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729B1 -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729B1
KR100823729B1 KR1020070062501A KR20070062501A KR100823729B1 KR 100823729 B1 KR100823729 B1 KR 100823729B1 KR 1020070062501 A KR1020070062501 A KR 1020070062501A KR 20070062501 A KR20070062501 A KR 20070062501A KR 100823729 B1 KR100823729 B1 KR 10082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image identification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호
최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츠
Priority to KR102007006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04N21/8405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represented by key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소정의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을 대표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상을 대표하는 제2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영상을 유포 금지된 영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도 인터넷을 통한 유포를 금지시킬 수 있으므로 유포를 금지할 수 있는 영상의 범위를 보다 폭넓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명암정보를 이용한 이미지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 인해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보다 정확히 두 영상의 비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영상, 유포, 식별정보

Description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preventing image from spreading through network using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system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한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유포가 금지된 영상의 처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 포털 사이트, P2P(Peer-to-Peer) 사이트 등의 인터넷 문화가 대중화되고,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전송 기술의 발달로, 현대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동영상,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UCC(User Created Contents)에 대한 열풍이 일면서, 기업이 아닌 개인들이 촬영한 영상들도 인터넷을 통하여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 이를 위하여 각 개인들이 손쉽게 각종 사이트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담고 있는 파일을 업로드하고, 인터넷 상에서 쉽게 재생할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을 통한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유포가 일반화되면서, 저작권을 침해하거나, 개인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성인물 등 공공연하게 공개되어서는 안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인터넷을 통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유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포털 사이트 등에서는 업로드되는 파일을 감시하기 위한 인력을 별도로 두고 있으나, 수많은 파일들을 사람이 일일이 모니터링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로 구성된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포가 금지된 영상이 인터넷을 통하여 유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을 대표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상을 대표하는 제2이 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영상을 유포 금지된 영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영상의 유포의 차단을 요청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설정하거나, 소정의 키워드를 통하여 검색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소정의 비트맵블록단위로 나눈 후, 각 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되거나, 각 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상기 이미지 전체의 평균명암값을 이용하여 정규화한 상기 이미지의 정규화된 명암분포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제1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한 제1단위값과, 상기 제1비트맵블록단위보다 작은 단위인 제2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한 제2단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의 제1단위값과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제1단위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의 제2단위값과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제2단위값을 비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소정의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을 대표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 소정의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상을 대표하는 제2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2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영상을 유포 금지된 영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포가 금지 요청된 동영상, 정지영상 등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업로드되는 영상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한 후, 금지 요청된 영상의 이미지식별정보와 동일한 이미지식별정보를 가지는지를 판단하여 동일한 이미지식별정보를 가지는 영상의 업로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영상유포방지시스템은 영상설정부(110), 제1이미지식별자생성 부(120), 제2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30), 비교부(140) 및 영상처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영상유포방지시스템은 포털사이트, P2P 사이트. UCC 사이트 등을 운영하는 서버시스템 내에 설치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이러한 서버와 서로 연계된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유포방지시스템이 별개의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영상설정부(110)는 인터넷 상으로 유포가 금지될 영상을 설정한다.
일반적으로는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어떤 영상의 유포를 금지할지 결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성인물과 같은 영상의 경우는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많은 영상의 유포가 차단될 수 있을 것이지만,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하는 영상이나 저작권이 문제가 되는 영상 등은 시스템 운영자가 업로드되는 영상의 유포를 금지해야 되는지 아닌지에 대해 정확히 알기가 어려우므로 유포 금지 여부를 시스템 운영자의 판단에만 맡기는 것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운영자가 직접 설정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의 신청을 받거나 키워드를 통한 검색을 통하여 유포가 금지될 영상을 설정받는다.
먼저, 사용자들은 사생활 침해, 저작권 침해 및 기타 이유로 특정 영상이 인터넷 등에 유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사이트나 본 발명의 시스템과 연계된 사이트에 해당되는 영상을 업로드하여 그 영상의 유포 금지를 신청할 수 있다.
이렇게 업로드된 영상은 영상설정부(110)에 의해 유포가 금지되는 영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금지를 요청하는 영상을 가지고 있지 않더라도 그 영상을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를 입력하여 해당되는 영상의 유포가 금지되도록 신청할 수 있다.
