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335B1 - Air discharging apparatus for mold assembly - Google Patents
Air discharging apparatus for mold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3335B1 KR100823335B1 KR1020060099908A KR20060099908A KR100823335B1 KR 100823335 B1 KR100823335 B1 KR 100823335B1 KR 1020060099908 A KR1020060099908 A KR 1020060099908A KR 20060099908 A KR20060099908 A KR 20060099908A KR 100823335 B1 KR100823335 B1 KR 1008233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main core
- side plate
- product
- eject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20)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26)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20)에 설치되는 제1형판(22)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30)과, 상기 가동측판(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22)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42)를 만드는 제2메인코어(40)가 구비되는 제2형판(36)과, 상기 가동측판(30)과 제2형판(36)과의 사이에 스페이서블록(32)에 의해 형성된 이동공간(46)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메인코어(40)를 관통하여 상기 제2메인코어(40)에서 제품을 분리하는 이젝트핀(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젝트핀(50)이 상기 제2메인코어(40)를 관통하는 관통공(40')의 내면과 이젝트핀(50)의 외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에어배출경로(6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제품의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출성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discharge device of a mold assembl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ed side plate 20 which is installed on the fixed side of the molding machine, and a first main core 26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mold plate installed on the fixed side plate 20. (22), a movable side plate (30) provided on the movable side of the molding machine, and installed on the movable side plate (3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plate (22) and the first main core (26) A second mold plate 36 provided with a second main core 40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main core 26 to form a cavity 4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the movable side plate 30; ) And a second main core 40 through the second main core 40 and movably installed in the moving space 46 formed by the spacer block 32 between the second template 36 and Including the eject pin 50 for separating the product in the, the eject pin 50 of the through hole 40 ′ penetrating the second main core 40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ject pin 50 to form an air discharge path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side the cavity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hape of the product can be accurately formed and the whiten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injection molding.
사출, 금형, 에어배출, 백화현상 Injection, mold, air discharge, whitening phenomen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ld assembly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젝트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ject pi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에서 도 3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젝트핀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3A to 3C are plan, front and side views of an eject pi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고정측판 22: 제1형판20: fixed side plate 22: first mold plate
24: 제1캐비티 26: 제1메인코어24: First cavity 26: First main core
28: 로케이팅링 30: 가동측판28: locating ring 30: movable side plate
30': 관통부 32: 스페이서블록30 ': through part 32: spacer block
34: 받침판 34': 관통공34: base plate 34 ': through hole
36: 제2형판 38: 제2캐비티36: second edition 38: second cavity
40: 제2메인코어 40': 관통공40: second main core 40 ': through hole
42: 캐비티 44: 체결볼트42: Cavity 44: Tightening bolt
46: 이동공간 48: 이젝트플레이트46: moving space 48: eject plate
50: 이젝트핀 52: 머리부50: eject pin 52: head
54: 몸체부 56: 절단면54: body portion 56: cutting surface
58: 밀폐디스크 60: 에어배출경로58: sealed disc 60: air discharge path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중에 금형조립체 내부의 캐비티로부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discharge device of a mold assembly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cavity inside the mold assembly to the outside during injection molding.
사출용 금형조립체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특정 형상을 가지는 제품을 사출성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금형조립체에는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코어가 구비되어 동일한 형상의 제품을 반복적으로 생산하게 된다.Injection mold assembly is injection molding a product having a specific shape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 mold assembly is provided with a cor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product to repeatedly produce a product of the same shape.
이와 같은 사출성형 과정에서는 메인코어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부에 용융된 합성수지가 투입되고, 일정 시간 경과되어 경화되면 캐비티의 외부로 제품을 분리하게 된다.In such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molten synthetic resin is introduced into a cavity formed by the main core, and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product is separated out of the cavity.
