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299Y1 - Injection molding machine - Google Patents

Injection mol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299Y1
KR200418299Y1 KR2020060006292U KR20060006292U KR200418299Y1 KR 200418299 Y1 KR200418299 Y1 KR 200418299Y1 KR 2020060006292 U KR2020060006292 U KR 2020060006292U KR 20060006292 U KR20060006292 U KR 20060006292U KR 200418299 Y1 KR200418299 Y1 KR 200418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prue
fixed side
runner
spru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2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차상휴
윤영신
윤대성
Original Assignee
유경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정밀(주) filed Critical 유경정밀(주)
Priority to KR2020060006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29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29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형합 및 형 분리시 스프루 부시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스프루 부시가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mold having a separate sprue b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jection mold formed so that the sprue bush can be separated to prevent breakage of the sprue bush at the time of molding and mold separation.

본 고안의 사출 금형은 하부 금형 및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하여 소정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측 형판, 상기 고정측 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런너를 형성하는 런너 취출판, 상기 런너 취출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측 설치판을 구비하여 된 상부 금형과, 상기 고정측 설치판과 상기 런너 취출판에 각각 설치되며 형합될때 하나의 스프루를 형성하는 제 1, 제 2 스프루 부시를 포함한다.The injection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mold and the lower mold to form a predetermined cavity, a fixed side template, a runner ejection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side template to form a runn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unner ejection plate And an upper mold provided with a fixed side mounting plate, and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and the runner ejection plate and forming one sprue when they are molded.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스프루 부시는 제품의 성형을 위한 사출 금형의 형합 및 형분리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에서 상부 금형의 고정측 설치판에 결합되어 금형의 형합 및 형분리가 이루어질 때 런너 취출판으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적용된 스프루 부시는 금형의 형합 및 형분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금형과 스프루 부시의 충돌을 방지하여 스프루 부시의 파손으로 인한 금형의 사용 수명의 단축과 제품의 성형 불량을 줄일 수 있다.The sprue bush of the injection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of the upper mold in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the injection mold is mold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forming a product, and the runner is taken when the mold is molded and separated.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combined and separated from publication. Therefore, the sprue bush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revents collision between the mold and sprue bush that may occur during mold molding and mold separation, thereby reducing the service life of the mold due to the sprue bush breakage and reducing the molding defect of the product. Can be.

Description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 {Injection molding machine}Injection molding machine with separate sprue bush

도 1은 종래 사출 금형이 형합 되었을 때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a conventional injection mold is molded

도 2는 종래 사출 금형이 형분리 되었을 때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conventional injection mold is separated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사출 금형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jection mo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고안을 적용한 사출 금형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jection mo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은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리가 가능한 스프루 부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jection mold having a separate sprue b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jection mold having a sprue bush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사출 금형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두 도면은 같은 구조인 사출 금형으로서 도 1은 형합 되었을 때, 도 2는 형분리 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1 and 2 show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injection mold. Both figures are injection mold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FIG. 1 shows the state when the mold is separated and FIG. 2 when the mold is separated.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 금형(10)의 구조는 고정측 설치판(11)과, 상기 고정측 설치판(11)의 하측에 설치된 런너 취출판(13)과, 상기 고정측 설치판(11) 및 런너 취출판(13)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스프루(21)가 형성된 원통형의 스프루 부시(20)와, 상기 런너 취출판(13)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루 부시(20)의 스프루 (21)와 연통 되도록 런너(23), 게이트(25), 캐비티(27)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고정측 형판(15)으로 구성된다. The structure of the injection mold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fixed side mounting plate 11, a runner ejection plate 13 provided below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11,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11 and The sprue bush 20 of the cylindrical shape which is provided in the runner take-out plate 13 and the sprue 2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sprue of the sprue bush 20 is installed below the runner take-out plate 13. It consists of the fixed side template 15 in which the runner 23, the gate 25, and the cavity 27 were sequentially formed so that it may communicate with 21. As shown in FIG.