영상설정부(110)는 시스템 운영자 또는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그 키워드로 검색되는 영상을 검색하여 그 영상을 유포가 금지되는 영상으로 설정한다.
검색을 통하여 유포를 금지시킬 영상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의도하지 않았던 영상의 유포가 금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검색된 영상에 대해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에게 다시 한 번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20)는 영상설정부(110)에 의해 유포가 금지된 영상으로 설정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을 대표하는 이미지식별정보(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유포가 금지된 영상이 업로드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영상 대 영상으로 일일이 비교를 하게 되는 경우, 고성능의 컴퓨터를 이용하더라도 매우 많은 시간이 걸려서 실시간으로 비교가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 영상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이미지식별정보끼리만 간단히 비교를 하도록 하고 있 다.
영상을 대표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영상의 일부를 해쉬함수를 통한 해쉬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쉬함수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로는 다른 영상이라도 해쉬함수를 이용해 산출된 해쉬값이 같아지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많은 데이터를 다뤄야 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이미지식별정보를 그 영상을 대표하는 정보로 이용한다.
여기서,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는 동영상의 경우 특정 시간대의 정지영상의 전체 또는 일부의 이미지를, 정지영상의 경우 정지영상 전체 또는 일부의 이미지를 의미한다.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맵이미지를 2*2 블록, 4*4 블록, 8*8 블록 등 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비트맵블록단위별로 분할하고, 각 비트맵블록의 이미지의 평균값을 구하여 이를 이미지식별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맵이미지가 4개의 블록으로 분할이 되고, 4개의 블록 각각의 평균명암값들이 좌상측의 블록으로부터 시계방향 으로 50, 50, 75, 25라고 하면, 이미지식별정보를 50,50,75,25로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위에서와 같이 각 비트맵블록 단위로 평균명암값들을 구하고, 이를 다시 그 이미지의 전체 평균명암값으로 빼는 정규화 과정을 거치면 이미지 고유의 정규화된 명암 분포를 알 수 있는데, 이를 이미지식별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앞의 예에서와 같이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맵이미지 A가 4개의 블록으로 분할이 되고, 4개의 블록 각각의 평균명암값들이 좌상측의 블록부터 시계방향으로 50, 50, 75, 25라고 하면, 그 이미지의 전체 평균명암값은 50이며, 명암 분포는 0, 0, 25, -25 가 된다. 그리고 비트맵이미지 A에 비해 명함값 20 어두운 이미지를 비트맵이미지 B라고 하면, 비트맵이미지 B를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된, 평균명암값은 70, 70, 95, 45 이며, 평균명암값은 70, 명암 분포는 0, 0, 25, -25 가 된다. 여기서 비트맵이미지 A와 B의 명암 분포가 같으므로, 이 명암 분포를 이미지 식별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비교되는 두 영상이 실질적으로 같지만 어느 하나의 영상이 전체적으로 밝게 되어 있는 경우에도 두 영상을 동일한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할 때는 어느 하나의 비트맵블록단위별로 분할을 하여 하나의 이미지에 대해 하나의 이미지식별정보만을 생성할 수도 있고, 비트맵블록단위를 변경하여 복수의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먼저 8*8 블록 단위별로 이미지를 분할하여 이를 기초로 이미지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다시 4*4 블록 단위별로 이미지를 분할하고 이를 기초로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보다 큰 단위의 블록으로 이미지를 분할하여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이미지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연산은 빠르게 수행될 수 있지만, 정확성은 떨어지게 되고, 보다 작은 단위의 블록으로 이미지를 분할하여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이미지식별정보를 비교하는 연산은 느리게 수행되지만 반대로 그 정확성은 높게 된다.
