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770B1 -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770B1
KR100820770B1 KR1020070103837A KR20070103837A KR100820770B1 KR 100820770 B1 KR100820770 B1 KR 100820770B1 KR 1020070103837 A KR1020070103837 A KR 1020070103837A KR 20070103837 A KR20070103837 A KR 20070103837A KR 100820770 B1 KR100820770 B1 KR 10082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humbnail
thumbnails
image
re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
Original Assignee
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 filed Critical 김유
Priority to KR102007010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770B1/ko
Priority to PCT/KR2008/005048 priority patent/WO200905134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은, 특정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 자유로운 의사를 표현하기 위하여 댓그림 생성 툴을 통해 유저 스스로의 창작에 의하여 그림 내지 이미지로 생성되는 댓그림을 제작하는 단계; 세분화된 카테고리별로 댓그림을 분류하는 단계; 댓그림을 등록하여 공개함으로 댓그림이 리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공개된 댓그림을 시간 순서 내지 인기 순서, 조회 순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정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에 따르면, 이미지 형태로서 댓글 표현 방식을 제공함으로, 보다 유연하고 풍부한 의사 표현 방식을 구현함에 따라 발전적인 댓글 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이미지 형태의 댓글을 재창작 내지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댓글에 대한 재댓글 방식으로 연속적인 의사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발전적인 이미지 형태를 생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댓그림, 이미지 형식의 댓글, 리플, 이모티콘, 리플 생성

Description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THROUGH IMAGE COMMENT}
본 발명은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인터넷 환경에서 제공되는 댓글 표현 내지 이와 유사한 커뮤니티 수단에서 일반적으로 문자 내지 기호로서 표현되는 댓글을 그림(이미지) 형태로 구현하도록 하여 기존 댓글보다 다양하고 풍성한 의사 표현과 변형 창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을 통해 수행되는 게시판, 기사 및 기타 컨텐츠에서 유저가 자유로운 의사를 표현하는 문구를 댓글(reply)이라고 한다. 이러한 댓글은 특정 컨텐츠의 하단에서 시간 순, 조회 순 등의 방식으로 진열이 되어 컨텐츠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거나 유저 간의 쌍방 대화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고, 이러한 댓글을 표현하는 것은 하나의 문화 행위로서 인정되어 '댓글문화'라는 현상까지 창출하고 있다.
댓글 문화는 사회현실에 대해 자신의 의사를 마땅히 피력할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였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도 하나, 악의적으로 타인을 공격하거나 인신 모독을 하는 저급한 공간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다시 말해, 현재 공지되어 있는 댓글 표현 방식은 글 내지 기호로서 표현하기 때문에 호의적이거나 악의적인 의견이 그대로 전달된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렇게 댓글이 일반적인 문장 형식 내지 약어로서 전달이 되다보니 전달력이 정확하고 이해가 빠르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러한 정확한 전달력이 욕설, 험담과 같은 악의적 표현방식으로 활용될 때에는 타인에게 걷잡을 수 없는 치명적인 상처를 줄 수 있다는 부정적인 면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글, 기호로서 표현되는 댓글은 특히 의사 표현을 잘 하는 유저를 제외하고는 은유적이나 함축적으로 표현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어, 보다 여유롭고 웃음을 자아낼 수 있는 표현 방식을 통하여 발전적인 인터넷 문화를 창출하기 보다는 비판이나 악플에 익숙한 환경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도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순히 문장과 키보드에서 지원되는 기호로서만 표현되는 댓글 문화를 탈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표정을 가진 아이콘, 이모티콘이 등장하여 댓글 란 주변에 별도로 제공되는 이모티콘 생성창을 통해 문장과 함께 댓글로서 표현되도록 하여, 문장으로 직접 의사 표현이 되는 방식보다 희화적이고 은유적인 의사 표현을 할 수 있음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재미와 웃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부여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콘 내지 이모티콘은 시스템 운영자에 의하여 기설정된 한 정된 표현 중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표현의 한계가 따르게 된다는 부족함이 존재한다.
