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443B1 -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43B1
KR100825443B1 KR1020060048477A KR20060048477A KR100825443B1 KR 100825443 B1 KR100825443 B1 KR 100825443B1 KR 1020060048477 A KR1020060048477 A KR 1020060048477A KR 20060048477 A KR20060048477 A KR 20060048477A KR 100825443 B1 KR100825443 B1 KR 10082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llerene
multimer
white light
solve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882A (ko
Inventor
안정선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48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43B1/ko
Priority to US12/302,833 priority patent/US20100028244A1/en
Priority to PCT/KR2007/002620 priority patent/WO2007139345A1/en
Publication of KR2007011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11Fullerenes, e.g. C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25Non-condensed syste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C60등의 플러렌을 톨루엔 등의 용매에 1×10-3 mol/L 이상의 농도로 용해하여 응고시켜서 제조함으로써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나노미터 정도의 크기와 클로즈드 쉘 구조의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유기 EL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플러렌 다량체

Description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Fullerene Manifol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Having Characteristic of White Photoemiss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플러렌 회합체를 광여기하여 제조한 플러렌 다량체의 광조사 시간에 따른 PL 스펙트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C60등의 플러렌을 톨루엔 등의 용매에 1× 10-3 mol/L 이상의 농도로 용해하여 응고시켜서 제조함으로써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나노미터 정도의 크기와 클로즈드 쉘 구조의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플러렌은 탄소로만 구성된 물질이며, 그 구조는 그라파이트 구조와 다이아몬 드 구조와의 중간적인 것으로, 탄소의 6원환을 중심으로 하여, 1부에 5원환이 존재한다. 플러렌의 탄소 원자의 일부를 다른 원소로 치환하거나, 플러렌에 다른 원소를 부가한 물질들도 알려져 있다. 더욱이 공모양의 플러렌의 내부에 금속원자 등을 내포시킨 물질, 플러렌 분자간에 산소가 포함된 금속 등의 이원소를 배치한 것들도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플러렌은 C60이며, 이외에 C70, C76, C78, C82, C84, C240, C540, C720등이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속이 비어있는 볼(ball) 상태의 플러렌이다. 또한 이외의 튜브상태의 플러렌이 알려져 있다. 볼과 튜브상태의 플러렌에서, 중요한 것은 볼 상태의 플러렌이며, 후술하는 플러렌은 볼 상태의 플러렌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플러렌은 용액이나 단결정 등으로 존재하며, 용매를 예로 들면 벤젠, 톨루엔, CS2, 아세톤, 토리크렌, 클로르벤젠 등이 있다. 용액에서도 단결정에서도 플러렌에는 회전의 자유도가 있다. 예를 들면, 실온의 단결정에서는 플러렌분자, 즉 플러렌 단량체는 병진자유도를 빼앗기고 있을 뿐, 열 운동에 의해서 회전하고 있다. 이것은 플러렌이 등방(等方)적인 볼 상태로 플러렌 분자 상호간의 결합이 약하고, 또한 결합의 포텐셜의 이방성이 작은 것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고체 내에서 플러렌 분자간의 결합은, 주로 파이 전자간의 상호작용에 의거한 반데르왈스 결합이다.
플러렌을 응용한 것의 하나로 리소그라피가 주목되고 있다. 플러렌에는 승화성이 있으며,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 박막에 잠상(潛像)을 형성한 후에 현 상을 할 수 있다면, 리소그라피에의 응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플렌렌 회합체의 백색발광 특성에 대해서는 알려진바 없으므로 상기 플러렌 회합체를 유기 EL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하는 경우는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용매의 동결과정을 통해 회합체를 형성하고, 그 회합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회합체 내부에서 플러렌 분자간에 공유결합이 형성된 플러렌 다량체를 제조함으로써 가시광선 전역에서 백색발광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러렌 단량체의 단일용액을 응고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량체를 전기 용액 중에서 회합시켜 플러렌 회합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회합체를 광여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러렌 단량체의 회전자유도를 빼앗도록 상호 결합한 플러렌 다량체에 관한 것으로, 플러렌 단량체의 용액을 응고시키는 것에 의해 단량체를 용액중에서 회합시켜 다량체의 중간체인 회합체를 형성하고, 그 플러렌 회합체에 레이저 조사 등으로 광 여기를 실시함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에서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 러렌 다량체를 제조한다.
상기 플러렌 다량체는 플러렌 단량체의 용액을 응고시키거나 또는 플러렌 단량체의 용액에 플러렌의 난용매를 첨가하여, 플러렌 회합체의 용액으로 형성한 후, 용액중의 플러렌 회합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광여기를 실시함으로써 플러렌 회합체 중의 플러렌 분자들을 결합시켜 플러렌 다량체를 제조한다.
