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944B1 - 초기 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944B1
KR100825944B1 KR1020070081730A KR20070081730A KR100825944B1 KR 100825944 B1 KR100825944 B1 KR 100825944B1 KR 1020070081730 A KR1020070081730 A KR 1020070081730A KR 20070081730 A KR20070081730 A KR 20070081730A KR 100825944 B1 KR100825944 B1 KR 10082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ainwater
main body
filter
initial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회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주)엔포텍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포텍,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엔포텍
Priority to KR102007008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9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도로나 교량의 노면에서 유출되는 우수 중 오염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걸림턱, 상기 스크린 일측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체, 스크린, 걸림턱, 바이패스로, 이송로, 여재부

Description

초기 우수 처리장치{STRUCTURE FOR TREATING RAINWATER}
본 발명은 우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분류식우수도의 보급이 진전됨에 따라 강우는 우수받이 및 우수관거 등을 통해 포집되어 하천으로 그대로 방류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다.
초기에 유입되는 우수는 상대적으로 오염 농도가 높고 중기 이후의 우수는 희석되거나 대부분의 오염물질이 이미 배출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낮아 처리할 필요성이 적다.
특히 산업의 발달과 도시화의 진전으로 인하여 도로나 교량의 노면에서 발생되는 초기 우수는 오염 상태가 매우 심각하다. 도로 노면에서의 초기 우수는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타이어 가루, 자동차 매연, 대기오염으로 인한 각종 강하분진 등의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고, 최근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등이 고농도로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처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도로나 교량의 노면에서 유출되는 우수 중 오염 농도가 높은 초기 우수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초기 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처리장치는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걸림턱, 상기 스크린 일측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린 하부에 위치하여 스크린을 거친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린 위쪽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큰 입자의 협잡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바이패스로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본체 내로 초기 우수와 함께 유입된 모래 등의 이물질은 스크린에 걸러지고 스크린의 경사진면을 따라 흘러내려 바이패스로로 배출된다.
이때 이물질은 스크린에 설치된 걸림턱에 걸려 단계적으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여러 단계를 거치는 동안 우수에 의해 세척된 상태로 배출처리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본체의 어느 한쪽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로가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 림턱은 스크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폐곡선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로가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스크린에 나선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여재부는 우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흘러나가는 상향류 구조일 수 있다.
본 처리장치는 상기 바이패스로에 설치되는 유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웨어는 그 높이를 조절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처리장치에 의하면, 오염농도가 높은 초기우수를 분리 처리함으로써 오염물질 유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기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모래 등의 이물질은 걸러서 세척후 배출 처리함으로서 여재부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 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설치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처리장치는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 배출처리하는 스크린(11), 이 스크린(11)을 거친 초기 우수를 여과처리하는 여재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유입구(14)와 유출구(15)를 이룬다. 상기 본체(10)의 상단에는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 형태의 바스켓(16)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1)은 상부의 바스켓(16)과 상기 여재부(13) 사이에 위치하며, 본체(10)의 수평면에 대해 일측으로 하향 경사져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11)의 윗면에는 걸림턱(12)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스크린(11)으로 유입된 모래는 바로 유출되지 않고 걸림턱(12)에 의해 단계적으로 흘러내리면서 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이 세척된 후 유출된다.
