제1 표면의 융기된 영역의 피치 깊이보다 20% 내지 100% 더 큰 방법.
KR1020037002253A 2000-08-17 2001-08-14 비-평면 티슈 제품 KR100828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41,355 2000-08-17
US09/641,355 US6464829B1 (en) 2000-08-17 2000-08-17 Tissue with surfaces having elevated regions
US09/641,100 US6478927B1 (en) 2000-08-17 2000-08-17 Method of forming a tissue with surfaces having elevated regions
US09/641,100 2000-08-17
PCT/US2001/041701 WO2002014605A2 (en) 2000-08-17 2001-08-14 Non planar tissue p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390A KR20040014390A (ko) 2004-02-14
KR100828273B1 true KR100828273B1 (ko) 2008-05-07

Family

ID=27093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253A KR100828273B1 (ko) 2000-08-17 2001-08-14 비-평면 티슈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311725B1 (ko)
KR (1) KR100828273B1 (ko)
AU (1) AU2001283557B2 (ko)
BR (1) BR0113324A (ko)
CA (1) CA2419143C (ko)
DE (1) DE60121778T2 (ko)
MX (1) MXPA03001107A (ko)
WO (1) WO2002014605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509A (en) 1994-06-29 1996-09-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 structures having at least three regions including a transition region interconnecting relatively thinner regions disposed at different elevations,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WO2000015907A1 (en) * 1998-09-11 2000-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y tissue pap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509A (en) 1994-06-29 1996-09-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 structures having at least three regions including a transition region interconnecting relatively thinner regions disposed at different elevations,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WO2000015907A1 (en) * 1998-09-11 2000-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y tissue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4605A3 (en) 2002-08-15
EP1311725B1 (en) 2006-07-26
EP1311725A2 (en) 2003-05-21
KR20040014390A (ko) 2004-02-14
WO2002014605A2 (en) 2002-02-21
CA2419143A1 (en) 2002-02-21
CA2419143C (en) 2011-03-15
MXPA03001107A (es) 2004-01-29
AU2001283557B2 (en) 2006-02-02
DE60121778T2 (de) 2007-07-12
DE60121778D1 (de) 2006-09-07
BR0113324A (pt)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33550B2 (en) Tissue sheet molded with elevated e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6464829B1 (en) Tissue with surfaces having elevated regions
US6746569B1 (en) Nested rolled paper product
US5853547A (en) Papermaking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high bulk products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AU776321B2 (en) Decorative wet molding fabric for tissue making
CA2467149C (en) Method for reducing nesting in paper products and paper products formed therefrom
KR101245970B1 (ko) 겹간 액체 용량이 증강된 다겹 티슈 제품
US4533437A (en) Papermaking machine
US658585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egree of molding in through-dried tissue products
US6478927B1 (en) Method of forming a tissue with surfaces having elevated regions
EA034903B1 (ru) Мягкий абсорбирующий лист
KR100828273B1 (ko) 비-평면 티슈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