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872B1 -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 Google Patents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872B1
KR101648872B1 KR1020140156263A KR20140156263A KR101648872B1 KR 101648872 B1 KR101648872 B1 KR 101648872B1 KR 1020140156263 A KR1020140156263 A KR 1020140156263A KR 20140156263 A KR20140156263 A KR 20140156263A KR 101648872 B1 KR101648872 B1 KR 10164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adway
wall
passag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467A (ko
Inventor
임경택
Original Assignee
(주)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씨 filed Critical (주)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15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8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Abstract

차도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향 개구된 우수받이와, 일측이 상기 우수받이에 연결되며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차도의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유공관을 포함하는 유입부와; 차도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개구된 중공이 점검구와, 양측이 점검구에 연결되고 차도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배수로공이 형성된 유공바닥을 가지는 중공의 통로로 이루어진 이동로와; 상기 유공관의 하부로 통로에 구비되는 복수의 여과재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은 상기 통로에 위치하고 일측이 우수받이에 연결되며; 상기 여과재모듈은 상향 개구되고 배수홀이 형성된 중공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된 필터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Facilitie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material of road}
본 발명은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을 설치하여 여과재모듈의 이동이 용이하고, 점검구를 통한 여과재모듈의 유지관리 및 교체가 용이한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하는데, 점오염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한 장소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을 말하고,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오염물질이 빗물과 함께 불특정하게 유출되는 오염원을 말한다.
비점오염원 중에서 도시의 비점 오염물질로는 도로 노면의 퇴적물과 대기 오염물질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강우시 빗물에 의해 쓸려 도로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한 도로변에 설치된 빗물받이로 유출되고, 이어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하천 및 호소로 유입된다.
또한 불투수성 재질을 갖는 설비(예를 들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가 증가하여 강우시 토양으로 흡수되거나 증발하지 않고 하천이나 호소로 배출되기 때문에 홍수의 위험이 높아지며 지하수의 함량이 줄어들어 비강우시 하천의 건천화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본체(10)와, 투수격벽(20)과, 식생여재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차도(2)와 보도(3)의 경계부분인 도로변에 매립하여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유입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외부로부터 상기 유입공간(13)을 향해 관통된 유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유입구(11)를 구비하여 상기 유입공간(13)을 향해 빗물이 자연히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는 그레이팅덮개(19)가 안치하여 결합 설치된다. 상기 그레이팅덮개(19)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덮어 상기 유입공간(13)에 위치한 식생식물을 비롯한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호한다. 상기 그레이팅덮개(19)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형태로서 외부로부터 햇빛과 공기가 통하기 때문에 식생식물을 성장시킨다.
상기 유입구(11)의 전방에는 경계석(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계석(40)에는 차도(2)로부터 상기 유입공간(13)으로 빗물이 통과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11)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관통공(41)이 형성된다.
