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531B1 -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531B1
KR100819531B1 KR1020070098811A KR20070098811A KR100819531B1 KR 100819531 B1 KR100819531 B1 KR 100819531B1 KR 1020070098811 A KR1020070098811 A KR 1020070098811A KR 20070098811 A KR20070098811 A KR 20070098811A KR 100819531 B1 KR100819531 B1 KR 100819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acking
head
protrusion
res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록
Original Assignee
미래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오수, 수돗물 등을 공급하는 합성수지관의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제공하며, 고정수단으로 압륜과 헤드를 연결한 후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안정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10)의 한쪽 선단에 패킹홈(18)을 형성한 헤드(11)를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패킹홈(18)에 패킹(15)을 삽입하며 합성수지관(10a)을 헤드(11)의 내경에 결합하여 압륜(16)의 누름 돌출부(19)가 패킹(15)을 눌러 수밀을 유지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외경으로 형성한 돌출부(12)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설치홈(13)과 걸림대(14)를 형성한 헤드(11)와; 상기 헤드(11)와 결합하며 고정수단(20)을 설치하는 결함홈(17)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한 압륜(16)과; 상기 고정수단(20)을 결합홈(17)에 설치하여 헤드(11)와 압륜(16)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합성수지관, 헤드, 압륜, 패킹, 고정수단

