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972B1 -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 Google Patents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972B1
KR100821972B1 KR1020070033381A KR20070033381A KR100821972B1 KR 100821972 B1 KR100821972 B1 KR 100821972B1 KR 1020070033381 A KR1020070033381 A KR 1020070033381A KR 20070033381 A KR20070033381 A KR 20070033381A KR 100821972 B1 KR100821972 B1 KR 10082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water tank
unit
prefabricat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이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은 filed Critical 이지은
Priority to KR102007003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972B1/ko
Priority to PCT/KR2008/001919 priority patent/WO2008123705A1/en
Priority to JP2010502027A priority patent/JP2010523414A/ja
Priority to CN2008800113549A priority patent/CN10165736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20Frames or nets, e.g. for flexi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6Boxes or crates of polygonal cross-section
    • B65D9/08Boxes or crates of polygonal cross-section of drawer-and-she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3Modula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의 벽 및/또는 천장을 단위패널이 외부에 설치되는 패널프레임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조립식패널로 완성함으로써 별도의 내부보강재 없이도 충분한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식 물탱크는 물탱크의 벽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패널; 및, 물탱크의 천장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천장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벽패널로 단위패널과 패널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식패널을 채택하면서 패널프레임이 물탱크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특징이 있다. 조립식 물탱크를 사각박스 형태로 제작한다면 물탱크의 네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ㄱ자 앵글형의 모서리기둥;을 더 포함하면서 벽패널을 모서리기둥 사이에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천장패널 또한 벽패널과 동일한 구조의 조립식패널을 채택하여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물탱크는, 충분한 보강효과로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보강재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위패널 상호간의 접합부위를 모두 물탱크 외부로 위치하도록 벽패널과 천장패널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즉 물탱크 내부에서 볼 때 단위패널만이 노출되므로, 수질오염 문제를 해소하고 아울러 접합부위의 내구성 저하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된다.
조립식 물탱크, 외부보강, 벽패널

Description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Prefabricated water tank reinforced the outside}
도 1은 종래의 단위패널과 조립식 물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물탱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식 물탱크에 적용되는 조립식패널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조립식패널에 적용되는 단위패널과 패널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조립식 물탱크에서 천장패널과 벽패널의 결합상세를 보여주는 분리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단위패널 110: 사각판
120: 보강테두리판 121: 단턱홈
200: 패널프레임 200a: 제1채널
200b: 제2채널 230: 틈새
225: 연장부 250: 연결봉
300: 모서리기둥
WP: 벽패널 CP: 천장패널
본 발명은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물탱크의 벽 및/또는 천장을 단위패널이 외부에 설치되는 패널프레임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조립식패널로 완성함으로써 별도의 내부보강재 없이도 충분한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는 조립식방법이 있다. 조립식방법은 공장에서 생산된 부재, 부품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단순한 기계적 방법으로 조립함으로써 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조립식방법은 현장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줄어드는 등 다양한 이점이 있어 최근 조립식 물탱크 등 조립식 구조물 구축에 많이 시도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탱크용 조립식패널과 조립식 물탱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물탱크용 조립식패널은 사각평판과 사각평판을 둘러싸는 보강테두리판으로 구성된 단위패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완성된다. 즉, 보강테두리판이 상호 맞닿도록 단위패널 복수개를 배치한 후 보강 테두리판을 연결결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립식패널은 결속핀에 의존해서만 단위패널 상호간이 연결되므로 연결부분에 하중이 집중하는 경우 그 저항력이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단위패널 상호간을 연결할 때 별도의 보강구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도 1(b) 및 도 1(c)는 조립식패널의 다양한 보강구조를 보여주는데, 도 1(b)는 보강플레이트 또는 보강프레임을 설치하여 보강한 방법이며, 도 1(c)는 내부에 연결프레임을 더 설치하여 보강한 방법이다.