상기 투수격벽(2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유입공간(13)을 이물수집구역(15)과 식생구역(17)으로 구비된다. 상기 투수격벽(20)은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물수집구역(15)은 상기 투수격벽(20)에 의해 구획된 상기 유입공간(13) 중 빗물이 가장 먼저 유입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유입구(11)가 구비된 방향의 한쪽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이물수집구역(15)에서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빗물 중 입자크기가 큰 협잡물을 가라앉혀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식생구역(17)은 상기 식생여재층(30)이 구비되어 상기 이물수집구역(15)으로부터 이동된 빗물을 여과 및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식생여재층(30)은 상기 투수격벽(20)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식생구역(17)에 상하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상부에 다양한 식생식물이 식재되며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빗물로부터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흡착 및 미생물에 의한 정화가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식생층(31)과 식생토양층(33) 및 화산석층(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여재층(30) 하부에는 빗물저류조(37)가 설치된다. 상기 빗물저류조(37)에는 계속해서 저류되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로마다 설치된 별도의 빗물받이(도시하지 않음) 시설과 연결되는 유출관(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출관(38)은 상기 빗물저류조(37)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지속적인 빗물의 유입으로 만수위 상태를 이룰 경우 상기 빗물받이(도시하지 않음) 시설을 향해 빗물을 배출토록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정화된 빗물이 지하로 흡수되지 못하며, 식생여재층에 의하여 투수격벽과 여재의 유지관리 및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양의 우수의 정화에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94715(2013.08.0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빗물이 필터를 통과하여 유공바닥에 형성된 배수로공을 통하여 토양으로 배출되고, 필터가 구비된 여과재모듈이 점검구를 통해 유지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비된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은 차도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향 개구된 우수받이와, 일측이 상기 우수받이에 연결되며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차도의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유공관을 포함하는 유입부와;
차도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개구된 중공인 점검구와, 양측이 점검구에 연결되고 차도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배수로공이 형성된 유공바닥을 가지는 중공의 통로로 이루어진 이동로와;
상기 유공관의 하부로 통로에 구비되는 복수의 여과재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은 상기 통로에 위치하고 일측이 우수받이에 연결되며; 상기 여과재모듈은 상향 개구되고 배수홀이 형성된 중공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우수받이는 차도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공관은 적어도 일측이 우수받이에 연결되며; 상기 점검구는 우수받이의 외측에서 상향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입부와 이동로는 차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이동로는 상기 우수받이로부터 차도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외벽과, 차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양단이 상기 외벽에 연결된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받이의 외측벽이 이동로의 내벽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공관의 일단은 우수받이에 연통되도록 우수받이에 연결되며, 타단은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공관은 차도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공바닥에는 차도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재모듈의 수용부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재모듈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여과재모듈의 수용부 하부에는 받침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는 수용부의 하부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은 레일과 점검구를 통하여 여과재모듈의 유지관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배수로공을 구비하여 정화된 빗물을 직접 지하로 흡수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레일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여과재모듈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레일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의 여과재모듈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며,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차도(2)에서 점검구(1211)로의 방향을 "외향"으로, 점검구(1211)에서 차도(2)로의 방향을 "내향"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은 차도(2)에 설치되며, 차도(2)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은 유입부(110)와, 이동로(120)와, 여과재모듈(13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유입부(110)는 우수받이(111)와 유공관(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수받이(111)는 상향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는 차도(2)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주하는 벽으로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양측 벽은 내측벽과 외측벽에 연결된다. 상기 우수받이(111)는 상하 방향으로 통로를 형성하는 벽체와, 통로의 하단을 막는 바닥벽체를 구비하며 상향 개구된다. 상기 바닥벽체는 차도(2)의 보조기층(23)보다 하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외측벽은 후술 할 점검구(1211)의 내벽이 된다. 상기 우수받이(111) 내측벽의 상단은 차도(2) 상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차도(2)에 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우수받이(111) 내측벽의 상단은 차도(2)와 같은 높이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외측벽의 상단은 내측벽보다 높아 보도(3)와 같은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외측벽은 상기 내측벽 상부와 보도(3)의 높이차 만큼 상방향으로 길게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내측벽 상단에는 외향으로 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외측벽 상부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내향으로 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턱부에는 제1 그레이팅덮개(1111)가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외측벽 상단에는 외향으로 턱부가 구비되어 후술할 제2 그레이팅덮개(1211a)가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의 내측벽은 차도(2)의 보조기층(23) 하부에 구비된 차단층(25)과 연결된다. 상기 우수받이(111)가 차도(2)변 일측에만 구비되면, 차도(2)변 타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차단층(25)과 연결된 벽체가 차도(2)변에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113)은 단면이 원형인 중공체로 상기 차단층(25) 하부에서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113)은 차도(2)의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113)은 상기 우수받이(111)의 내측벽을 관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유공관(113)은 상기 우수받이(111) 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우수받이(111)가 차도(2)의 일측에만 구비되면, 상기 유공관(113)의 일단은 우수받이(111)에 연통되고, 타단에는 커버가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113)은 차도(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유공관(113)의 단면이 직사각형이라면, 상기 유공관(113) 폭은 상기 우수받이(111)의 길이 방향의 길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공관(113)에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로(120)는 외벽(121)과 측벽(125)으로 이루어져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점검구(1211)와, 상기 점검구(1211)에 연결되고 차도(2) 하부에 형성되며 유공바닥(123)을 가지는 통로(1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로(120)는 "┕┙"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벽(121)은 상기 우수받이(111)의 외측벽으로부터 외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외벽(121)의 상단에는 내향하여 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측벽(125)은 상기 외벽(121)에 연결되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벽(125)은 "┕┙"자 형태로 이루어져 차도(2)에 구비된다. 상기 측벽(125)은 차도(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측벽(125)의 폭 방향 외측 상단에는 하향 이격되어 턱부가 구비된다.