Description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Safety connecting structure for plastic pipe using pressure wheel}
본 발명은 하수, 오수, 수돗물 등을 공급하는 합성수지관의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제공하며, 고정수단으로 압륜과 헤드를 연결한 후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안정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 오수, 수돗물 등을 공급하는 하수관과 수도관의 통칭인 상수도용 합성수지관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0125616호(1997. 1. 8. 등록)는 내, 외 금형으로 구성된 금형에 상수도용 합성수지관을 끼운 다음 내, 외경 금형의 공간부 사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합성수지관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관과 조임식 이음관을 일체형으로 접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접합에는 용이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리 성형 된 합성수지관을 긴밀하게 잡아주지 못하므로 성형시에 압출 압력으로 인하여 합성수지관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거나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최초에 금형에 고정한 합성수지관의 위치에서 틀어지거나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최초에 금형에 고정한 합성수지관의 위치에서 다르게 성형이 되므로 원하는 길이로 성형할 수 없는 결점과 함께 합성수지관이 틀어진 상태로 성형되어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등록번호 제0416408호(2004. 1. 14. 등록)는 중앙금형과 내부금형의 외측으로 합성수지관이 끼워져서 고정되면 외부금형의 고정 요철부가 합성수지관을 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면서 내부의 성형공간에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미리 고정된 합성수지관의 일측으로 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성형되어 합성수지관을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외경이 평활하게 압출된 상태에서 금형에 삽입되고 그 외측으로 용융된 수지가 공급되어 일체형으로 연결되므로 연결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수압이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발생하는 토압에 의하여 연결 헤드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관이 체결된 후에 일시적으로 수압이 발생하는 현상이 일정하게 반복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발생하므로 압륜과 연결 헤드의 연결부분에서 갑자기 발생한 수압(진동)으로 인하여 체결볼트의 너트에 진동이 전달되어 너트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조임력이 약해져 누수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체결된 후에 조임력이 외측으로 작용하면서 체결공의 외측을 압박하게 되므로 얇게 성형 된 체결공의 외측과 충돌되어 압륜이 파손되는 결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합성수지관은 안정되게 체결하는 경우에도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하는 시간의 소모가 많고, 작업이 너무 불편하여 인건비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패킹을 패킹홈에 체결하여 압륜의 누름 돌출부로 눌러 고정하도록 하는 동시에 고정수단을 설치한 압륜의 결합홈에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균일한 압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외측에서 수압이나 진동 및 지반 침하와 같은 외부 요인으로 해체할 수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륜을 성형하면서 고정수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형성하여 합성수지관을 설치하는 현장에서 압륜에 고정수단을 연결하여 헤드의 돌출부에 형성한 설치홈과 걸림대를 이용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하면 압륜이 패킹을 눌러 안정되고 견고하게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륜에 고정수단을 미리 설치하지 않고 조립할 수 있는 결합홈을 형성한 후 작업 현장에서 고정수단을 연결한 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풀림 방지링을 설치하여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연결한 후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패킹을 패킹홈에 결합하고 합성수지관을 내부공간에 결합하여 압륜의 누름 돌출부로 패킹을 눌러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원주방향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합성수지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압륜에 고정수단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결합홈을 형성하고 헤드의 설치홈과 걸림대를 이용하여 고정수단의 걸고리를 걸어 간편하게 연결함으로써 수압이나 진동 및 지반 침하와 같은 외부 요인으로 체결상태를 해체할 수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합성수지관(10)은 내부에 사각형이나 원형이 하나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여 성형하거나, 내부에 열십자 형태의 보강대가 형성된 프로파일을 나선형으로 공급하면서 프로파일의 사이에 용융된 수지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하수관 및 압출에 의해 성형하는 수도관 등에 사용하는 것이다.
합성수지관(10)은 연속성형에 의해 제조하며,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한쪽 선단에 금형을 이용하여 헤드(11)를 일체형으로 성형하되, 헤드(11)의 내부에는 패 킹(15)을 삽입하는 패킹홈(18)을 성형하고, 선단에는 외경으로 돌출부(12)가 더 돌출 되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부(1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걸고리(26)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공간인 설치홈(13)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고, 설치홈(13)의 사이에는 걸림대(14)가 형성되어 걸고리(26)가 걸려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헤드(11)의 외측으로 압륜(16)이 설치되는 것이며, 압륜(16)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패킹(15)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 돌출부(19)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돌출부(12)와 같은 외경을 갖도록 성형한다.
압륜(16)에는 소정의 간격에 3∼8개의 범위에서 고정수단(20)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결합홈(17)을 형성한다.
상기 결함홈(17)의 외측에는 돌기부(17a)를 돌출시켜 고정대(21)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돌기부(17a)의 사이 중앙은 개방부(17b)와 같이 개방되어 돌출부(22)와 작동부(23)가 위치하며, 돌기부(17a)의 외측 공간부(17c)에는 걸고리(26)가 작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홈(17)은 합성수지를 이용한 압륜(16)을 성형할 수 있지만, 결함홈(17)의 주변에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한 금속재질을 미리 성형한 후 금형에 공급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합홈(17)과 돌기부(17a) 및 공간부(17c)의 형상을 갖도록 금속재질을 미리 성형하여 금형에 공급한 상태에서 인 서트 사출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20)은 결합홈(17)에 삽입하는 고정대(21)가 형성되며, 고정대(21)에서 경사지게 돌출부(22)가 형성되고, 돌출부(22)의 양쪽에 작동부(23)가 위치하여 힌지(24)에 의해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작동부(23)의 한 부분에는 회전축(25)을 삽입하고, 회전축(25)의 양쪽에는 'ㄷ'형의 걸고리(26)를 관통시켜 조절 너트(27)로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작동부(23)의 한 부분에는 손잡이(28)를 설치하여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10)을 성형한 후에는 금형에 합성수지관(10)의 선단을 공급하여 헤드(11)와 일체형이 되도록 인서트 사출성형하거나, 헤드(11)를 독립되게 사출성형한 후 합성수지관(10)의 한쪽 선단에 맞대기 접합방법이나 웰딩융착과 같은 다양한 연결방법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헤드(11)와 일체형으로 연결한 합성수지관(10)은 매설할 현장에서 헤드(11)의 외측에서 연결할 합성수지관(10a)을 삽입한 후 패킹홈(18)에 패킹(15)을 삽입하고, 패킹(15)의 외측에서 압륜(16)을 결합하되 누름 돌출부(19)가 패킹(15)을 눌러 패킹홈(18)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압륜(16)이 패킹(15)을 눌러 어느 정도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수단(20)의 고정대(21)를 압륜(16)의 외측에 형성한 결합홈(17)에 조립하면 고정대(21)와 결합홈(17)이 일치하면서 고정수단(20)의 설치가 완료된다.
고정수단(20)을 설치하면 돌기부(17a)에 의하여 결합홈(17)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며, 개방부(17b)로 돌출부(22)와 작동부(23)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걸고리(26)는 공간부(17c)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수단(20)의 손잡이(28)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고리(26)의 위치가 헤드(11)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걸고리(26)가 헤드(11)의 돌출부(12)에 형성한 설치홈(13)과 일치하도록 압륜(16)을 회전시켜 조절한다.
돌출부(12)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홈(13)을 형성한 것이므로 압륜(16)을 조금만 회전시켜도 간편하게 일치하는 위치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걸고리(26)가 설치홈(13)에 일치하면 걸고리(26)를 걸림대(14)에 걸어 손잡이(28)를 누르면 힌지(24)를 축으로 회전하면서 손잡이(28)가 회전되어 체결상태를 유지한다.
압륜(16)에 설치한 결합홈(17)에 차례대로 다수의 고정수단(20)을 하나씩 결합하여 체결상태를 유지하면 압륜(16)과 헤드(11)를 원주방향에서 균일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수단(20)을 이용하여 체결하게 되면 회전축(25)이 풀림 방지링(29)에 결합하면서 풀림 방지링(29)에서 회전축(25)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되므 로 고정수단(20)을 이용하여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관 수도관과 같은 합성수지관의 한쪽 선단에 헤드를 일체형으로 연결하여 압륜을 이용한 고정수단의 결합으로 합성수지관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연결하여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을 빠르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압륜에 고정수단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대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헤드에 압륜과 패킹을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압륜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합성수지관 11 : 헤드
12 : 돌출부 13 : 설치홈
14 : 걸림대 15 : 패킹
16 : 압륜 17 : 결합홈
17a : 돌기부 17b : 개방부
17c : 공간부 18 : 패킹홈
19 : 누름 돌출부 20 : 고정수단
21 : 고정대 22 : 돌출부
23 : 작동부 24 : 힌지
25 : 회전축 26 : 걸고리
27 : 조절너트 28 : 손잡이
29 : 풀림 방지구

