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298B1 -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 Google Patents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298B1
KR100823298B1 KR1020070037454A KR20070037454A KR100823298B1 KR 100823298 B1 KR100823298 B1 KR 100823298B1 KR 1020070037454 A KR1020070037454 A KR 1020070037454A KR 20070037454 A KR20070037454 A KR 20070037454A KR 100823298 B1 KR100823298 B1 KR 10082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sa
inhibitory effect
water
ethanol extract
low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준
박병성
장애라
조철훈
이성기
이무하
김광식
김헌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라바텍
Priority to KR102007003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3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2Peptides of undefined number of 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파리 구더기 단백질을 효소 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SA(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계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 구균)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5 KDa 이하의 효소 분해물로서 집파리 수용성 단백질을 효소인 테르몰리신(thermolysin)을 사용하여 분리하는 방법과 에탄올에 침지한 후 균질과정을 거쳐 얻은 에탄올 추출물내 MRSA 억제(Anti-MRSA)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분획의 분리를 위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의 용매 분획법을 통해 얻어지는 부탄올 용해 물질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파리 수용성 단백질을 효소인 테르몰리신을 사용하여 분리한 저분자량의 펩타이드와 에탄올에 침지한 후 균질과정을 거쳐 용매 분획법을 통해 얻어진 부탄올 용해물질은 본 실험 결과 MRSA 억제 및 항균 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MRSA, 집파리 구더기, 항균, 펩타이드 분획, 용매분획

Description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Separation methods of low molecular size peptide and ethanol extract with anti-MRSA activity from Musca domestica}
도 1은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에서 테르몰리신으로 4시간 효소분해 물질의 배양 시간에 따른 MRSA 3595억제 효과
도 2는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에서 테르몰리신으로 8시간 효소분해 물질의 배양 시간에 따른 MRSA 3595억제 효과
도 3은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에서 테르몰리신으로 8시간 효소분해물중 10kDa이하 크기의 분해물의 배양 시간에 따른 MRSA 3595 억제 효과
도 4는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에서 테르몰리신으로 8시간 효소분해물 중 5kDa이하 크기의 분해물의 배양 시간에 따른 MRSA 3595 억제 효과
도 5는 MRSA 3595에 항균활성을 보이는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 테르몰리신 효소분해물 중 10kDa 이하 펩타이드 크로마토그램
도 6은 MRSA 3595에 항균활성을 보이는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 테르몰리신 효소 분해물 중 5kDa이하 펩타이드 크로마토그램
도 7은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disk법)
본 발명은 집파리 구더기 단백질을 효소 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SA(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계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 구균) 억제효과를 갖는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5 KDa 이하의 효소 분해물로서 집파리 수용성 단백질을 효소인 테르몰리신(thermolysin)을 사용하여 분리하는 방법과 에탄올에 침지한 후 균질과정을 거쳐 얻은 에탄올 추출물내 MRSA 억제(Anti-MRSA)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분획의 분리를 위해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의 용매 분획법을 통해 얻어지는 부탄올 용해 물질도 제공한다.