하지만, 사출성형과정에서 캐비티 내부에는 에어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어는 용융된 합성수지에서 발생하는 가스이거나 캐비티의 외부에서 들어온 에어이다.However, air is present in the cavity during the injection molding process. Such air is gas from molten synthetic resin or air from outside the cavity.
상기와 같은 에어가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존재하게 되면 제품의 형상이 제대로 성형되지 않거나, 에어에 의해 제품의 표면에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제품을 형성하는 메인코어가 각각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 캐비티 내 부의 에어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어 이와 같은 문제점이 많이 발생한다.If such air is present inside the cavity, the shape of the product may not be properly formed, or whitening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by air. Particularly, when the main cores forming the product are integrally formed, air in the cavity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참고로 백화현상은 캐비티에서 제품을 밀어내는 이젝트핀이 제품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즉, 상기 이젝트핀이 제품을 밀어내는 부분에 에어가 있다가 이에 의해 제품의 표면에 백화현상이 발생한다.For reference, bleaching occurs when the eject pin pushes the product out of the cavity. That is, there is air in the part where the eject pin pushes the product, and thereby whitening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조립체의 캐비티 내부에서 외부로 에어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enable the air to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avity of the mold assembly to the out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되는 고정측판과, 일면에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메인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에 설치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되는 가동측판과, 상기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메인코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제1메인코어와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만드는 제2메인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가동측판과 제2형판과의 사이에 스페이서블록에 의해 형성된 이동공간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메인코어를 관통하여 상기 제2메인코어에서 제품을 분리하는 이젝트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젝트핀이 상기 제2메인코어를 관통하는 관통공의 내면과 이젝트핀의 외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에어배출경로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ed side plate installed on the fixed side of the molding machine, the first main cor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on one side and the fixed A first main plate installed on the side plate, a movable side plate installed on the movable side of the molding machine, and a first main plate installed on the movable side pl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mold plat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in core; A second mold having a second main core which cooperates with the core to create a cavit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and is movable in a moving space formed by a spacer block between the movable side plate and the second mold; And an eject pin that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main core to separate the product from the second main core, wherein the eject pin penetrates through the second main co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ject pin to form an air discharge path.
상기 이젝트핀은 상기 이동공간 내에 설치되는 이젝트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상기 이젝트플레이트 중 하나를 관통하여 돌출되며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으로 절단면이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와 동축이고 몸체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밀폐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밀폐디스크는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와 관통공의 사이에는 상기 절단면에 의해 상기 에어배출경로가 형성된다.The eject pin has a head positioned between the eject plate installed in the moving space, and has a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head and protrudes through one of the eject plates, and has a long cutting surfac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Body portion formed. And a sealing disc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coaxial with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sealing disc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through hole. The air discharge path is formed between the cutting surfaces.
상기 몸체부의 직경 D와 상기 밀폐디스크의 직경 d사이에는 d = 0.9925D ~ 0.9950D의 관계가 있다.There is a relationship of d = 0.925D to 0.9950D between the diameter D of the body portion and the diameter d of the sealed disk.
상기 스페이서블록과 제2형판의 사이에는 받침판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받침판을 상기 이젝트핀이 관통하기 위해 상기 받침판에도 상기 제2메인코어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천공된다.A support plate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pacer block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through plat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econd main core is drilled in the support plate to allow the eject pin to pass through the support plate.
