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998B1 -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998B1
KR101990998B1 KR1020170153855A KR20170153855A KR101990998B1 KR 101990998 B1 KR101990998 B1 KR 101990998B1 KR 1020170153855 A KR1020170153855 A KR 1020170153855A KR 20170153855 A KR20170153855 A KR 20170153855A KR 101990998 B1 KR101990998 B1 KR 101990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nt
file
image
hash value
fo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664A (ko
Inventor
이진영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주)위즈데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즈데이타 filed Critical (주)위즈데이타
Priority to KR102017015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9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App 마켓에 게시된 확인 대상 App들을 수집하고 다운로드 한 후, 해당 App의 APK 파일 및 obb 파일에서 폰트 파일을 추출하여 사전에 정의된 해쉬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해쉬값을 구한다. 그 후, 확인 대상 App의 해쉬값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함으로써, 확인 대상 App에 의해서 폰트 저작권이 침해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폰트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1차적으로 선별한다. 그 후, 확인 대상 App들의 폰트 이미지를 선별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폰트 저작권 침해의 검출 및 보호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font copyrights}
본 발명은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에서의 폰트 저작권 무단 침해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식재산권의 보호에 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 중에서도 인터넷망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저작권 침해에 대한 보호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인터넷을 통한 저작권 침해는 그 침해행위를 검출하기 어려운데, 폰트 저작권의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기존 폰트 저작권자들은 인쇄물 혹은 인터넷 화면 등의 2차 저작물을 가지고, 사람이 폰트 이미지를 육안으로 서로 비교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폰트 불법 사용 여부를 판단하였다.
하지만, 폰트의 도안 자체는 법적으로 보호 대상이 아니고, 폰트를 사용하여 제작된 2차 저작물 또한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근거 없이 추론에 의한 단속 활동이 행해져 왔고,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식 자체가 사람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정확성이 높지 않아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폰트 저작권은 도안 자체가 아닌, 폰트 도안을 컴퓨터상에서 구동시키는 폰트 파일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써 저작권 보호 대상이 되고, 이러한 폰트 프로그램 파일을 검출하여 폰트 저작권의 침해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술이 기존에는 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전자 기기(이하, "스마트 기기"라 약칭함)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이하,"App"이라 약칭함)에 임베디드된 폰트 파일을 자동으로 조사하여, 폰트 저작권을 침해한 App을 확인할 수 있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은, (b) 운영자 단말이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할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권자들 또는 특정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하여,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 해쉬값과 유사한 해쉬값을 갖는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폰트 파일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운영자 단말이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에서 1글자 단위로 글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d2) 상기 글자 영역에서 복수의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d3) 글자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각 특징점을 연결한 벡터들의 합을 생성하는 단계; (d4) 상기 벡터 합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 폰트들의 벡터 합들과 비교하여, 상기 벡터 합과 가장 유사한 벡터 합을 나타내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후보군을 선별하는 단계; 및 (d6) 상기 폰트 이미지 후보군에 속하는 폰트 이미지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폰트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4) 단계 이후에, (d5) 상기 (d4) 단계에서 선별된 후보군에 속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상기 (d2) 단계에서 구해진 확인 대상 App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픽셀값 비교를 수행할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6) 단계는 상기 (d5) 단계에서 선별된 이미지들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전에, (a1) 상기 운영자 단말이 App 마켓으로부터 복수의 App의 패키지명 및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a2) 상기 복수의 App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리소스를 추출하여 상기 폰트 파일과 상기 폰트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a2) 단계에서 추출된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할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부터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요청받으면, 상기 확이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운영자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을,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권자들 또는 특정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하여,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 해쉬값과 유사한 해쉬값을 갖는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폰트 파일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요청하는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에서 1글자 단위로 글자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글자 영역에서 복수의 특징점들을 추출한 후, 상기 글자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각 특징점을 연결한 벡터들의 합을 생성하며, 상기 벡터 합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 폰트들의 벡터 합들과 비교하여, 상기 벡터 합과 가장 유사한 벡터 합을 나타내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후보군을 선별한 후, 상기 폰트 이미지 후보군에 속하는 폰트 이미지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폰트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벡터 합을 비교하여 선별된 후보군에 속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픽셀값 비교를 수행할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후보군을 추가로 선별하고, 추가로 선별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후보군에 대해서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픽셀값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은 App 마켓으로부터 복수의 App의 패키지명 및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는 상기 복수의 App의 패키지명 및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App을 설치한 스마트 기기로부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리소스를 추출하여 상기 폰트 파일과 상기 폰트 이미지를 추출하며, 추출된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pp 마켓에 게시된 확인 대상 App들을 수집하고 다운로드 한 후, 해당 App의 APK 파일 및 obb 파일에서 폰트 파일을 추출하여 사전에 정의된 해쉬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해쉬값을 구한다. 그 후, 확인 대상 App의 해쉬값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함으로써, 확인 대상 App에 의해서 폰트 저작권이 침해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폰트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1차적으로 선별한다. 그 후,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를 선별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비교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폰트 저작권 침해의 검출 및 보호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2b의 제 S270 단계에서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 운영자 단말(200), 및 스마트 기기(400)로 구성된다.