상기에서, 스프루 부시(20)의 상단은 상기 고정측 설치판(1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루 부시(20)의 스프루(21)는 상기 스프루(21)에서 고화된 고화물(이하, 고화 스프루라 함)을 쉽게 빼내기 위하여 하측 방향으로 점점 그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above, the upper end of the sprue bush 20 is fixed to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11, the sprue 21 of the sprue bush 20 is solidified in the sprue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lidified spru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such a way that its diameter gradually widens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order to easily remove it.

또한, 상기 고정측 형판(15)의 런너(23)는 고정측 형판(15)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런너 취출판(13)과 고정측 형판(15)이 서로 맞닿아 있어야만 완전한 탕도를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unner 23 of the fixed side template 1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side template 15 so that the runner ejection plate 13 and the fixed side template 15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omplete water run. Don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금형(10)에서는 스프루 부시(2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출금형(10)이 형분리될 때, 스프루 부시(20)가 고정측 설치판(11)의 하면에 돌출된 구조로서 결합되어 런너취출판(13) 및 고정측 형판(15)으로부터 분리된다.In the injection mold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prue bush 20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sprue bush 20 is fixed-side mounting plate 11 when the injection mold 1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combined as a protruding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nd separated from the runner take-out plate 13 and the fixed side template (15).

이때, 스프루(21)는 용융수지가 주입되기 위한 통로이기 때문에 스프루(21)에 파손이 생기거나 형상의 변화가 생길 시, 캐비티(27) 내로 들어가는 용융수지의 양에 영향을 미쳐 성형 불량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스프루(21)를 포함한 스프루 부시(20)의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prue 21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lten resin is injected, when the sprue 21 is damaged or a change in shape occurs, the sprue 21 affects the amount of the molten resin that enters the cavity 27 and causes poor molding. It may be necessary to be careful not to damage the sprue bush 20 including the sprue 21.

이를 감안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 10-2005-0053386호에는 스프루와 런너의 교차부위에서 용융수지의 물량을 감소시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view of this, Korean Utility Model No. 10-2005-0053386 discloses a structure for preventing breakage due to impact by reducing the amount of molten resin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rue and the runner.

개시된 종래 기술의 사출금형은 런너와 스프루의 교차부위에 스프루를 통해 주입되는 용융수지가 런너로 원활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가이드 핀을 스프루를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핀을 통해 스프루와 런너의 교차부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용융수지의 압력으로 인한 스프루의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유도되는 것이다. The disclosed prior art injection mold is configured to install a guide pin in a direction toward the sprue so that the molten resin injected through the sprue at the intersection of the runner and the sprue can flow smoothly into the runner. This guide pin is to prevent the sprue breakage due to the pressure of the molten resin that may occur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rue and the runner, it is induced to improve the durability.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출 금형은 금형의 형합이 이루어진 후 용융수지의 주입 중 일어날 수 있는 스프루의 파손은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고정측 설치판 및 런너 취출판, 그리고 고정측 형판과의 결합 및 분리시 발생할 수 있는 장치들 사이의 충돌과 그로 인한 파손을 막을 수는 없다.However, the injection mol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prevent sprue breakage that may occur during injection of the molten resin after the mold is formed, but is fixed to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the runner ejection plate, and the fixed side template.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s between devices and the resulting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separation.

고정측 형판에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프루 부시는 매 성형이 이루어질 때마다 스프루부시가 런너 취출판 및 고정측 형판과 결합 및 분리를 반복하면서 충돌이 생기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prue bush which is coupled to the fixed side template and integrally forms a collision while the sprue bush is repeatedly engaged and separated with the runner ejection plate and the fixed side template every time the molding is performed.