상기 걸림턱(12)의 설치 개수나 설치 간격은 배수구(110)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11)의 하부에는 모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7)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7)는 바이패스로(18)를 통해 본체(10)의 유출구(15)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11)에 걸러진 모래는 스크린(11)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세척된 후, 바이패스로(18)를 통해 바로 본체(10) 하단의 유출구(15)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 여재부(13)는 상기 본체(10)의 스크린(11)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내부에는 오염물질을 여과처리하기 위한 필터(19)가 충진된다. 상기 필터(19)는 여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타공판(20)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재부(13)는 상향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의 스크린(11) 바로 밑에는 가로막이판(21)이 설치되고, 가로막이판(21)에 상기 스크린(11)을 거친 우수를 여재부(13) 하부로 보내기 위한 이송로(22)가 설치되어 여재부(13)를 지나 아래로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22)는 소정 직경의 관 구조물로 여재부(1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에 이송로(22)를 제외한 전 부분이 필터(19)로 채워져 상기 본체(10) 내에서 필터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로막이판(21)은 우수를 보다 용이하게 이송로(22)쪽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이송로쪽으로 하향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재부(13)의 상단에는 여재부의 필터(19)를 거친 처리수가 배출 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23)는 배출로(24)를 통해 본체(10)의 유출구(15)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가로막이판(21)과 스크린(11) 사이에는 우수 상에 부유하는 유류 등의 기름층(G)을 흡착하기 위한 유류흡착포(25)가 더욱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류흡착포(25)는 상기 스크린(11)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17)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는 강우 지속에 따라 우수가 상승되어 상기 배출구(17)를 통해 월류되는 데 이 과정에서 배출구 아래쪽에 위치한 유류흡착포(25)를 지나면서 기름층(G)이 흡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류흡착포(25)는 상기 스크린(11)과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스크린(11)을 지난 우수가 원활하게 상기 유류흡착포(25)의 경사면을 따라 이송로(22)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교량(100)의 배수구(110)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본체(10) 상단의 바스켓(16)을 지나면서 일차적으로 협작물 등이 걸러진다. 바스켓(16)을 거친 초기 우수는 바스켓 하부에 위치한 스크린(11)을 지나면서 모래 등 이물질이 걸러진다. 스크린(11)에 걸린 모래는 경사진 스크린(11) 윗면을 따라 배출구(17)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이 때, 상기 모래는 스크린(11)에 걸린 후 바로 스크린을 따라 흘러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정체 시간을 갖고 단계적으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즉, 상기 스크린(11) 상에는 간격을 두고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래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막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11)에 걸린 모래는 다수개의 걸림턱(12)을 넘어 단계적으로 흘러내려가게 되므로 스크린의 배출구(17)까지 도달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모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세척되고, 모래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은 스크린(11)을 지나 여재부(13)로 유입된다.
그리고 세척된 모래는 스크린(11)에 형성된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17)와 연통되어 있는 바이패스로(18)를 통해 흘러내려 본체(10)의 유출구(15)를 통해 배출처리된다.
상기 여재부(13)로 유입된 우수는 이송로(22)를 통해 여재부(13)의 하단으로 보내진다.
상기 여재부(13)는 상향류 방식으로, 우수가 점차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여재부(13) 하단으로 유입된 우수는 여재부 하단을 지나 위쪽으로 흘러나가면서 여재부 내의 필터(19)에 의해 여과 처리된다.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여재부(13) 상단의 배출구(23)를 통해 여재부 외측으로 배출되고, 배출로(24)를 지나 본체(10)의 유출구(15)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우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본체(10) 내의 우수가 이송로(22)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차올라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수위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우수는 스크린(11)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17)를 통해 월류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 상승되는 우수는 유류흡착포(25)를 지나게 되는 데,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기름층(G)은 배출구(17)보다 아래쪽에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놓여져 있는 유류흡착포에 흡착된다. 따라서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기름 층(G)이 상기 배출구(17)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처리장치는 바이패스로가 중앙에 위치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즉, 본 처리장치는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설치되는 본체(30)와, 본체(30) 내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 배출처리하는 스크린(31), 스크린(31)을 거친 초기 우수를 여과처리하는 여재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0)는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단과 하단이 각각 유입구(34)와 유출구(35)를 이룬다. 상기 본체(30)의 상단에는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31) 형태의 바스켓(36)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31)은 상부스크린(31)과 상기 여재부(33)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31)은 중앙에 배출구(3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31)의 윗면에는 걸림턱(32)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출구(37)는 본체(30) 중앙의 바이패스로(38)를 통해 본체(30)의 유출구(35)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31)에 걸러진 모래는 스크린(31)을 따라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세척된 후, 중앙의 바이패스로(38)를 통해 바로 본체(30) 하단의 유출구로 배출 처리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31) 설치되는 걸림턱(32)은 원형의 폐곡선이 중심에서 등간격으로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31)에 설치되는 걸림턱(32)은 스크린(31)의 중심에서 나선형태로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여재부(33)는 본체(30)의 스크린(31) 하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전체적으로 링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여재부(33) 중앙으로는 상기 바이패스로(38)가 관통되고 여재부(33)의 외주면과 본체(30) 내측면 사이는 스크린(31)을 거친 처리수를 여재부(33) 하부로 보내기 위한 이송로(42)를 이룬다.
상기 여재부(33)는 내부에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필터(39)가 충진되며, 상기 필터(39)는 여재부 하부에 설치되는 타공판(40)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여재부(33)의 상단에는 여재부(33) 상부를 가로막아 스크린(31)을 거친 우수를 상기 이송로(42)로 유도하기 위한 가로막이판(41)이 설치된다. 상기 가로막이판(41)은 이송로(42)쪽으로 하향경사지고, 중앙에 상기 스크린(31)의 배출구(37)와 대응되는 홀(43)이 형성된다.
