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474B1 - 치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74B1
KR100825474B1 KR1020070056143A KR20070056143A KR100825474B1 KR 100825474 B1 KR100825474 B1 KR 100825474B1 KR 1020070056143 A KR1020070056143 A KR 1020070056143A KR 20070056143 A KR20070056143 A KR 20070056143A KR 100825474 B1 KR100825474 B1 KR 10082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floss
thin film
filament
film filament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일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070056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61C15/042Dental floss comprising protuberances along its length, e.g. balls or kn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치실은 박막 테이프 형상의 박막필라멘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세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치간 사이가 좁은 사용자도 부담감과 고통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치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세정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실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치실, 박막, 필라멘트, 패턴, 첨가제

Description

치실 및 그 제조방법{Dental Floss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치실은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영역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부분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단면구조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제조공정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실 10 : 박막필라멘트
11 : 세정패턴 20 : 첨가제
본 발명은, 치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 및 표면구조가 개선된 치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실은 치아 세정과 치아 사이(치간)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치아 청결용 기구의 하나로서, 치간에 낀 작은 이물질과 프러그 등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어서 그 사용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치실(10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상태의 섬유 필라멘트(110)를 다수 마련하여 이들을 합사 및 연사 처리하고, 표면에 호제 또는 왁스 등으로 코팅처리(120)하여 연신상태의 치실(101)로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실은 연신상태로 방사된 다수의 섬유 필라멘트를 합사 및 연신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그 직경이 비교적 굵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이에 의해, 치아와 치아 사이(치간)의 간격이 좁은 사용자들이 치실을 사용할 때 치간에 치실을 삽입하기가 어렵고, 치실을 치간에 삽입한 후 치간 세정시 부담감과 고통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치간의 사이가 좁은 사용자들이 치실을 장기간 사용하면 치간의 사이가 현격하게 벌어져 사용자의 치아 배열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치실은 단면이 거의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치아와의 접촉면적이 협소하여 치아의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치실은 다수의 섬유 필라멘트를 마련하고 이들을 일일이 합사 및 연사한 후 코팅처리하는 제조공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비교적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간 사이가 좁은 사용자도 부담감과 고통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치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세정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치실에 있어서, 박막 테이프 형상의 박막필라멘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세정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정패턴은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양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단면투영시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과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막필라멘트에 함유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적어도 상기 세정패턴의 요홈에 수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정패턴의 요홈은 입구에 비해 내부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상기 박막필라멘트는 용융된 원소재를 압출성형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박막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단면구조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실(1)은 치실(1)의 외관을 형성하는 박막필라멘트(10)와, 박막필라멘트(10) 내에 함유되는 첨가제(20)를 포함 한다.
박막필라멘트(10)는 치실(1)의 원소재인 용융소재를 압출성형하여 박막의 테이프형상으로 성형되며, 그 표면에 치아와의 접촉시 치아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정패턴(11)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필라멘트(10)의 용융소재는 치실(1) 사용시 요구되는 적절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섬유 또는 수지를 용융한 재료를 이용한다.
그리고, 박막필라멘트(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세정패턴(11)은 박막필라멘트(10)를 단면 투영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필라멘트(10)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요철(11b)과 요홈(11a)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박막필라멘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세정패턴(11)의 단면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패턴(11)은 박막필라멘트(10)의 표면이 치아에 접촉할 때, 치아와 박막필라멘트(10)가 상호 미끄러지지 않고 요철(11b)과 요홈(11a) 구조에 의해 마찰 접촉되도록 하기 위한것으로서, 세정작용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이때, 세정패턴(11)의 요홈(11a)은 첨가제(20)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입구에 비해 내부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첨가제(20)가 요홈(11a)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세정패턴(11)은 박막필라멘트(10)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치간 양측의 치아를 세정할 수 있도록 박막필라멘트(10)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막필라멘트(10)는 다양한 컬러의 용융소재를 이용하여 특정 색상이나 다양한 색상이 복합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실(1) 제품 디자인의 미적효과와 상품성이 향상된다.
한편, 첨가제(20)는 코팅 처리등의 공정을 이용하여 적어도 박막필라멘트(10)의 요홈(11a)내에 수용된다. 이때, 첨가제(2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치아의 건강과 세정력 향상을 위한 치약류나 불소 또는 염분, 자일리톨이나 솔비톨(sorbitol) 등의 재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향기를 함유한 재료 예컨대, 페퍼민트향이나 민트향, 과일향 또는 녹차향이나 꽃 향기 등의 향기를 갖는 향료성분을 함유한 첨가제(20)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다양한 첨가제(20)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복합적으로 혼합된 향균제 등의 첨가제(2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첨가제(20)는 코팅 등의 공정에 의해 박막필라멘트(10)의 요홈(11a)에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액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 후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의 제조는 도 9에 간략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필라멘트(10)를 성형하는 공정(S01)과, 박막필라멘트(10)에 첨가제(20)를 코팅하는 공정(S02)과, 건조공정(S03)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박막필라멘트(10)를 성형하는 공정(S0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출기에서 용융소재를 압출하여 표면에 세정패턴(11)이 형성된 박막필라멘트(10)를 성형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세정패턴(11)의 단면형상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요철(11b) 및 요홈(11a)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세정패턴(11)의 단면구조는 용융소재를 압출하는 압출기의 압출노즐에 형성된 압출구의 성형 단면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세정패턴(11)들의 단면구조에 대응하는 성형 단면구조로 형성된 압출구를 갖는 압출노즐들을 미리 제작하고, 이 압출노즐들을 압출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용융소재를 압출함으로써, 선택된 압출노즐의 압출구 성형 단면구조에 대응하는 단면구조의 세정패턴이 형성되는 치실(1)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박막필라멘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지고 각각 다른 수용용기에 수용된 용융소재들을 하나의 압출노즐을 통해 압출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첨가제(20)를 코팅하는 공정(S02)은 적어도 박막필라멘트(10)의 요홈(11a)에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첨가제(20)를 수용시키는 공정으로서, 코팅방법으로는 박막필라멘트(10)의 표면에 액상의 첨가제(20)를 도포하거나, 액상의 첨가제(20)에 박막필라멘트(10)가 디핑하여 첨가제(20)가 박막필라멘트(10)의 요홈(11a)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첨가제(20)를 코팅하는 공정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건조공정(S03)은 첨가제(20)가 코팅된 박막필라멘트(10)를 소정의 온도로 건조시켜서 치실(1) 완제품으로 형성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건조온도와 건조방식 및 건조시간 등의 건조조건은 박막필라멘트(10)의 재질 및 첨가제(2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서, 박막필라멘트(10)와 첨가제(20)가 열에 의해 손실되지 않는 건조조건을 채택한다.
이렇게 완성된 치실(1)은 보빈 등에 권취되어 치실케이스 등에 수용되어 제품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치실은 두께가 박막으로 형성된 테이프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치간이 좁은 사용자의 구강내에서 사용되더라도 치실이 치간으로 원활하게 삽입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세정작용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부담과 고통없이 치아를 세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치간 간격이 벌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세적작용시 치실의 표면에 형성된 세정패턴에 의해 치실과 치아가 상호 미끄러짐 없이 마찰접촉되어 치아 세정력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또한, 치실의 제조공정이 압출공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합사 및 연사처리 등의 복잡한 공정을 갖는 제조방법에 비해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치간 사이가 좁은 사용자도 부담감과 고통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치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세정력이 우수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실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3)