과다한 항생제를 동물 및 인체에 사용하거나 오, 남용할 경우 체내에서는 선택적으로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미생물이 출현하게 된다. 동물에 항생제를 사용하는 목적은 감염질환의 치료 및 성장 촉진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에 사용되는 항생제의 오, 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뿐만 아니라 가축에 사용되는 항생제의 사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들도 음식을 통하여 사람에게 전달되어 치료에 심각한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는 많은 증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생제 내성율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국가 중 하나로 내성균의 오염이 심각한 실정이며 식품으로의 오염도 상당한 수준일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 한국 소비자 보호원 조사 결과에 의하면 육류, 어류, 야채류 및 가공 식품에서 분리한 대장균군 중 93%가 항생제 내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식품 중 항 생제 내성균의 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는 천연물에서 항균력을 갖는 물질의 탐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항균성 물질로는 계란의 콘알부민(conalbumin), 아비딘(avidin), 라이소자임(lysozyme)과 우유내 락토페린(lactoferrin) 등의 단백질 성분, 구연산, 숙신산, 벤조산, 젖산, 프로피온산 등의 유기산, 생물체 조직에 소량 존재하는 탄소수 12-18개의 중쇄 지방산, 타임(thyme), 오레가노(oregano), 시나몬(cinamon), 클러브(cloves) 등의 정유성분, 글리신(glycine), 시스틴(cystine), 트립토판(tryptophan) 등의 아미노산, 플로보놀(flovonol) 류와 프로안토시아닌{proanthocyanins (tannins)}등의 색소 관련 성분, 해면 동물의 벤조산, 오카다산(okadaic acid), 다이노사이시스톡신-1(dinophysistoxin-1), 해조류의 지방산, 함황 화합물,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 타닌(tannin), 브로모페놀(bromophenol), 터페노이드(terpenoid)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외에도 후물론(humulone)과 류퓨원(lupuone), 하이드로신남산 유도체, 카페인, 테오필린(theophylline)과 히오브로민파이토알렉신(heobromine phytoallexin) 등과 미생물 유래의 박테리오신(bacteriocin)등이 알려져 있다
곤충에서 유용물질을 탐색하고 자원화하려는 분야는 타 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곤충은 세대가 짧고 개체가 작은 특징으로 인해 자원이용 면에서 매우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곤충이 고생대부터 지금까지 타 생물에 비해 압도적으로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수분손실이 적고 단단하고 가벼운 몸 구조를 가지고 있어 활동에너지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유충과 성충 간에 섭 식요구 먹이가 달라 서로 경쟁이 없고 휴면, 변태 등을 통해 저온, 고온, 건조 등 외부환경 및 물리적 장애나 외부 침입병원에 대해 강한 자체방어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곤충의 다양성을 이용한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의 탐색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200여종 이상의 항생활성 펩타이드 들이 발견되어졌고 이중 일부는 실제로 새로운 항생제로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 곤충의 항생활성 펩타이드는 3000Da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고 있으며 그로인해 제약으로의 개발에 제한적이다.
한편, 곤충 중 특히 구더기를 이용한 항생 치료는 20세기 초반에 연조직(soft tissue)의 골수염과 화농성 감염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어 왔다. 수백 년간 전장에서 군인들이 패혈증으로 고통 받을 당시 구더기를 이용해 치료를 받으면 사망을 면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40년대 이후로 항생제의 등장으로 인해 구더기 치료는 미개한 치료법으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구더기는 고름을 빨아들이고 박테리아와 곪아 들어가는 근육조직 등을 먹어치우는 반면 건강한 근육조직은 건드리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구더기가 상처치유에 항상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괴사 상처, 복강과 연결된 상처, 쉽게 출혈되는 모든 상처, 혈액의 공급이 부족한 부위, 주요 혈관 또는 신경과 가까운 부분의 괴사상처 적합하지 않다.
구더기의 항균작용 및 염증제거 주요 메카니즘은 세 가지 주요 활동에 의한 것이다: 염증조직의 용해를 통한 상처의 표면제거, 감염의 제거, 상처의 치유 촉진이다. 특히 기존의 치료에 의해 효과가 없었던 만성적인 상처 및 항생제 내성 치료 에 효과적이다. 구더기는 치아가 없으므로 괴사된 조직을 씹을 수가 없다. 따라서 체외 소화에 의해 영양분을 섭취하게 된다. 그래서 구더기는 대신 교원질 분해효소(collagenases) 와 트립신류 및 키모트립신류 효소(trypsin-like and chymotrypsin-like enzymes) 등을 분비하게 되어 괴사된 조직을 반 액체 상태로 전환시켜 구더기가 섭취하기에 쉬울 상태로 전환시킨다.