하지만, 도 1(b)에서의 보강플레이트를 덧대어 연결결속하는 방법은 보강효과가 그다지 좋지 못하며, 보강프레임을 더 설치하는 방법 또한 보강플레이트의 사이즈를 더 키운 정도에 불과하여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므로(보강프레임이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 연결부분에 홈따기된 상태로 단위패널에 끼워지므로 보강프레임의 수평 및 수직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적기 때문임), 조립식 물탱크와 같이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는 조립식 구조물 제작에는 이들 보강구조만으로는 부족하다.
또한, 도 1(c)의 연결프레임을 더 설치하는 방법은 강력한 보강구조로 완성되기는 하나, 연결프레임이 조립식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내부공간 활용에 제약을 주며, 나아가 조립식 물탱크 제작에 적용되는 경우 연결프레임이 물에 잠기게 되므로 수질 오염 문제와 연결프레임의 내구성 저하 문제가 초래된다.
한편, 종래의 조립식 물탱크는 벽패널뿐만 아니라 천장패널에도 도 1(a)와 같은 물탱크용 조립식패널을 그대로 채택하게 되는데, 도 1(a)의 조립식패널을 천장패널에 적용하는 경우 보강테두리판에 의한 접합부분이 물탱크 쪽 내부를 향하게 설치되어 물탱크 내부에서 조립이 이루어져 왔다. 왜냐하면, 보강테두리판에 의한 접합부분을 물탱크 쪽 외부를 향하게 조립된다면 보강테두리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되어 우수가 배출될 수 없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조립형태는 물탱크 내부에서만 보수할 수 있어 보수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나아가 보강테두리판에 의한 접합부분이 물탱크 속의 물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부식의 문제(내구성 저하문제로 이어짐)를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물탱크의 벽 및/또는 천장을 단위패널이 외부에 설치되는 패널프레임을 감싸도록 조립되는 조립식패널로 완성함으로써 별도의 내부보강재 없이도 충분한 보강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분한 보강효과로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보강재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위패널 상호간의 접합부위를 모두 물탱크 외부로 위치하도록 벽패널과 천장패널을 완성할 수 있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로서, 물탱크의 벽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패널; 및, 물탱크의 천장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천장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패널은,
사각평판이거나 정사영이 사각평면을 가지는 단위크기의 사각판; 네 면이 상기 사각판의 네 변을 수직으로 둘러싸도록 사각띠 형태로 마련되는 보강테두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ㄱ자형 하단이 외향하여 수평으로 더 연장된 형태나 ∩자형 양 하단이 외향하여 수평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에서 타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면과 제4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ㄱ자형 또는 ∩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리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은 단턱과 다리가 연속적으로 이어짐으로써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모서리와 접하는 부분에 단턱홈이 형성되는 단위패널; 및,
웨브와 양 플랜지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 웨브 중간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웨브가 비절곡부와 절곡부로 구분되는 제1채널; 상기 제1채널과 동일한 형태의 제2채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채널과 제2채널이 웨브끼리 서로 등지게 배치되어 비절곡부끼리 맞닿으면서 절곡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패널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위패널은 복수개가 상하좌우 나란히 단턱홈이 상호 좌우로 이웃하면서 상하로 맞닿도록 보강테두리판이 상호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패널프레임은 제 1,2채널 플랜지가 상호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패널의 단턱홈에 각각 끼워지면서 제1,2채널 웨브 절곡부 사이 틈새에 상호 맞닿는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널프레임 제1,2채널의 웨브 절곡부와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이 동시에 접합되고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이 동시에 접합되어 완성되는 조립식패널이며,