  1. 치실에 있어서,
    용융된 원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박막 테이프 형상의 박막필라멘트로 형성되되,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면에는 단면투영시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의 요철과 요홈으로 이루어진 세정패턴이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패턴은 상기 박막필라멘트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치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필라멘트에 함유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적어도 상기 세정패턴의 요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패턴의 요홈은 입구에 비해 내부공간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필라멘트는 적어도 하나의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실.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056143A 2007-06-08 2007-06-08 치실 및 그 제조방법 KR10082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143A KR100825474B1 (ko) 2007-06-08 2007-06-08 치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143A KR100825474B1 (ko) 2007-06-08 2007-06-08 치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5474B1 true KR100825474B1 (ko) 2008-04-25

Family

ID=3957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43A KR100825474B1 (ko) 2007-06-08 2007-06-08 치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259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간 세정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502837A (ja) * 2017-11-15 2021-02-04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アー. 歯間クリーナ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258A (en) * 1979-08-28 1981-05-05 Eaton Melvin H Ii Dental floss
US4941487A (en) * 1989-07-11 1990-07-17 Vanbeneden Floyd V Fluoridated dental floss
US5226435A (en) * 1991-08-01 1993-07-13 Gillette Canada Inc. Flavored dental floss and method
US6607000B2 (en) * 2000-12-27 2003-08-19 Padma Marwah Frilly dental floss
KR20060015352A (ko) * 2006-02-02 2006-02-16 조해용 박막을 이용한 치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258A (en) * 1979-08-28 1981-05-05 Eaton Melvin H Ii Dental floss
US4941487A (en) * 1989-07-11 1990-07-17 Vanbeneden Floyd V Fluoridated dental floss
US5226435A (en) * 1991-08-01 1993-07-13 Gillette Canada Inc. Flavored dental floss and method
US6607000B2 (en) * 2000-12-27 2003-08-19 Padma Marwah Frilly dental floss
KR20060015352A (ko) * 2006-02-02 2006-02-16 조해용 박막을 이용한 치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259A (ko) * 2010-04-30 2011-11-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간 세정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7575B1 (ko) 2010-04-30 2016-09-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간 세정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502837A (ja) * 2017-11-15 2021-02-04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アー. 歯間クリーナー
JP7293215B2 (ja) 2017-11-15 2023-06-19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アー. 歯間クリーナ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555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extured toothbrush bristle
EP2520247B1 (en) Dental flosser with improved strength
US6027592A (en) Dental floss
AU708978B2 (en) Dental floss
TW379262B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piral bristles
US20140130824A1 (en) Multiple strand dental flosser
KR20000049087A (ko) 치간소제기구 및 치간소제기구의 제조방법
US5845652A (en) Dental floss
KR101193946B1 (ko) 전동칫솔용 양면 미세모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동칫솔
US20040040572A1 (en) Tongue scraper/dental flosser
WO1997040774A1 (en) Variable-gauge tooth-flossing loops and tape
PL193570B1 (pl) Sposób wytwarzania elementu czyszczącego i element czyszczący
US6029678A (en) "Gel" dental floss
US20140366903A1 (en) Dental Floss And Brush Apparatus
KR100825474B1 (ko) 치실 및 그 제조방법
JP2006255068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RU2567786C2 (ru) Интердентальный чистящи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TWI473599B (zh) 彈性體牙線
KR20080100531A (ko) 치간칫솔 및 그 제조방법
CN205696411U (zh) 一种牙缝刷
KR101998281B1 (ko) 분기형 칫솔모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40875B (zh) 刷子用毛材及使用其之刷子
US10624724B2 (en) Bristled dental floss
KR20190021788A (ko) 미세 칫솔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130900A1 (ja) ブラシ用毛材及びそれを用いた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