상처의 표면을 움직이면서 구더기는 단백질 분해 효소 혼합물을 분비하여 죽은 조직을 용해한다. 그 후 그 조직을 섭취하고 암모니아를 분비하여 상처의 pH를 높여 일부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한다. 정상 조직은 제거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효소가 정상 조직에 닿았을 때 중성화되기 때문이다. 구더기는 클로스트리디움 웰치균{Clostridium welchii (Cl. perfringens) the 'gas bacillus'}에도 항균능력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항균효과는 구더기가 분비하는 물질에 항균특성이 있기도 하지만 특히 중요한 메카니즘은 구더기가 능동적으로 박테리아를 섭취해서 소화관을 거칠 때 분해되어 제거된다. 이것이 구더기가 MRSA와 슈도모나스 종을 제거하는 메카니즘이며 특히 이들 박테리아에 대해서는 외부에 분비하는 물질이 별 효과가 없다. 하지만 이결과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래리(Larry) 는 구더기 분비물이 감염을 억제하고 치유를 촉진한다고 하였는데 이는 배어(Baer)와 파인(Fine) 등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특히 프레트(Prete)는 구더기의 분비물이 섬유아세포(fibroblast cells)의 발달을 촉진시킨다고 보고하여 이를 뒷받침하였다. 세균들은 유전자들을 서로 교환하기 때문에 동물의 병원균이 사람의 병원균으로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전달할 수도 있다. 중소 가축 및 대 가 축, 가금 사양에 있어 항생제 남용으로 인한 내성박테리아의 발생은 항생제 사용을 줄이고 휴약 기간을 잘 준수하는 것이 방법이다. 이렇듯이 항생제 내성을 지닌 박테리아의 감염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므로 구더기를 이용한 분말이나 추출물은 이에 대한 좋은 치료제가 될 수 있다.
곤충에서도 자신을 보호하는 목적의 항균 펩타이드에 관한 보고가 있어 왔다. 항균 펩타이드는 곤충의 내부 방어시스템의 필수 요소로 알려지고 있으며 광범위한 유해 병원성 미생물이나 살충제에 강한 저항력을 제공 한다. 항균 펩타이드의 특성은 기존의 항생제에 비하여 항균작용범위가 매우 넓으며 그 길이가 아미노산 20-40정도로 짧고 산 알칼리 및 열처리 등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펩타이드를 구성한 아미노산에 2차적 변형(secondary modification)이 거의 없다는데 있다. 또한 이들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물질로서 항균 작용 후 쉽게 분해될 수 있어 환경파괴의 위험이 적어 기존의 항생제보다 환경 친화적이다. 지금까지 연구결과 항균펩타이드 구조와 활성간의 관계까지 밝혀진 대표적인 펩타이드는 곤충에서 분리된 세크로핀(cecropin)과 멜리틴(melittin), 포유동물의 방어소(defensin), 개구리의 마가이닌(magainin), 참게류의 타사이플레신(tachyplesin) 등이 있다. 알려진 대부분의 것들은 유도체이고, 저분자량이며 양이온성 펩타이드로 알려져 있다 (Bulet et al., 1999). 이들 펩타이드 항균물질의 활성도는 미생물 세포벽의 구조와 조성성분에 따라 차이가 나며 분리되는 펩타이드는 그 분리원에 따라 거의 다른 구조를 갖고 있어 그 조성이 무척 다양하다. 이는 각 생물이 자라나는 환경에 따라 침입하는 병원균의 종류가 다르므로 이에 대하여 작용 펩타이드의 종류도 다 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성분들은 의약계에 강한 관심대상이 되어져 왔는데 이들이 신속하고 광범위한 항균 영역을 갖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은 약제 저항성 또는 포유류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즉 이들 펩타이드들이 악 저항성 MRSA와 같은 "슈퍼버그(superbug)" 종류의 억제를 위한 이상적인 후보물질인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항균성 펩타이드가 L. sericata larva에서 분비되어져서 상처를 치료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 강하게 예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파리 구더기단백질의 테르몰리신 효소분해물 중 MRSA 억제 활성을 갖는 저분자량의 수용성 펩타이드 분획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용매 분획법을 통해 MRSA 억제 활성을 갖는 부탄올 분획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집파리 구더기 단백질을 효소 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집파리 구더기를 균질화 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여과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얻는 단계 및 상기 단백질을 효소 분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MRSA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 방법 및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집파리 구더기의 에탄올 추출물로서, 저온에서 지방을 제거한 MRSA 억제효과를 갖는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 및 이 추출물의 부탄올 분 획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구더기 치료(maggot theraphy)로 이용되는 구더기는 금파리종인 Lucillia sericata 인데 이 종은 육식성의 파리로서 대량 사육이 어렵고 까다로워서, 국내에서 흔히 볼 수 없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 메디라바텍에서 대량 사육이 가능한 집파리에서 유래한 구더기를 사육하여 시료로 이용하여 MRSA 억제 특징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집파리 구더기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RP-HPLC를 이용하여 MRSA 억제 활성을 갖는 저분자의 펩타이드를 탐색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또한 다양한 용매를 이용하여 그 활성을 보이는 분획을 탐색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MRSA 억제 효과를 갖는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의 탐색
1-1. 집파리 구더기(Musca domestica)
집파리 구더기는 (주) 메디라바텍에서 공급받아 이용하였다.