상기 이젝트핀의 절단면은 상기 가동측판과 제2형판 또는 받침판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cutting surface of the eject pin is formed to extend to be exposed to the moving space formed between the movable side plate and the second mold plate or the support plat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배출장치에서는 캐비티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제품의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출성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ai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side the cavity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hape of the product can be precisely formed and can prevent the whitening phenomenon can great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injection molding There is an advantag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discharge device of the mol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금형조립체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젝트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면, 도 3a에서 도 3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젝트핀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ld assembly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ir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ject pin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show plan, front and side views of the eject pi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고정측판(20)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설치된다. 고정측판(2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그 일면에 제1형판(22)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22)과 상기 고정측판(20)은 각각에 천공된 체결공(23)을 관통하여 체결볼트(23')가 체결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1형판(22)에는 제1캐비티(2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캐비티(24)는 상기 제1형판(22)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내면 바닥을 상기 고정측판(20)이 형성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상기 제1캐비티(24)의 내부에는 제1메인코어(26)가 설치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26)에는 제품의 외면 형상 일부와 대응되는 요홈(26')이 형성된다. 물론, 하나의 제1메인코어(26)에 다수개의 제1코어캐비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들 코어캐비티에 각각 동일한 제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제품의 외면 형상 일부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1형상코어(도시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The first
그리고, 본 발명은 특히 하나의 제품을 만들 때 제1형판(22)쪽에 하나의 형상코어 또는 하나의 제1메인코어(26)가 구비된 경우에 적합하다. 이는 하나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 제1형판(22)쪽에 하나의 제1메인코어(26)를 사용하면 아래에서 설명될 캐비티(42)에서 에어가 빠져나갈 틈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when one shape core or one first
한편, 상기 고정측판(20)에는 로케이팅링(28)이 설치된다. 상기 로케이팅 링(28)은 성형기의 고정측에 고정측판(20)이 장착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케이팅링(28)의 중앙을 통해 상기 고정측판(20)을 관통해서는 주입구(도시되지 않음)가 만들어지는데, 상기 주입구는 용융된 합성수지를 아래에서 설명될 캐비티(42)로 공급하는 부분이다.Meanwhile, the locating
가동측판(30)은 성형기의 가동측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측판(30)도 상기 고정측판(20)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가동측판(30)에는 스페이서블록(32)에 의해 받침판(34)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판(34)상에는 상기 제1형판(22)과 마주보게 제2형판(36)이 설치된다. 상기 제1형판(22)과 제2형판(36)은 제품의 성형시에 서로 밀착되었다가, 성형된 제품의 취출시에는 분리된다. 이는 성형기의 가동측이 고정측에 대해 이동됨에 의해 수행된다.The
상기 제2형판(36)에는 제2캐비티(38)가 형성된다. 상기 제2캐비티(38)는 상기 제1캐비티(24)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횡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캐비티(38)에는 제2메인코어(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는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고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는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협력하여 캐비티(42)를 형성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에도 다수개의 제2코어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코어캐비티에 각각 제2형상코어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44는 가동측판(30), 스페이서블록(32), 받침판(34) 및 제2형판(36)을 체결하는 체결볼트이다.A
상기 받침판(34)과 가동측판(30)의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블록(32)에 의해 형성되는 이동공간(46)에는 이젝트플레이트(48)와 이젝트핀(50)이 설치된다. 상기 이 젝트플레이트(48)는 두장이 겹쳐져 체결볼트(49)에 의해 체결되는 것으로, 그 중 하나를 상기 이젝트핀(50)이 직교하게 관통한다. 상기 이젝트핀(50)은 상기 받침판(34), 제2메인코어(4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성형된 제품을 제2메인코어(40)에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젝트플레이트(52)의 구동을 위한 구성을 위해 상기 가동측판(30)의 관통부(31)를 통해 동력을 이젝트플레이트(52)로 전달한다.An