또한, 댓글을 표현하는 사이버 공간에 그림, 사진과 같은 이미지 파일을 업로딩할 수도 있으나 하나의 댓글에 후속 댓글이 연속적으로 달리는 방식으로 의사 표현을 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이미지 편집 수단(예를 들어, adobe 사의 photoshop과 같은 프로그램) 이미지 파일 형태로 재댓글을 표현하기 어려워 단순한 이벤트 형태로만 이미지 댓글이 표현되어 이미지 표현 형태의 댓글이 연속성을 가질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문장과 달리 추상화 내지 캐리커쳐와 같은 그림은 함축적이고 은유적인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는 뛰어난 수단으로서, 미술 교육이 자라나는 청소년에게 풍부한 상상력과 창작성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일반적인 보도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성인들 역시 자신의 의사 표현을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 형태로서 표현하는데 익숙해진다면 보다 부드럽고 희화적인 댓글 문화를 장착할 수 있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문장이나 기설정된 아이콘/이미지로서 표현되던 댓글 표현 방식을 탈피하고 유저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을 의사 표현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발전적이고 유연한 댓글 문화가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댓글 표현 방법의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장이나 기호로서 표현되던 공지의 댓글 표현 방식과 달리, 댓글창에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툴을 제공하여 유저가 직접 그린 그림 내지 이미지를 통하여 댓글을 표현하도록 함으로 댓글 표현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유저가 생성한 이미지 형식의 댓글을 변형 내지 편집함으로서 재댓글을 표현하거나 이미지 형식을 완성함으로 연속적인 연계 의사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하나의 주제 및 공통점을 가진 이미지 형식의 댓글을 수집하여 하나의 공간에서 표현하도록 하여 마치 미술 갤러리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이미지 형태의 댓글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변형의 정도와 상태에 따라 최초로 이미지를 제작한 유저에게 변형을 허락할지 여부를 통보하도록 하여 이미지 댓글 창작물에 대한 보호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은, 특정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 자유로운 의사를 표현하기 위하여 댓그림 생성 툴을 통해 유저 스스로의 창작에 의하여 그림 내지 이미지로 생성되는 댓그림을 제작하는 단계; 세분화된 카테고리별로 댓그림을 분류하는 단계; 댓그림을 등록하여 공개함으로 댓그림이 리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 공개된 댓그림을 시간 순서 내지 인기 순서, 조회 순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정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은, 댓그림을 창작한 유저에게 자신의 댓그림을 다른 유저에 의해 변형 제작되는 변형 댓그림을 허용할지 여부를 묻는 변형 동의 단계; 상기 변형 동의 단계에서 동의가 있는 경우, 댓그림을 오픈 소스로 처리하여 다른 댓그림과의 조합하는 방법, 다른 유저에 의하여 추가 이미지를 첨가하거나 일부 이미지를 변경하는 변형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져, 댓그림을 변형 재작하는 변형 생성 단계; 다수의 유저를 선별하여 변형 댓그림과 원본 댓그림을 보여주고 변형 댓그림이 원본 댓그림의 기본 사상을 훼손했는지 여부를 물어 변형 정도를 파악하는 변형 정도 파악 단계; 변형 댓그림이 원본 댓그림의 사상을 훼손했다고 판단된 경우,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에게 변형 댓그림을 보여주는 변형 댓그림의 통보 단계;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의 선택에 의하여 변형 댓그림의 공개를 차단할 지 여부를 묻는 변형 댓그림의 차단 단계; 로 이루어진 댓그림 변형창작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은, 상기 분류 단계에서 동일 분류로 이루어진 댓그림을 하나의 갤러리로 조합하는 단계; 하나 의 갤러리로 조합된 댓그림들을 동영상 내지 정지화면의 연속 플레이 방식으로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에 따르면,