상기 벽패널은 그 패널프레임이 물탱크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물탱크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물탱크는 물탱크의 벽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패널(WP); 및, 물탱크의 천장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천장패널(CP);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벽패널(WP)로 도 3에서와 같은 단위패널(100)과 패널프레임(200)으로 구성된 조립식패널을 채택하면서 상기 패널프레임(200)이 물탱크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 2의 조립식 물탱크는 사각박스 형태로, 물탱크의 네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ㄱ자 앵글형의 모서리기둥(300);을 더 포함하면서 벽패널(WP)을 모서리기둥 사이에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천장패널(CP) 또한 벽패널(WP)과 동일한 구조의 조립식패널을 채택하여 완성하고 있다. 보는 바와 같이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의 접합부분은 물탱크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접합부분 하자에 대한 보수보강이 용이해지는 것은 물론 접합부분에 이용되는 각종 접합부재(보강플레이트, 볼트, 너트 등)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물탱크 내부의 수질오염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본 발명의 조립식 물탱크는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의 모양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원통형, 다각박스형 등 다양한 형태로 완성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천장패널(CP)은 벽패널(WP)보다 그다지 큰 하중을 부담하지는 않으므로, 천장패널(CP)로는 천장프레임을 채택하지 아니한 채 단위패널만으로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다른 형태의 조립식패널(보강효과가 그다지 우수하지 아니한 조립식패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조립식 물탱크에서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로 적용되는 조립식패널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며,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조립식패널에 적용되는 단위패널(100)과 패널프레임(200)을 보여준다. 도 3과 같은 조립식패널은 도 4(e)에서와 같이 단위패널(100) 복수개가 상하좌우 나란히 배치되면 도 5의 패널프레임(200)을 매개로 단위패널(100) 상호간을 조립함으로써 완성된다.
벽패널(WP) 및 천장패널(CP)을 위한 조립식패널에서 단위패널(100)은 도 4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단위크기의 사각판(110); 네 면이 상기 사각판(110)의 네 변을 수직으로 둘러싸도록 사각띠 형태로 마련되는 보강테두리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위패널(100)에서 사각판(110)은 평평한 사각평판(평면형 부재)이거나 정사영(正射影)이 사각평면(입체형 부재)을 가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정사영이 사각평면을 가진다는 것은 그 표면이 어떠한 굴곡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성되는 조립식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사각판(110)의 형상이 결정되는데, 만약 각기둥형 또는 각뿔형의 조립식 구조물이라면 사각판(110)은 사각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원통형 또는 원뿔형의 조립식 구조물이라면 사각판(110)은 그 전체가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직사각 또는 사다리꼴의 사각평판(정사영이 곧 사각평면임)으로 이루어진다.
단위패널(100)에서 보강테두리판(120)은 네 면을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마련되는데, 상기 보강테두리판(120)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면(120a)과 제2면(120a)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ㄱ자형 하단이 외향하여 수평으로 더 연장된 형태(ㄱ_)나 ∩자형 양 하단이 외향하여 수평으로 더 연장된 형태(_∩_)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턱(121a)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120)에서 타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면(120b)과 제4면(120b)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ㄱ자형 또는 ∩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리(121b)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121a)과 다리(121b)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면 