1-2. 집파리 구더기에서 수용성 단백질의 분리
동결건조한 집파리 구더기 200g에 증류수 200ml을 첨가한 후 약 20,000rpm에서 1분동안 균질하였다. 그후 4℃에서 20분동안 5000 xg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Whatman No. 1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맑게 분리된 액을 수용성 단백질시료로 이용하였다.
1-3. 효소 분해
Musca domestica에서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여 테르몰리신과 단백질을 1:100으로 하여 처치한 후 37℃에서 각각 4시간과 8시간의 분해시간을 거쳐 효소분해물을 분리하였다. 그 분해물을 0.45um의 멤브레인으로 여과한 후 이용하였다.
1-4. 수용성 단백질 효소분해물의 MRSA 억제 효과 확인
MRSA 3595에 대한 배양시간별 억제효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MRSA 3595의 경우 배양 12시간까지는 대조군과 거의 비슷하게 성장하는 곡선을 보였지만 그 이후는 오히려 대조군보다 분해물 처리군의 MRSA 3595가 성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 경향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아서 4시간 분해물의 경우에는 MRSA 3595의 억제성분보다도 성장요인으로 작용하여 증가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용성 단백질의 8시간 효소가수분해물의 MRSA 3595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도 2). 8시간 가수분해물은 배양 6시간까지는 대조군이 오히려 낮은 성장수준을 보였으나 12시간에는 대조군보다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18시간에는 농도 의존적으로 크게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배양 42시간까지 지속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도 1과 크게 다른 경향을 보인 것으로 8시간의 배양시간동안 항 MRSA 잔기들이 노출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었다.
또한, MRSA 3595 억제효과가 뛰어난 수용성 단백질의 8시간 가수 분해물을 겔크로마토그래피(gel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획을 분리하여 농축한 후 MRSA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자량 크기를 10kDa이하 분획(도 3)과 5kDa 이하의 분획으로(도 4) 나누어 살펴본 결과 10kDa 이하 크기의 분획에서는 배양 6시간까지는 대조군보다는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처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12시간이후부터는 농도의존적인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 효소분해물중 5kDa이하의 분획에서는 억제효과가 배양 6시간 이후부터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6시간에서 대조군 대비 가장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배양 24시간까지 지속되었다.
분자 크기가 10 kDa이하에 해당하는 분획의 분리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내었다 (도 5). 10 kDa이하에 해당하는 모든 단백질성 물질이 포함되어있어서 피크가 상당히 넓게 분포함을 볼 수 있다. 특히 분리 시간 5분~15분 사이의 경우 완전히 분리가 되지 않아 뭉툭한 피크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 분해물을 더욱 정확하게 분리하기 위해 겔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5kDa이하의 분획을 분리한 후 이 분리물을 다시 RP-HPLC를 이용하여 분리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보다 더욱 명확하게 분리됨을 볼 수 있었으며 추후 이들 개별 분획의 분리를 통해 5kDa 이하 크기의 MRSA 억제 효과 펩타이드의 분리 및 정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집파리 구더기 수용성 단백질 효소 분해물중 5kDa 이하의 펩타이드 분획이 가장 크게 MRSA 를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들 분획을 이용한 항균 패치물질, 청결제, 첨가물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실시예 2. MRSA 억제 효과를 갖는 에탄올 추출물 탐색
2-1.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추출물에서 냉장 및 냉동 저장 후 지방을 제거한 에탄올 추출물의 MRSA 억제 효과
에탄올 추출물은 집파리 구더기와 에탄올을 1:4로 하여 24시간 동안 냉장온도에서 추출하였다. 그 후 원심분리하여 (10,000xg, 30min) 펠렛은 제거하고 상층액을 농축하여 농도별로 시료로 이용하였다. 지방을 함유한 에탄올 추출물과 냉장 및 냉동 온도에 두어 지방을 제거한 에탄올 추출물의 MRSA 억제효과는 표 1과 같다. 지방을 함유한 에탄올 추출물은 70ug으로 처리하였을 때 MRSA 3589와 3598에서만 각각 0.5mm, 1.2mm의 억제존을 보였을 뿐이었으나 냉장 온도인 4℃에서 지방을 제거한 추출물에서는 MRSA 3589와 3595를 5.0mm의 크기로 억제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냉동조건인 -20℃에서 저장한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함량이 크게 제거되어 MRSA 3598에서 최대 12.0mm의 억제존을 나타내었다. 이는 지방이 MRSA를 억제하는 방해요소로 작용함을 시사한 것으로 이후 지방을 제거한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화학적인 변화가 없도록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을 제거하였다.
