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891B1 -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891B1
KR100822891B1 KR1020060136080A KR20060136080A KR100822891B1 KR 100822891 B1 KR100822891 B1 KR 100822891B1 KR 1020060136080 A KR1020060136080 A KR 1020060136080A KR 20060136080 A KR20060136080 A KR 20060136080A KR 100822891 B1 KR100822891 B1 KR 10082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reinforcement plate
reinforcing plate
inj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낙영
박선화
Original Assignee
최낙영
박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영, 박선화 filed Critical 최낙영
Priority to KR102006013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4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cover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96Repairing or restoring fac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게시된 본 발명은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후면 가장자리마다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경량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홈 내측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홈에 부착되어 상기 보수액의 표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홈에 끼움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탄성패드;로 이루어져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보수액이 상기 수용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보강판이 상기 구조물에서 박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보수액 주입부재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보강판이 조립가능하게 준비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구조물에 맞게 상기 보강판을 준비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하자부위에 일일이 보수액 주입기를 취부하여 하자를 보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판상에 고정대가 더 구비됨으 로써,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이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조물, 하자, 보수액, 프레임, 수용부, 마감부재, 탄성패드

Description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REINFORCEMENT - PLATE FOR STRUCTURE FLAW MEND AND METHOD FOR STRUCTURE FLAW MEN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강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된 홈과 수용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 - A에서 바라본 상태이자, 상기 홈과 상기 수용부에 부착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홈에 끼움결합되는 탄성패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수용부에 보수액 주입부재가 구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보강판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을 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구조물에 상기 보강판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보강판상에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을 경유하는 고정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보수액이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상태를 나타내 는 도면이고,
도 14는 상기 보수액이 경화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에 고정된 상기 보강판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보수액, 7; 구조물,
7a; 균열, 10; 보강판,
13; 프레임, 13a; 홈,
13b, 15a, 19a; 관통구, 15; 수용부,
17; 마감부재, 19; 탄성패드,
19b; 돌기, 30; 보수액 주입부재,
33; 팩커, 33a; 주입부,
35, 50; 고정부재, 37; 연결부재,
39; 주입대, 53; 앵커볼트,
55; 너트, 70; 고정대,
90; 마개.
본 발명은 보수액이 수용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보강판이 구조물에서 박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보수액 주입부재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보강판이 조립가능하게 준비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구조물에 맞게 상기 보강판을 준비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하자부위에 일일이 보수액 주입기를 취부하여 하자를 보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판상에 고정대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이 견딜 수 있게 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외벽, 내력벽, 천정 등의 벽체에는 구조물의 수명이 장기화되거나 진동 등에 의해 균열 등의 하자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균열 등의 하자는 발생한 위치와 균열 등의 상기 하자의 폭 및 깊이에 따라 상기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특히 상기 하자가 장기화 되면 상기 구조물이 붕괴되는 등 대형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다분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균열 등의 하자를 보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보수액 주사기를 사용하여 상기 하자부위에 에폭시 등의 다양한 종류의 보수액을 주입시키는 방법과 철재의 보강판재를 상기 하자부위에 고정 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먼저, 전자는 상기 보수액을 상기 하자부위에 주입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보수액 주입기를 상기 하자부위에 취부하여 상기 하자부위에 상기 보수액이 주입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작업자가 상기 하자부위에 일일이 상기 보수액 주입기를 취부하여 상기 하자부위에 상기 보수액을 주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후자는 철재의 보강판재를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에 고정시켜 더이상의 하자가 발생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하중이 과다한 철재의 보강판재가 상기 하자부위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많은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철재의 상기 보강판재를 상기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에 고정시켜야 하는 바, 이는 오히려 상기 구조물에 심한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심한 손상으로 철재의 상기 보강판재가 상기 구조물에서 박리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상기 보수액이 상기 수용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보강판이 상기 구조물에서 박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을 재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는 보수액 주입부재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보다 용이하게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보강판이 조립가능하게 준비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구조물에 맞게 상기 보강판을 준비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가 하자부위에 일일이 보수액 주입기를 취부하여 하자를 보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강판상에 고정대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이 견딜 수 있게 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면 가장자리마다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경량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홈 내측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홈에 부착되어 상기 보수액의 표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홈에 끼움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탄성패드;로 이루어져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보수액 주입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수액 주입부재는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주입부가 형성된 팩커와;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주입부와 체결되어 상기 팩커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된 상기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키는 보수액 주입기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을 제공한다.