1) 이미지 형태로서 댓글 표현 방식을 제공함으로, 보다 유연하고 풍부한 의사 표현 방식을 구현함에 따라 발전적인 댓글 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2) 이미지 형태의 댓글을 재창작 내지 편집할 수 있도록 하여, 댓글에 대한 재댓글 방식으로 연속적인 의사 진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발전적인 이미지 형태를 생성할 수 있으며,
3) 이미지의 무단 변형이나 차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최초 창작자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창작된 댓그림의 발전적인 변형 창작과 동시 플레이가 가능함으로써 새로운 댓글 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댓그림(image comment)이라 함은 이미지 형태로 표현된 댓글(reply)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기존 문자, 기호로 이루어진 댓글 내지 기 제작된 이모티콘이나 이미지 파일 형태의 댓글과 달리 유저가 직접 그려 제작한 그림/이미지 형태의 리플라이 컨텐츠를 말한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본적으로 특정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 자유로운 의사를 표현하기 위하여 댓그림을 제작하는 단계, 세분화된 카테고리별로 댓그림을 분류하는 단계, 댓그림을 등록하여 리플을 생성하는 단계, 리플로 화체된 댓그림을 정렬하는 단계, 댓그림에 유저의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고 추가적으로 댓그림을 변형 창작하는 단계 및 동일 분류의 댓그림을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제작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인터넷에 공개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유저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 댓그림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넷 환경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댓그림 생성툴을 구비함으로, 이 댓그림 생성툴을 통해 유저의 자유롭고 손쉬운 댓그림 생성을 지원한다.
댓그림 생성툴은 현재 공개되어 있는 이미지 생성툴의 장점을 모아 유저가 보다 편리하고 손쉽게 댓그림을 직접 그릴 수 있도록 그림 그리기, 편집하기, 저장하기와 같은 기능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그림 그리기 기능에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풍부한 종류의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배경 설정, 레이어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고, 특정 이미지 삽입, 도형 삽입과 같은 공지의 이미지를 삽입하거나 명도/채도 조절, 특수 효과 삽입과 같이 이미지를 보다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지원한다.
이러한 댓그림 생성툴은 그림 생성 기능만을 가진 것이 아니라, 글쓰기 기능도 제공하여 댓그림 내에 문자 삽입을 허용하도록 하여 그림만으로 충분히 표현하기 어려운 의사를 문자 표현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댓그림에 문자가 표현될 때에는 유저가 직접 문자를 그려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나 글쓰기 기능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폰트를 사용하여 문자 표현이 가능한데, 댓그림 생성툴에 구비된 폰트를 이용하여 문자 표현을 하게 될 때에는 유저가 선택한 문자를 인식(즉, 예를 들어 문자 생성창에 표시된 문자를 별도 저장)하여 문자로 표현된 부분이 별도의 문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다수 개의 댓그림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검색을 할 때 특정 내용을 포함한 댓그림을 손쉽게 서치(search)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댓그림 생성툴을 통해 제작된 댓그림은 등록 버튼을 누르게 되면, 특정 컨텐츠 하단에서 리플 형태로 생성되어 일반 다른 유저에게 공개가 된다.
