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839B1 -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839B1
KR100821839B1 KR1020070046170A KR20070046170A KR100821839B1 KR 100821839 B1 KR100821839 B1 KR 100821839B1 KR 1020070046170 A KR1020070046170 A KR 1020070046170A KR 20070046170 A KR20070046170 A KR 20070046170A KR 100821839 B1 KR100821839 B1 KR 10082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percussion
bar
fram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윤근
Original Assignee
백윤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윤근 filed Critical 백윤근
Priority to KR1020070046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2Drums; Tambourines with drumhea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2700/00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Making driving belts; Machines for splitting intestines
    • C14B2700/07Leather tensioning or stretching frames; Stretching-machines; Setting-out boards; Pasting boards; Fastening devices; Drying of lea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악기에 조립되는 가죽의 소리를 확인하고, 가죽이 청명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타격하도록 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후측에 고정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전방에 고정링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동링과; 상기 고정링과 가동링에는 타악기에 사용되는 가죽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구와; 상기 가동링은 가이드바에 삽입된 슬라이딩관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관은 프레임의 상부 중심에 핸들을 가지고 설치되는 스크류와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과 가동링 사이의 가이드바에는 타악기를 안치하기 위한 악기안치구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하여 타악기에 밀착된 가죽을 타격하여 부드럽게 하는 타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R1020070046170
타악기, 가죽, 확인

Description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Checking device of leather for percuss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D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가죽 확인장치
52; 가이드바
53; 고정링
54; 가동링
56; 지지구
59; 2절곡부
60; 슬라이딩관
62; 스크류
64; 타악기안치구
65; 타격수단
본 발명은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악기에 사용되는 가죽의 소리상태를 미리 확인하여 정상적인 소리를 발생하는 가죽만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한 확인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타악기는 북이나 장구 등과 같이 북채나 손으로 타격하여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말하며, 전통 타악기인 북이나 장구와 같은 나무를 깍아서 구성한 몸체의 양측에 가죽을 결합하여 가죽을 타격함으로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죽은 금속재질의 링에 고정하여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가죽의 특성상 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죽 본래의 상태로 둘 경우에는 청명한 소리가 나지 않고 둔탁한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으며 또는 작업 과정에서 가죽의 손상으로 목적하는 소리가 나지 않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종래에는 가죽이 완성된 상태에서 가죽의 소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장구나 북에 가죽을 가 조립한 상태에서 가죽을 두들겨 직접 소리를 확인한 후 소리상태가 좋을 경우에는 완전하게 조립하고 소리상태가 좋지 못할 경우에는 가 조립한 가죽을 제거하는 형태를 취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가죽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죽을 항상 타악기에 가 조립한 상태에서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이 많아져 타악기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악기에 사용되는 가죽의 특성상 상당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가죽 본래의 상태로 둘 경우에는 청명한 소리가 나지 않고 둔탁한 소리가 나므로 가죽을 부드럽게 하여 주어야 하는 데, 종래의 전통적인 방식의 경우에서는 타악기를 완성한 후 이용자가 스스로 최소 3개월에서 최고 3년여의 기간 동안 가죽부위를 두드려서 가죽을 부드럽게 하여 맑고 투명한 소리를 얻었다.
근자에 들어서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가죽을 가공할 때 두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두꺼운 가죽 또는 얇은 가죽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죽의 두께가 얇은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리는 맑고 투명한 소리를 얻을 수 있으나 가죽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두꺼운 가죽을 사용할 경우에는 수명을 길어지나 맑고 투명을 소리를 얻을 때까지의 시일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서 타악기에 조립되는 가죽의 소리를 조립 전 타격부위의 가죽을 타격하여 맑고 투명한 소리를 얻을 수 있도록 부드럽게 하여주면서, 목적한 소리가 나는 가죽만을 타악기와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 조립 과정을 생략하여 타악기의 조립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D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50)는,
프레임(51)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바(52)의 후측에는 고정링(53)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링(53)의 전방에는 고정링(5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가동링(54)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링(53)과 가동링(54)에는 타악기에 사용되는 가죽(55)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구(56)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구(56)는 고정 및 가동링(53,54)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지지구바디(57)를 고정한다.
상기 지지구바디(57)의 내측 부위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1절곡부(58)를 형성하고, 상기 1절곡부(58)에 대하여 다시 고정 및 가동링(53,54)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어 가죽(55)을 지지할 수 있는 2절곡부(59)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가동링(54)은 가이드바(52)에 삽입된 슬라이딩관(60)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관(60)은 프레임(51)의 상부 중심에 핸들(61)을 가지고 설치되는 스크류(62)와 연결하여 고정링(53)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53)과 가동링(54) 사이의 가이드바(52)에는 타악기(63)를 안치하기 위한 악기안치구(64)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51)의 후방에는 타악기(63)에 밀착된 가죽(55)을 타격하여 부드럽게 하기 위한 타격수단(65)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타격수단(65)은 프레임(51)의 후방에 가죽(55)을 타격하기 위한 타격바(66)를 구비한다.