아울러,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경량금속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사전에 제작되거나 조립가능하게 제작되는 보강판을 준비하는 보강판 준비단계와; 상기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부위를 천공하여 상기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부위에 상기 보수액이 보다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보강판이 용이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표면 연마단계와; 상기 보강판의 전면가장자리만을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삽입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보강판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보강판 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판의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켜 경화하는 보수액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수액 주입단계에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시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이 견디게 하고자 상기 보강판상에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을 경유하는 고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강판(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프레임(13)의 후면에 형성된 홈(13a)과 수용부(15)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A - A에서 바라본 상태이자, 상기 홈(13a)과 상기 수용부(15)에 부착되는 마감부재(17)와 상기 마감부재(17)와 접촉하여 상기 홈(13a)에 끼움결합되는 탄성패드(19)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1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3), 수용부(15), 마감부재(17) 및 탄성패드(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3)은 경량금속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13)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홈(13a)과 수용부(15)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13a)과 상기 수용부(15)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의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홈(13a)은 상기 프레임(13)의 후면 가장자리마다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5)는 상기 홈(13a) 내측에 일 정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13a)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상기 프레임(13)을 관통하는 관통구(13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프레임(13)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홈(13a)과 상기 수용부(15)를 각각 형성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부(15)는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홈(13a)의 내측에 일정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5)상에는 관통구(15a)가 형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15)상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5a)를 통해 상기 보수액을 일정 압력으로 상기 수용부(15)에 주입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용부(1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상기 보수액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부재(17)는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에 일정 두께로 부착되는 상기 보수액의 표면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5)와 상기 홈(13a)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17)로는 탄소섬유, 에폭시 패드 및 FRP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내열성과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상기 에폭시패드를 사용하여 상기 보수액의 표면을 마감할 경우 내열성과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상기 에폭시 패드로 인해 상기 구조물에 일정 두께로 부착된 상기 보수액이 외부환경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마감부재(17)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에 일정 두께로 부착되는 상기 보수액의 표면을 마감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패드(19)는 상기 수용부(15)에 수용된 상기 보수액이 상기 수용부(15)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탄성패드(19)로 고무를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작업자가 고무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드(19)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재(17)와 접촉하여 상기 프레임(13)의 후면 가장자리마다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홈(13a)에 수밀하게 끼움결합되는 돌기(19b)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프레임(13), 상기 수용부(15), 상기 마감부재(17) 및 상기 탄성패드(19)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판(10)이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15)에 하자를 보수하는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경우 상기 수용부(15)에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상기 보수액은 상기 프레임(13)의 상기 홈(13a)에 수밀하게 끼움결합된 상기 탄성패드(19)로 인해 상기 수용부(15)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패드(19)에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의 상기 홈(13a)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3b)와 대응되는 또 다른 관통구(19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3)의 상기 홈(13a)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3b)와 상기 탄성패드(19)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9a)로는 후술할 앵커볼트가 삽입되는데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패드(19)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부(15)에 수용된 상기 보수액이 상기 수용부(15)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수용부(15)에 보수액 주입부재(30)가 구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프레임(13)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키는 보수액 주입부재(30)로 인해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보수액을 보다 용이하게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수액 주입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팩커(33), 고정부재(35) 및 연결부재(3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팩커(33)에는 상기 수용부(15)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1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주입부(33a)가 형성되는데, 상기 주입부(33a)의 외주연상에 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주입부(33a)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수용부(15)에 부착된 상기 마감부재(17)를 관통한 뒤 상기 수용부(15)의 상기 관통구(15a)에 관통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주입부(33a)의 일정부분이 상기 프레임(1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35)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주입부(33a)와 체결되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35)로 너트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너트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주입부(33a)와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13)의 외주면에 밀착고정된다.