상기 여재부(33)의 상단은 상기 바이패스로(38)와 연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필터(39)를 거친 처리수는 상기 바이패스로(38)를 통해 본체(30)의 유출구(35)로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막이판(41)과 상기 스크린(31) 사이에는 우수 상에 부유하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기 위한 유류흡착포(45)가 더욱 설치된다.
상기 유류흡착포(25)는 강우의 지속에 따라 우수가 상승되어 배출구로 월류되는 과정에서 우수 상에 부유하고 있는 유류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게 된다. 이에 오염물질이 월류되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우수만을 월류시킬 수 있게 된 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교량(100)의 배수구(110)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본체(30) 상단의 바스켓(36)을 지나면서 일차적으로 협잡물 등이 걸러진다. 바스켓(36)을 거친 초기 우수는 바스켓 하부에 위치한 스크린(31)을 지나면서 모래 등 이물질이 걸러진다. 스크린(31)에 걸린 모래는 경사진 스크린(31) 윗면을 따라 중앙의 배출구(37)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이 때, 상기 모래는 스크린(31)에 걸린 후 바로 스크린(31)을 따라 흘러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정체 시간을 갖고 단계적으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즉, 상기 스크린(31) 상에는 간격을 두고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래가 흘러 내려가는 것을 막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31)에 걸린 모래는 다수개의 걸림턱(32)을 넘어 흘러 내려가게 되므로 스크린(31)의 배출구까지 도달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모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세척되어, 모래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은 스크린(31)을 지나 여재부(33)로 유입된다.
그리고 세척된 모래는 스크린(31)에 형성된 배출구(37)를 통해 본체(30) 중앙에 형성된 바이패스로(38)로 흘러내리고 본체(30) 하단의 유출구(35)를 통해 배출처리된다.
상기 스크린(31)을 거친 우수는 가로막이판(41)에 의해 본체(30) 내주면쪽으로 유도되어 이송로(42)를 통해 여재부(33)의 하단으로 보내진다.
상기 여재부(33)는 상향류 방식으로, 우수가 점차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여재 부(33) 하단으로 유입된 우수는 여재부(33) 하단을 지나 위로 흘러나가면서 여재부(33) 내의 필터(39)에 의해 여과 처리된다. 여과처리된 처리수는 여재부(33) 상단과 연통된 바이패스로(38)를 통해 배출 처리된다.
도 7과 도 8은 본 처리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우수받이(200)에 본 장치가 적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우수받이(200)는 우천시 우수를 수집하여 우수본관으로 수송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에 이송관 연결을 위한 관로(2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는 유입구(54)와 유출구(55)를 갖는 본체(50)와, 이 본체(50) 내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 배출처리하는 스크린(51), 이 스크린(51)을 거친 초기 우수를 여과처리하는 여재부(5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처리장치의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와 대응된다. 이에 본 처리장치의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51)은 하향경사진 사각뿔 형태로 이루어지며, 윗면에는 중앙의 배출구(57)를 중심으로 스크린(51)의 형태와 대응되는 사각의 걸림턱(5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51)은 각 모서리에 환봉(65)이 설치되어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 우수받이(200)에 본 처리장치가 적용됨으로써, 종래 우수받이(200)의 관로 하부의 침사부(220)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처리장치로부터 모래를 침사부(220)로 배출함으로서 우수받이(200)에 존재하고 있는 침사부(220)를 본 처리장치의 모래 배출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처리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 교량에서 우수를 처리하는 방식은 교량의 각 배수구 마다 독립적으로 우수를 처리하는 방식과, 종배수관을 통해 각 배수구의 우수를 한 곳으로 수집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우수를 한 곳으로 모아 처리하는 방식에 있어서,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본 처리장치가 설치된 구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처리장치는 교량(100)의 배수구(110)에 설치되고 하단 일측에 우수를 이송하는 집수관(120)이 설치되는 본체(70)와, 상기 본체(70)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 배출처리하는 스크린(71), 상기 