한편, 상기 이젝트핀(50)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를 캐비티(4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에어를 캐비티(42)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 이젝트핀(50)의 구성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of the
먼저, 상기 이젝트핀(5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머리부(52)와 상기 머리부(52)보다 직경이 작은 몸체부(54)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52)는 상기 이젝트플레이트(48)중 어느 하나에 걸어지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54)보다 직경을 크게 한다. 상기 몸체부(54)는 원기둥형상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판(34)과 제2메인코어(40)에 형성된 관통공(34',40')을 관통한다.First, the
상기 몸체부(54)에는 절단면(56)이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몸체부(5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절단면(56)은 원기둥형상의 몸체부(54)의 서로 대칭되는 위치를 횡단면이 활꼴이 되도록 잘라낸 것이다. 이와 같은 절단면(56)은 상기 관통공(34',40')의 내부에서 몸체부(54)와 관통공(34',40')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The
상기 절단면(56)은 상기 머리부(52)를 향해서는 금형조립체가 닫혔을 때, 상기 이동공간(46)에 노출될 수 있는 위치까지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54)의 선단 부까지는 상기 절단면(56)이 형성된다. 상기 절단면(56)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몸체부(54)의 선단에는 밀폐디스크(58)가 구비된다. 상기 밀폐디스크(58)는 상기 몸체부(54)의 중심과 동축이고 그 직경은,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The cutting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54)의 직경 D와 상기 밀폐디스크(58)의 직경 d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즉, 대략 d = 0.9925D ~ 0.9950D 정도의 값이다. 만약, 상기 몸체부(54)의 직경 D가 6mm라면 상기 밀폐디스크(58)의 직경 d는 5.97mm이다. 참고로 상기 몸체부(54)의 직경(D)은 상기 관통공(34,40')의 내경과 거의 같다. For example,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D of the
이와 같은 몸체부(54)의 직경과 밀폐디스크(58)의 직경의 관계 및 상기 절단면(56)에 의해 도 3a에 빗금친 모양으로 에어배출경로(6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배출경로(60)는 실제로 상기 관통공(34',40')과 이젝트핀(50)의 몸체부(54) 사이의 틈새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에어배출경로(60)를 통해서는 합성수지재료가 배출되기가 어렵다. 이는 상기 에어배출경로(60)의 유동단면적이 용융된 합성수지가 이동되기는 매우 좁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에어배출경로(60)를 통해서 가스는 쉽게 빠져나갈 수 있다. 특히, 상기 캐비티(42)와 에어배출경로(60)가 연통되는 유동경로는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유동단면의 형상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아치형상으로 한쌍이 형성된다.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of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discharge device of the mol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금형조립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주입구를 통해 캐비티(42)로 용융된 합성수지가 공급되고, 상기 캐비티(42)에 채워진 합성수지가 어느 정도 경화되면, 상기 고정측판(20)에 대해 상기 가동측판(30)이 멀어지면서 상기 제1형판(22)과 제2형판(36)이 분리된다.In the mold assembly, when the synthetic resin melted into the
따라서, 상기 제1메인코어(26)가 상기 제2메인코어(40)에서 멀어지면서 제품이 상기 제2메인코어(40)에 부착된 상태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이젝트핀(50)이 상기 제2메인코어(40)에서 돌출되면서 제품을 밀어 제2메인코어(4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품이 제2메인코어(40)에서 분리되고 다시 상기 가동측판(30)이 고정측판(20)과 인접하게 되어 도 1의 상태로 되면서 다음의 제품을 제작할 준비를 마치게 된다. 그리고는 위에서 설명된 과정을 반복하면서 제품을 계속적으로 생산한다.Therefore, as the first
한편,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캐비티(42) 내부에는 에어가 찰 수 있다. 상기 캐비티(42)에 에어가 찰 경우, 상기 캐비티(42)가 외부와 연통되는 부분을 통해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메인코어(26)와 제2메인코어(40)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ir in th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젝트핀(50)과 관통공(34',40')을 따라 형성된 에어배출경로(60)를 따라 에어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티(42)의 내부에 합성수지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에어가 합성수지에 의해 밀려 상기 에어배출경로(60)를 통해 상기 이동공간(46)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42)의 내부에 에어가 남아 있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may be discharged along the
한편, 상기 이젝트핀(50)의 몸체부(54) 선단에 형성된 밀폐디스크(58)는 캐비티(42)와 에어배출경로(60)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지 않는다. 