상기 외벽(121)과, 상기 측벽(125)의 폭 방향 외측에서 상향 연장된 부분과, 내벽으로 상기 점검구(1211)가 형성된다. 상기 점검구(1211)는 차도(2)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점검구(1211)는 폭 방향으로 상기 우수받이(111)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점검구(1211)는 중공으로 상향 개구되어 구비된다. 상기 점검구(1211) 상부에는 제2 그레이팅덮개(1211a)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그레이팅덮개(1211a)는 상기 점검구(1211) 상단에 형성된 턱부에 걸쳐 구비된다. 상기 제2 그레이팅덮개(1211a)는 보도(3)에 위치한다. 상기 점검구(1211)는 후술할 여과재모듈(130)의 인양 및 하강 통로가 된다.
상기 통로(1212)는 상기 점검구(1211)에 연결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통로(1212)는 차도(2)의 차단층(25)과, 상기 외벽(121)과, 측벽(125)과, 측벽(125)의 하부에 연결된 유공바닥(123)으로 형성된다. 상기 통로(1212)는 후술 할 여과재모듈(130)이 이동하는 공간이 된다.
상기 유공바닥(123)은 상기 차단층(25)으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통로(1212) 상부에는 상기 차단층(25)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상기 유공관(113)이 구비된다. 상기 유공바닥(123)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복수의 배수로공(1233)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공(1233)은 차도(2)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공(1233)은 유공관(11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유공바닥(123) 전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공바닥(123) 상부에는 레일판(1231)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판(1231)은 상기 외벽(121)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레일판(1231)에는 상기 배수로공(1233)과 같은 위치에 배수홀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홀은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레일판(1231)의 상부로 레일(1231a)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1231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배수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레일(1231a) 하부로 배수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배수홀은 후술 할 여과재모듈(130)의 바퀴(137)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레일(1231a)은 외벽(121) 사이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레일(1231a)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레일(1231a)은 상기 레일판(1231)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유공바닥(123)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과재모듈(130)은 상기 통로(1212)에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상기 유공관(113)으로부터 하향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레일(1231a) 에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수용부(139)와, 필터부(131,133,135)와, 바퀴(1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139)는 상향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139)의 단면은 원 또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139) 측면의 둘레는 상기 점검구(1211)의 둘레 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139) 바닥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배출홀(139a)이 하나 이상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9) 바닥 하부에는 복수개의 바퀴(137)가 구비된다. 상기 바퀴(137)는 상기 레일(1231a)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바퀴(137)와 레일(1231a)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여과재모듈(130)을 이동시키는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139) 내측에는 필터부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는 후술 할 받침부재(132)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139)의 바닥 상부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필터부는 상부로부터 세라믹 여재모듈(131), 모래 여재모듈(133), 필터(135)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135)는 상기 필터부의 가장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필터(135)는 1∼5㎜ 범위의 두께로 구비된다. 상기 모래 여재모듈(133)은 상기 필터(135)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모래 여재모듈(133)은 5∼10㎜ 범위의 두께로 구비된다. 상기 세라믹 여재모듈(131)은 상기 모래여재모듈(133)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세라믹 여재모듈(131)은 10∼20㎜ 범위의 세라믹 입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는 각각 또는 한번에 망체에 투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분리 가능하며, 각각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다른 여재모듈로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32)는 상기 수용부(139)의 바닥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132)는 복수로 구비되며 각각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132)는 상기 수용부(139)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턱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본다.
