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410B1 -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410B1
KR101460410B1 KR1020120132673A KR20120132673A KR101460410B1 KR 101460410 B1 KR101460410 B1 KR 101460410B1 KR 1020120132673 A KR1020120132673 A KR 1020120132673A KR 20120132673 A KR20120132673 A KR 20120132673A KR 101460410 B1 KR101460410 B1 KR 101460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metadata
search
content fil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310A (ko
Inventor
윤재영
Original Assignee
윤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영 filed Critical 윤재영
Priority to KR1020120132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4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6Program or content traceability, e.g. by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감시방법은 사용자 입력정보, 원본콘텐츠파일의 메타데이터 등을 고유의 식별코드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코드를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변환콘텐츠파일이 배포된 이후에 상기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과 상기 식별코드로부터 획득한 입력정보 또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단계와, 검색결과화면을 통해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적법한 콘텐츠파일과 부적법한 콘텐츠파일 구분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면, 적법한 콘텐츠파일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콘텐츠제공자는 콘텐츠파일의 적법한 배포 및 유통상황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번의 검색요청으로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한 검색,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등이 병행하여 진행되므로 콘텐츠파일의 배포상황을 광범위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법한 콘텐츠와 부적법한 콘텐츠의 배포상황이 구분하여 제공되므로 불법적인 콘텐츠 배포상황을 확인하고, 배포자를 쉽게 추적하여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Online contents watch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콘텐츠가 불법적으로 배포,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텐츠에 삽입된 소정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검색 및 추적하고 불법제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한 콘텐츠의 배포 및 유통이 보편화되면서 불법적인 복제와 유통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사용을 방지하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기술을 총칭하여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라고 한다. DRM은 콘텐츠 식별체계인 DOI(Digital Object Identifier), 콘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관한 일종의 표준인 인덱스(INDECS), 콘텐츠의 사용조건이나 사용권한을 정의하는 XrML(extensible rights mark-up language) 등의 권리표현기술, 불법적인 복제와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기술 등에 의해 구현된다. 최근에는 저작자 표시를 위한 워터마킹 기술, 사용자 추적을 위한 핑거프린팅 기술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그런데 DRM 방식은 사용자 제한을 통해 콘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고 콘텐츠의 불법성을 판별하는 데는 뛰어난 효과를 가지지만, 일단 불법 복제된 콘텐츠의 배포, 유통을 방지하거나 배포된 콘텐츠를 추적 검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70664호는 콘텐츠에 사용자식별을 위한 포렌식마크(핑커프린팅)를 삽입하여 배포하고 웹하드서버에서 포렌식마크를 이용하여 불법 업로드를 차단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포렌식마크가 삽입된 콘텐츠가 포렌식마크 검출모듈을 구비한 웹하드서버에 업로드될 때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불법 복제된 콘텐의 전반적인 유통 및 배포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0-48711호 는 콘텐츠에 추적에이전트를 삽입하여 배포하고, 콘텐츠 실행시 추적에이전트가 실행단말의 정보를 추적관리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콘텐츠의 배포상황을 추적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추적에이전트는 콘텐츠 실행시에 동작하는 것이므로 실행되지 않고 단순히 유통중인 콘텐츠는 추적할 수 없고 추적에이전트는 일종의 응용프로그램이므로 해킹기술을 통해 쉽게 제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온라인 상에서 배포되거나 유통되는 콘텐츠를 광범위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검색된 콘텐츠가 정당한 경로를 통해 유통된 것인지 불법 복제품인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부터 원본콘텐츠파일과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정보로부터 변환된 식별코드를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변환콘텐츠파일을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단말 또는 콘텐츠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c) 검색엔진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의 검색과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결과와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결과를 구분하여 검색요청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감시방법에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검색요청자의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식별코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이면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의 검색과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고, 상기 검색어가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가 아니면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는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식별코드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식별코드는 상기 입력정보로부터 변환된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 원본콘텐츠파일의 업로드와 필요정보 입력을 위한 업로드페이지를 제공하는 업로드모듈;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는 식별코드생성수단과, 상기 식별코드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식별코드를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는 변환파일생성수단을 포함하는 인코딩모듈; 검색요청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가 저장된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식별코드확인수단과, 상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콘텐츠파일을 검색하는 기능과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검색엔진을 포함하는 검색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면, 적법한 콘텐츠파일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이 이루어지므로 콘텐츠제공자는 콘텐츠파일의 적법한 배포 및 유통상황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번의 검색요청으로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한 검색,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등이 병행하여 진행되므로 콘텐츠파일의 배포상황을 광범위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법한 콘텐츠와 부적법한 콘텐츠의 배포상황이 구분하여 제공되므로 불법적인 콘텐츠 배포상황을 확인하고, 배포자를 쉽게 추적하여 신고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감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인코딩모듈의 개략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코드체계를 예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콘텐츠파일에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여러 유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검색모듈의 개략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파일을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검색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결과화면을 예시한 나타낸 도면
도 9는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결과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10은 식별코드 또는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결과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감시 시스템은 도 1의 개략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제공자단말(10), 통신망(30)을 통해 상기 콘텐츠제공자단말(10)과 통신하는 서비스서버(100)를 포함한다.