본체(70)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린(71)을 거친 우수를 집수관(120)으로 유도하는 유출웨어(7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71)은 중앙에 배출구(77)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77)쪽으로 하향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71)의 윗면에는 걸림턱(72)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출웨어(73)는 우수를 월류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출웨어(73)는 상기 본체(70)의 바닥면에 상기 배출구(77)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상기 유출웨어(73)는 상기 배출구(77)와 연통되어 모래를 본체(70) 외부로 바로 유출시키는 바이패스로(78)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71)의 배출구(77)로부터 떨어지는 모래는 상기 원통형 유출웨어(73)를 통해 본체(70) 밖으로 배출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유출웨어(73)의 내경은 상기 배출구(77)의 직경보다 큰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상기 배출구(77)를 통해 바이패스되는 모래가 유출웨어(73)를 통해 모두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린(71)을 거친 우수를 본체(70) 내벽과 유출웨어(73) 외주면 사이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71) 하부에 우수를 유도하기 위한 가로막이판(81)이 설치된다. 상기 가로막이판(81)은 중앙에 상기 스크린(71)의 배출구(77)와 대응되는 홀(83)이 형성되고, 외측 선단은 본체(70) 내측면과 간격을 이루어 우수의 이송로(84)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로막이판(81)은 이송로쪽으로 하향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70) 내측면에서 가로막이판(81)의 외측 선단까지의 거리는 본체(70) 내측면에서 상기 유출웨어(73)까지의 거리보다 작도록 한다. 이는 상기 이송로(84)를 통해 유도되는 우수가 유출웨어(73)를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유출웨어(73) 상단 위치는 상기 집수관(120)의 상단과 대응된다. 이에 본체(70) 바닥면으로 유입된 우수는 웨어(73) 높이까지는 상기 집수관(120)으로 유입되고, 유량이 많아지면 상기 유출웨어(73)를 넘어 바이패스로(78)로 유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처리장치는 상기 유출웨어(73)의 높이를 조절하여 집수관(120)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7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암나사(91)가 형성된 암나사부재(90)와, 상기 암나사부재(90)의 암나 사(91)에 치합되도록 상기 유출웨어(7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92)를 포함한다.
상기 수나사(92)는 상기 유출웨어(73)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유출웨어(73)를 암나사부재(90)에 대해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암나사와 수나사가 맞물리면서 본체(70)에 고정되어 있는 암나사부재에 대해 유출웨어(73)가 회전되면서 유출웨어(73)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유출웨어(73)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본체(70) 바닥면에 대한 유출웨어(73)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출웨어(73)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색을 칠한 띠(93)를 형성하거나 눈금을 표시하여 외부에서 그 높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작업자는 띠(93)나 눈금을 통해 유출웨어(73)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조로 되어, 교량(100)의 배수구(110)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스크린(71)을 지나면서 모래 등 이물질이 걸러진다. 스크린(71)에 걸린 모래는 경사진 스크린(71) 윗면을 따라 중앙의 배출구(77)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이 때, 상기 모래는 스크린(71)에 걸린 후 바로 스크린(71)을 따라 흘러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정체 시간을 갖고 단계적으로 흘러내려가게 된다. 즉, 상기 스크린(71) 상에는 간격을 두고 걸림턱(72)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래가 흘러내겨가는 것을 막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71)에 걸린 모래는 다수개의 걸림턱(72)을 넘어 흘 러내려가게 되므로 스크린(71)의 배출구까지 도달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이 과정에서 모래에 묻어있는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우수에 의해 세척되어, 모래에 묻어 있는 오염물질은 스크린(71)을 지나 여재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세척된 모래는 스크린(71)에 형성된 배출구(77)를 통해 밑으로 떨어지게 되고, 하부에 위치한 유출웨어(73)의 바이패스로(78)를 통해 본체(70) 밖으로 배출처리된다.