지방을 제거한 혹은 함유한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의 MRSA에 대한 항균 효과 (mm)
지방함유 에탄올 추출물 4℃ 지방제거 에탄올 추출물 -20℃ 지방제거 에탄올 추출물
3589 3595 3596 3597 3598 3601 VRE 0.5 - - - 1.2 - 3.5 5.0 5.0 2.0 1.0 3.5 3.0 13.5 5.9 5.3 7.2 9.8 12.0 6.3 6.7
2-2.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의 대표적인 병원성 미생물인 S.aureusE.coli O157:H7, MRSA 3589, 3595에 대한 disk 법을 통한 항균 효과
도 7은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을 5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37℃에서 48시간 배양 후 그 억제존을 나타낸 사진이다. A는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 처리 억제존(50ug/ml), B는 대조구(에탄올)이다. 추출물은 S.aureus(7a)와 E.coli O157:H7(7c)에서 48시간 후 모두 대조군보다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MRSA 3595(7d)에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2-3. 용매분획처리를 이용한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의 MRSA 억제 효과 함유 분획의 분리
에탄올 추출물(1:4)을 농축 후 헥산-에틸아세테이트-부탄올-물 층으로 용매분획을 거쳐 각각의 분획물의 MRSA 항균효과를 측정 하였다(표 2). 그 결과 부탄올 층에서 모든 MRSA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MRSA 3598은 15.3mm의 억제존을 보였으며 MRSA 3595와 3596도 12.3-12.8mm의 억제존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부탄올 분획물을 'magbut'으로 명명하였다. 특히 부탄올 분획물은 MRSA 억제 활성이 우수하였고 부탄올에 용해되므로 극성에 가까운 물질로 판단된다. 다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 등(1991)은 황백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인 추출한 경우,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고 하여 천연물의 항균력은 항균물질의 극성 특성에 따라 추출되는 정도가 다르며 이는 그 유효물질의 특성에 따른 것이다.
극성차이에 따른 용매 분획법을 통한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1의 종류별 MRSA억제 효과 (mm)
MRSA MRSA 억제 효과 (mm)
Hexane Ethylacetate Butanol Water
3595 - - 12.8 -
3596 - - 12.3 -
3597 - - 9.0 10.0
3601 - - 11.0 10.5
3589 - - 9.8 -
3598 - - 15.3 -
1 에탄올 추출물 처리: 50ug/m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집파리 수용성 단백질을 효소인 테르몰리신을 사용하여 분리하거나 에탄올에 침지한 후 균질과정을 거쳐 얻어지는 것으로서 MRSA 억제 및 항균 효과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다.

Claims (6)

  1. 집파리 구더기 단백질을 효소 분해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SA(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계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 구균) 억제효과를 갖는 10Da~5KDa의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 방법.