즉, 상기 수용부(15)를 관통한 상기 팩커(33)는 상기와 같은 고정부재(35)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35)로 반드시 상기 너트를 사용하여 상기 팩커(33)를 견고하게 위치고정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팩커(33)를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37)는 상기 고정부재(35)와 체결된 상기 주입부(33a)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재(37)가 상기 주입부(33a)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37) 내주면에 상기 주입부(33a)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7)는 상기 주입부(33a)와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주입부(33a)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키는 보수액 주입기와도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7)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재(35)와 체결된 상기 주입부(33a)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37)의 타측 내부에는 상기 주입부(33a)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키는 기능을 갖는 보수액 주입기의 주입대(39)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수액 주입기의 상기 주입대(39) 외주연에는 상기 연결부재(37)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보수액 주입기의 상기 주입대(39)를 상기 연결부재(37)의 타측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체결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주입대(39)가 구비된 상기 보수액 주입기는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키는 기능을 갖는 공지의 것으로써, 이와 같은 보수액 주입기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수액 주입부재(30)로 인해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팩커(33)의 상기 주입부(33a)와 상기 연결부재(37)를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보수액 주입기로 인해 상기 주입부(33a)로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상기 보수액의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밝히는 바이다.
아울러, 상기 보수액 주입부재(3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팩커(33), 상기 고정부재(35) 및 상기 연결부재(37)로 구성되나, 상기 보수액 주입부재(30)의 구성이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보수액(5)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7 및 도 8은 보강판(10)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7)을 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상기 구조물(7)에 상기 보강판(10)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보강판(10)상에 상기 보강판(10)의 중심부분을 경유하는 고정대(70)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보수액(5)이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보강판(10)을 이용하여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하자는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7a)과 구조물의 내부에 발생된 공극 등을 의미함을 밝히는 바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은 크게 보강판 준비단계, 구조물 표면 연마 단계, 보강판 고정단계 및 보수액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보강판 준비단계는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5)가 형성된 보강판(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강판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상기 보강판(10)은 앞서 상술한 보강판(10), 즉 상기 프레임(13), 상기 수용부(15), 상기 마감부재(17) 및 상기 탄성패드(19)로 이루어진 보강판(10)을 준비하는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상기 보강판(10)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13)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로 사전에 제작할 수 있겠으나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이 조립가능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프레임(13)을 각각 3개로 나누어 볼트(31) 등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써,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에 맞게 즉 벽, 천정, 보, 기둥 등에 맞게 조립하여 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강판(10)의 가로 길이, 세로길이 등을 상기 구조물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프레임(13)이 3개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조물에 맞게 여러개로 나뉘어 조립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보강판(10)이 하중이 과다한 철재 보강판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철재의 상기 보강판재가 상기 구조물(7)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는 다수의 앵커볼트(53)를 사용하여 철재의 상기 보강판재를 상기 구조물(7)에 고정시켜야 했다.