보강테두리판(120)은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모서리와 접하는 부분에 단턱(121a)홈(1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강테두리판(120)은 단턱홈(121)이 형성되어도 단턱(121a)과 다리(121b)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보강테두리판(120)의 네 면 중 어느 한 면에 하중이 집중하게 되더라도 이웃하는 면으로 하중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4(a)는 하나의 단턱홈(121)을 가지는 보강테두리판(120)이 적용된 단위패널(100)의 예이고, 도 4(b)는 두 개의 단턱홈(121)을 가지는 보강테두리판(120)이 적용된 단위패널(100)의 예이며, 도 4(c)는 네 개의 단턱홈(121)을 가지는 보강테두리판(120)이 적용된 단위패널(100)의 예이며, 도 4(d)는 단위패널(100)의 단위크기를 크게 한 경우의 예이다. 또한, 이와 같은 도 4의 각 실시예는 사각판(110)에서 보강테두리판(120)의 단턱홈(121)과 만나는 모서리를 보강테두리판(120)의 단턱(121a) 및 다리(121b)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모서리다리(111)로 형성시키고 있는데(사각판이 입체형 부재로 정사영이 사각평면임), 이는 사각판(110)에서 보강테두리판(120)으로의 연속성을 확보함으로써 사각판(110)에서 받는 하중을 보강테두리판(120)으로 원활하게 전달하여 보강테두리판(120)의 보강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사각판(110)과 보강테두리판(120)의 구성을 가지는 단위패널(100)은 사각판(110)과 보강테두리판(120)을 각각 균일한 두께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하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패널프레임(200)과의 조립을 고려한다면 단위패널의 사각판(110)은 단부(보강테두리판으로 이어지는 부분)를 평평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패널프레임(200)과의 접합면적 확대를 위해 바람직하며, 또한 단위패널(100) 조립식 물탱크용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단위패널의 사각판(110)은 표면이 볼록하게 구면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인 수압 지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조립식패널 완성을 위해 복수개의 단위패널(100)은 도 4(e)에서와 같이 단턱홈(121)이 상호 좌우로 이웃하면서 상하로 맞닿도록 보강테두리판(120)이 상호 맞닿게 배치된다.
도 4(e)는 도 2의 조립식 물탱크에서 일면의 벽패널(WP)을 구성하는 조립식패널의 예로서 상하좌우 6개의 단위패널(100)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데, 하부 좌우측의 단위패널(100)은 한쪽의 상부모서리부분에 단턱홈(121)이 형성된 것이고, 하부 중앙의 단위패널(100)은 양쪽의 상부모서리부분에 단턱홈(121)이 형성된 것이고, 상부 좌우측의 단위패널(100)은 한쪽의 하부모서리부분에 단턱홈(121)이 형성된 것이고, 상부 중앙의 단위패널(100)은 양쪽의 하부모서리부분에 단턱홈(121)이 형성된 것이다. 특히, 조립식 물탱크의 경우 상부보다 하부가 더 보강될 것이 요구되므로, 도 4(e)에서는 하부의 단위패널(100)을 상부의 단위패널(100)보다 작게 구성하여 보강테두리판(120)에 의한 보강구조를 물탱크 하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벽패널(WP) 및 천장패널(CP)을 위한 조립식패널에 패널프레임(200)은 도 5에서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제1,2채널(200a, 200b)로 구성된다. 다만, 도 3(a)에서와 같이 천장패널(CP)은 벽패널(WP)에 비해 하중 부담이 적으므로 패널프레임(200)으로 제1채널(200a)만으로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제1,2채널(200a, 200b)은 웨브(220)와 양 플랜지(210)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서 웨브(220) 중간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웨브(220)가 비절곡부(221)와 절곡부(222)로 구분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의 제1,2채널(200a, 200b)은 웨 브(220)끼리 서로 등지게 배치되어 비절곡부(221)끼리 맞닿으면서 절곡부(222) 사이에 틈새(230)가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패널프레임(200)으로 채택된다.
이때, 상기 패널프레임(200)은 제1,2채널(200a, 200b)이 양 플랜지(210) 끝단에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리프(211)가 형성된 리프채널(lip channel)일 수 있다(도 5(b)). 또한, 패널프레임(200)은 제1,2채널(200a, 200b)이 웨브의 절곡부(222) 중간에서 더 절곡되어 웨브의 절곡부(222)가 경사부(222a)와 직선부(222b)로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222a)는 곡선형태를 포함한다. 물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2채널(200a, 200b)에는 웨브(220)를 보강하기 위해 웨브에 스티프너를 더 접합할 수 있다.
