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154B1 - 열풍관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열풍관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8154B1 KR100828154B1 KR1020020034712A KR20020034712A KR100828154B1 KR 100828154 B1 KR100828154 B1 KR 100828154B1 KR 1020020034712 A KR1020020034712 A KR 1020020034712A KR 20020034712 A KR20020034712 A KR 20020034712A KR 100828154 B1 KR100828154 B1 KR 100828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st
- cold air
- cooling
- hot ai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6—Cooling or drying the hot-blast
-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9/00—Stoves for heating the blast in blast furnaces
- C21B9/10—Other details, e.g. blast m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관의 발열부위를 검출하고 냉각시키는 열풍관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로를 구성하는 각 열풍관(6,7)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열온도 감지센서(30)와; 상기 각 열풍관(6,7)에 냉각용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부와; 상기 열풍관(6,7)에 미스트를 공급하는 미스트공급부; 냉풍과 미스트를 혼합하여 냉풍미스트를 만들기 위해 상기 냉풍공급부 및 미스트공급부와 연결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로 부터 냉풍 또는 미스트를 공급받는 냉각부; 상기 각 발열온도 감지센서(30)의 온도와 위치 정보를 입력 받아서, 상기에서 인식된 발열부위에 1차 냉각을 위한 냉풍과, 2차 냉각을 위한 냉풍미스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냉풍공급부, 미스트공급부, 혼합부,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의 현장 점검의 필요없이도 고열에 따른 철피(20b) 및 신축관(20c)의 손상 예방이 가능하고, 열풍관(6,7)의 발열 및 적열을 조기에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경보 신호를 주며, 설비 관리 차원에서도 효율성을 기할 수 있고, 현장의 점검 부하도 줄일 수 있는 등의 실용적 효과가 있다.
열풍관, 철피, 신축관, 미스트,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열풍로 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열풍관의 발열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열풍관의 냉각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관의 냉각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발열온도 감지센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열풍본관 2.....열풍변(Hot Blast Valve)
3.....혼냉실(Mix-Chamber) 4.....연소실
5.....축열실 6.....입측(Inlet) 열풍관
7.....출측(Outlet) 열풍관 8a....혼냉실 제1신축관(Expansion)
8b....혼냉실 제2신축관 9a....혼냉실 제3신축관
9b....혼냉실 제4신축관 11....질소라인(N2 Purge Line)
15....고무호스 20a...연와
20b...철피 20c...신축관
30....발열온도 감지센서 40a...냉풍메인관
40b...냉풍차단변 41a...미스트 공급관
41b...미스트(Mist) 차단변 50....냉풍미스트 혼합관
51....냉풍미스트 제1차단변 52....냉풍미스트 공급호스
53....냉풍미스트 제2차단변 54....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
55....냉풍미스트 분배지관 56....냉풍미스트 제3차단변
57....냉풍미스트 분사튜브 58....냉풍미스트 분사노즐
60....냉각수 공급관 61....냉각수 차단변
65....미스트 스프레이 펌프 66....냉각수 탱크
68a...상부 수위검출센서 68b...하부 수위검출센서