즉, 밀폐디스크(58)의 직경이 상기 에어배출경로(6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있어 캐비티(42)와 에어배출경로(60)가 서로 연통되기는 하지만, 상기 몸체부(54)에 절단면(56)이 서로 반대되는 면에만 형성되어 상기 밀폐디스크(58)와 에어배출경로(60)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모두 에어의 배출에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몸체부(54)에서 절단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상기 밀폐디스크(58)와 관통공(34',4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일부를 그 후방에서 막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면 금형조립체에서 상기 받침판(34)은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2형판(36)의 제2캐비티(38)의 형상에 따라 받침판(34)이 없어도 되는 경우도 있다.For example, th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에어배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air discharge device of the mol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제품을 만들 때 고정측판과 가동측판에 각각 하나씩의 메인코어만이 사용될 때, 캐비티에서 제품을 밀어내는 이젝트핀과 이젝트핀이 설치되는 관통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에어를 캐비티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제품의 크기가 커 메인코어의 갯수가 적은 금형조립체에서 캐비티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어 제품의 형상이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사출성형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ly one main core is used for each of the fixed side plate and the movable side plate when making a single product, air is discharged through a gap between the eject pin that pushes the product out of the cavity and the through hole where the eject pin is installed. It was to be discharged out of the cavit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product is relatively large, and the air inside the cavity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mold assembly having a small number of main cores, so that the shape of the product can be accurately formed and whitening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productivity of.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9908A KR100823335B1 (en) | 2006-10-13 | 2006-10-13 | Air discharging apparatus for mold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9908A KR100823335B1 (en) | 2006-10-13 | 2006-10-13 | Air discharging apparatus for mold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3767A KR20080033767A (en) | 2008-04-17 |
KR100823335B1 true KR100823335B1 (en) | 2008-04-28 |
Family
ID=3957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9908A KR100823335B1 (en) | 2006-10-13 | 2006-10-13 | Air discharging apparatus for mold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33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3472B1 (en) | 2016-07-22 | 2018-08-24 | (주)백암이노베이션 | Gas ve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4567A (en) * | 1996-05-24 | 1997-12-09 | Hashiba Tekko Kk | Vent piece of mold for vulcanizing tire |
-
2006
- 2006-10-13 KR KR1020060099908A patent/KR10082333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14567A (en) * | 1996-05-24 | 1997-12-09 | Hashiba Tekko Kk | Vent piece of mold for vulcanizing ti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3472B1 (en) | 2016-07-22 | 2018-08-24 | (주)백암이노베이션 | Gas v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3767A (en) | 2008-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0626B1 (en) | Ejector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oving plate including the same | |
JP2020512945A (en) | Injection mold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roduct having elongated channels | |
KR100823335B1 (en) | Air discharging apparatus for mold assembly | |
KR100864249B1 (en) | Runner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e assembly | |
KR100787196B1 (en) | Inner undercut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mold assembly | |
KR100838788B1 (en) | Mold assembly | |
JP2002103385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gear and molding die | |
KR102469203B1 (en) | Molding method for having boss structure with high dimensional accuracy | |
JP3156838B2 (en) | Injection mold | |
KR200432932Y1 (en) | Material supplying structure for mould assembly | |
JP2004291324A (en) | Mold for multicolor molding and multicolor molding method | |
KR10033134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diskgate and the apparatus | |
CN211363276U (en) | Main runner cutting device | |
KR101332187B1 (en) | A eject apparatus of mould for undercut-type product | |
KR100838774B1 (en) | Core assembly | |
KR100874966B1 (en) | Mold Assembly | |
JPH09187822A (en) | Mold assembly with ejecting mechanism | |
KR100421131B1 (en) | Mold for injection molding | |
KR102083827B1 (en) | A device for degassing an injection mold | |
KR200418299Y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06297872A (en) | Mold device | |
JP2000141427A (en) | Injection mold | |
KR20010001515U (en) | Injection molding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flow mark | |
JP2742295B2 (en) | Molding device for molded products with oblique holes | |
KR20090008653U (en) | Mold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