이와같이 모래를 배출처리하여 종배수관인 집수관(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집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집수관의 구경을 작게하여 하중 부담을 덜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린(71)을 거친 우수는 가로막이판(81)에 의해 본체(70) 내주면쪽으로 유도되어 이송로(84)를 통해 본체(70) 바닥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웨어(73)와 본체(70) 내측면 사이로 유입된 우수는 본체(70) 측면에 설치된 집수관(120)을 통해 흘러나가게 된다. 상기 유출웨어(73) 높이 이상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우수는 유출웨어(73)를 넘어 바이패스로(78)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서 스크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따른 도 8의 초기 우수 처리장치에서 유출웨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Claims (14)

  1.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걸림턱, 및
    상기 스크린 일측과 상기 배출구를 연통하는 바이패스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바이패스로쪽으로 하향 경사진 초기 우수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부에 위치하여 스크린을 거친 우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여재부를 더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위쪽에 설치되어 초기 우수에 포함된 큰 입자의 협잡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바스켓을 더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로는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스크린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폐곡선인 초기 우수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스크린에 나선형태로 설치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부는 우수가 하부에서 상부로 흘러나가는 상향류 구조인 초기 우수 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부에 설치되는 가로막이판, 상기 가로막이판과 상기 여재부 하부를 연결하여 우수를 이송하는 이송로를 더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 상에 부유하는 기름층을 흡착 처리하기 위한 유류흡착포를 더 포함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측면에 연결되는 집수관으로 우수를 유도하고 설정 유량 이상의 우수는 바이패스로로 월류시키는 유출웨어가 더 설치된 초기 우수 처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재, 상기 암나사부재의 암나사에 치합되도록 상기 유출웨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나사를 더 포함하여 본체의 바닥면에 대해 유출웨어의 높이를 조절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웨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색을 칠한 띠 또는 눈금이 표시된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0070081730A 2007-08-14 2007-08-14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825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30A KR100825944B1 (ko) 2007-08-14 2007-08-14 초기 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30A KR100825944B1 (ko) 2007-08-14 2007-08-14 초기 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944B1 true KR100825944B1 (ko) 2008-04-28

Family

ID=3957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30A KR100825944B1 (ko) 2007-08-14 2007-08-14 초기 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94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402B1 (ko) 2008-12-17 2011-10-25 (주)나우엔지니어링 우수 정화장치
KR101089297B1 (ko) 2008-08-14 2011-12-05 이호석 우수받이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80310B1 (ko) * 2012-02-24 2012-09-07 (주)블루이앤이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KR101435327B1 (ko) * 2013-04-19 2014-08-29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교량 및 건축물 드레인용 무동력 초기 우수 정화처리장치
CN105155653A (zh) * 2015-08-28 2015-12-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感应流速初雨分流装置
CN110714525A (zh) * 2019-09-12 2020-01-21 徐州沃德桑拿设备有限公司 一种桑拿房排水系统
CN111441446A (zh) * 2020-03-27 2020-07-24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排水方法、用于该排水方法的电子设备及控制器
KR20200129797A (ko) * 2019-05-10 2020-11-18 어스그린코리아(주) 우수관의 비점 오염물을 포함하는 빗물의 오염물을 정화하여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저장하는 장치
US11103600B2 (en) 2016-06-29 2021-08-31 Seoul National University R & Db Foundation Hydrogel-based nanoenulsion for selectively labeling cancer le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482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에코썸 다기능 우수받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482A (ko) * 2005-03-17 2006-09-21 주식회사 에코썸 다기능 우수받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297B1 (ko) 2008-08-14 2011-12-05 이호석 우수받이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76402B1 (ko) 2008-12-17 2011-10-25 (주)나우엔지니어링 우수 정화장치
KR101180310B1 (ko) * 2012-02-24 2012-09-07 (주)블루이앤이 우수 여과와 도시 물순환 회복을 위한 나무 화분 여과 시스템
KR101435327B1 (ko) * 2013-04-19 2014-08-29 케이원에코텍 주식회사 교량 및 건축물 드레인용 무동력 초기 우수 정화처리장치
CN105155653A (zh) * 2015-08-28 2015-12-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感应流速初雨分流装置
CN105155653B (zh) * 2015-08-28 2017-06-20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感应流速初雨分流装置
US11103600B2 (en) 2016-06-29 2021-08-31 Seoul National University R & Db Foundation Hydrogel-based nanoenulsion for selectively labeling cancer les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200129797A (ko) * 2019-05-10 2020-11-18 어스그린코리아(주) 우수관의 비점 오염물을 포함하는 빗물의 오염물을 정화하여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저장하는 장치
KR102216793B1 (ko) * 2019-05-10 2021-02-17 어스그린코리아(주) 우수관의 비점 오염물을 포함하는 빗물의 오염물을 정화하여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빗물을 저장하는 장치
CN110714525A (zh) * 2019-09-12 2020-01-21 徐州沃德桑拿设备有限公司 一种桑拿房排水系统
CN111441446A (zh) * 2020-03-27 2020-07-24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排水方法、用于该排水方法的电子设备及控制器
CN111441446B (zh) * 2020-03-27 2022-06-17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排水方法、用于该排水方法的电子设备及控制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944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555257B1 (ko) 부상성 입상여재를 이용한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KR1017465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을 위한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KR101648872B1 (ko)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KR20090112501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938262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0750598B1 (ko) 초기 우수 처리설비
KR101303849B1 (ko)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용 모듈 및 초기우수 유출수 처리장치
US9963358B2 (en) Oil stop valve assembly
KR200366226Y1 (ko) 하이드로사이클론형 분리기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286279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145050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초기우수처리 빗물받이
KR101474372B1 (ko) 교량형 초기 우수 처리 장치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200452034Y1 (ko) 교량용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