본 발명은 고로 공정의 열풍로를 구성하는 각 열풍관의 손상 감지와 그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에서 용선을 생산하기 위해서 고온의 열풍(熱風)을 생산하여 고로 내부에 공급해주는 각 열풍관의 손상 진행 여부를 조기에 검출하여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열풍관의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열풍로 설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는 철광석과 코크스를 녹이기 위한 고온의 열풍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기 위해, BFG(Blast Furnace Gas)와 COG(Coke Oven Gas)를 혼합한 혼합가스를 연소실(4)에서 연소하고, 상기 연소 과정 에 발생되는 1,300℃ ∼ 1,550℃의 고열을 축열실(5)에 저장한다. 상기 축열실(5)에 저장된 고온의 열풍을 열풍관(6,7)을 통해서 용광로에 보내고자 할 때는, 혼냉실(3)에서 상기 고온의 열풍을 약 1,200℃ 정도의 열풍으로 제어하고, 혼냉실(3)의 출구에 위치하는 열풍변(2)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1,200℃ 정도로 제어된 열풍을 열풍관(6,7)과 열풍본관(1)을 거쳐 용광로에 공급하게 되며, 용광로에서는 상기 공급된 열풍을 이용하여 철광석과 코크스(Coke)로 쇳물을 생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온의 열풍을 용광로로 송풍하지 않는 경우에는, 열풍변(2)을 닫은 상태에서 연소실(4)에서 고온의 열풍을 생산하기 위한 연소가 일어나게 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연소실(4)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이 용광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연소실(4)과 혼냉실(3) 사이에 위치하는 혼냉실 입측 열풍관(6)과, 혼냉실(3)과 열풍변(2) 사이에 위치하는 혼냉실 출측 열풍관(7)을 통과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고온의 열풍이 통과하는 열풍관(6,7)에는 고온의 열이 항상 잔존하게 되며, 열풍변(2)이 개방되었을 때(이하 송풍이라 함), 또는 열풍변(2)이 닫혔을 때(이하 연소라 함), 열풍관(6,7) 및 혼냉실(3)을 지나는 열풍의 통과량은 대략 6200N㎥/Min 정도이고, 4.0Kg/㎠ 정도의 압력으로 고로에 보내어 지는 고온의 송풍 조업이 진행된다.
도 2a에는 신축관의 발열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내부 연와 및 철피의 발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혼냉실 입측 열풍관(6) 및 출측 열풍관(7)은 내부 연와(20a), 철피(20b), 내화재(20d) 등으로 구성되고, 특히 상기 열풍관(6,7)을 통 과하는 고온의 열풍으로 인해 팽창 및 수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철피(20b) 및 내화재(20d)의 외측에는 신축관(20c)이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열풍이 통과하는 열풍관(6,7)의 경우 연소 및 송풍시 열 변화폭(약 100℃)이 매우 커서, 내부 연와(20a)의 균열 및 부분 탈락이 발생하게 되어, 내화재(20d)를 통과한 열(20e)이 신축관(20c)과 철피(20b)에 직접 전달되므로, 신축관(20c)및 철피(20b)의 국부적인 적열 및 발열(20f,20g)이 발생될 염려가 있다. 상기와 같이 고온의 열풍으로 인해 열풍관(6,7)에서 발생되는 철피(20b) 및 신축관(20c)의 적열 및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풍이 통과하는 열풍관(6,7)을 냉각시켜야 한다.
도 3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열풍관의 냉각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열풍관(6,7)의 냉각 장치에 따르면, 열풍관(6,7) 주위에 질소라인(N2 Purge Line)(11)을 설치하고, 상기 질소라인(11)에 고무호스(15)를 연결하여 상기 발열부 및 적열부를 냉각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질소라인(11)에 의한 냉각 후에도 열풍관(6,7)의 발열이 지속되면, 열풍로 설비를 휴지 후 모르타르(Mortar)재를 이용한 압입 작업을 실시하여 발열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각 후에도 열풍관(6,7)의 발열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점검자가 조기에 발견하지 못할 경우, 철피(20b) 및 신축관(20c)의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조업 중단 사고로 이어지며, 2차적으로 다량의 용광로 내부 가스가 역류하여 작업자의 중독사고가 예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냉각 장치에 의할 경우,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조기에 확인하는 것은 연속적인 조업 시스템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속으로 조업 되는 열풍로 설비의 입측(Inlet) 열풍관(6)과 출측(Outlet) 열풍관(7)의 철피(20b)및 신축관(20c)의 발열 및 적열 상태를 조기에 검출하여, 더 이상의 손상이 진행되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열풍관(6,7)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풍관의 냉각 장치는, 고로를 구성하는 각 열풍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열온도 감지센서와; 상기 각 열풍관에 냉각용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부; 냉각수 탱크로부터 미스트를 발생시켜서 공급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펌프와, 