콘텐츠제공자단말(10)은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용 단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기타 컴퓨터장치를 포함한다.
통신망(30)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LAN, WAN, 무선랜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선택적인 조합으로 구성된다,
서비스서버(100)는 업로드모듈(110), 인코딩모듈(120), 검색모듈(130), 콘텐츠관리모듈(140) 등을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200)와 연동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수단,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회원인증 및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관리수단, 비용결제과정을 수행하는 결제처리수단 등을 포함한다.
업로드모듈(110)은 콘텐츠제공자단말(10)로 콘텐츠 업로드페이지를 제공하여 콘텐츠 업로드 절차를 지원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서버(100)로 업로드 되는 콘텐츠파일을 '원본콘텐츠파일'로 칭하기로 한다.
업로드페이지는 업로드 할 원본콘텐츠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창을 제공하며, 입력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 소유자, 소속단체 또는 그룹, 카테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업로드모듈(110)은 원본콘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입력하는 메타데이터 입력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는 예를 들어 콘텐츠 저작권자, 제목, 러닝타임, 파일포맷,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본 콘텐츠 파일에는 이미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를 대비하여 업로드모듈(110)에 메타데이터 확인 및 추가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콘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 항목 및 구조는 완전히 표준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항목 및 구조를 정형화하여 입력정보를 입력할 때 함께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인코딩 모듈(120)은 업로드 된 원본콘텐츠 파일에 소정의 식별코드를 삽입하여 '변환콘텐츠 파일'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추출수단(122), 식별코드생성수단(124), 변환파일생성수단(126) 등을 포함한다.
메타데이터추출수단(122)은 원본콘텐츠 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파싱하여 메타데이터의 구조 및 내용을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식별코드생성수단(124)은 업로드 시 입력된 정보와 원본콘텐츠파일에서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고유한 식별코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식별코드는 콘텐츠 업로드시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서브코드(입력변환 식별코드)와 콘텐츠 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서브코드(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a는 업로드 시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제1 서브코드의 코드체계를 예시한 것으로서, 기관코드, 그룹코드, 카테고리코드, 콘텐츠생성날짜코드, 콘텐츠일련번호코드, 예비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콘텐츠 생성날짜코드와 콘텐츠 일련번호코드는 식별코드생성수단에서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3b는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서브코드의 코드체계를 예시한 것으로서, 저작권자코드, 제목코드, 런닝타임코드, 파일포맷코드, 가격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DB)에는 업로드시 입력항목 및 메타데이터 항목에 대응하는 코드테이블을 미리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이 경우 식별코드생성수단(124)은 코드테이블로부터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제1 서브코드를 조합하고 메타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서브코드를 조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하면 된다. 이때 생성된 식별코드는 콘텐츠제공자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해 두어야 한다.
이와 달리 데이터베이스(DB)에 코드테이블을 미리 저장하지 않고, 원본콘텐츠파일의 업로드 요청이 있을 때마다 설정된 규칙에 따라 입력항목에 대응하는 제1 서브코드와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서브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코드(제1 및 제2 서브코드)와 콘텐츠제공자의 정보를 매핑하여 코드테이블에 등록해 둘 수도 있다.