  2. 집파리 구더기를 균질화 한 다음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여과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얻는 단계 및,
    상기 각 단백질을 효소 분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SA(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계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 구균) 억제효과를 갖는 10Da~5KDa의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은 테르몰리신(thermolysin)을 이용한 효소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SA 억제효과를 갖는 10Da~5KDa의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방법으로 얻어진 MRSA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 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
  5. 집파리 구더기의 에탄올로 추출물로서, 저온에서 지방을 제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SA(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메치실린계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 구균) 억제효과를 갖는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
  6. 제 5항의 집파리 구더기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KR1020070037454A 2007-04-17 2007-04-17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KR10082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54A KR100823298B1 (ko) 2007-04-17 2007-04-17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454A KR100823298B1 (ko) 2007-04-17 2007-04-17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3298B1 true KR100823298B1 (ko) 2008-04-17

Family

ID=3957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454A KR100823298B1 (ko) 2007-04-17 2007-04-17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32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9194A (ja) * 1990-10-01 1992-05-13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新規ペプチド、その製造法及び用途
JPH04264098A (ja) * 1991-02-15 1992-09-1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新規ペプチド、その製造法及び用途
KR20050112411A (ko) * 2004-05-25 2005-11-30 이덕록 갯지렁이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20060062693A (ko) * 2004-12-06 2006-06-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염증 활성을 갖는 무당벌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9194A (ja) * 1990-10-01 1992-05-13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新規ペプチド、その製造法及び用途
JPH04264098A (ja) * 1991-02-15 1992-09-1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新規ペプチド、その製造法及び用途
KR20050112411A (ko) * 2004-05-25 2005-11-30 이덕록 갯지렁이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KR20060062693A (ko) * 2004-12-06 2006-06-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항염증 활성을 갖는 무당벌레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Čeřovský et al. Lucifensin, the long-sought antimicrobial factor of medicinal maggots of the blowfly Lucilia sericata
Veldkamp et al. Bioactive properties of insect products for monogastric animals–a review
Balasubramanian et al. Antimicrobial properties of skin mucus from four freshwater cultivable fishes (Catla catla, Hypophthalmichthys molitrix, Labeo rohita and Ctenopharyngodon idella)
EP3361882A1 (en) Feed additives for aquatic animals comprising essential oils and lysozyme
KR20150024115A (ko)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및 파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어류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EP3755363B1 (en) Plantaricin nc8alphabeta variants
CN102051398A (zh) 一种黄鲫蛋白抗菌肽的制备方法
Liang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inducible antibacterial peptide from the skin mucus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US10517920B2 (en) Antibacterial peptide and method of treatment using the antibacterial peptide
Nigam et a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Maggots
Manivasagan et al. Studies on the proteinaceous gel secretion from the skin of the catfish, Arius maculatus (Thunberg, 1792)
Al-Rasheed et al. Assessment of some immune components from the bioactive crude extract derived from the epidermal mucus of climbing perch anabas testudines
KR100823298B1 (ko) 집파리 구더기에서 엠알에스에이 억제효과를 갖는 수용성저분자량 펩타이드 분획의 분리방법 및 에탄올 추출물
KR20180035013A (ko)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저항성을 가지는 동애등에 유충 항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Sundari et al. A potential insect antimicrobial of black soldier fly larvae (Hermetia illucen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CN113101305B (zh) 发酵蚯蚓粉及其制备方法
Mahmoud et al. Antibiotic (Gentamicin) Impact on Bacterial Flacherrie Disease of Silkworm, Bombyx mori L..
Patil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fish mucus from Clarias batrachus (Linn.) against selected microbes
Pérez-Grisales et al. Insects as sources of food and bioproducts: a review from Colombia
Nagarajan et al. Bioconversion of chicken feather wastes into value added bioactive peptide by Geobacillus thermodenitrificans PS41 strain
Khdre et al. Evaluation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hrysomya albiceps Larval Extract and its Synergistic Effects with Antibiotics
Sajorne et al. Antimicrobial property of the epidermal mucus of Tilapia Oreochromis spp.
KR101504879B1 (ko)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장내에서 유래된 바실러스 속의 새로운 유용성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1729068B (zh) 一种宠物外用喷剂在制备抑制猫源链球菌药物中的应用
CN102433314A (zh) 一种重组墨吉明对虾溶菌酶及其制备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