상기 플러렌의 회합체는 수개∼수백 개 정도, 적은 경우 수개∼수십 개 정도의 플러렌 분자가 용액 중에서 회합한 것으로서, 상기 단량체 용액의 용매는 톨루엔, 벤젠, 혹은 CS2이며, 이외에도 플러렌을 용해하여 얻은 용매이면 좋다. 또한 플러렌 회합체의 제조에는 농도 의존도가 있어, 어떤 용매의 경우에도 단량체 농도를 적어도 1×10-3mol/L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액중에서의 플러렌 단량체의 농도는 톨루엔 용매의 경우 2.5×10-3mol/L 이상, 벤젠 용매의 경우 1.5×10-3mol/L 이상, CS2 용매의 경우 1.5×10-3mol/L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응고 후 또는 난용매의 첨가 후의 플러렌은 실질적으로 회합체가 된다. 상기와 같이 단일용매의 동결과정에서 형성된 플러렌 회합체는 그 크기가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나노미터 정도이며, 클로즈드 쉘(Closed Shell) 구조를 가지며, 난 용매와 혼합을 통해서 생성되는 플러렌 회합체는 그 크기가 대략 수백 나노미터 정도이고, 그 구조는 벌크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FCC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회합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조된 다량체는 물성면에서 그 크기 및 구조가 회합체의 형성방법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단일 용매의 응고과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회합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만들어진 플러렌 다량체의 경우에는 가시광선의 전영역에서 백색발광 특성을 가지나 난용매와의 혼합을 통해서 생성된 회합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플러렌 다량체를 제조하더라도 백색발광 특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때, 조사되는 레이저빔은 YAG레이저의 3 배파(파장 355nm) 또는 Ar이온 레이저(514.5nm) 등을 사용한다.
한 실시예로서, 도1은 플러렌을 벤젠용매에 용해하여 응고시켜 생성한 플러렌 회합체(온도 77K)에 YAG레이저의 3 배파(파장 355nm)를 이용하여, 광조사(레이저 파워밀도: 15.8mW/mm2)할 경우의 회합체에서 다량체로 변하는 과정에서의 광조사 시간에 따른 PL 스펙트럼의 변화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 시간이 0분인 PL 스펙트럼은 플러렌을 벤젠용매에 용해하여 응고시켜 생성한 플러렌 회합체의 77K에서의 PL 스펙트럼이며, 광조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회합체에서 다량체의 PL스펙트럼으로 변하며, 광 조사 시간이 5분 정도를 넘어가면 PL 스펙트럼은 가시광선 전역에서 백색 발광을 하 는 다량체의 스펙트럼으로 변한다. 참고로, 회합체에서 다량체로 바뀌는 시간은 광조사의 세기(파워 밀도) 및 레이저의 파장 등에 의존할 수 있으며, 상기 5분은 레이저빔은 YAG레이저의 3 배파(파장 355nm, 10Hz) 를 이용하여 파워밀도 15.8mW/mm2로 조사하였을 경우의 시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용액을 이용하여 플러렌 회합체를 생성하고, 상기 회합체를 레이저 등을 이용한 광여기 과정을 통해 플러렌 다량체로 제조함으로써 가시광선 전 영역에서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를 제조할 수 으며,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는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되는 유기 EL 등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단일용매의 응고과정에서 생성된 플러렌 회합체에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광여기시켜 제조된 플러렌 다량체는 가시광선의 전 영역에서 백색발광 특성을 가지므로 유기 EL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4)

  1. 플러렌 단량체가 적어도 1×10-3mol/L 이상으로 용해된 단일용액을 77K 이하로 응고시켜 플러렌 회합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플러렌 회합체에 YAG 레이저의 3배파(파장 355n) 레이저 빔을 15.8mW/mm2의 파워밀도로 5분 이상 광조사하는 광여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렌 단량체의 단일용액의 용매는,
    벤젠, 톨루엔, CS2, 아세톤, 토리크렌, 클로르벤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발광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백색 발광용 유기 EL 소재로 사용되는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러렌 다량체.