1차로 보다 큰 단위의 블록으로 이미지를 분할하여 얻은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유사성이 적은 영상들을 빠르게 배제시키고, 1차 비교에서 동일한 영상으로 판단된 영상을 대상으로 다시 작은 단위의 블록으로 이미지를 분할하여 얻은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비교를 하도록 하면, 많은 영상을 처리할 때 보다 빠르고 정확한 처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2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30)는 포털 사이트, UCC 사이트, P2P 사이트 등에 업로드되는 영상에 대해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20)에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비교부(140)는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유포가 금지된 영상의 이미지식별정보(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제2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업로드된 영상의 이미지식별정보(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 분할하는 블록단위를 다르게 하여 복수의 이미지식별정보가 생성된 경우에는, 비교부(140)는 보다 큰 비트맵블록단위(제1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 이미지식별정보(제1단위값)를 비교하고, 제1단위값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정된 두 영상에 대해서는 제1단위보다 작은 비트맵블록단위(제2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 이미지식별정보(제2단위값)을 비교하는 등의 방식으로 비교를 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작은 비트맵블록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 이미지식별정보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만 비교된 두 영상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업로드되는 영상의 이미지식별정보가 영상설정부(110)에 의해 유포가 금지되어야 되는 것으로 설정된 영상 중의 어느 하나의 이미지식별정보와 같다고 판단이 되는 경우, 즉 업로드되는 영상이 유포가 금지된 영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그 영상의 유포가 금지되도록 한다.
즉, 업로드가 진행되는 중에는 업로드가 되는 사이트에 업로드의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이미 업로드가 완료된 경우에는 업로드된 사이트에 그 영상의 삭제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여 그 영상이 더 이상 인터넷 상에 유포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영상설정부(110)는 유포를 금지시킬 영상을 설정한다(201).
유포를 금지시킬 영상을 설정하는 방법에는 직접 시스템 운영자가 그 영상을 설정하는 방법, 영상의 유포를 원하지 않는 사용자들로부터 직접 해당되는 영상을 제공받아 설정하는 방법,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가 설정한 키워드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검색된 영상을 유포를 금지시킬 영상으로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다음,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20)는 영상설정부(110)에 의해 유포가 금지된 영상으로 설정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을 대표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한다(202).
이 때, 제1이미지식별정보는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비트맵블록단위별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비트맵블록의 평균명암값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이렇게 산출된 평균명암값을 이미지의 전체 평균명암값을 이용하여 정규화 과정을 거쳐서 생성된 이미지 고유의 정규화된 명암분포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제2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30)는 포털 사이트, UCC 사이트, P2P 사이트 등에 업로드되는 영상에 대해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120)에서 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이미지식별정보(제2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한다(203).
비교부(140)는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서로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204).
이 때, 동일한 이미지에 대해 분할하는 블록단위를 다르게 하여 복수의 이미지식별정보가 생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 이미지식별정보(제1단위값)를 비교하고, 제1단위값이 서로 동일한 것으로 판정된 두 영상에 대해 서는 제1단위보다 작은 비트맵블록단위(제2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 이미지식별정보(제2단위값)을 비교하는 등의 방식으로 비교를 하여, 최종적으로 가장 작은 비트맵블록단위로 분할되어 생성된 이미지식별정보가 서로 동일한 경우에만 비교된 두 영상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렇게 비교부(140)에 의해 업로드되는 영상이 유포 금지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처리부(150)는 해당 사이트에 이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여 그 영상이 인터넷을 통하여 유포가 되지 않도록 처리한다(205).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서도 인터넷을 통한 유포를 금지시킬 수 있으므로 유포를 금지할 수 있는 영상의 범위를 보다 폭넓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명암정보를 이용한 이미지식별정보를 비교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 인해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보다 정확히 두 영상의 비교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소정의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을 대표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소정의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상을 대표하는 제2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2영상을 유포 금지된 영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영상의 유포의 차단을 요청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소정의 키워드를 통하여 검색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소정의 비트맵블록단위로 나눈 후, 각 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제1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한 제1단위값과, 상기 제1비트맵블록단위보다 작은 단위인 제2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한 제2단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의 제1단위값과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제1단위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의 제2단위값과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제2단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소정의 비트맵블록단위로 나눈 후, 각 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상기 이미지 전체의 평균명암값을 이용하 여 정규화한 상기 이미지의 정규화된 명암분포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방법.