변환파일생성수단(126)은 식별코드생성수단(124)에서 생성된 식별코드를 원본콘텐츠 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한다. 원본콘텐츠파일에서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나, 다수의 영상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영상파일의 경우에는 해킹 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영상프레임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콘텐츠파일에 식별코드를 결합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는 여러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원본콘텐츠파일에 메타데이터가 없는 경우로서, 업로드 시 입력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원본콘텐츠파일에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거나 업로드 시 메타데이터를 별도로 등록한 경우로서, 입력정보와 메타데이터를 각각 제1서브코드와 제2서브코드로 변환하여 원본콘텐츠 파일에 삽입한 경우이다. 도면에는 제1 서브코드와 제2서브코드가 연속으로 삽입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들은 원본콘텐츠파일의 각각 다른 위치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4c는 콘텐츠제공자, 2차 저작자, 기타 정당권리자 또는 콘텐츠사용자가 제1 변환콘텐츠파일을 다시 서비스서버(100)에 업로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미 제1식별코드를 갖고 있는 제1 변환콘텐츠파일에 2차업로드시 입력된 정보로부터 생성된 제2식별코드가 추가로 삽입된다. 도면에는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가 연속으로 삽입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들은 콘텐츠파일의 각각 다른 위치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이미 삽입되어 있는 제1식별코드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제2변환콘텐츠파일에는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따라서 이후에 제1식별코드 또는 제2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코드는 64비트, 제2 서브코드는 136비트로서 하나의 식별코드가 200비트의 크기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서버(100)의 검색모듈(130)은 콘텐츠제공자 또는 서비스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배포, 유통 중인 변환콘텐츠파일 및 관련 콘텐츠파일을 검색한다. 검색모듈(1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인터페이스(132), 검색엔진(134), 메타데이터 확인수단(136), 식별코드 확인수단(138) 등을 포함한다.
검색인터페이스(132)는 검색어 입력페이지, 검색결과페이지 등을 제공하며, 검색엔진(134)은 통신망(30)을 통해 포털사이트, P2P사이트 등으로부터 변환콘텐츠파일 및 관련 콘텐츠파일을 검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검색엔진(132)이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과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창에 식별코드를 입력하면, 검색엔진(134)은 입력된 식별코드가 포함된 콘텐츠파일을 검색하고, 이와 병행하여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과 사용자 입력정보에 의한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어 입력창에 일반적인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엔진(134)은 입력된 검색어가 포함된 콘텐츠파일을 검색하고, 이와 병행하여 검색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도 수행한다.
메타데이터 확인수단(136)은 검색엔진(134)에서 식별코드를 이용한 검색을 할 때,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정보를 코드테이블로부터 확인하여 검색엔진(134)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식별코드 확인수단(138)은 검색엔진(134)에서 검색어를 이용한 검색을 할 때,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코드테이블로부터 확인하여 검색엔진(134)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서 서비스서버(100)의 콘텐츠관리모듈(140)은 업로드된 콘텐츠파일의 이력관리, 검색결과관리, 검색일정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식별코드를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감시서비스를 이용할 콘텐츠제공자는 서비스서버(100)에 접속하여 콘텐츠 업로드절차를 거쳐야 한다.
서비스서버(100)는 콘텐츠제공자단말(10)로부터 콘텐츠 업로드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업로드모듈(110)을 통해 소정의 업로드페이지를 콘텐츠제공자단말(10)로 제공하고, 콘텐츠제공자는 업로드페이지를 통해 원본콘텐츠파일을 업로드하는 한편 소정의 정보를 입력한다. 업로드시의 입력정보는 콘텐츠 소유자, 콘텐츠제공자의 단체명 또는 그룹명, 콘텐츠의 카테고리 등을 포함한다.
원본콘텐츠파일이 제목, 러닝타임, 파일포맷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입력하는 메타데이터 입력페이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ST11)
서비스서버(100)가 원본콘텐츠파일과 입력정보를 수신하면(ST12), 인코딩모듈(120)의 메타데이터 추출수단(122)은 원본콘텐츠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식별코드생성수단(124)은 콘텐츠제공자가 입력한 정보와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콘텐츠제공자가 입력한 정보는 제1서브코드로 변환하고, 메타데이터 정보는 제2서브코드로 변환하여 서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13)
이어서 인코딩모듈(120)의 변환파일생성수단(126)은 원본콘텐츠파일에서 식별코드 삽입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위치에 식별코드를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한다. (ST14)
한편 식별코드생성수단(124)에서 생성된 식별코드는 콘텐츠제공자의 정보와 매핑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해 두어야 하고, 콘텐츠제공자단말(10)로 전송하여 콘텐츠제공자가 이후 검색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은 ST14 단계의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ST15)
서비스서버(100)는 이상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변환콘텐츠파일'을 콘텐츠제공자에게 전송할 수도 있고,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해 둘 수도 있으며, 콘텐츠제공자의 승인하에 콘텐츠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ST1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를 이용하면 콘텐츠제공자가 업로드한 콘텐츠파일의 유통 및 배포상황을 광범위하게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은 콘텐츠제공자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서비스서버(100)가 설정된 주기마다 자동으로 검색을 수행한 후 검색결과를 콘텐츠제공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콘텐츠제공자가 검색을 요청한 경우의 검색방법을 설명한다.