상기 미스트를 이동시키는 미스트 공급관을 구비하는 미스트공급부; 상기 냉풍과 상기 미스트를 혼합하여 냉풍미스트를 만들 수 있도록 상기 냉풍공급부와 미스트공급부에 연결되는 냉풍미스트 혼합관과, 상기 냉풍미스트를 각 발열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냉풍미스트 공급호스를 구비하는 혼합부; 상기 각 냉풍미스트 공급호스에 연결되는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과, 발열부위의 국부적인 냉각을 위해 상기 각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냉풍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냉각부; 그리고 상기 각 발열온도 감지센서의 온도와 위치 정보를 입력 받아서, 상기에서 인식된 발열부위에 1차 냉 각을 위한 냉풍과, 2차 냉각을 위한 냉풍미스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냉풍공급부, 미스트공급부, 혼합부,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풍관의 냉각 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관의 냉각 장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발열온도 감지센서의 설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풍관의 냉각 장치에 따르면, 도 3에 표시된 열풍관(6,7), 예컨대 혼냉실 전단 입측 열풍관(6) 및 혼냉실 제1신축관(8a), 혼냉실 제2신축관(8b), 혼냉실(3) 후단 출측 열풍관(7), 혼냉실 제3신축관(9a), 혼냉실 제4신축관(9b)의 상측 반구에는 복수개의 발열온도 감지센서(3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열풍관(6,7)의 상측 반구를 횡으로 2등분, 종으로 3등분하여 총 6등분하고, 상기와 같이 6등분된 각 지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6개의 발열온도 감지센서(3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발열온도 감지센서(30)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은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각 발열온도 감지센서(30)에서 검출되는 각 지역의 발열온도가 제어부에 의해 인식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혼냉실 후단 출측 열풍관(7), 혼냉실 제3신축관(9a), 혼냉실 제4신축관(9b)으로 구성되는 열풍관 부위는 열풍로의 송풍 및 연소시 수축 및 팽창의 폭이 가장 큰 곳으로서, 연와(20a)의 탈락 및 부분 이탈시에는 국부적으로 고온의 열이 직접 미치게 되므로, 신속하게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신축관(20c) 및 철피(20b)의 균열 및 파손이 단시간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철피(20b) 및 신축관(20c)의 냉각을 위하여, 열풍관(6,7)의 상부에는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각부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부는, 외부로부터 냉풍 및 냉풍미스트를 공급받아서 각 발열부위로 분배하는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과, 상기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급받은 냉기를 발열부위에 공급하도록 각 발열부위의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부에 공급되는 냉기에는 냉풍과, 냉풍에 미스트가 혼합된 냉풍미스트가 있으며, 냉풍 공급부를 통해 상기 냉각부에 냉풍을 공급하게 되고, 미스트 공급부 및 혼합부를 통해 상기 냉각부에 냉풍미스트를 공급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풍관의 냉각 장치를 구성하는 냉각부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열풍관(6,7)의 각도만큼 라운딩 처리된 파이프 형태의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이, 발열온도 감지센서(30)가 설치되어 있는 열풍관(6,7)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의 중심부는 절단되어 있어서, 상기 절단 부위에는 "T"자 형 보우(Bow)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보우의 양측단에는 냉풍미스트 제2차단변(53)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에는 복수개의 냉풍미스트 분배지관(55)이 역"T"자 형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에 6개의 냉풍미스트 분배지관(55)이 설치되며, 상기 각 냉풍미스트 분배지관(55)의 역"T"자 형 양측으로 냉풍미스트 제3차단변(56)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냉풍미스트 제3차단변(56)의 후단에는, 임의로 변형이 가능 하며 일정한 힘에서는 형상 유지가 가능한 냉풍미스트 분사튜브(57)가 연장 부착되어지고, 상기 각 냉풍미스트 분사튜브(57)의 단부에는 냉풍미스트 분사노즐(58)이 연결된다.