또한,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 운영자 단말(200), 및 스마트 기기(4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복수의 App 마켓들(300)과 복수의 저작권자 단말들(500)과 연결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와 운영자 단말(200)을 별개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하였으나,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와 운영자 단말(200)이 하나의 물리적 구성요소로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먼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작업으로서, 일정한 시간 주기 또는 운영자의 제어에 따라서, 운영자 단말(200)로 하여금 복수의 App 마켓들(300)에 접속하여, 각 나라별 사전에 기록된 단어들을 키워드로 적용하여 App 마켓(300)에 등록된 App들의 식별 정보인 패키지명들을 수집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한다.
또한,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저작권자 단말들(500)이 접속하여 특정 App에 대해서 저작권 침해 확인을 요청하면, 해당 App을 패키지명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App들 중에서, 신규로 수집되거나, 업데이트가 수행되거나, 또는 저작권자에 의해서 침해 확인이 요청된 App 등과 같이, 세부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되지 않은 App 들의 세부 정보를 운영자 단말(200)로 요청하고,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App의 세부 정보를 수신하면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App의 패키지명과 연계시켜 저장한다. 이 때, 운영자 단말(200)로 해당 App의 패키지명을 전송하면서 해당 App의 세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부 정보가 새롭게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App들(신규로 수집되거나, 업데이트가 수행되거나, 또는 저작권자에 의해서 침해 확인이 요청된 App 등)에 대한 패키지명을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해당 App들의 폰트 파일에 대한 해쉬값 및 헤더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App의 패키지명과 연계시켜 저장하는 한편, 수신된 폰트 파일의 해쉬값을 저작권자들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하여,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 해쉬값과 유사도가 높은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에 대응되는 폰트 이미지를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폰트 이미지 비교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여 저작권자 단말(500)로 그 결과를 보고한다.
운영자 단말(200)은 일정한 시간 주기로 또는 운영자의 제어에 의해서, App 마켓(300)에 접속하여 각 나라별 사전의 단어를 키워드로 하여 App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App들의 패키지명을 App 마켓들(300)로부터 수집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하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부터 세부 정보가 요청된 Seed App들에 대해서는 App 마켓(300)에 세부 정보를 요청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운영자 단말(200)은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한 해쉬값 및 헤더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App들에 대해서 해쉬값 및 헤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해쉬값 및 헤더 정보가 저장되지 않는 App들(예컨대, 신규로 수집된 App, 버전이 업데이트된 App, 저작권자가 확인을 요청함 App 등)의 패키지명을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요청하고,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부터 App들의 패키지명을 수신하면 해당 App의 패키지명을 App 마켓(300)으로 전송하면서, App 마켓(300)으로 해당 App들을 사전에 설정된 스마트기기(400)로 설치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
운영자 단말(200)은 해당 App이 스마트기기(400)에 설치되면, 스마트기기(400)로부터 해당 App의 APK파일 및 obb 파일을 수신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리소스를 추출하여, 폰트 파일과 폰트 이미지 파일을 얻고, 폰트 파일에 해쉬 함수인 MD5, SHA-1, CRC32 등을 적용하여 하나 이상의 해쉬값을 추출하고, 폰트 파일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
그 후, 운영자 단말(200)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부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의 이미지 비교를 요청받으면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 운영자 단말(200)에서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400)는 App 마켓(300)으로부터 App 설치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App을 App 마켓(300)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한 후, 해당 App의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대략적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4b를 더 참조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기능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를 더 참조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이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들은 모두 도 1에 도시된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것이고, 역으로, 명시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의 기능들도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에서 수행되는 것임을 주의해야 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먼저, 운영자 단말(200)은 복수의 App 마켓(300)에 각각 접속하여, 사전에 저장된 각 나라별 사전의 단어들을 키워드로 하여 App 검색을 요청한다(S201). 이 때, 각 나라별 사전의 단어들은 운영자 단말(200)에 저장될 수도 있고,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키워드를 수신한 App 마켓(300)은 키워드를 이용하여 등록된 App들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App 목록)를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표시한다(S202).