이렇게 공개된 댓그림은 일반적인 댓글 기능을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댓그림 하단에 다른 제 2 댓그림이 생성될 수도 있고, 제 1 댓그림에 대한 반박 의사 표현을 위한 제 1-1 댓그림(즉, 리플의 리플)을 다른 유저가 등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댓그림이 특정 컨텐츠에 다수 등록될 경우, 일반적으로는 생성된 시간 순에 의하여 댓글이 정렬되나 조회수 내지 추천 회수가 많은 댓그림을 최상단에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불어 검색 기능을 지원하여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아이디, 특정 문자 포함 여부 등을 통해 검색자가 원하는 댓그림만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 분류 단계는 자동분류 단계와 수동 분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자동분류단계는 댓그림에 포함된 문자, 즉 문자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구체화되어 있는 카테고리 분류 방식에 의하여 댓그림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특정 분류로 소팅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 분류 단계는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에 의하여 분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카테고리 분류를 유저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유저가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도록 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댓그림 분류 단계는 검색 기능을 지원하는 것 뿐 아니라, 후술하겠지만 댓그림의 통합 플레이 단계에서 플레이되고자 하는 댓그림의 주제를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저에 의하여 직접 제작된 댓그림은 후술할 댓그림의 변형 창작 단계에서 원 제작자를 분별하기 위하여 댓그림의 제작자를 표시하거나 시스템 차원에서 파악 할 방법이 강구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별코드 삽입 단계는 워터마크 삽입 단계와 댓그림 영역 설정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워터마크 삽입 단계는 각각의 댓그림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워터마크는 일반적인 워터마크와 같이 비밀키에 의하여 파일 내지 데이터 조합 형태로 제공되는 댓그림의 헤더 내지 기타 부위에 비트열 데이터로서 삽입됨으로 네크워크 통신이 이루어지는 웹 환경 내에서 해당 워터마크의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워터마크 삽입 단계는 댓그림을 창작한 유저의 식별은 물론 댓그림의 위치 추적 및 모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댓그림 보호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워터마크 사용을 통해 특히 댓그림을 그대로 오려서 다른 댓그림으로 변형 창작하는 양태를 추적하고 마치 자신의 창작물처럼 공개되어 있는 모방 댓그림을 발본색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가 있다.
댓그림 영역 설정 단계는 특히 댓그림의 전체 이미지 중에서 그림 영역을 나타내는 윤곽선 이내 부분으로 표현되는 댓그림의 핵심적인 이미지에 대한 도용 및 변형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식별 코드 생성 단계와 좌표 설정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댓그림의 핵심적인 이미지 영역과 기타 영역의 식별 코드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식별 코드 생성 단계는 댓그림을 이루는 데이터(또는 파일) 중에서 핵심적인 이미지 영역 전체 내지 핵심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는 윤곽선, 즉 테두리에 해당하는 픽셀들에 제 1 식별코드를 수록하고 이러한 핵심적인 이미지 이외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에 제 2 식별코드를 수록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코드 생성 단계는 댓그림에서 특히 윤곽선 이내의 핵심적인 이미지 만을 의도적으로 발췌하여 댓그림의 원 제작 유저가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악의적으로 변형 사용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원본 댓그림에 상기 제 1, 2 식별코드를 삽입하여 추후 이를 카피하거나 무단으로 변형한 모방 댓그림이 발생하였을 때 모방 댓그림에서 상기 제 1, 2 식별코드의 포함 여부를 파악하여 원본 댓그림의 핵심 영역만을 발췌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로서 활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가진다.
핵심적인 이미지라 함은 주로 통상의 그림이 전체적인 스케일에서 윤곽선으로 표현되는 내부 부분이 핵심적인 영역이라 가정을 하고 설정한 의미라고 해석하면 된다. 물론, 윤곽선으로 둘러진 영역이 복수 개일 경우에는 그 중 어느 영역이 핵심적인 영역이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각각 윤곽선 이내 부분에 대해 별도의 제 1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근거 하에서 제 1 식별코드는 윤곽선 이내 영역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한데, 원본 댓그림 이미지의 용량이 클 경우에는 선택적으로 댓그림 테두리(윤곽선) 영역에만 제 1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식별코드는 상기 핵심적인 영역 이외 부분(윤곽선 바깥 부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체 스케일 중 윤곽선에 해당하는 부위 이외의 특징적인 복수 지점 부위의 픽셀에 제 1 식별코드와 다른 정보를 수록한 데이터이다.