따라서 반복되는 형합 및 형분리 시에도 스프루 부시에 충격을 주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사출금형의 고안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new injection mold with a new structure that does not impact the sprue bush even during repeated molding and mold separation.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루 부시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출금형의 형합 및 형분리시 스프루 부시의 사출금형과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sprue bush to separate the sprue bush to prevent the damage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sprue bush and the injection mold when the mold is separa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jection mold having 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은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하여 소정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측 형판과, 상기 고정측 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런너를 형성하는 런너 취출판, 상기 런너 취출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측 설치판을 구비하여 된 상부 금형과, 상기 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되어 용융 수지가 투입되는 스프루를 형성한는 제 1 스프루 부시와, 상기 런너 취출판에 설치되어 상부는 상기 제 1 스프루 부시와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런너 취출판과 상기 고정측 형판의 결합시 형성되는 런너와 연통되는 제 2 스프루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jection mold having a separate sprue b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mold, a fixed side template to form a predetermined cavity by combining with the lower mold,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side template. A first soup having an upper mold provided with a runner ejection plate for forming a runner, a fixed side mount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unner ejection plate, and a sprue provided at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to which molten resin is introduced; And a second sprue bush installed on the runner extraction plat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rue bush and a lower portion communicating with a runner formed when the runner extraction plate and the fixed side template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that.

도시된 도면을 바탕으로 이 사출 금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jection mold on the basis of the drawings shown as follows.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출 금형의 단면도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는 스프루 부시를 포함한 상부 금형부가 도시되어 있다.3 and 4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n injection mold showing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igure shows an upper mold part including a sprue bush.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상부 금형부는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내부에 스프루(55)가 형성된 제1 스프루부시(51)가 구비된 고정측 설치판(41), 상기 고정측 설치판(41)의 하측에 설치되며 고정측 설치판(41)과 형합될 때, 제1 스프루 부시(51)와 연통되어 스프루(55)를 구성하는 제2 스프루 부시(53)가 구비된 런너 취출판(42), 상기 런너 취출판(42)의 하측에 설치되며 런너 취출판(42)과의 형합을 통해 스프루(55)와 연통되는 런너(57)를 구성하며 상기 런너(57)와 연통되고 캐비티(70)로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59)가 구비된 고정측 형판(43)으로 구성되어 있다.In more detail, the upper mold portion of the injection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having an injection hole into which molten resin is injected and a first sprue bush 51 formed therein with a sprue 55 therein; A second sprue bush installed under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rue bush 51 to form a sprue 55 ( 53 is provided on the runner take-off plate 42, the lower side of the runner take-off plate 42 and constitutes a runner 57 in communication with the sprue 55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runner take-off plate 42, The fixed side template 43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unner 57 and provided with a gate 59 for injecting molten resin into the cavity 70.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은 스프루 부시가 나뉘어 있어서 성형된 제품의 취 출을 위해 사출금형의 형분리가 이루어질 때 고정측 설치판(41)으로부터 스프루 부시가 돌출되지 않는다.The injection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rue bush divided so that the sprue bush does not protrude from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when a mold separation of the injection mold is made for taking out the molded product.

본 고안의 사출금형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jection mol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용융수지가 유입될 수 있는 탕도를 형성하고, 성형공간인 캐비티(70)를 형성하기 위해 사출금형(40)의 형합이 이루어진다. 고정측 설치판(41)과 런너 취출판(42) 및 고정측 형판(43)의 결합에 의해 제1, 제2 스프루 부시(51)(53)가 연통되고 런너(57)도 상기 제1, 제2 스프루 부시(51)(53)의 결합을 통해 형성된 스프루(55)와 연통되어 용융수지의 탕도를 형성한다. 이후, 고정측 형판(43)에 하부금형(44)이 결합되어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캐비티(70)가 형성된다.First, a molten resin may be formed to flow in, and an injection mold 40 may be molded to form a cavity 70 which is a molding space.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combination of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the runner ejection plate 42, and the fixed side template 43, and the runner 57 is also the first. In communication with the sprues 55 form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the melt sputters are formed. Thereafter, the lower mold 44 is coupled to the fixed side template 43 to form a cavity 70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to be molded.

이때, 제 2 스프루 부시(53)의 상면은 제 1 스프루 부시(51)의 하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제 1, 제 2 스프루 부시(51)(53)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종래 사출금형의 스프루 부시와 같이 용융 수지가 주입될 수 있는 탕도를 구성하게 되며, 제 1, 제 2 스프루 부시(51)(53)는 모두 상면의 직경이 하면의 직경보다 작아서 전체적으로 형합을 이루었을 때, 아래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게 되어 제품의 성형 후 제품을 취출 할 때 용이하도록 제작되었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prue bush 53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prue bush 51, the conventional injection when the first, second sprue bushes 51, 53 are combined Like the sprue bush of the mold, the molten resin can be injected, and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have a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thereby forming an overall shape. When it has a shape that is widened downward diameter, it was manufactured to facilitate taking out the product after molding the product.