먼저 강우시 우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과 함께 혼합된 상태로 차도(2)변을 향해 흘러 상부로부터 우수받이(111)로 유입된다. 상기 우수받이(111)로 유입된 우수가 머무르면서 입자가 큰 이물질은 우수받이(111) 하부로 가라앉으며 분리된다. 우수가 상기 유공관(113)이 위치한 높이만큼 유입되면 입자가 큰 이물질이 분리된 우수는 상기 유공관(113)으로 유입된다.
우수받이(111)로 유입된 우수의 양이 많으면 상기 우수받이(111)로 유입된 우수는 넘치게 된다. 넘친 우수는 차도(2)변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 우수받이(111)로 흘러간다.
상기 유공관(113)으로 유입된 우수는 유공관(113)에 형성된 배출공(1131)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공(1131)으로 배출된 우수는 상기 유공관(113) 하부로 이격되어 구비된 여과재모듈(130)로 낙하한다.
상기 여과재모듈(130)로 낙하된 우수는 필터부를 통과해 배출홀(139a)을 통해 빠져나온다.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빗물은 여과흡착 및 정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여과재모듈(130)을 통과한 우수는 상기 유공바닥(123)에 형성된 배수로공(1233)을 통해 지하수로 흘려보낸다.
상기 우수받이(111)에서 분리된 입자가 큰 이물질은 외부에서 흡입하는 작업을 통해 제거하여 시설을 유지한다.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필터부의 성능이 떨어지면 상기 여과재모듈(130)을 교체한다.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차도(2) 양측에 구비된 점검구(1211)를 통해 인양 및 하강이 이루어진다. 일측 점검구(1211)를 통해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통로(1212)로 투입된다.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통로(1212)의 유공바닥(123)에 구비된 레일(1231a) 위에 위치된다. 여과재모듈(130)에 구비된 바퀴(137)를 구동시켜 상기 여과재모듈(130)을 상기 통로(1212)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교체가 필요한 여과재모듈(130)은 통로(1212)로 투입된 여과재모듈(130)로부터 밀려 타측에 위치한 점검구(1211) 하부로 이동된다. 점검구(1211) 하부로 이동된 교체가 필요한 여과재모듈(130)은 상기 점검구(1211)를 통해 인양된다. 교체가 필요한 여과재모듈(130)은 필터부를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하여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 차도 3 : 보도
100 :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110 : 유입구 111 : 우수받이
113 : 유공관 1131 : 배출공
120 : 이동로 121 : 외벽
1211 : 점검구 123 : 유공바닥
1231 : 레일판 1231a : 레일
1233 : 배수로공 125 : 측벽
130 : 여과재모듈 131 : 세라믹여재모듈
132 : 받침부재 133 : 모래여재모듈
135 : 필터 137 : 바퀴
139 : 수용부 139a : 배수홀

Claims (8)

  1. 차도(2)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상향 개구된 우수받이(111)와, 일측이 상기 우수받이(111)에 연결되며 복수의 배출공(1131)이 형성되고 차도(2)의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유공관(113)을 포함하는 유입부(110)와;
    차도(2)의 폭 방향 양측에서 상향 개구된 중공인 점검구(1211)와, 양측이 점검구(1211)에 연결되고 차도(2)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배수로공(1233)이 형성된 유공바닥(123)을 가지는 중공의 통로(1212)로 이루어진 이동로(120)와;
    상기 유공관(113)의 하부로 통로(1212)에 구비되는 복수의 여과재모듈(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공관(113)은 상기 통로(1212)에 위치하고 일측이 우수받이(111)에 연결되며;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상향 개구되고 배수홀(139a)이 형성된 중공의 수용부(139)와, 상기 수용부(139)에 구비된 필터부(131,133,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받이(111)는 차도(2)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공관(113)은 적어도 일측이 우수받이(111)에 연결되며; 상기 점검구(1211)는 우수받이(111)의 외측에서 상향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110)와 이동로(120)는 차도(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120)는 상기 우수받이(111)로부터 차도(2) 외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 외벽(121)과, 차도(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양단이 상기 외벽(121)에 연결된 측벽(125)을 포함하며; 상기 우수받이(111)의 외측벽이 이동로(120)의 내벽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113)의 일단은 우수받이(111)에 연통되도록 우수받이(111)에 연결되며, 타단은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113)은 차도(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시설(100).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바닥(123)에는 차도(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레일(1231a)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재모듈(130)의 수용부(139)의 하부에 바퀴(137)가 구비되어, 상기 여과재모듈(130)은 레일(1231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모듈(130)의 수용부(139) 하부에는 받침부재(132)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131,133,135)는 수용부(139)의 하부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100).