상기 냉각부에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부는, 외부에서 열풍로 설비측으로 냉풍을 안내하는 냉풍메인관(Cold Blast Main Line)(40a)과, 상기 냉풍의 공급을 차단하는 냉풍차단변(40b)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풍차단변(40b)은, 냉풍메인관(40a)의 단부에 설치되어, 냉풍메인관(40a)을 통과하는 냉풍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냉풍메인관(40a)의 단부에는, 냉풍과 미스트를 혼합시킬 수 있는 냉풍미스트 혼합관(50)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냉각부에 냉풍미스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공급부는, 냉각수 탱크와(66), 미스트 스프레이 펌프(65), 미스트 공급관(41a), 미스트 차단변(41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미스트 공급부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냉각수 탱크(66)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관(60)의 일정한 위치에는 냉각수 차단변(61)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수 공급관(60)은 계속하여 냉각수 탱크(66) 내부까지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냉각수 탱크(66)의 내부에는 상부 및 하부 수위검출센서(68a,68b)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수위검출센서(68a,68b)는, 냉각수 탱크(66)에 저장되는 냉각수의 양을 인식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냉각수 탱크(66)의 상부에는 미스트를 발생시키는 미스트 스프레이 펌 프(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스트 스프레이 펌프(65)에는 미스트 공급관(41a)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미스트 공급관(41a)에는 미스트의 공급을 차단하는 미스트 차단변(41b)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미스트 공급관(41a)은, 냉풍과 미스트를 혼합하여 냉풍미스트를 만들수 있도록, 냉풍미스트 혼합관(50) 또는 냉풍메인관(40a)의 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풍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냉풍과 미스트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미스트를 혼합하여 냉풍미스트를 만들고, 상기 냉풍미스트를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으로 이동시키는 혼합부는, 냉풍미스트 혼합관(50)과 냉풍미스트 공급호스(52) 및 냉풍미스트 제1차단변(5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냉풍미스트 혼합관(50)은, 냉풍메인관(40a)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냉풍메인관(40a)으로부터 냉풍을 공급받고, 상기 미스트 공급부로부터 미스트를 공급받아서, 냉풍과 미스트가 혼합된 냉풍미스트를 만들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풍미스트 혼합관(50)에는 복수개의,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열풍관(6,7)에 대해 3개의 냉풍미스트 제1차단변(5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냉풍미스트 제1차단변(51)의 단부에는 냉풍 및 냉풍미스트를 이동시키는 냉풍미스트 공급호스(52)가 연결되며, 상기 각 냉풍미스트 공급호스(52)의 단부는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의 중심부에 설치된 "T"자 형 보우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풍관의 냉각 장치는 상기 각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 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열풍관의 냉각 장치의 동작 관계를 살펴 본다.
용광로에 철광석과 코크스를 녹이기 위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기 위해, 열풍로에서 연소와 송풍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고온의 열풍이 이동하는 열풍관(6,7)에는 발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풍관(6,7)에 발열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열부위에 설치된 발열온도 감지센서(30)에서는 상기 발열부위의 발열온도 및 그 위치를 인식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발열온도 감지센서(30)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냉풍 공급부의 냉풍차단변(40b)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냉풍 공급부의 냉풍메인관(40a)으로부터 공급되는 냉풍은 냉풍미스트 혼합관(50)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위에 관련된 냉풍미스트 제1차단변(51)만을 