이렇게 형합이 이루어지면 고정측 설치판(41)의 상방에 설치된 사출기(50)를 통해 제1,제2 스프루 부시(51)(53)의 스프루(55)로 용융수지를 주입한다. 상기 스프루(55)로 주입된 용융수지는 고정측 형판(43)에 형성된 런너(57)와 게이트(59)를 통해 캐비티(70) 내부로 유입된다. In this way, the molten resin is injected into the sprues 55 of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through the injection machine 50 installed above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The molten resin injected into the sprue 55 is introduced into the cavity 70 through the runner 57 and the gate 59 formed in the fixed side template 43.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금형 내부로 유입된 용융수지는 고화되어 작업자가 원하는 형상의 제품이 된다.Thereaft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molten resin introduced into the mold is solidified to obtain a product having a desired shape.

이후, 고정측 설치판(41) 및 런너 취출판(42)으로부터 고정측 형판(43)을 하측으로 분리하여 제품을 취출한다. 이때, 고정측 형판(43)에 형성된 런너(57) 및 게이트(59)에서 고화된 고화물(미도시, 이하 고화 런너라 함)은 스프루에서 고화된 고화물(미도시, 이하 고화 스프루라 함)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측 형판(43)이 하측으로 분리됨에 따라 고정측 형판(43)으로부터 취출되게 된다.Thereafter, the fixed side template 43 is separated from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and the runner take-out plate 42 to take out the product. At this time, the solidified material (not show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lidified runner) solidified in the runner 57 and the gate 59 formed on the fixed side template 43 is a solidified material (not show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lidified sprue). Since the fixed side template 43 is separated downward, it is taken out from the fixed side template 43.

이후, 고정측 설치판(41)으로부터 런너 취출판(42)을 하측으로 분리하여 상기 제1, 제2 스프루 부시(51)(53)로부터 고화 스프루를 빼낸다. 즉, 런너 취출판(42)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고화 런너를 하측으로 밀게 되고 고화 런너는 고화 스프루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런너 취출판(42)의 하측 방향 이동에 의하여 고화 스프루가 하측으로 잡아 당겨지게 된다.Thereafter, the runner take-off plate 42 is separated from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to the lower side, and the solidified sprue is remo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That is, since the runner take-out plate 42 is moved downward, the solidified runner is pushed downward, and the solidified runn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olidified sprue so that the solidified sprue is held downward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runner take-out plate 42. Will be pulled.

이후, 고정측 설치판(41)과 런너 취출판(42)이 완전히 분리되어 고화 스프루가 제1, 제2 스프루 부시(51)(53)로부터 일정 정도 이상 빠져나오면 더 이상의 물리적인 강제력을 가하지 않아도 저절로 제1, 제2 스프루 부시(51)(53)로부터 고화 스프루가 취출된다. 이는 고화 스프루가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Thereafter, when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41 and the runner ejection plate 42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solidified sprue exits from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by a certain degree or more, no further physical forcing is applied. The solidified sprue is taken o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by itself. This is because the solidified spru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form of gradually increasing diameter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후, 사출금형(40)으로부터 성형된 제품을 완전히 취출한 다음 상기의 동작을 반대로 되풀이하여 사출금형(40)을 초기 상태로 세팅시킨다.Thereafter, the molded product is completely taken out from the injection mold 40, and the above operation is reversed to set the injection mold 40 to an initial state.

도 4에서는 본 도안의 실시예로서 제 1, 제 2 스프루 부시(51)(53)를 볼트를 이용한 체결로 도시하였으나 체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체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In FIG. 4, the first and second sprue bushes 51 and 53 are illustrated as fastening using bolt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asten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astening means may be used.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분리형 스프루부시는 스프루 부시의 분리를 통해서 제품의 성형을 위해 금형을 형합 및 형분리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프루 부시의 금형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parate type sprue bush of the injection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separated from the sprue bush mold, which may occur in the process of forming and separating the mold for molding the product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sprue bush. The collision can be prevented.