도 3(a)의 조립식패널은 도 4(e)와 같이 단위패널(100) 복수개를 나란히 배치한 후 도 6의 패널프레임에서 제1채널(200a)만을 이용하여 조립한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조립식패널은 복수개의 단위패널(100)이 보강테두리판의 단턱홈(121)이 상하로 맞닿도록 보강테두리판(120)이 상호 맞닿게 배치되면, 패널프레임(200)의 제1채널 플랜지(210)를 단위패널의 단턱홈(121)에 끼우면서 제1채널 웨브 절곡부(222)를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에 접하도록 패너프레임(200)을 설치한 후,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널프레임(200) 제1채널의 웨브 절곡부(222)와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을 동시에 접합하고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이 동시에 접합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3(b)의 조립식패널은 도 4(e)와 같이 단위패널(100) 복수개를 나란히 배 치한 후 도 6의 패널프레임에서 제1,2채널(200a) 모두를 이용하여 조립한 예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조립식패널은 복수개의 단위패널(100)이 보강테두리판의 단턱홈(121)이 상호 상하로 맞닿으면서 좌우로 이웃하도록 배치되면, 패널프레임(200)의 제1,2채널의 플랜지(210)를 상호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패널(100)의 단턱홈(121)에 각각 끼우면서 제1,2채널의 웨브 절곡부(222) 사이 틈새(230)에 상호 맞닿는 두 개의 단위패널(100)의 보강테두리판(120)가 끼워지도록 패널프레임(200)을 설치한 후,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널프레임 제1,2채널의 웨브 절곡부(222)와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을 동시에 접합(특히, 볼트 접합)하고,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을 동시에 접합(특히, 볼트 접합)함으로써 완성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위패널(100)의 보강테두리판(120)은 패널프레임(200)을 감싸면서 조립되기 때문에 패널프레임을 중간(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 연결부)에서 홈따기하지 않고도 패널프레임(200)을 단위패널(100)에 끼우면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패널프레임(200)의 수평 및 수직하중에 의한 저항력은 극대화될 것이고, 이로써 단위패널의 사각판(110)에 하중이 가해져 최종적으로 패널프레임(200)으로 전달될 때 패널프레임(200)과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에 의한 지지능력이 더욱 강화된다.
도 6은 도 2의 조립식 물탱크에서 천장패널(CP)과 벽패널(WP)의 결합상세를 보여주는 분리상세도로서, 동일한 구조의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을 채택하여 패널프레임(200)은 패널프레임끼리 단위패널(100)은 단위패널끼리 상호 결속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100) 상호 간은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 보강테두리판(120)과 벽패널(WP)의 단위패널 사각판(110)을 맞닿게 한 후 맞닿는 부분을 접합(볼트 등)하면 단위패널(100)끼리 양자 연결결속된다.
특히, 도 6에서는 벽패널(WP)의 단위패널(100) 중 최상부의 단위패널이 보강테두리판(120)의 상부에 단턱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채 직각으로 형성되면서 사각판(110)의 상부모서리에 배수구멍(113)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100)이 보강테두리판(120)의 네모서리 부근 모두에 단턱홈(12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100) 상호간에 단턱홈(121)에 의한 간섭을 해소하면서 천장패널(CP) 위로 떨어지는 우수를 배출하기 위함이다. 즉,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과 벽패널(WP)의 단위패널 사각판(110)을 서로 맞닿게 설치할 때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 단턱홈(121)과 벽패널(WP)의 단위패널 단턱홈(121)은 서로 부딪치게 되는데, 이러한 부딪침을 제거함으로써 천장패널(CP)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과 벽패널(WP)의 단위패널 사각판(110)을 서로 맞닿게 설치하는 것을 가능케 한 것이다. 물론, 물탱크의 상부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벽패널(WP)에서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이 패널프레임(200)을 감싸면서 조립되지 않더라도 보강구조에 문제되지 않는다.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200) 상호 간은 웨브 또는 플랜지 를 통해 연결결합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도 6에서는 패널프레임의 웨브(220)를 통해 연결결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즉, 도 6은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으로 그 웨브의 절곡부(222)가 벽패널(WP)의 최상부 단위패널(100) 위로 돌출하도록 연장부(225)가 더 형성된 것을 마련한 후,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의 절곡부)와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 웨브의 비절곡부(221)를 상호 연결결합하는 것이다. 이때,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은 연장부(225) 아래의 웨브 절곡부(222)가 홈따기되어 절개홈(223)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벽패널(WP)의 최상부 단위패널이 보강테두리판(120)의 상부가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절개홈(223)에 끼워지도록 설치한다.