개방하고, 나머지 냉풍미스트 제1차단변(51)은 닫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냉풍미스트 혼합관(50)을 통과한 냉풍은, 상기 개방된 냉풍미스트 제1차단변(51)에 연결된 냉풍미스트 공급호스(52)를 거쳐서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54)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냉풍이 발열부위에 위치하는 냉풍미스트 분배지관(55)을 거쳐서, 냉풍미스트 분사노즐(58)을 통해 상기 발열부위를 냉각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해당되는 냉풍미스트 제2차단변(53) 및 냉풍미스트 제3차단변(56)만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열온도 감지센서(30)에 의해 발열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가 운전자에게 경보를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와 같이 냉풍에 의한 1차 냉각을 수행한 후, 상기 발열부위에 위치하는 발열온도 감지센서(30)에 의해 발열부위의 발열온도가 정 상적인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는 상기 발열부위에 대한 냉풍의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발열온도 감지센서(30)에 의해 인식되는 발열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제어부가 냉풍미스트에 의한 2차 냉각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미스트 스프레이 펌프(65)를 제어하여 냉각수 탱크(66)로부터 미스트를 냉풍미스트 혼합관(50)에 보내고, 냉풍미스트 혼합관(50)을 제어하여 상기 냉풍메인관(40a)으로부터 공급되는 냉풍과 미스트를 혼합하여 냉풍미스트를 만들며, 상기 냉풍미스트를 발열부위로 보내어 발열부위에 대한 2차 냉각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2차 냉각이 일정시간 동안 수행된 후에도 계속해서 발열온도 감지센서(30)로부터 발열부위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부가 열풍로 설비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미스트의 공급을 위해 미스트 스프레이 펌프(65)가 연속적인 가동을 할 경우, 제어부는 냉각수 탱크(66) 내의 하부 수위검출센서(68b) 검출시 냉각수 차단변(61)이 개방하여 냉각수를 보충하고, 상부 수위검출센서(68a) 검출시 냉각수 차단변(61)을 닫아서 냉각수의 보충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00)가, 상기와 같은 1차 및 2차 냉각을 실시한 후에도 상기 발열온도 감지센서(30)로부터 계속적으로 신호가 검출되고, 발열부위의 발열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에서의 카운터가 예컨대 3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재경보를 발신하고, 열풍로 설비를 휴지한 후 모르타르(Mortal) 압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연소 및 송풍시 철피의 온도 변위폭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고로의 열풍로 설비를 원격 운전함에 있어서, 연소 및 송풍 작업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현장 점검의 필요없이도 철피(20b) 및 신축관(20c)의 온도 변위폭을 최소화하여 철피(20b) 및 신축관(20c)의 손상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열풍관(6,7)의 발열 및 적열을 조기에 검출하여, 운전자에게 경보 신호를 주고, 설정 냉각 온도 이상 상승시 운전자에게 재경보를 제공함에 의하여, 철피(20b)의 파손시 발생되는 대량의 열풍 방출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설비 관리 차원에서도 효율성을 기할 수 있고, 현장의 점검 부하도 줄일 수 있는 등의 실용적 효과가 있다.
Claims (1)
- 고로를 구성하는 각 열풍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열온도 감지센서와;상기 각 열풍관에 냉각용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공급부;냉각수 탱크로부터 미스트를 발생시켜서 공급하는 미스트 스프레이 펌프와, 상기 미스트를 이동시키는 미스트 공급관을 구비하는 미스트공급부;상기 냉풍과 상기 미스트를 혼합하여 냉풍미스트를 만들 수 있도록 상기 냉풍공급부와 미스트공급부에 연결되는 냉풍미스트 혼합관과, 상기 냉풍미스트를 각 발열부위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냉풍미스트 공급호스를 구비하는 혼합부;상기 각 냉풍미스트 공급호스에 연결되는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과, 발열부위의 국부적인 냉각을 위해 상기 각 냉풍미스트 분배메인관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냉풍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냉각부; 그리고상기 각 발열온도 감지센서의 온도와 위치 정보를 입력 받아서, 상기에서 인식된 발열부위에 1차 냉각을 위한 냉풍과, 2차 냉각을 위한 냉풍미스트를 공급하도록 상기 냉풍공급부, 미스트공급부, 혼합부,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풍관의 냉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4712A KR100828154B1 (ko) | 2002-06-20 | 2002-06-20 | 열풍관의 냉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34712A KR100828154B1 (ko) | 2002-06-20 | 2002-06-20 | 열풍관의 냉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7381A KR20030097381A (ko) | 2003-12-31 |
