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284B1 -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284B1
KR100826284B1 KR20070073826A KR20070073826A KR100826284B1 KR 100826284 B1 KR100826284 B1 KR 100826284B1 KR 20070073826 A KR20070073826 A KR 20070073826A KR 20070073826 A KR20070073826 A KR 20070073826A KR 100826284 B1 KR100826284 B1 KR 10082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ubstrate
layer
indiu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7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욱
박영호
서재원
오지원
Original Assignee
(주)에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피플러스 filed Critical (주)에피플러스
Priority to KR2007007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28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발광 구조물 및 기판 사이에 인듐을 포함하는 접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발광 구조물 상에 인듐을 포함하는 접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 인듐, ITO, 접착, 투과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듐을 포함하는 우수한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는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상기 빛은 전자(electron) 및 정공(hole)의 결합에 의해 방출되는 에너지로써, 전기발광(electroluminescence)의 형태이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색상은 사용된 물질의 종류 및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통상의 전구와 비교할 때,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와트(Watt)당 더 많은 빛을 발산하므로 전력 소모면에서 유리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칼라 필터(color filter)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원하는 색상을 나타낼 수 있어 비용면에서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오랜 수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고, 충분히 작게 제작이 가능하며 점등 및 소등 시간이 매우 짧다. 따라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램 프 및 디스플레이와 같은 여러 가지 제품에 적용되며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구조물은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p형 반도체층, 다중 양자 우물(MQW:multi-quantum well) 구조의 활성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한다. 상기 n형 반도체층 상에 n형 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발광 구조물이 형성된 기판의 반대면에 p형 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요소들이 고려된다.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효율 및 발광 다이오드의 물리적 특성은 우수한 발광 다이오드를 제공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나, 동시에 만족시키기에 서로 충돌하는 요소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소들을 모두 충족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발광 효율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는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인듐 주석 산화막,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 상의 인듐막, 상기 인듐막 상의 발광 구조물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상의 상부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것이고, 상기 발광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p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구조물은 인 및 갈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층은 금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상부 도전막이 위치한 상기 기판의 일면의 반대 면에 하부 도전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듐막의 두께는 약 50Å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 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면 상에 인 듐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듐막 상에 인듐 주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 상에 제2 기판의 일면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면 상에 상부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듐막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층 상에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 구조물은 인 및 갈륨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은 n형이고, 상기 제2 기판은 p형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은 비소화갈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면 상에 상부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을 제거하여 상기 제2면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층은 금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하부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구조물 및 반사층 사이에 인듐막 및 인듐 주석 산화막이 개재됨으로써, 발광 구조물 및 반사층 간의 접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계면간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접촉 저항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발광 구조물로부터 발산된 빛이 반사층에서 반사되어 인듐막 및 인듐 주석 산화막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어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 구조물 상에 얇은 인듐막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물리적 특성 및 발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물질막이 다른 물질막 또는 기판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 어떤 물질막은 다른 물질막 또는 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또 다른 물질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설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device substrate)(10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반사층(12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120)은 금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금속물은 반사율(reflectance)이 높은 물질일 수 있으며, 금, 은 및/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20) 상에 접합층(14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접합층(140)은 상기 반사층(120)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막일 수 있다. 상기 접합층(140)은 인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층(140)은 인듐 주석 산화막(Induim-Tin-Oxide:ITO)(142) 및 인듐막(induim layer)(14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듐막(144)의 두께는 약 100Å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50Å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Å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인듐막(144) 상에 발광 구조물(16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인듐막(144)에 의해 상기 발광 구조물(160) 및 상기 반사층(120) 간의 접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60) 상에 상부 도전막(1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전막(180)이 있는 면의 반대면의 상기 기판(100) 상에 하부 도 전막(11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설명된다. 앞서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생략된다.
기판(device substrate)(10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100)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반사층(12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120) 상에 접합층(14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접합층(140)은 인듐 주석 산화막(Induim-Tin-Oxide:ITO)(142) 및 인듐막(induim layer)(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듐막(144)은 발광 구조물에서 생성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듐막(144)은 적색 파장 범위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듐막(144)의 두께는 적색 빛을 투과하기 위해 약 100Å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50Å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Å이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접합층(140)은 인듐에 대한 농도 구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농도는 상기 인듐막(144)에서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142) 방향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인듐막(144) 상에 발광 구조물(160)이 놓일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60)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p형 반도체층(162), 활성층(164) 및 n형 반도체층(1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60)은 적색 발광 화합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구조물(160)은 인 및 갈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 구조물(160)은 인화갈륨(Ga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듐막(144)에 의해 상 기 반사층(120) 및 상기 p형 반도체층(162) 간의 접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활성층(164)은 다중 양자 우물(Mmulti-Quantum Well:MQW)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60) 상에 상부 도전막(18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부 도전막(180)은 n형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되어 그 자체로 p형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하부 도전막(110)을 더 구비하여 p형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전막(110)은 상기 상부 도전막(180)이 있는 면의 반대면의 상기 기판(10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전막(110)은 금(Au)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기판(growth substrate)(1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은 n형의 기판으로써, 예컨대, 비소화갈륨(GaA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 상에 발광 구조물(16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 구조물(160)은 액상 성장법(Liquid Phase Epitaxy:LPE), 기상 성장법(Vapor Phase Epitaxy:VPE),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MOCVD) 및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MBE) 등과 같은 에피택시얼(epitaxial)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6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기판(10) 상에 n 형 반도체층(166), 활성층(164) 및 p형 반도체층(162)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166)은 상기 제1 기판(10)으로부터 에피텍시얼(epitaxial)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층(164)은 다중 양자 우물(Multi-Quantum Well:MQW)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구조물(160)은 인 및 갈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구조물(160) 상에 접합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합층(140)은 인듐(indui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층(14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발광 구조물(160)의 상기 p형 반도체층(162) 상에 인듐막(induim layer)(144) 및 인듐 주석 산화막(Indium Tin Oxide:ITO)(142)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듐막(144)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142)은 전자빔(electron beam)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듐막(144)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142)은 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열처리에 의해, 상기 인듐막(144)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142) 내의 원자들은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듐막(144)은 인듐이 풍부한 인듐 주석 산화막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인듐막(144)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142)은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듐막(144)의 두께가 약 100Å 이상이면, 상기 발광 구조물(160)에서 형성된 빛이 투과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듐막(144)의 두께는 약 100Å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50Å이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Å이하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층(140) 상에 반사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20)은 금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물은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써, 상기 발광 구조물(160)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제1 기판(10)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층은 금, 은 및/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층(120) 상에 제2 기판(100)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100)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10)은 제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기판(10)이 제거되어 노출된 상기 n형 반도체층(166) 상에 상부 도전막(1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전막(180)은 n형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반사층(120)이 형성된 상기 제2 기판(100)의 일면의 반대 면에 하부 도전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 도전막(110)은 p형의 전극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상, 하부는 외부에서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면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상기 상부는 외부에서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 내지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기판 100 : 제2 기판, 기판
110 : 하부 도전막 120 : 반사층
140 : 접합층 142 : 인듐 주석 산화막
144 : 인듐막 160 : 발광 구조물
162 : p형 반도체층 164 : 활성층
166 : n형 반도체층 180 : 상부 도전막