이러한 제 1, 2 식별코드는 상기 워터마크와 같이 비밀키로 이루어진 비트열 데이터 값을 가지는 것으로 일반 유저들은 식별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좌표 생성 단계는 전체 댓그림 이미지를 결정하는 픽셀 중에서 핵심 댓그림 영역을 표시하는 윤곽선 이내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의 좌표를 제 1 좌표로, 윤곽선 이외 지역의 픽셀 중 복수 개의 특정 지역의 좌표를 제 2 좌표로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코드 생성 단계와 기능은 같으나 데이터의 용량을 무리하게 증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핵심적 댓그림 영역과 이외 영역의 좌표 값만 읽어 들이는 범위 이내에서 보다 편리하게 핵심적인 댓그림 영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코드 생성 단계와 좌표 생성 단계를 통한 핵심 영역의 모방 여부 분석은 후술할 이미지 변경 파악 단계에서 수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의 변형 창작 단계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이 변형 창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댓그림은 단독적으로 의사 표현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연달아 댓글이 달리는 종래 댓글과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그림을 변형하여 보다 발전적 인 이미지로 변신하거나 아니면 초기 댓그림에서 가지는 개념과 아예 다른 개념으로 표현이 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댓그림은 이를 제작한 유저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 원본 댓그림의 사상과 의미가 피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을 허용하여 보다 다양한 댓그림 형식으로 발전되도록 하고, 아예 허락을 받지 않은 댓그림이 모방될 경우에는 이를 추적하여 변형을 차단함과 동시에, 변형을 허락하였다 할지라도 원본 댓그림의 기본 사상이나 표현 의도가 심하게 변형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할 필요가 있는바, 바로 댓그림 변형창작 단계에서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 변형창작 단계는 변형 동의 단계, 이미지 변경 파악 단계, 변형 생성 단계, 변형 정도 파악 단계, 변형 댓그림의 통보 단계, 변형 댓그림의 차단 단계를 포함하며, 크게 변형을 허락한 경우와 변형을 허락하지 않은 경우로 대별되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변형 동의 단계는 댓그림을 최초로 창작한 유저에게 예를 들어 '다른 유저에 의하여 귀하의 댓그림이 변형되는 것을 허락하나요?'와 같이 변형 여부를 물어 변형을 허락한 경우에는 댓그림을 오픈 소스/파일로 활용하고, 변형을 허락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워터마크 내지 식별코드에 의하여 타인의 모방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즉 이미지 변경 파악을 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댓그림을 최초로 창작한 유저가 변형을 허락하는 경우, 유저의 댓그림은 오픈된 형태로서 다른 유저가 마음대로 댓그림 생성창에 불러 들여 댓그림을 편집 내 지 변형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댓그림을 최초로 제작한 유저가 자신의 댓그림을 마음대로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댓그림이 활성화되는 것을 의욕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댓그림 표현 실력이 없어서 다른 유저에게 기본적인 틀만 제공하고 이를 다른 유저에 의하여 발전시키도록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생성 단계는 조합 단계, 덧그림 생성 단계, 변형 단계로 구분이 될 수 있다.
조합 단계는 오픈소스로 이루어진 a라는 댓그림과 b라는 댓그림을 a+b로서 조합하여 새로운 댓그림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덧그림 생성 단계는 기존 a라는 댓그림에 새로운 z 라는 덧그림을 그려 최종적으로 a+z의 댓그림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변형 단계는 예를 들어 눈이 작은 사람을 표현한 A라는 댓그림을 최초 유저가 표현하였을 경우 다른 유저가 인물 형태는 그대로 두되 눈을 보다 크게 하여 상기 A를 A'로 표현하여 기존 원본 댓그림을 변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형 생성 단계를 통하여 댓그림은 보다 다양하고 확대된 개념과 의사 표현으로서 발전할 수가 있고, 최초 유저가 생각하지 않은 정도로 발전을 꾀하거나 댓그림의 무한한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변형 생성 단계로 완성된 댓그림, 즉 변형 댓그림은 물론 최초 유저가 자신의 댓그림이 변형되는 것을 허락하였기 때문에 다른 무한한 유저에 의하여 자유로운 변형을 보장하게 되지만, 그렇다고 최초(원본) 댓그림 내지 이를 제작한 유저의 명예를 훼손할 정도로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최초 유저가 불쾌할 정도로 심하게 변형이 되는 경우까지 원본 댓그림이 변형되는 것은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정도 파악 단계는 먼저 변형 댓그림을 등록하여 공개 처리는 하되, 다른 다수의 유저에게 변형 댓그림을 보여주고 원본 댓그림을 변형한 정도가 원본의 기본적인 의미를 훼손할 정도가 되는지 여부를 물어 다수결의 원칙에 의하여 변형 댓그림의 심각한 변형 정도를 파악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 유저의 설정은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유저를 랜덤하게 선별하되, 자신이 제작한 댓그림을 등록할 무렵에 원본 댓그림과 변형 댓그림을 보여주고 예를 들어'이 변형 댓그림이 원본 댓그림의 의미를 훼손할 정도라고 판단하나요?'