KR1020060048477A 2006-05-30 2006-05-30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825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77A KR100825443B1 (ko) 2006-05-30 2006-05-30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US12/302,833 US20100028244A1 (en) 2006-05-30 2007-05-30 Fullerene manifol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having characteristic of white photoemission
PCT/KR2007/002620 WO2007139345A1 (en) 2006-05-30 2007-05-30 Fullerene manifol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having characteristic of white photoe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477A KR100825443B1 (ko) 2006-05-30 2006-05-30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82A KR20070114882A (ko) 2007-12-05
KR100825443B1 true KR100825443B1 (ko) 2008-04-28

Family

ID=3877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477A KR100825443B1 (ko) 2006-05-30 2006-05-30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28244A1 (ko)
KR (1) KR100825443B1 (ko)
WO (1) WO2007139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4635B2 (ja) 2008-12-19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ジアセナフト[1,2−b:1’,2’−k]クリセン誘導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220A (ja) * 1994-08-19 1996-03-05 Sony Corp フラーレン重合体、フラーレン重合体膜、フラーレン重合体含有材料、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H08295505A (ja) * 1995-04-26 1996-11-12 Nec Corp フラーレン薄膜製造方法
JPH101306A (ja) * 1996-06-13 1998-01-06 Ishikawa Seisakusho Ltd 新規なフラーレ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と使用方法
JP2004165609A (ja) 2002-09-18 2004-06-10 Sony Corp 電子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9220A (ja) * 1994-08-19 1996-03-05 Sony Corp フラーレン重合体、フラーレン重合体膜、フラーレン重合体含有材料、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H08295505A (ja) * 1995-04-26 1996-11-12 Nec Corp フラーレン薄膜製造方法
JPH101306A (ja) * 1996-06-13 1998-01-06 Ishikawa Seisakusho Ltd 新規なフラーレ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と使用方法
JP2004165609A (ja) 2002-09-18 2004-06-10 Sony Corp 電子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8244A1 (en) 2010-02-04
KR20070114882A (ko) 2007-12-05
WO2007139345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zzal et al. Environmental effects on photoluminescence of highly luminescent CdSe and CdSe/ZnS core/shell nanocrystals in polymer thin films
Wang et al. Rational design of multi‐color‐emissive carbon dots in a single reaction system by hydrothermal
Wang et al. Solution‐grown CsPbBr3/Cs4PbBr6 perovskite nanocomposites: toward temperature‐insensitive optical gain
Li et al. Thermally activated upconversion near‐infrared photoluminescence from carbon dots synthesized via microwave assisted exfoliation
Hu et al. Robust cesium lead halide perovskite microcubes for frequency upconversion lasing
Han et al. Highly efficient and ultra-narrow bandwidth orange emissive carbon dots for microcavity lasers
Rühle et al. Nature of sub-band gap luminescent eigenmodes in a ZnO nanowire
US8143343B2 (en) Microphase-separated structure, immobilized microphase-separated structure and wavelength-variable laser oscillator, temperature sensor and light filter using the structure
Choi et al. A fully biocompatible single-mode distributed feedback laser
Gan et al. Photoluminescence of diphenylalanine peptide nano/microstructures: from mechanisms to applications
Yang et al. Lasing Characteristics of CH3NH3PbCl3 Single‐Crystal Microcavities under Multiphoton Excitation
Dong et al. Temperature dependence of optical centers in Ib diamond characterized by photoluminescence spectra
Malak et al. Large‐Area Multicolor Emissive Patterns of Quantum Dot–Polymer Films via Targeted Recovery of Emission Signature
Özden et al. CVD grown 2D MoS2 layers: A photoluminescence and fluorescence lifetime imaging study
Kalytchuk et al. Sodium chloride protected CdHgTe quantum dot based solid-state near-infrared luminophore for light-emitting devices and luminescence thermometry
Kim et al. Temperature dependence of photoluminescence dynamics in colloidal CdS quantum dots
KR100825443B1 (ko) 백색발광 특성을 갖는 플레렌 다량체 및 그 제조방법
Wang et al. Quantum emitters with narrow band and high debye–waller factor in aluminum nitride written by femtosecond laser
Castellanos et al. Non‐Equilibrium Bose–Einstein Condensation of Exciton‐Polaritons in Silicon Metasurfaces
Nie et al. Multicolor display fabricated via stacking CW laser-patterned perovskite films
Cianci et al. Spatially Controlled Single Photon Emitters in hBN‐Capped WS2 Domes
Martiradonna et al. Nanopatterning of colloidal nanocrystals emitters dispersed in a PMMA matrix by e-beam lithography
Malak et al. Programmed Emission Transformations: Negative‐to‐Positive Patterning Using the Decay‐to‐Recovery Behavior of Quantum Dots
Zhang et al. Printed Hybrid Upconversion/Perovskite Nanoparticle Cluster and Its Individual Photoluminescence Imaging
Zhang et al. Microstructure Engineering of Hexagonal Boron Nitride for Single‐Photon Emitter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