서비스서버(100)가 콘텐츠제공자단말(10)로부터 검색요청을 수신하면, 검색모듈(130)은 검색인터페이스(132)를 통해 검색페이지를 제공한다. (ST21, ST22)
검색페이지의 검색창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이를 수신한 서비스서버(100)의 검색엔진(134)은 입력된 검색어가 변환콘텐츠파일 생성시에 등록된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 (ST23)
입력된 검색어가 등록된 식별코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검색모듈(130)의 메타데이터확인수단(136)은 코드테이블 등을 참조하여 등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정보와 업로드시 입력정보를 확인한다. (ST24)
이어서 검색엔진(134)은 해당 식별코드를 포함한 콘텐츠파일을 포털사이트, P2P사이트를 통해 검색하고, 이와 병행하여 ST24 단계에서 확인된 메타데이터 정보와 업로드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을 검색한다. (ST25)
검색엔진(134)의 검색결과는 검색인터페이스(132)의 결과페이지를 통해 콘텐츠제공자단말(10)로 제공되며, 결과페이지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의 검색결과와 식별코드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메타데이터/입력정보 중의 일부를 포함하는 관련 콘텐츠파일의 검색결과가 구분되어 표시된다. (ST26)
만일 콘텐츠제공자가 정당한 권리자이고, 서비스서버(100)를 통해 생성한 변환콘텐츠파일만을 외부로 배포, 유통시켰다면 검색된 콘텐츠파일 중에서 등록된 식별코드를 포함한 것만이 정상 제품이고, 식별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관련 콘텐츠파일은 불법적인 제품이므로 콘텐츠 제공자는 자신의 콘텐츠의 전반적인 배포상황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과페이지에는 검색된 콘텐츠파일이 위치하는 사이트, IP주소 등이 표시되므로 콘텐츠 제공자는 이를 이용하여 불법배포자를 추적 또는 신고할 수 있다.
또한 식별코드를 포함한 콘텐츠파일이라 하더라도 결과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배포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위 ST23 단계에서 입력된 검색어가 등록된 식별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검색모듈(130)의 식별코드확인수단(138)은 검색요청자의 정보와 코드테이블을 참조하여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등록 식별코드를 확인한다. (ST27)
이어서 검색엔진(134)은 확인된 식별코드를 포함한 콘텐츠파일을 포털사이트, P2P사이트 등을 통해 검색하고, 이와 병행하여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을 검색한다. (ST28)
그리고 결과페이지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과 식별코드를 포함하지는 않지만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관련 콘텐츠파일이 구분되어 표시된다. (ST29)
ST27 단계는 확인된 등록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정보와 업로드시 입력정보를 확인하고, ST28단계에서는 메타데이터 및 입력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제공자가 소유한 원본콘텐츠파일이 불법적으로 배포, 유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콘텐츠파일이 정식 출시되기 이전에 이러한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한 콘텐츠 제작자의 피해가 문제가 되고 있으므로 원본콘텐츠파일의 불법 배포자를 추적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원본콘텐츠파일은 서비스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식별코드를 포함하지는 않으므로 원본콘텐츠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이 효과적이다.