Claims (4)

  1. 합성수지관(10)의 한쪽 선단에 패킹홈(18)을 형성한 헤드(11)를 일체형으로 연결하고 패킹홈(18)에 패킹(15)을 삽입하며 합성수지관(10a)을 헤드(11)의 내경에 결합하여 압륜(16)의 누름 돌출부(19)가 패킹(15)을 눌러 수밀을 유지하는 합성수지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외경으로 설치한 돌출부(12)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설치홈(13)과 걸림대(14)를 형성한 헤드(11)와;
    상기 돌출부(12)의 전방에서 고정수단(20)을 설치하는 결함홈(17)을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한 압륜(16)과;
    상기 결합홈(17)에 설치한 고정수단(20)으로 헤드(11)의 돌출부(12) 전방에 압륜(16)의 누름 돌출부(19)가 패킹(15)을 누르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압륜(16)은 결합홈(17)의 외측 양쪽으로 돌기부(17a)를 형성하며 중앙에 개방부(17b)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17a)의 외측에 공간부(17c)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0)은 결합홈(17)에 설치하는 고정대(21)에 돌출부(22)를 경사지게 돌출하여 손잡이(28)와 연결한 작동부(23)를 힌지(24)로 연결하고, 상기 작동부(23)의 한 부분에 회전축(25)을 설치한 후 걸고리(26)를 관통시켜 조절너트(27)로 고정하며, 상기 걸고리(26)가 돌출부(12)의 설치홈(13)에서 걸림대(14)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0)은 고정대(21)의 한 부분에 풀림 방지링(29)을 설치하여 회전축(25)을 고정시켜 풀림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KR1020070098811A 2007-10-01 2007-10-01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KR100819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11A KR100819531B1 (ko) 2007-10-01 2007-10-01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811A KR100819531B1 (ko) 2007-10-01 2007-10-01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531B1 true KR100819531B1 (ko) 2008-04-08

Family

ID=3953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811A KR100819531B1 (ko) 2007-10-01 2007-10-01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975U (ko) 1976-08-05 1978-02-25
JPS5677101U (ko) 1979-11-15 1981-06-23
JPS58177686U (ja) 1982-05-20 1983-11-28 有限会社協和技研工業 ダクト・ジヨイント構造
JPS59177201U (ja) 1983-05-12 1984-11-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イクロ波導波管の着脱機構
JP2001056081A (ja) 1999-06-07 2001-02-27 Showa Kiki Kogyo Co Ltd 液体荷卸し用接続金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2975U (ko) 1976-08-05 1978-02-25
JPS5677101U (ko) 1979-11-15 1981-06-23
JPS58177686U (ja) 1982-05-20 1983-11-28 有限会社協和技研工業 ダクト・ジヨイント構造
JPS59177201U (ja) 1983-05-12 1984-11-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イクロ波導波管の着脱機構
JP2001056081A (ja) 1999-06-07 2001-02-27 Showa Kiki Kogyo Co Ltd 液体荷卸し用接続金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2796B1 (en) Shower head holder
KR101013796B1 (ko)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KR100577964B1 (ko) 압륜을 이용한 수도관 안전 연결용 연결구
KR100819531B1 (ko) 압륜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KR100883643B1 (ko) 균일하고 강한 연결이 가능한 커플링 연결구
KR100819532B1 (ko) 헤드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안전 연결 구조
KR20080026751A (ko) 풀림방지 및 연결소켓이 체결된 관연결장치
CA3068999A1 (en) Pipe clamp
KR100958716B1 (ko) 상하수도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0979222B1 (ko) 상하수도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EP1471206B1 (en) Fastening means, and method for making a casing using such a fastening means.
KR100828418B1 (ko) 헤드를 이용한 합성수지용 안전 연결 구조
KR101962473B1 (ko) 분기관 접속 연결소켓
TW200912174A (en) Reinforced grommet for cured in place liner
KR100897606B1 (ko) 패킹을 이용한 폴리에틸렌관 안전 연결용 연결구
KR200395103Y1 (ko) 편수관용 수밀 연결구조
KR101083327B1 (ko) 플랜지와 스토퍼를 이용하여 연결한 상하수도관
KR20110061179A (ko) 세트 앵커볼트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200386818Y1 (ko) 가압식 밀크 그라우팅을 이용한 쏘일 네일링 구조
KR100915137B1 (ko) 합성수지 편수관용 연결구조
KR101181208B1 (ko) 회전손잡이가 구비된 관 연결 어셈블리
KR101143365B1 (ko) 유체이송관의 배관을 위한 이음구
GB2418469A (en) Connector assembly
CN201041177Y (zh) 一种内嵌连接件及其用内嵌连接件安装封口装置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