Claims (16)

  1. 기판 상의 반사층;
    상기 반사층 상의 인듐 주석 산화막;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 상의 인듐막;
    상기 인듐막 상의 발광 구조물; 및
    상기 발광 구조물 상의 상부 도전막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p형 불순물로 도핑된 것이고, 상기 발광 구조물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p형 반도체층, 활성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인 및 갈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금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전막이 위치한 상기 기판의 일면의 반대 면에 하부 도전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듐막의 두께는 50Å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7.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 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발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면 상에 인듐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듐막 상에 인듐 주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 상에 반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층 상에 제2 기판의 일면을 접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면 상에 상부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듐막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후,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듐 주석 산화막은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기판 상에 n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반도체층 상에 활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층 상에 p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구조물은 인 및 갈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n형이고, 상기 제2 기판은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비소화갈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 상에 상부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을 제거하여 상기 제2면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금속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에 하부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20070073826A 2007-07-24 2007-07-24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2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3826A KR100826284B1 (ko) 2007-07-24 2007-07-24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73826A KR100826284B1 (ko) 2007-07-24 2007-07-24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284B1 true KR100826284B1 (ko) 2008-04-30

Family

ID=3957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3826A KR100826284B1 (ko) 2007-07-24 2007-07-24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666A (ko) * 2012-09-28 2015-06-03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기판을 코팅 및 본딩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40A (ko) * 2002-08-30 2004-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램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40A (ko) * 2002-08-30 2004-03-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램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666A (ko) * 2012-09-28 2015-06-03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기판을 코팅 및 본딩하기 위한 방법
KR101963933B1 (ko) * 2012-09-28 2019-03-29 에베 그룹 에. 탈너 게엠베하 기판을 코팅 및 본딩하기 위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934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emitting structure of a light-emitting device (LED)
US9252345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7843133B2 (en) White light emitting device with particular light emitting structure
Chang et al. Nitride-based flip-chip ITO LEDs
US7821026B2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US20110012147A1 (en) Wavelength-convert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lter and a scattering structure
TWI553904B (zh) 發光裝置及發光裝置封裝件
JP2015046647A (ja) 垂直構造ダイオードとその製造方法
US20090114940A1 (en) Light-Emitting Device
US9006768B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ncreased light extraction
US20080296595A1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high illumination
JP2017168811A (ja) 発光ダイオード
TWI479698B (zh) 光電元件
US8637893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ghting system
US10043950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structure with metal layer and distributed bragg reflector and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thereof
KR101055003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조명 시스템,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KR100826284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TWI436499B (zh) 發光元件及其製造方法
KR102008349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68864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54079B1 (ko) 전기적 특성 및 접착력이 개선된 p형 전극패드를 구비한발광 다이오드
KR20150061844A (ko) 발광소자 및 조명장치
KR101786081B1 (ko)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109109B1 (ko) 발광소자 및 조명시스템
KR100650189B1 (ko) 고휘도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