그러면, 운영자 단말(200)은 App 목록에 포함된 App들의 패키지명을 App 마켓(300)으로 요청하고(S203), App 마켓(300)은 검색된 App들의 패키지명을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하며(S204), 운영자 단말(200)은 수신된 App들의 패키지명을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S205).
이 때, 제 S202 단계에서, App 마켓(300)은 App 목록에 패키지명을 포함시켜 운영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S203 단계 및 S204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App들의 패키지명들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함으로써 1차로 Seed App들을 확보한다(S206). 상술한 제 S201 단계 내지 제 S206 단계는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거나, 운영자의 제어에 의해서 비정기적으로 수행됨으로써 평상시에 많은 Seed App들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둔다.
한편,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저작권자 단말(500)로부터 특정 App 또는 특정 법적 주체가 배포하거나 사용하는 APP에 대한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에 대한 조사를 의뢰받을 수 있고, 이 경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저작권자 단말(500)로부터 침해 여부를 확인할 APP의 패키지명을 저작권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Seed App을 확보한다(S210).
그 후,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Seed App들, 세부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App들에 대해서 세부 정보를 요청하고, 운영자 단말(200)은 Seed App을 타겟으로 하여 App 마켓(300)에 이들 App들의 세부 정보를 요청하며(S221), App 마켓(300)은 세부 정보가 요청된 App들에 대해서 세부 정보를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하고(S223), 운영자 단말(200)은 수신된 App들의 세부 정보를 다시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하며(S225),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App들의 세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업데이트한다(S227). 이 때, App 마켓(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세부정보에는 개발사 정보, App 버전 정보, App 이름, 권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 S201 단계 내지 제 S227 단계를 거쳐서, 본 발명의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은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신규 App들, 버전이 업데이트된 App들, 및 저작권자가 저작권 침해 여부 확인을 요청한 App들에 대한 세부 정보가 수집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서, App들의 세부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면, 운영자 단말(200)은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신규로 데이터 베이스에 패키지명이 저장된 App, 버전이 업데이트된 App, 저작권자에 의해서 확인이 요청된 App들의 패키지명을 요청하고(S231),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요청된 App들의 패키지명을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233). 즉, 운영자 단말(200)은 폰트 파일의 해쉬값 및 헤더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App들의 패키지명을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요청하여 수신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운영자 단말(200)은 패키지명을 App 마켓(300)으로 전송하면서 해당 App을 사전에 설정된 스마트 기기(400)에 설치하여 줄 것을 요청하고(S235), App 마켓(300)은 운영자 단말(200)이 사전에 설정한 스마트기기(400)로 해당 App의 설치를 요청한다(S237).
스마트기기(400)는 App 마켓(300)이 요청한 App의 설치 요청을 확인하고, App 마켓(300)으로부터 해당 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S239).
App의 설치가 완료되면, 스마트기기(400)는 설치된 App의 APK 파일과 obb 파일을 추출하여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240).
운영자 단말(200)은 스마트기기(400)로부터 수신한 APK 파일과 obb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리소스를 추출한 후(S251), APK 파일과 obb 파일들로부터 폰트 파일과 폰트 이미지 파일을 추출한다(S253).
그 후, 운영자 단말(200)은 폰트 파일에 MD5, SHA-1, CRC32 등과 같은 해쉬 함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여 해쉬값을 추출하고, 폰트 파일의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S255).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해쉬값과 헤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App의 패키지명과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DB에 인덱싱한다(S257).
상술한 제 S231 단계 내지 제 S257 단계가 지속적으로 수행되면,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현재까지 수집된 모든 App 패키지명에 연계하여 App의 세부 정보와 해쉬값 및 헤더 정보가 연계되어 저장된다.