나아가, 도 6에서와 같이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은 연장부(225)의 웨브 절곡부(222)가 연장부(225) 아래의 웨브 절곡부보다 춤(depth)이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200)은 웨브의 비절곡부(221)가 천장패널(CP)의 외곽 단위패널(100) 양쪽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부(225)가 더 형성되도록 구성하면, 벽패널(WP)과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200) 간 연결결합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즉,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 절곡부)에 형성된 틈새(230)에 상기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의 비절곡부)를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와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를 동시에 접합하기만 하면 상호 연결결합되어 그 작업이 간편해지는 것이다.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200)은 마주보도록 배치된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을 일방향으로만 상호 연결하게 되므로, 타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에는 연결봉(250)을 설치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2에서와 같이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의 절곡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250)이 더 설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물탱크의 벽패널을 단위패널이 외부에 설치되는 패널프레임을 감싸도록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패널로 완성함으로써 별도의 내부보강재 없이도 충분한 보강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조립식 물탱크로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충분한 보강효과로 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보강재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단위패널 상호간의 접합부위를 모두 물탱크 외부로 위치하도록 벽패널과 천장패널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즉 물탱크 내부에서 볼 때 단위패널만이 노출되므로, 수질오염 문제를 해소하고 아울러 접합부위의 내구성 저하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탱크로서,
    물탱크의 벽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벽패널(WP); 및, 물탱크의 천장을 구성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천장패널(CP);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벽패널(WP)은,
    사각평판이거나 정사영(正射影)이 사각평면을 가지는 단위크기의 사각판(110); 네 면이 상기 사각판(110)의 네 변을 수직으로 둘러싸도록 사각띠 형태로 마련되는 보강테두리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120)에서 일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ㄱ자형 하단이 외향하여 수평으로 더 연장된 형태나 ∩자형 양 하단이 외향하여 수평으로 더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단턱(121a)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120)에서 타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3면과 제4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ㄱ자형 또는 ∩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리(121b)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테두리판(120)은 단턱(121a)과 다리(121b)가 연속적으로 이어짐으로써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곳 이상의 모서리와 접하는 부분에 단턱홈(121)이 형성되는 단위패널(100); 및,
    웨브(220)와 양 플랜지(210)로 구성된 ㄷ자형 부재로 웨브(220) 중간에서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웨브(220)가 비절곡부(221)와 절곡부(222)로 구분되는 제1채널(200a); 상기 제1채널(200a)과 동일한 형태의 제2채널(200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채널(200a)과 제2채널(200b)이 웨브(220)끼리 서로 등지게 배치되어 비절곡부(221)끼리 맞닿으면서 절곡부(222) 사이에 틈새(230)가 형성되도록 마련된 패널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위패널(100)은 복수개가 상하좌우 나란히 단턱홈(121)이 상호 좌우로 이웃하면서 상하로 맞닿도록 보강테두리판(120)이 상호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패널프레임(200)은 제1,2채널 플랜지(210)가 상호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패널(100)의 단턱홈(121)에 각각 끼워지면서 제1,2채널 웨브 절곡부(222) 사이 틈새(230)에 상호 맞닿는 두 개의 단위패널(100)의 보강테두리판(120)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상기 패널프레임(200) 제1,2채널의 웨브 절곡부(222)와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이 동시에 접합되고 상하방향으로 두 개의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이 동시에 접합되어 완성되는 조립식패널이며,