상기 타격바(66)는 하측 부위가 프레임(51)에 힌지(67) 연결되는 하부바(68)와 상기 하부바(68)에 결합 되어 가죽(55)의 크기에 맞게 타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상부바(69)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바(69)의 상단부에는 가죽(55)과 연접될 때 가죽(55)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타격으로 가죽을 부드럽게 하면서도 늘려줄 수 있도록 가죽이나 고 무 또는 우레탄과 같은 재질로 된 타격팁(70)를 구비한다.
상기 타격바(66)는 스프링(71)으로 프레임(51)의 중간과 연결하여 타격팁(70)이 항상 가죽(55)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 타격바(66)의 하방으로는 작동핀(72)을 돌출시킨다.
상기 작동핀(72)은 프레임(51)에 안치되는 모터(73)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74)에 구비되는 작동캠(75)에 의하여 타격바(66)가 주기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가죽(55)을 타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50)를 이용하여 타악기에 가죽을 조립하기 전 가죽의 상태를 확인하고, 가죽(55)을 타격하여 부드럽게 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확인하고자 하는 가죽(55)이 사용될 타악기(63)를 고정링(53)과 가동링(54) 사이의 가이드바(52)에 구비되는 악기안치구(64)에 안치시키고, 확인하고자 하는 가죽(55)을 고정링(53)과 가동링(54)에 구비되는 지지구(56)에 지지시킨다.
즉, 지지구(56)를 구성하는 지지구바디(57)에 1절곡부(58)의 연장선상에서 한번 더 절곡된 2절곡부(59)에 원판타입으로 구비되는 가죽(55)을 위치시킴으로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61)을 잡고 스크류(62)를 고정링(53) 방향으로 움직이면 스크류(62)와 연결된 슬라이딩관(60)이 움직이고, 상기 슬라이딩관(60)에 연결된 가동링(54)이 고정링(5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링(54)의 계속적인 이동으로 고정링(53)과 가동링(54)에 유지된 가 죽(55)이 타악기안치구(64)에 안치된 타악기(63)의 양측과 팽행한 상태로 밀착되어 타악기(63)와 조립된 것과 같은 형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죽(55)을 타격하여 정상적인 소리가 나는지를 확인하여 양,불을 판단하여 선별하여 둠으로서 실제 타악기(63)와 가죽(55)을 조립할 때에는 정상적인 제품만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죽(55)을 타격하였을 때 맑고 청아한 소리가 나지 않고 가죽(55)이 두꺼워 탁음이 날 경우에는 프레임(51)의 후방에 더 구비되는 타격수단(65)을 이용하여 가죽(55)을 지속적으로 타격하여 타격부위를 부드럽게 함으로서 맑고 투명한 소리가 나는 정상제품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모터(73)를 작동시키면 구동축(74)이 회전하게 되고 구동축(74)에 구비되는 작동캠(75)이 타격바(66)의 하방으로 돌출된 작동핀(72)을 움직이게 된다.
상기 작동핀(72)이 작동캠(75)에 의하여 움직이게 되면 타격바(66)는 힌지(67)를 중심으로 가죽(55)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가죽(55)을 타격하게 되는 데, 타격바(66)를 구성하는 상부바(69)에 구비되는 타격팁(70)에 의하여 타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작동캠(75)이 작동핀(72)을 눌러 줌으로서 타격바(66)는 가죽(55)과 멀어지게 되고, 작동캠(75)이 작동핀(72)을 벗어나면 타격바(66)를 항상 가죽(55) 방향으로 당기고 있는 스프링(71)에 의하여 가죽(55) 방향으로 당겨 짐으로서 타격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의 반복으로 연속적인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가죽의 상태를 미리 확인하여 선별함으로서 선별 공정과 조립공정으로 분리하여 타악기의 전체적인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가죽의 타격부위를 두드려 부드럽게 함으로서 양질의 가죽을 사용함으로서 완성된 타악기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타악기에 조립되는 가죽의 소리를 조립 전 타격부위의 가죽을 타격하여 맑고 투명한 소리를 얻을 수 있도록 부드럽게 하여주면서, 목적한 소리가 나는 가죽만을 타악기와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 조립 과정을 생략하여 타악기의 조립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작업자들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2)

  1. 전통 타악기용 가죽의 소리상태를 미리 확인하기 위한 확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죽 확인장치(50)는 프레임(51)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구비되는 가이드바(52)와;
    상기 가이드바(52)의 후측에 고정되는 고정링(53)과;
    상기 고정링(53)의 전방에 고정링(53)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동링(54)과;
    상기 고정링(53)과 가동링(54)에는 타악기에 사용되는 가죽(55)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구(56)와;
    상기 지지구(56)는 고정 및 가동링(53,54)의 외측에서 중심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지구바디(57)와;
    상기 지지구바디(57)의 내측 부위를 외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하는 1절곡부(58)와;