KR1020140156263A 2014-11-11 2014-11-11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KR101648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63A KR101648872B1 (ko) 2014-11-11 2014-11-11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63A KR101648872B1 (ko) 2014-11-11 2014-11-11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67A KR20160056467A (ko) 2016-05-20
KR101648872B1 true KR101648872B1 (ko) 2016-08-18

Family

ID=5610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63A KR101648872B1 (ko) 2014-11-11 2014-11-11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8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35A (ko) 2018-01-05 2019-07-15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전처리조를 구비한 모듈형 비점오염 저감설비
KR20190083834A (ko) 2018-01-05 2019-07-15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도로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11877511A (zh) * 2020-07-11 2020-11-03 江苏绿臻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雨水收集利用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230B1 (ko) * 2016-11-28 2018-06-15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저영향개발 시설의 화분 교체식 식생 구조체
KR101997478B1 (ko) * 2018-10-29 2019-07-08 김인식 폐수 처리장치
CN110130461A (zh) * 2019-05-29 2019-08-16 合肥亿境景观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景观林的雨、水补偿式给排水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06B1 (ko) 2011-06-21 2013-07-22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침투도랑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4081B2 (ja) * 1992-11-14 1999-03-03 大吉 末松 雨水浸透構造
KR101294715B1 (ko) 2011-10-04 2013-08-08 이문기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20130039792A (ko) * 2011-10-13 2013-04-23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지하수 충진 및 열섬효과 완화 배수로
KR20130134271A (ko) * 2012-05-30 2013-12-10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로변 빗물 침투 저류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06B1 (ko) 2011-06-21 2013-07-22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침투도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835A (ko) 2018-01-05 2019-07-15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전처리조를 구비한 모듈형 비점오염 저감설비
KR20190083834A (ko) 2018-01-05 2019-07-15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도로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11877511A (zh) * 2020-07-11 2020-11-03 江苏绿臻建设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雨水收集利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67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872B1 (ko)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US8658044B2 (en) Stormwater filt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688845B1 (ko) 침투 여과통 부착을 통한 투수성능 및 투수지속성 증대로 초기우수처리 및 지하수 함양효과를 극대화시킨 침투형 빗물받이
KR100848011B1 (ko) 상향류형 여과조를 이용한 우수 내 오염물질 제거장치
KR100597203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9117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737730B1 (ko) Lid형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203059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73780B1 (ko) 상향류식 여과방법과 하향류식 여과방법을 이용한 다단계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59474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장치
KR101145050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초기우수처리 빗물받이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US20130043171A1 (en) Storm water pollution full capturing system
JP2006028844A (ja) 路面排水処理槽
KR200350829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