라는 설문을 하여 '그렇다' 또는 '아니다'로 유저의 응답을 받아 다수의 유저 응답에서 '그렇다'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원본 댓그림의 변형이 심각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변형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원본 댓그림을 제공한 유저에게 변형의 정도를 묻지 않고 일반적인 다른 유저들에의 다수 판단을 따르도록 하는 이유는 원본 댓그림을 제공한 유저 역시 변형을 허락한 것이라 변형 정도에 대해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불필요한 분쟁을 야기하는 것보다는 다른 유저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변형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만일, 상기 변형 정도 파악 단계의 유저의 판단에 의하여 변형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라 판단된 경우에는 원본 유저에게 변형 댓그림을 통보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후,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가 변형 댓그림의 변형을 인정할 경우에는 변형 댓그림의 정당성이 유지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변형 댓그림을 모자이크 내지 블라인드 처리 하도록 한다.
즉, 다른 유저에 의하여 변형 정도가 심각하다고 판단을 받아도 유저가 변형을 허락한 경우에는 굳이 변형 댓그림을 블라인드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의 판단을 통하여 변형 댓그림의 모자이크 처리(또는 블라인드 처리) 여부를 판단 받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변형 댓그림이 모자이크 처리가 될 경우에는 이 변형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에게 주의 메시지가 통보되어 주의를 환기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일련의 단계는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가 변형을 허락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고, 만일 변형을 허락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유저의 댓그림 생성툴에 오픈되거나 댓그림 별도 저장이나 복사를 방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기타 이미지 생성툴에 의하여 복사를 하고 마치 자신이 최초로 댓그림을 제작한 것처럼 모방 댓그림을 생성하는 유저를 색출할 필요가 있는바, 이는 이미지 변경 파악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미지 변경 파악 단계는 원본 댓그림의 모방 복사 내지 무단 변경 행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코드 식별 단계, 좌표 식별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코드 식별단계는 다른 유저가 신규 댓그림을 제작하여 등록을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 1 식별코드 내지 제 2 식별코드의 일부 내지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 를 분석하여 특히 제 1 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다른 유저의 원본 댓그림의 핵심적인 이미지 영역만을 발췌한 것으로 인정하고 제 1, 2 식별코드가 모두 포함된 경우 원본 댓그림의 거의 전부에 대한 모방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이러한 유저의 회원 자격을 박탈하거나 엄중한 주의를 주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현재 특정 그림의 모방 여부를 특정 그림의 윤곽선 이내에서 표시되는 범위로서 판단하도록 한 것으로, 무단으로 다른 유저의 원본 댓그림의 핵심적인 부위만을 모방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 댓그림에 대한 저작권 침해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좌표 식별 단계 역시 상기 코드 식별 단계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정 유저의 댓그림에서 상기 제 1 좌표 전부 및 기 파악된 제 2 좌표의 일부 내지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여, 모방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분류의 댓그림을 묶어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분류의 댓그림에 대한 디스플레이 단계는 상기 카테고리 분류 단계에서 동일 분류로 설정된 댓그림 또는 원본 댓그림과 변형 댓그림을 하나의 조합, 즉 갤러리로 묶어 특정 사이버 공간에서 디스플레이가 되는 것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방법은 플래시 화면처럼 동영상으로 처리하거나 아니면 하나하나 의 댓그림을 연속 동작과 같이 순차적으로 플레이하는 방법으로 제공이 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단계를 통해 복수 개의 동일 개념/주제를 가진 댓그림이 하나의 갤러리를 이루어 예술적인 표현방식을 가지는데 일조함과 동시에 원본 댓그림에서 변형 댓그림이 발전하는 단계를 한 눈에 알기 쉽게 식별 내지 감상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원본 댓그림에서 변형 댓그림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변형 댓그림을 그려 나가는 과정을 댓그림 생성툴에서 별도 저장하여 변형 댓그림이 창작되는 과정을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을 제작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환경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댓그림의 핵심적인 이미지 영역과 기타 영역의 식별 코드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의 변형 창작 단계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댓그림이 변형 창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 분류의 댓그림을 묶어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Claims (6)