    상기 1절곡부(58)에 대하여 고정 및 가동링(53,54)의 중심방향으로 절곡시켜 가죽(55)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2절곡부(59)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링(54)은 가이드바(52)에 삽입된 슬라이딩관(60)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관(60)은 프레임(51)의 상부 중심에 핸들(61)을 가지고 설치되는 스크류(62)와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링(53)과 가동링(54) 사이의 가이드바(52)에 구비하여 타악기(63)를 안치하기 위한 악기안치구(64)와;
    상기 프레임(51)의 후방에 구비하여 타악기(63)에 밀착된 가죽(55)을 타격하여 부드럽게 하는 타격수단(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65)은 프레임(51)의 후방에 가죽(55)을 타격할 수 있도록 프레임(51)에 힌지(67) 연결되는 하부바(68)와 하부바(68)에 결합 되어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상부바(69)로 구성되는 타격바(66)와;
    상기 상부바(69)에 구비하여 가죽(55)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타격으로 가죽을 부드럽게 하면서도 늘려주는 타격팁(70)과;
    상기 타격바(66)는 항상 가죽(55)방향으로 향하도록 프레임(51)과 연결하는 스프링(71)과;
    상기 타격바(66)의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작동핀(72)과;
    상기 작동핀(72)은 프레임(51)에 안치되는 모터(73)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74)에 구비되는 작동캠(75)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KR1020070046170A 2007-05-11 2007-05-11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KR10082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170A KR100821839B1 (ko) 2007-05-11 2007-05-11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170A KR100821839B1 (ko) 2007-05-11 2007-05-11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839B1 true KR100821839B1 (ko) 2008-04-14

Family

ID=3953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170A KR100821839B1 (ko) 2007-05-11 2007-05-11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8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67B1 (ko) * 2013-04-18 2014-10-06 김동경 장구 및 나무 항아리 제조장치
KR101690952B1 (ko) * 2016-07-28 2016-12-30 김일현 장구 제작용 가죽 조율장치
KR101701643B1 (ko) * 2015-10-21 2017-02-13 백윤근 타악기 표면 마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902A (ko) * 1997-09-13 1999-04-06 김관식 북의 공명가죽 당김장치
KR20030062819A (ko) * 2002-01-19 2003-07-28 이점식 북통체의 고정틀 고정장치
JP2003216146A (ja) * 2002-01-25 2003-07-30 Okadaya Fuse:Kk 太鼓の紐締め装置
KR100642208B1 (ko) * 2005-07-19 2006-11-02 백윤근 타악기용 가죽 마무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902A (ko) * 1997-09-13 1999-04-06 김관식 북의 공명가죽 당김장치
KR20030062819A (ko) * 2002-01-19 2003-07-28 이점식 북통체의 고정틀 고정장치
JP2003216146A (ja) * 2002-01-25 2003-07-30 Okadaya Fuse:Kk 太鼓の紐締め装置
KR100642208B1 (ko) * 2005-07-19 2006-11-02 백윤근 타악기용 가죽 마무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867B1 (ko) * 2013-04-18 2014-10-06 김동경 장구 및 나무 항아리 제조장치
KR101701643B1 (ko) * 2015-10-21 2017-02-13 백윤근 타악기 표면 마감장치
KR101690952B1 (ko) * 2016-07-28 2016-12-30 김일현 장구 제작용 가죽 조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1839B1 (ko) 전통 타악기용 가죽 확인장치
ATE449656T1 (de) Rasterschneidtechnologie für ophthalmische linsen
WO200500893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 generation
JP2021049634A (ja) 打撃入力を制限する振動減衰装置
US2672677A (en) Scale remover
KR100642208B1 (ko) 타악기용 가죽 마무리장치
CN107886929B (zh) 用于键盘乐器的冲程调整装置
EP2461319B1 (en) Action of upright piano
CN206363747U (zh) 立式钢琴
CN109465355A (zh) 一种钢筋折弯器
JPH0824966B2 (ja) ケーブル用ベンダー
JP2012503788A5 (ko)
JP2019113399A (ja) 試験装置及び耐カット性能の評価方法
JP4691460B2 (ja) チゼル
CN103464658B (zh) 轧钢球机的成球辊自动调整式成球装置
EP1229415A3 (en) Method for improving a manufacturing process
CN209641336U (zh) 一种架子鼓踩锤
JP3125346U (ja) 長尺物の連続曲げ加工装置のためのストッパ及び長尺物の連続曲げ加工装置
US2478353A (en) Retacking machine
JP2017049467A (ja) ピアノのダンパー駆動装置
JP2007322885A (ja) アップライト型ピアノの消音装置
KR100821840B1 (ko) 타악기용 가죽 마무리 방법 및 마무리 도구
JP2013186295A (ja) アップライトピアノのセンターレール
JP4061600B2 (ja) 導光板のパターン加工方法
US1550025A (en) For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