그 후,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 및 헤더 정보를, 사전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권자들 또는 특정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 및 헤더 정보와 비교하여(S261),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 해쉬값 및 헤더 정보와 유사한 해쉬값 및 헤더 정보를 갖는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을 선별하고, 보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 선별된 폰트 파일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운영자 단말(200)로 요청한다(S263). 이 때,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파일을 운영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S261 단계 및 제 S263 단계에서는 확인 대상 App과 폰트 이미지를비교할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선별하기 위해서, 해쉬값과 헤더 정보를 함께 비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해쉬값만으로 상기 제 S261 단계 및 제 S263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미지 비교 요청을 수신한 운영자 단말(200)은 폰트 이미지 비교를 수행하고, 그 비교 결과를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S270).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운영자 단말(200)로부터 이미지 파일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고, DB 에 저장하여 인덱싱한다(S280). 이 때, 저작권 침해 여부 판단을 위해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비교되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APP의 비교 결과는, 후술하는 제 S270 단계에서 조사된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 정보, 벡터의 합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APP 패키지명에 대해서 상술한 S261 단계 내지 제 S280 단계를 수행한 후,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 확인 최종 결과를 저작권자 단말(500)로 전송한다(S29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2b의 제 S270 단계에서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제 S270 단계의 폰트 이미지 비교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운영자 단말(200)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비교하여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할,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에서 1글자 단위로 글자 영역을 추출한다(S271)(도 4a 참조). 이 때는 기존의 OCR 기술을 적용하여 폰트 이미지에서 글자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추출된 글자 영역에 대해서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기법을 적용하여 글자의 특징점들을 추출한다(S272)(도 4b 참조). 이 때, 글자의 코너점들이 주로 특징점으로 추출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S272 단계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추출 패턴을 갖는 2개의 FAST 함수를 이용하여 2개의 특징점 셋트를 생성한다. 도 4b 는 이러한 2개의 FAST 함수가 각각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FAST 함수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징점들이 추출된 후, 운영자 단말(2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 영역의 중심에서부터 각 특징점을 연결한 벡터들을 설정하고, 이 벡터들의 합을 계산하여 벡터 합을 생성한다(S273). 이러면 2개의 FAST 패턴에 의해 생성된 2개의 특징점 셋트 마다 하나씩, 총 2개의 벡터 합이 생성된다. 도 4a 는 제 S273단계에서 벡터 합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이렇게 생성된 특징점들과 벡터 합은 제 S280 단계에서, 해당 App의 이미지 비교 결과로서 해당 App의 패키지명과 연계되어 저장된다.
한편, 운영자 단말(200)은 제 S273 단계에서 계산된 2개의 벡터 합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 폰트들의 벡터 합들과 비교하여, 이와 가장 유사한 벡터 합을 나타내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후보군을 선별한다(S274). 즉, 각 저작권자들의 폰트 이미지에 대해서도, 제 S272 단계 및 제 S273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특징점들과 벡터 합들이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고, 제 S274 단계에서, 운영자 단말(200)은 확인 대상 App의 벡터합을 1차적으로 저작권자 이미지들의 벡터 합을 비교하여, 현재 확인되고 있는 확인 대상 App에 의해서 폰트 저작권이 침해당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저작권자들의 폰트 이미지 후보군들을 선별한다.
그 후, 운영자 단말(200)은 벡터 합에 의해서 1차적으로 선별된 저작권자들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제 S272 단계에서 구해진 확인 대상 App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픽셀 비교를 수행할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선별한다(S275). 제 S275 단계에서는, 예컨대, 특징점들을 비교한 결과, 약 90% 이상의 특징점들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픽셀 비교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S275 단계에서, 픽셀 비교 대상으로 선정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에 대해서,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픽셀 값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동일한 폰트 이미지인지 여부, 즉, 해당 App의 폰트 이미지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하고, 비교 확인 결과를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100)로 전송한다(S276).
제 S276 단계에서,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 픽셀값 차이를 제곱한 값의 합이 사전에 정의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동일한 이미지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비교하기 이전에 1차적으로 벡터 합을 비교하고, 2차적으로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후보군을 선정한 후, 폰트 이미지를 픽셀 단위로 비교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특징점 비교 과정을 생략하고, 벡터 합이 유사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들을 바로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픽셀 단위로 비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
200 : 운영자 단말
300 : App 마켓
400 : 스마트 기기
500 : 저작권자 단말

Claims (8)

  1. (b) 운영자 단말이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할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권자들 또는 특정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하여,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 해쉬값과 유사한 해쉬값을 갖는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폰트 파일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운영자 단말이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 이전에,
    (a1) 상기 운영자 단말이 App 마켓으로부터 복수의 App의 패키지명 및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a2) 상기 복수의 App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부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리소스를 추출하여 상기 폰트 파일과 상기 폰트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a2) 단계에서 추출된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에서 1글자 단위로 글자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d2) 상기 글자 영역에서 복수의 특징점들을 추출하는 단계;
    (d3) 글자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각 특징점을 연결한 벡터들의 합을 생성하는 단계;