  1.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으로서,
    특정 인터넷 컨텐츠에 대해 자유로운 의사를 표현하기 위하여, 유저 스스로 그림 내지 이미지로 생성되는 댓그림을 제작하도록 유저에게 댓그림 생성툴을 제공하는 단계;
    유저에 의해 생성된 댓그림을 기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자동 분류하되, 동일 카테고리로 이루어진 댓그림들 중 특정 댓그림들을 특정 주제별로 분류하여 이루어진 하나의 갤러리로서 자동 조합 처리하는 단계;
    댓글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댓그림을 등록 및 공개 처리하되, 하나의 갤러리로 조합된 댓그림들의 경우 동영상 내지 정지화면의 연속 플레이 방식으로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공개 처리하는 단계;
    공개된 댓그림을 시간 순서 내지 인기 순서, 조회 순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정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하여, 비밀키에 의하여 파일 내지 데이터 조합으로 형태로 제공되는 댓그림의 헤더 내지 기타 부위에 비트열 데이터로서 이루어지는 워터 마크를 삽입하는 식별 코드 삽입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 삽입 단계는,
    댓그림을 이루는 데이터 중에서 이미지를 표현하는 윤곽선 내부에 해당하는 일정 픽셀들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식별코드를 수록하고 이러한 윤곽선 내부 이외의 부위 중 적어도 하나의 소정 위치에 제 2 식별코드를 수록하는, 댓그림 영역 설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댓그림을 창작한 유저에게 자신의 댓그림을 다른 유저에 의해 변형제작되는 변형 댓그림을 허용할지 여부를 묻는 설문창을 제공하는 변형동의 여부 파악 단계;
    상기 변형동의 여부 파악 단계에서 댓그림을 창작한 유저 동의가 있는 경우,
    댓그림을 오픈 소스로 처리하여 다른 댓그림과 조합하는 방법, 다른 유저에 의하여 추가 이미지를 첨가하거나 일부 이미지를 변경하는 변형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써 댓그림을 창작한 유저 이외의 유저가 댓그림을 변형 제작하도록 하는 툴을 제공하는 변형 툴 제공 단계;
    다수의 유저를 선별하여 변형 댓그림과 원본 댓그림을 보여주고 변형 댓그림이 원본 댓그림의 기본 사상을 훼손했는지 여부를 물은 다음 그 답변을 다수결 방식으로 분석함으로써 원본 댓그림의 사상 훼손 여부를 자동 결정하는 댓그림 사상 변형 여부 파악 단계;
    변형 댓그림이 원본 댓그림의 사상을 훼손했다고 판단된 경우,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에게 변형 댓그림을 보여주는 변형 댓그림의 통보 단계;
    원본 댓그림을 제작한 유저의 선택에 의하여 변형 댓그림의 공개를 차단할 지 여부를 묻고 유저의 차단 의사가 있을 경우 변형 댓그림의 공개를 차단 처리하는 변형 댓그림의 차단 단계;
    로 이루어진 댓그림 변형창작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동의 여부 파악 단계에서 댓그림을 창작한 유저 동의가 없는 경우,
    다른 유저에 의해 신규 댓그림이 등록되었을 때, 신규 댓그림이 다른 댓그림의 상기 제 1 식별코드 내지 제 2 식별코드의 일부 내지 전부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그 분석 처리 결과에 따라 댓그림의 모방 여부를 결정하여, 모방으로 결정이 된 댓그림을 그린 유저에게 일정한 패널티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6. 삭제
KR1020070103837A 2007-10-16 2007-10-16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KR10082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837A KR100820770B1 (ko) 2007-10-16 2007-10-16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PCT/KR2008/005048 WO2009051342A1 (en) 2007-10-16 2008-08-28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through image com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837A KR100820770B1 (ko) 2007-10-16 2007-10-16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770B1 true KR100820770B1 (ko) 2008-04-11

Family

ID=3953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837A KR100820770B1 (ko) 2007-10-16 2007-10-16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0770B1 (ko)
WO (1) WO20090513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48B1 (ko) * 2008-11-07 2011-06-01 유민구 사용자의 댓글을 동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모션 댓글 제공 시스템 및 그 모션 댓글 제공 방법