이는 오히려 상기 구조물(7)에 심한 손상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 물(7)의 심한 손상으로 인해 철재의 상기 보강판재가 상기 구조물(7)에서 박리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강판(10)을 구성하는 상기 프레임(13)은 경량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처럼 상기 보강판(10)을 다수의 상기 앵커볼트(53)를 사용하여 상기 균열(7a)이 발생된 상기 구조물(7)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상기 구조물(7)에 심한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구조물(7)의 심한 손상으로 상기 보강판(10)이 상기 구조물(7)에서 박리될 우려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사항은 후술할 보강판 고정단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구조물 표면 연마 단계는 상기 구조물을 천공하여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의 내부로 상기 보수액이 주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보강판(10)이 용이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드릴머신 등을 이용하여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부위를 천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하자부위를 천공하는 이유는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상기 하자부위에 상기 보수액이 보다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강판(10)이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7)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경우 상기 수용부(15)에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상기 보수액이 상기 하자부위에 보다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그리고, 작업자는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7)의 돌출 부위 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물(7)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게 되는데, 이로써,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7)에 상기 보강판(10)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판 고정단계는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7)에 상기 보강판(10)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먼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조물 표면 연마단계를 거친 상기 구조물(7)의 표면에는 실란트 등의 접착제가 1차적으로 도포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7)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접착제로 상기 실란트를 사용한 경우 상기 보강판(10)은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7)상에 보다 수밀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단, 상기 접착제로 상기 실란트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상기 보강판(10)이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7)상에 보다 수밀하게 부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앵커볼트(53)와 너트(55)로 구성되는 고정부재(50)를 사용하여 상기 보강판(10)이 더욱 견고하고 분리가능하게 상기 구조물(7)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볼트(53)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0)의 상기 프레임(13)과 상기 탄성패드(19)를 관통하여 상기 구조 물(7)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고정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53)가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의 상기 홈(13a)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3b) -> 상기 마감부재(17) -> 상기 탄성패드(19)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19a)를 지나 상기 구조물(7)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3)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량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처럼 다수의 상기 앵커볼트(53)를 사용하여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7)에 고정설치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커볼트(53)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의 전면 가장자리만을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7)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고정된다.
만약, 작업자가 종래처럼 다수의 상기 앵커볼트(53)를 사용하여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7)에 고정설치하고자 할 경우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구조물(7)에 상기 앵커볼트(53)의 수만큼의 구멍을 천공해야 하는 바, 이는 종래처럼 상기 구조물(7)에 오히려 심한 손상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물(7)의 심한 손상으로 상기 보강판(10)이 상기 구조물(7)에서 박리될 우려가 다분하게 된다.
즉, 상기 구조물(7)에 심한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앵커볼트(53)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3)의 전면 가장자리만을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7)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53)가 상기 프레임(13)의 전면 가장자리만을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7)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고정되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앵커볼트(53)에 상기 너트(55)가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즉, 상기 접착제로 인해 상기 구조물(7)에 수밀하게 1차적으로 고정부착된 상기 보강판(10)이 상기 앵커볼트(53)와 상기 너트(55)에 의해 더욱 견고하고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단,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7)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부재(50)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앵커볼트(53)와 너트(55)로 구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7)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50)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판(10)상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0)의 중심부분을 경유하는 X형의 고정대(7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대(70)는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보수액(5)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시 상기 보강판(10)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10)의 중심부분이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보강판(10)의 중심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 상기 고정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강판(10)의 중심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보수액 주입단계는 상기 구조물(7)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설치된 상기 보강판(10)의 상기 수용부(15)에 상기 보수액(5)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켜 경화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작업자는 공지의 보수액 주입기를 사용하여 상기 팩커(33)의 상기 주입부(33a)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수액 주입기에 충진된 상기 보수액(5)은 일정압력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수액 주입기의 상기 주입대(39)와 상기 팩커(33)의 상기 주입부(33a)를 거쳐 상기 수용부(15)에 주입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5)에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상기 보수액(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패드(19)로 인해 상기 수용부(15)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5)에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상기 보수액(5)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자부위에 천공된 구멍으로 주입되어 상기 하자를 보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수액(5)이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균열(7a)과 상기 구조물(7)의 내부에 발생된 공극 등에 주입되어 상기 균열(7a)과 상기 공극 등을 보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수액(5)은 상기 균열(7a)이 발생된 상기 구조물(7)의 표면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물(7)을 방수하는 역할 또한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수액(5)으로 접착력 등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하여 상기 하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수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상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자를 보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상기 수용부(15)에 일정압력으로 상기 보수액(5)을 주입시킨 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7)와 상기 보수액 주입기기의 상기 주입대(39)의 체결상태를 해재함과 동시에 상기 팩커(33)의 상기 주입부(33a)에 마개(90)를 체결시켜 상기 보수액(5)이 상기 주입부(33a)를 통해 외부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보수액(5)이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상기 보수액(5)이 경화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7)에 고정된 상기 보강판(1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물 균열 보수방법은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보강판 준비단계, 상기 구조물 표면 연마단계, 상기 보강판 고정단계 및 상기 보수액 주입단계 이외에 보강판 분리단계가 더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 분리단계는 상기 보강판(10)의 상기 수용부(15)에 수용된 상기 보수액(5)이 시간이 지나 경화된 경우 경화된 상기 보수액(5)을 남겨둔 채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7)에서 외부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상기 보수액(5)이 경화되면 작업자는 상기 고정부재(35,50) 및 상기 마개(9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7) 상기 보강판(10)이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상기 보강판(10)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10)을 상기 구조물(7)에서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구조물(7)에는 경화된 보수액(5)과 상기 보수액(5)의 표면을 마감하는 상기 마감부재(17) 및 상기 탄성패드(19)가 남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탄성패드(19)를 상기 구조물(7)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작업자는 상기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여 상기 보수액(5)과 상기 탄성패드(19)의 접촉면(도 13의 T)를 절단한 뒤 상기 구조물(7)에서 상기 탄성패드(19)를 떼어내는 것이다.