    상기 벽패널(WP)은 그 패널프레임(200)이 물탱크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2. 제1항에서,
    상기 물탱크는 사각박스 형태로, 물탱크의 네 모서리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ㄱ자 앵글형의 모서리기둥(300);이 더 포함되며,
    상기 벽패널(WP)은 그 단위패널(100) 중 최상부의 단위패널이 보강테두리판(120)의 상부에 단턱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채 직각으로 형성되면서 사각판(110)의 상부모서리에 배수구멍(113)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조립식패널로서 상기 모서리기둥(300) 사이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천장패널(CP)은 상기 벽패널(WP)의 단위패널과 동일한 구조로 네모서리 부근 모두에 단턱홈(121)이 형성된 단위패널 복수개(100)를 상하좌우 나란히 단턱홈(121)이 상호 좌우로 이웃하면서 상하로 맞닿도록 보강테두리판(120)이 상호 맞닿게 배치한 후 보강테두리판(120)을 접합함으로써 완성되는 조립식패널로서 그 보강테두리판(120)이 물탱크 외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벽패널(WP)의 최상부 단위패널의 사각판(110)과 상기 천장패널(CP)의 외곽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을 상호 접합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3. 제2항에서,
    상기 천장패널(CP)은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중 제1채널(200a)만으로 구성되거나 제1,2채널(200a, 200b) 모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널프레임(2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벽패널(WP)과 동일한 방식으로 단위패널(100)과 패널프레임(200)이 조립되어 완성된 조립식패널이며,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과 상기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이 상호 연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4. 제3항에서,
    상기 벽패널(WP)은 패널프레임(200)이 그 웨브의 절곡부(222)가 벽패널(WP)의 최상부 단위패널 위로 돌출하도록 연장부(225)가 더 형성되면서 연장부(225) 아 래의 웨브 절곡부가 홈따기되어 절개홈(223)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벽패널(WP)의 최상부 단위패널의 보강테두리판(120) 상부가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절개홈(223)에 끼워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완성되며,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의 절곡부)와 상기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 웨브의 비절곡부(221)가 상호 연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5. 제4항에서,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은 연장부(225)의 웨브 절곡부가 연장부(225) 아래의 웨브 절곡부보다 춤(depth)이 더 크게 형성된 것이며,
    상기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200)은 웨브의 비절곡부가 천장패널(CP)의 외곽 단위패널(100) 양쪽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부(225)가 더 형성된 것이며,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 절곡부)에 형성된 틈새(230)에 상기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 웨브의 비절곡부)를 끼워지도록 설치한 후, 상기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와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 연장부(225)가 동시에 접합됨으로써 상호 연결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천장패널(CP)의 패널프레임(200)과 결합하지 않으면서 마주보도록 배치 된 벽패널(WP)의 패널프레임(200)에는 그 연장부(225, 웨브의 절곡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봉(25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KR1020070033381A 2007-04-04 2007-04-04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KR10082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381A KR100821972B1 (ko) 2007-04-04 2007-04-04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PCT/KR2008/001919 WO2008123705A1 (en) 2007-04-04 2008-04-04 Unit-panel & prefabricated panel using the unit-panel, and externally reinforced water tank using the prefabricated panel
JP2010502027A JP2010523414A (ja) 2007-04-04 2008-04-04 ユニット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プレハブ式パネル並びにそのプレハブ式パネルを用いた外部補強構造のプレハブ式貯水槽
CN2008800113549A CN101657364B (zh) 2007-04-04 2008-04-04 单元板、使用该单元板的预制板以及使用该预制板的外部加固水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381A KR100821972B1 (ko) 2007-04-04 2007-04-04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972B1 true KR100821972B1 (ko) 2008-04-15

Family