WO2015093658A1 (ko) * 2013-12-19 2015-06-25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사용자의 댓글에 이미지 스탬프를 첨부하는 게시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9900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에어딥 콘텐츠 분석기반 평가지표를 사용한 ai 콘텐츠 자동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1865B2 (en) 2012-09-17 2017-11-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erceptible properties of media con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006A (ko) * 2003-01-04 2004-07-12 윤재민 캐릭터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36A (ko) * 2000-10-07 2002-04-16 허정선 그림문서 생성 방법
KR100361170B1 (ko) * 2000-02-10 2002-11-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림 문자를 전송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00449084B1 (ko) * 2001-07-16 2004-09-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분 영역별 이용 조건 정보를 포함하여 디지털 컨텐츠를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4047B1 (ko) * 2004-05-20 2006-10-16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디지털 아이템을 이용한 댓글에 대한 변형 및 복원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006A (ko) * 2003-01-04 2004-07-12 윤재민 캐릭터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848B1 (ko) * 2008-11-07 2011-06-01 유민구 사용자의 댓글을 동적 이미지로 표시하는 모션 댓글 제공 시스템 및 그 모션 댓글 제공 방법
WO2015093658A1 (ko) * 2013-12-19 2015-06-25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사용자의 댓글에 이미지 스탬프를 첨부하는 게시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9900A (ko)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에어딥 콘텐츠 분석기반 평가지표를 사용한 ai 콘텐츠 자동 관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1342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phie et al. Culture and technology
Moore et al. The archive project: Archival research in the social sciences
Poster What's the Matter with the Internet?
Cranny-Francis Multimedia: Texts and contexts
CN101356526B (zh) 用于生成通信作品的方法
Robson Stephen Greenblatt
Argamon et al. The structure of style: Algorithmic approaches to understanding manner and meaning
KR20170120615A (ko) 가상 환경 내에서 사용자 상호작용들에 기반하여 개인화된 스토리북들을 동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Loveless Role of ICT
CN104471563A (zh) 利用透明显示器,或者具备手势感应和束射屏功能的终端,纸质文本的电子化的方法及其系统
Thomas Nineteenth-century illustration and the digital
KR100820770B1 (ko) 댓그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Fathallah Emo: How fans defined a subculture
Roessner et al. “A Measure of Theory?”: Considering the Role of Theory in Media History
Lopes et al. Evodesigner: Towards aiding creativity in graphic design
CN110347302B (zh) 一种电子书的显示方法和装置
Lim et al. The implications of multimodality for media literacy
Yau et al.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teaching and practicing journalism
Piippo Rinse, Repeat: Paratextual Poetics of Literary Twitter Collage Retweeted
Junid et al. Manga influences and local narratives: ambiguous identification in comics production
Brown [Concept/Object][Text/Event]
Mickwitz Comics and/as Documentary: the implications of graphic truth-telling
Carlsson et al. Future Potentials for ASCII art CAC. 3, Paris, France
Holstead Magazine Design: Defining the Visual Architecture
Sylvester Drawing Dangerous Women: The Monstrous-Feminine, Taboo and Japanese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Femal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