아울러, 경화된 상기 보수액(5) 중 상기 주입대(39)에서 경화된 보수액(5) 역시 상기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조물(7)에 경화된 상기 보수액(5)과, 상기 보수액(5)의 표면을 마감하는 상기 마감부재(17)만 남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 균열 보수방법에 의해 작업자는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를 효율적으로 보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물 균열 보수방법이 보강판 준비단계, 구조물 표면 연마단계, 보강판 고정단계 및 보수액 주입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구조물(7)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종래처럼 하자부위에 일일이 보수액 주입기를 취부하여 하자를 보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프레임, 수용부, 마감부재 및 탄성패드로 이루어진 보강판이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기 위해 상기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수용부에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경우 상기 수용부에 일정압력으로 주입되는 상기 보수액은 상기 프레임의 홈에 끼움결합된 상기 탄성패드로 인해 상기 수용부에서 외부방향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프레임이 하중이 과다한 종래의 철재 보강판재가 아닌 경량금속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처럼 상기 보강판을 많은 앵커볼트를 사용하여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음과 동시에 많은 상기 앵커볼트로 상기 구조물에 심한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구조물의 심한 손상으로 상기 보강판이 상기 구조물에서 박리될 우려를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보강판이 하자가 발생된 상기 구조물에서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을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에 팩커와 고정부재 및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보수액 주입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균열을 보수하는 상기 보수액을 보다 용이하게 상기 수용부에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강판 준비단계에서 상기 보강판이 조립가능하게 준비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보강판을 상기 구조물에 맞게, 즉 벽, 천정, 보, 기둥 등에 맞게 조립하여 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구조물 하자 보수방법이 보강판 준비단계, 구조물 표면 연마단계, 보강판 고정단계 및 보수액 주입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가 하자부위에 일일이 보수액 주입기를 취부하여 하자를 보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수액 주입단계에서 상기 보강판상에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을 경유하는 고정대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시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이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5)

  1. 후면 가장자리마다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경량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홈 내측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홈에 부착되어 상기 보수액의 표면을 마감하는 마감부재와;
    상기 마감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홈에 끼움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된 탄성패드;로 이루어져 하자가 발생된 구조물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수 있는 보수액 주입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수액 주입부재는 상기 수용부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주입부가 형성된 팩커와;
    상기 프레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주입부와 체결되어 상기 팩커를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된 상기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 력으로 주입시키는 보수액 주입기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3.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를 보수하는 보수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경량금속재질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원하는 크기로 사전에 제작되거나 조립가능하게 제작되는 보강판을 준비하는 보강판 준비단계와;
    상기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부위를 천공하여 상기 구조물에 발생된 하자부위에 상기 보수액이 보다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물의 표면을 연마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보강판이 용이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 표면 연마단계와;
    상기 보강판의 전면가장자리만을 관통하여 상기 구조물에 삽입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와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구조물에 상기 보강판을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보강판 고정단계와;
    상기 보강판의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켜 경화하는 보수액 주입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 준비단계의 상기 보강판은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보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액 주입단계에서 상기 수용부에 상기 보수액을 일정압력으로 주입시킬 시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에 미치는 압력을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이 견디게 하고자 상기 보강판상에 상기 보강판의 중심부분을 경유하는 고정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하자 보수 방법.