KR100828154B1 true KR100828154B1 (ko) | 2008-05-08 |
Family
ID=3238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34712A KR100828154B1 (ko) | 2002-06-20 | 2002-06-20 | 열풍관의 냉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815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713A (ko) | 2021-02-25 | 2022-09-01 | 엑셀로 주식회사 | 송풍지관, 송풍지관의 제조방법 및 용해로 송풍시스템 |
WO2022182097A1 (ko) | 2021-02-25 | 2022-09-01 | 엑셀로 주식회사 | 송풍지관, 송풍지관의 제조방법 및 용해로 송풍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253723A1 (en) * | 2009-05-20 | 2010-11-24 | Paul Wurth S.A. | Device f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of a gas in a hot gas main |
-
2002
- 2002-06-20 KR KR1020020034712A patent/KR1008281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1713A (ko) | 2021-02-25 | 2022-09-01 | 엑셀로 주식회사 | 송풍지관, 송풍지관의 제조방법 및 용해로 송풍시스템 |
WO2022182097A1 (ko) | 2021-02-25 | 2022-09-01 | 엑셀로 주식회사 | 송풍지관, 송풍지관의 제조방법 및 용해로 송풍시스템 |
CN115244192A (zh) * | 2021-02-25 | 2022-10-25 | 艾克塞罗有限公司 | 风口套管、其制造方法及用于熔炉的鼓风系统 |
JP2023518634A (ja) * | 2021-02-25 | 2023-05-08 | エクセロ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送風支管、送風支管の製造方法及び溶解炉送風システム |
JP7444491B2 (ja) | 2021-02-25 | 2024-03-06 | エクセロ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送風支管、送風支管の製造方法及び溶解炉送風システム |
CN115244192B (zh) * | 2021-02-25 | 2024-03-15 | 艾克塞罗有限公司 | 风口套管、其制造方法及用于熔炉的鼓风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7381A (ko) | 2003-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37691C (en) |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interiors of receptables and installations | |
US6059028A (en) | Continuously operating liquid-cooled panel | |
KR100828154B1 (ko) | 열풍관의 냉각 장치 | |
KR100894302B1 (ko) | 개선된 노 냉각 장치 및 야금 용기, 그리고 노 냉각 방법 | |
CN106017070A (zh) | 一种顶底复吹炉 | |
JP2010159444A (ja) | バーナー機能を有する冶金用ランスの逆流防止装置 | |
KR100447892B1 (ko) | 교환이 가능하고 냉각기능을 갖춘 열풍로 연락관 | |
CN210287391U (zh) | 一种防止烧坏冷却壁的铁口氧枪 | |
KR20130034507A (ko) | 고로 슬래그의 폐열 회수 장치 | |
KR101115833B1 (ko) | 살수식 전로 냉각장치 | |
CA2071825A1 (en) | Device for rendering inert casting vessels for transporting molten metals | |
KR101076189B1 (ko) | 고로 대탕도용 수냉커버 | |
KR200295670Y1 (ko) | 가변식카바가장착된수강래들보열장치 | |
BRPI1100201A2 (pt) | instalaÇço de desgasificaÇço por circulaÇço de vÁcuo com queimador piloto | |
KR100554728B1 (ko) | 열풍로 익스팬션 발열 감지 및 냉각장치 | |
KR101433523B1 (ko) | 고로 출선구 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로 출선구 개공 방법 | |
CN112961950B (zh) | 一种高炉的凉炉方法 | |
CN208883923U (zh) | 一种避免高炉风口灌渣的自动保护系统 | |
KR950006157Y1 (ko) | 고로의 옥시콜 취입 안전장치 | |
KR101766321B1 (ko) | 고로 크랙 보수장치 | |
KR100762454B1 (ko) | 용광로 노내 가스유통분포 제어장치 | |
KR200291551Y1 (ko) | 용광로의풍구연소온도제어장치 | |
KR100603133B1 (ko) | 고로 풍구로의 스래그역류 및 역화 차단 방법 | |
KR20000018318U (ko) | 용광로의 괴재처리장 내측벽부 냉각장치 | |
JPH01104712A (ja) | 製鋼炉鉄皮冷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