    (d4) 상기 벡터 합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 폰트들의 벡터 합들과 비교하여, 상기 벡터 합과 가장 유사한 벡터 합을 나타내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후보군을 선별하는 단계; 및
    (d6) 상기 폰트 이미지 후보군에 속하는 폰트 이미지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폰트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4) 단계 이후에
    (d5) 상기 (d4) 단계에서 선별된 후보군에 속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상기 (d2) 단계에서 구해진 확인 대상 App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픽셀값 비교를 수행할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선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6) 단계는 상기 (d5) 단계에서 선별된 이미지들에 대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4. 삭제
  5. 폰트 저작권 침해 여부를 확인할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부터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요청받으면,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운영자 단말; 및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을, 내부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저작권자들 또는 특정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의 해쉬값과 비교하여, 확인 대상 App의 폰트 파일 해쉬값과 유사한 해쉬값을 갖는 저작권자의 폰트 파일을 선별하고, 선별된 폰트 파일에 대응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와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 비교를 상기 운영자 단말로 요청하는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자 단말은 App 마켓으로부터 복수의 App의 패키지명 및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는 상기 복수의 App의 패키지명 및 세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서로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복수의 App을 설치한 스마트 기기로부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APK 파일 및 obb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리소스를 추출하여 상기 폰트 파일과 상기 폰트 이미지를 추출하며, 추출된 폰트 파일로부터 해쉬값을 생성하여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에서 1글자 단위로 글자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글자 영역에서 복수의 특징점들을 추출한 후, 상기 글자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각 특징점을 연결한 벡터들의 합을 생성하며, 상기 벡터 합을 사전에 저장된 저작권자 폰트들의 벡터 합들과 비교하여, 상기 벡터 합과 가장 유사한 벡터 합을 나타내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 후보군을 선별한 후, 상기 폰트 이미지 후보군에 속하는 폰트 이미지와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폰트 이미지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비교 결과를 상기 폰트 저작권 보호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단말은
    상기 벡터 합을 비교하여 선별된 후보군에 속하는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의 특징점들을 비교하여, 픽셀값 비교를 수행할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후보군을 추가로 선별하고, 추가로 선별된 저작권자의 폰트 이미지의 후보군에 대해서 상기 확인 대상 App의 폰트 이미지와 픽셀값 비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8. 삭제
KR1020170153855A 2017-11-17 2017-11-17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990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55A KR101990998B1 (ko) 2017-11-17 2017-11-17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855A KR101990998B1 (ko) 2017-11-17 2017-11-17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64A KR20190056664A (ko) 2019-05-27
KR101990998B1 true KR101990998B1 (ko) 2019-06-20

Family

ID=6667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855A KR101990998B1 (ko) 2017-11-17 2017-11-17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017B1 (ko) * 2020-06-30 2022-06-07 카페24 주식회사 폰트 저작권 보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275A (ja) * 2006-10-11 2008-04-24 Sharp Corp パターン認識装置、パターン認識方法、パターン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52525B1 (ko) 2014-02-04 2015-09-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폰트를 인식하고 폰트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310B1 (ko) * 2009-07-24 2011-11-08 공현식 네트워크를 이용한 폰트타입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627398B1 (ko) * 2013-12-27 201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용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개인 콘텐츠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275A (ja) * 2006-10-11 2008-04-24 Sharp Corp パターン認識装置、パターン認識方法、パターン認識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52525B1 (ko) 2014-02-04 2015-09-1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폰트를 인식하고 폰트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64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047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リスクマネジメントの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KR101337874B1 (ko) 파일 유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파일의 악성코드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693356B1 (en) Detecting pirated applications
CN102915295B (zh) 文档检测方法及装置
KR101627398B1 (ko) 내용기반의 검색엔진을 이용한 개인 콘텐츠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09870A (ko) 안드로이드 멀웨어의 고속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4520871A (zh) 漏洞矢量信息分析
CN109800560B (zh) 一种设备识别方法和装置
US2017027788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90099816A (ko) 웹 페이지 위변조 탐지 방법 및 시스템
CN113076961B (zh) 一种图像特征库更新方法、图像检测方法和装置
WO2019093755A1 (ko)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990998B1 (ko) 폰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15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formation property management
JP2012182737A (ja) 秘密資料流出防止システム、判定装置、秘密資料流出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208392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1368128A (zh) 目标图片的识别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038233B (zh) 一种采集文章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297583B (zh) 漏洞风险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150711A (zh) 一种软件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522570B (zh) 目标库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机器可读存储介质
KR101563628B1 (ko) 도서 서지정보 오류 검출 방법, 오류 검출 장치 및 오류 검출 시스템
CN103984902B (zh) 一种新增数据资产的识别方法和系统
CN112822200A (zh) 一种物联网数据安全防护方法、装置及服务器
CN115809466B (zh) 基于stride模型的安全需求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