KR1020060136080A 2006-12-28 2006-12-28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KR10082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80A KR100822891B1 (ko) 2006-12-28 2006-12-28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80A KR100822891B1 (ko) 2006-12-28 2006-12-28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891B1 true KR100822891B1 (ko) 2008-04-16

Family

ID=3957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080A KR100822891B1 (ko) 2006-12-28 2006-12-28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92B1 (ko) * 2016-03-30 2017-04-11 최관희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CN107859357A (zh) * 2017-12-13 2018-03-30 北京中水科海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化施工装置及方法
CN112096112A (zh) * 2020-09-11 2020-12-18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硅溶胶渗浆加固的古建筑砖墙及其加固施工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133A (ja) * 1987-10-01 1989-04-12 Shin Nippon Jushi Kako: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の止水方法
JPH04327653A (ja) * 1991-04-26 1992-11-17 Nitto Chem Ind Co Ltd クラック注入止水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327654A (ja) * 1991-04-26 1992-11-17 Nitto Chem Ind Co Ltd クラック注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93614Y1 (ko) * 2000-01-14 2000-08-16 이옥신 고강도 투명 레진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133A (ja) * 1987-10-01 1989-04-12 Shin Nippon Jushi Kako: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ひび割れの止水方法
JPH04327653A (ja) * 1991-04-26 1992-11-17 Nitto Chem Ind Co Ltd クラック注入止水工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327654A (ja) * 1991-04-26 1992-11-17 Nitto Chem Ind Co Ltd クラック注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93614Y1 (ko) * 2000-01-14 2000-08-16 이옥신 고강도 투명 레진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392B1 (ko) * 2016-03-30 2017-04-11 최관희 균열 또는 배면차수 보수용 멀티 패커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CN107859357A (zh) * 2017-12-13 2018-03-30 北京中水科海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化施工装置及方法
CN107859357B (zh) * 2017-12-13 2023-09-08 北京中水科海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一体化施工装置及方法
CN112096112A (zh) * 2020-09-11 2020-12-18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硅溶胶渗浆加固的古建筑砖墙及其加固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891B1 (ko) 구조물 하자 보수용 보강판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하자보수 방법
AU2014273836A1 (en) A self-drilling rock bol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JP2015200171A (ja)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KR101690727B1 (ko) 기설 구조체를 손상시키지 않는 무앵커의 내진보강구조
KR101815436B1 (ko) 철도용 체결장치 보수보강방법
KR20060021938A (ko) 접착제를 사용하지않는 콘크리트 구조물
KR20020063401A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패널, 패널 레벨 조절용앙카 및 그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KR100677899B1 (ko) 균열보수공법
JP5993758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定着部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KR100666678B1 (ko) 선단지지 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일
KR20170113478A (ko) 터널지지용 커팅식 락볼트의 시공방법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CN105002989A (zh) 一种可拆卸式注浆锚固螺栓及其锚固使用方法
KR10040518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인젝터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JP2005290846A (ja) 人孔内周面の更生工法
JP3627931B2 (ja) コンクリート表面の補修構造およびコンクリート表面の補修方法
KR101631037B1 (ko) 핀포트를 이용한 균열보수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수액주입장치
KR100767736B1 (ko) 고인장섬유를 이용한 고압 주입 방식의 콘크리트 균열 보수방법
KR20070009272A (ko) 격자형 강섬유판 누드 에프알피이와 복합 강성부재 누드에프알피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공법
KR101166216B1 (ko) 연성강화 복합섬유패널
JP2011231460A (ja) 蓋付き側溝の改修方法
JP2012184554A (ja) 壁等の浮き部の補修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冶具
KR101012807B1 (ko) 구조체 보강공법 및 양방향 복합 에프알피 보강판에 의해 보강된 구조체
KR101980355B1 (ko) 난연수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1672303B1 (ko) 전단균열이 발생되기 전 보강재를 상기 구조물에 설치하는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