또한 스프루 부시와 금형의 충돌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스프루 부시의 파손을 줄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It can also extend the life of the product by reducing the sprue bush breakage that can be caused by the collision of the sprue bush and the mold.

더 나아가, 스프루 부시의 파손을 개선함으로 파손된 스프루 부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용융 수지의 주입불량 및 용융 수지의 손실도 개선하게 되어 제품의 성형성을 개선하고, 용융 수지의 손실로 인한 제작 비용의 낭비도 줄이게 되는 이점이 있다.Furthermore, by improving the breakage of the sprue bush, the injection failure of the molten resin and the loss of the molten resin, which may be caused by the broken sprue bush, are also improved, thereby improving the formability of the product and making the molten resin los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waste of money.

Claims (1)

하부 금형과;Lower mold;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하여 소정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고정측 형판과, 상기 고정측 형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런너를 형성하는 런너 취출판, 상기 런너 취출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측 설치판을 구비하여 된 상부 금형;A fixed side template coupled to the lower mold to form a predetermined cavity, a runner extraction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xed side template to form a runner, and a fixed side mounting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unner extraction plate; Upper mold; 상기 고정측 설치판에 설치되어 사출기의 용융 수지가 투입되는 스프루를 형성한는 제 1 스프루 부시와;A first sprue bush installed on the fixed side mounting plate to form a sprue into which the molten resin of the injection machine is injected; 상기 런너 취출판에 설치되어 상부는 상기 제 1 스프루 부시와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런너 취출판과 상기 고정측 형판의 결합시 형성되는 런너와 연통되는 제 2 스프루 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 금형.It is installed on the runner take-off plate, the upper por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prue bush, the lower portion includes a second sprue bush in communication with the runner formed when the runner take-out plate and the fixed side template is coupled Injection mold having a detachable sprue bush.
KR2020060006292U 2006-03-08 2006-03-08 Injection molding machine KR20041829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92U KR200418299Y1 (en) 2006-03-08 2006-03-08 Injection mol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292U KR200418299Y1 (en) 2006-03-08 2006-03-08 Injection mol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299Y1 true KR200418299Y1 (en) 2006-06-08

Family

ID=41767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292U KR200418299Y1 (en) 2006-03-08 2006-03-08 Injection mol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299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40B1 (en) 2020-03-12 2021-09-03 장해산 Injection Mold Robot Grapples with Stripper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740B1 (en) 2020-03-12 2021-09-03 장해산 Injection Mold Robot Grapples with Stripper Modu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960B1 (en) Method for removing a molded part in three-plate injection mold
KR200418299Y1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0864249B1 (en) Runner sepa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e assembly
KR101548518B1 (en) Injection mold
KR20070047160A (en) Triple mold having small size mold
US5962042A (en) Injection mold
CN205767252U (en) A kind of injection mold with secondary ejecting mechanism
KR101344861B1 (en) Two shot injection molding with tunnel-gate for double shooting out
JP2002347085A (en) Injection-molding mold
KR20160094630A (en) Two-stage extraction device when the runner gate entry for molded prevent damage
KR100232820B1 (en) Injection moulding and injection method using slide core
KR20080104689A (en) Mold apparatus
KR20080004359U (en) Mold assembly
KR100533599B1 (en) Mold for insert in molding of cell phone LCD window
CN105984091B (en) Automatic gate breaking structure
KR200155571Y1 (en) Side gate cutting device for injection moulding
KR200172928Y1 (en) Injection moulder
KR100582818B1 (en) Slide Core Structure for Extracting Undercut of Dual Angle
CN211993776U (en) Paper basket forming die
CN214491435U (en) Two-plate mould bullet mouth of a river structure
CN211640843U (en) Mould capable of automatically demoulding
KR200144524Y1 (en) Injection mold
KR20090128176A (en) Ejecting apparatus of forging mold
KR19980021974U (en) Gate automatic cutting device of mold
KR100370537B1 (en) Injection Mould for Plas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