  7. 소정의 제1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을 대표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1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
    소정의 시스템에 업로드되는 제2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의 명암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영상을 대표하는 제2이미지식별정보를 생성하는 제2이미지식별정보생성부;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와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2영상을 유포 금지된 영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영상의 유포의 차단을 요청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설정하는 영상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소정의 키워드를 통하여 검색된 영상을 상기 제1영상으로 설정하는 영상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소정의 비트맵블록단위로 나눈 후, 각 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제1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한 제1단위값과, 상기 제1비트맵블록단위보다 작은 단위인 제2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이용한 제2단위값을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의 제1단위값과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제1단위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의 제2단위값과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의 제2단위값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미지식별정보 및 상기 제2이미지식별정보는 각각 상기 제1영상 및 상기 제2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를 소정의 비트맵블록단위로 나눈 후, 각 비트맵블록단위의 평균명암값들을 상기 이미지 전체의 평균명암값을 이용하여 정규화한 상기 이미지의 정규화된 명암분포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 방지하는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062501A 2007-06-25 2007-06-25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2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501A KR100823729B1 (ko) 2007-06-25 2007-06-25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501A KR100823729B1 (ko) 2007-06-25 2007-06-25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729B1 true KR100823729B1 (ko) 2008-04-21

Family

ID=3957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501A KR100823729B1 (ko) 2007-06-25 2007-06-25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7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54B1 (ko) * 2011-02-22 2013-05-22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휴대단말의 보안관리 시스템 및 보안관리 방법
WO2017111340A1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불법 복제된 온라인 만화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06A (ko) * 2000-10-28 2002-05-04 김지한, 김재형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보호 및 침해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517645B1 (ko) 2004-11-05 2005-09-28 (주)지란지교소프트 해쉬값을 이용한 유해물 차단방법
KR100797600B1 (ko) 2007-05-17 2008-01-23 주식회사 플랜티넷 유해 동영상 파일의 이용 제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06A (ko) * 2000-10-28 2002-05-04 김지한, 김재형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보호 및 침해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517645B1 (ko) 2004-11-05 2005-09-28 (주)지란지교소프트 해쉬값을 이용한 유해물 차단방법
KR100797600B1 (ko) 2007-05-17 2008-01-23 주식회사 플랜티넷 유해 동영상 파일의 이용 제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254B1 (ko) * 2011-02-22 2013-05-22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휴대단말의 보안관리 시스템 및 보안관리 방법
WO2017111340A1 (ko) * 2015-12-21 2017-06-29 주식회사 디알엠인사이드 불법 복제된 온라인 만화 식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464B2 (en) Associating rights to multimedia content
US107623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of fuzzy copies of video content
CN101350043B (zh) 数字内容的一致性检测方法及装置
CN108924109B (zh) 数据传输方法、装置及处理设备
CA2918592C (en) Generating and providing an authorization indication in relation to a media content item
US20100287201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identifying elementary content portions from an edited content
KR20100084335A (ko) 디지털 저작물의 통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09029B1 (ko) 특징정보 비교분석을 통한 콘텐츠 필터링 시스템
KR100823729B1 (ko) 이미지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영상의 유포를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85795A1 (en) Grouping equivalent content items
KR101904486B1 (ko) 트리 구조를 비교하여 웹 페이지의 변경을 감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27502B1 (ko)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783058B2 (en) Enhancing security in 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220027342A1 (en) Methods for providing and checking data provenance
JPH11110556A (ja) 画像類似度判定方法、類似画像判定装置及び記録媒体
CN115269910A (zh) 音视频审核方法及系统
KR102141411B1 (ko) 콘텐츠 기반 클린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방법
Kjelsrud Using perceptual hash algorithms to identify fragmented and transformed video files
KR101990998B1 (ko)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976802B1 (ko) 저작권 보호를 위한 실시간 콘텐츠 모니터링 시스템
Allasia et al. An innovative approach for indexing and searching digital rights
CN113660277B (zh) 一种基于复用埋点信息的反爬虫方法及处理终端
KR101515707B1 (ko) 소프트웨어의 특징정보 기반 스마트폰 앱 불법 복제 및 표절 탐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0410B1 (ko)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068792B1 (ko) Hash코드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사이트에서의 영상 컨텐츠 저작권 보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