ID=3953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381A KR100821972B1 (ko) 2007-04-04 2007-04-04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9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577B1 (ko) * 2010-06-09 2010-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용 외부보강재,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및 외부 보강프레임 어셈블리
KR101107622B1 (ko) 2011-12-20 2012-01-25 성일기계공업 (주) 조립식 물탱크의 노즐 구조
KR101779774B1 (ko) * 2016-03-21 2017-09-21 양순호 조립식 물탱크
KR102232677B1 (ko) 2020-12-29 2021-03-25 황유하 내진 성능이 향상된 물탱크
KR102297498B1 (ko) * 2021-04-05 2021-09-02 (주)베셀 내진 smc 물탱크
KR20220168769A (ko) 2021-06-17 2022-12-26 두리기업 주식회사 내진 보강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20230000646A (ko) 2021-06-25 2023-01-03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방수 체결구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091A (ja) 1984-10-12 1986-05-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組立式パネル水槽の補強構造
JPS6311394U (ko) 1986-06-06 1988-01-25
KR200381862Y1 (ko) 2005-02-01 2005-04-18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의 외부 보강구조
KR200399026Y1 (ko) 2005-08-09 2005-10-18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091A (ja) 1984-10-12 1986-05-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組立式パネル水槽の補強構造
JPS6311394U (ko) 1986-06-06 1988-01-25
KR200381862Y1 (ko) 2005-02-01 2005-04-18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의 외부 보강구조
KR200399026Y1 (ko) 2005-08-09 2005-10-18 영성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물탱크의 보강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577B1 (ko) * 2010-06-09 2010-12-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물탱크용 외부보강재,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및 외부 보강프레임 어셈블리
KR101107622B1 (ko) 2011-12-20 2012-01-25 성일기계공업 (주) 조립식 물탱크의 노즐 구조
KR101779774B1 (ko) * 2016-03-21 2017-09-21 양순호 조립식 물탱크
KR102232677B1 (ko) 2020-12-29 2021-03-25 황유하 내진 성능이 향상된 물탱크
KR102297498B1 (ko) * 2021-04-05 2021-09-02 (주)베셀 내진 smc 물탱크
KR20220168769A (ko) 2021-06-17 2022-12-26 두리기업 주식회사 내진 보강 구조를 갖는 물탱크
KR20230000646A (ko) 2021-06-25 2023-01-03 두리기업 주식회사 물탱크용 방수 체결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972B1 (ko) 외부보강구조의 조립식 물탱크
KR10159079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연결마구리판을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14876A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KR20120089060A (ko) 내진기능을 갖는 조립식 물탱크용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
KR101238030B1 (ko) 외부 보강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조립식 물탱크
KR101835354B1 (ko) 콘크리트 충전형 기둥과 십자형 연결재를 이용한 유닛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21971B1 (ko) 단위패널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패널
KR20200051113A (ko) 우수한 조립성과 향상된 구조적 강도를 가지는 웨이브형 물탱크
JP2019173334A (ja) 乾式床構造とその施工方法、乾式床構造を形成する塞ぎ乾式床パネルと先張り乾式床パネル
KR101363739B1 (ko) 일체거동을 위한 모듈러 유닛 연결구조
JP5937311B2 (ja) 鋼製組立式タンク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200492183Y1 (ko) 조립식 물탱크용 코너 보강부재
JP5362310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1795510B1 (ko) 건축용 데크패널
KR20060036630A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KR100976934B1 (ko) 조립식 건물 구조체
KR102098025B1 (ko) 저장탱크
KR102206844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 모듈 간 결합 구조 및 방법
KR20180047720A (ko) 조립이 용이하고 내진성능이 향상된 물탱크구조
KR101929219B1 (ko)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
KR101921834B1 (ko) 돌출 데크를 이용한 콘크리트 합성기둥
JP2010523414A (ja) ユニット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プレハブ式パネル並びにそのプレハブ式パネルを用いた外部補強構造のプレハブ式貯水槽
JP2005350979A (ja)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KR10220684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 모듈 간 결합 구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