즉, 식별코드로 검색하든 일반적인 검색어로 검색하든, 검색결과페이지에서는 등록된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검색된 콘텐츠파일 중에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은 정상 제품으로 볼 수 있으나, 식별코드를 포함하지는 않으면서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은 불법 배포된 제품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결과화면에 식별코드를 포함하지는 않으면서 메타데이터만을 포함하는 콘텐츠파일 정보를 구분하여 검색요청자에게 제공하여 확인토록 하면, 사전에 불법적으로 배포된 콘텐츠의 배포상황을 파악하고 유포자를 추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서비스서버 110: 업로드모듈
120: 인코딩모듈 122: 메타데이터 추출수단
124: 식별코드생성수단 126: 변환파일생성수단
130: 검색모듈 132: 검색인터페이스
134: 검색엔진 136: 메타데이터 확인수단
138: 식별코드확인수단 140: 콘텐츠관리모듈
200: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라인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서비스서버에서 콘텐츠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부터 원본콘텐츠파일과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d) 검색요청자의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포함한 검색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입력변환 식별코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입력변환 식별코드이면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의 검색과 상기 입력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고,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입력변환 식별코드가 아니면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
    (f)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결과와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결과를 구분하여 상기 검색요청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와 함께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이면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의 검색과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고,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가 아니면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는 미리 저장된 코드테이블에서 상기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한 것이거나, 원본콘텐츠파일을 변환할 때마다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고유한 코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는 미리 저장된 코드테이블에서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한 것이거나, 원본콘텐츠파일을 변환할 때마다 설정된 규칙에 따라 고유한 코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이 다수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파일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는 상기 다수의 영상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11.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라인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서비스서버에서 콘텐츠를 감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부터 원본콘텐츠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d) 검색요청자의 단말로부터 검색어를 포함한 검색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인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이면 대응하는 메타데이터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의 검색과 상기 메타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검색을 병행하여 수행하고,
    상기 검색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가 아니면 상기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단계
    (f)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결과와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결과를 구분하여 검색요청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방법
  12. 삭제
  13. 콘텐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 원본콘텐츠파일의 업로드와 필요정보 입력을 위한 업로드페이지를 제공하는 업로드모듈;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입력변환 식별코드 생성수단과,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를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삽입하여 변환콘텐츠파일을 생성하는 변환파일생성수단을 포함하는 인코딩모듈;
    검색요청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어가 저장된 입력변환 식별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확인하는 확인수단과,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가 포함된 콘텐츠파일을 검색하는 기능과 상기 입력변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검색엔진을 포함하는 검색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인코딩모듈은 상기 콘텐츠제공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원본콘텐츠파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 추출수단과, 상기 메타데이터 추출수단에서 확인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 생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모듈은 상기 메타데이터변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를 확인하는 메타데이터 확인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KR1020120132673A 2012-11-21 2012-11-21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460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673A KR101460410B1 (ko) 2012-11-21 2012-11-21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673A KR101460410B1 (ko) 2012-11-21 2012-11-21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310A KR20140065310A (ko) 2014-05-29
KR101460410B1 true KR101460410B1 (ko) 2014-11-12

Family

ID=5089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673A KR101460410B1 (ko) 2012-11-21 2012-11-21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4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5885A1 (ko) * 2015-12-29 2017-07-06 윤재영 다양한 콘텐츠에 암호화정보를 포함시켜 검색 및 추적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검색 및 이력추적 감시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43A (ko) * 2000-01-07 2000-08-05 김주현 복제방지수단을 갖는 인터넷 전자 상거래시스템
KR20060089202A (ko) * 2006-07-21 2006-08-08 김효정 지식재산권에 대한 라이센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2007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143A (ko) * 2000-01-07 2000-08-05 김주현 복제방지수단을 갖는 인터넷 전자 상거래시스템
KR20060089202A (ko) * 2006-07-21 2006-08-08 김효정 지식재산권에 대한 라이센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62007A (ko) * 2008-12-01 2010-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310A (ko) 201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354B2 (en) Deriving multiple fingerprints from audio or video content
US84429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distribution of electronic files
KR101800373B1 (ko) 불법 콘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EP21092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consistency of numeric contents
US200900379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Content
US20020168082A1 (en) Real-time, distributed, transactional, hybrid watermarking method to provide trace-ability and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content in peer-to-peer networks
KR101485128B1 (ko) 불법 저작물의 증거 채증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49491A1 (en) Contents Data, and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Unauthorized Contents
US20230161886A1 (en) Distributed ledger-based digital content tracing
KR102026423B1 (ko) 저작권 보호를 위한 콘텐츠 권한 설정을 통한 실시간 콘텐츠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30109369A1 (en) First copyright holder authentica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nd method therefor
CN112069465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稿件知识产权保护方法和系统
US97229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censing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KR101460410B1 (ko)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90112845A (ko) 컨텐츠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090112843A (ko)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4990823B2 (ja) 違法コンテンツ判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違法コンテンツ判定支援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CN110610067A (zh) 一种版权管理方法及装置
KR20170069116A (ko) 다양한 콘텐츠에 암호화정보를 포함시켜 검색 및 추적이 용이하도록 한 콘텐츠 검색 및 이력추적 감시시스템
KR101081308B1 (ko) 동영상 저작권 위반 판별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동영상 저작권 위반 판별장치
KR20030041501A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및 인증 방법
KR100958516B1 (ko) 2차 컨텐츠에 관하여 기초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을보호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11209840A (ja) 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システムの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方法、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サーバ装置、パッケージファイル配信サーバプログラム、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装置、パッケージファイル再生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パッケージ端末装置。
KR100973220B1 (ko) 워터마크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Cheng et al. An overview of techniques for Confirming Big Data Property Righ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