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700B1 -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700B1
KR100818700B1 KR1020080000655A KR20080000655A KR100818700B1 KR 100818700 B1 KR100818700 B1 KR 100818700B1 KR 1020080000655 A KR1020080000655 A KR 1020080000655A KR 20080000655 A KR20080000655 A KR 20080000655A KR 100818700 B1 KR100818700 B1 KR 10081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il
raw material
cooling wat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성
Original Assignee
장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한성 filed Critical 장한성
Priority to KR102008000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700B1/ko
Priority to PE2008000499A priority patent/PE20081005A1/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3/00Recovery of fats, fatty oils or fatty acids from wast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메인탱크(11)와, 메인탱크(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쇄원료를 저어주는 임펠러(12)와, 메인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12)를 회전시키는 임펠러모터(13)를 포함하는 원료분리탱크(10); 원료분리탱크(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켓(15); 자켓(15)으로 스팀을 공급하고, 그 자켓(15)을 경유한 스팀을 회수하는 순환스팀발생부(20); 파쇄원료가 저장되는 파쇄원료저장탱크(40); 파쇄원료저장탱크(40)에 저장된 파쇄원료를 원료분리탱크(10)로 압송하는 파쇄원료압송펌프(50); 원료분리탱크(10) 내부의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부(60); 통형의 탱크(71)와, 탱크(7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료분리탱크로(10)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로 이루어진 열전도파이프군(72)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탱크(71)의 상,하부측중 일측이 열전도파이프군(72)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라인(L3)과 연결되고, 탱크(71)의 상,하부측중 타측이 열전도파이프군(72)과 접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라인(L4)과 연결되며, 탱크(71)의 하단은 액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드레인라인(Ld)과 연결되는 열교환기(70); 및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a oil and feed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수산물 부산물인 내장등으로부터 오일 및 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내장과 같은 부산물이 전체 무게의 10~30% 가량 발생된다. 예를 들면 오징어의 경우, 내장과 같은 부산물이 전체 무게의 10~15% 가량의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부산물은 수산물을 가공할 때 몸통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발생되는데, 이렇게 분리된 부산물은 대부분 바다에 버려서 폐기하고 있었다.
그런데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엄청난 양의 부산물의 대부분은 바다에 버려져 폐기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수산물 부산물에 의하여 바다가 오염되는 등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산물 의 부산물로부터 오일과 사료를 생산함으로써 폐기되는 부산물을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산물 부산물에 의한 환경오염, 특히 해양오염을 줄일 수 있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산물 부산물로부터 DHA 및 타우린등 유용한 성분들이 농축된 오일과 사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은,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된 파쇄원료로부터 오일과 액상의 수분과 사료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메인탱크(11)와, 상기 메인탱크(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쇄원료를 저어주는 임펠러(12)와, 상기 메인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12)를 회전시키는 임펠러모터(13)를 포함하는 원료분리탱크(10); 상기 원료분리탱크(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켓(15); 상기 자켓(15)으로 스팀을 공급하고, 그 자켓(15)을 경유한 스팀을 회수하는 순환스팀발생부(20); 상기 파쇄원료가 저장되는 파쇄원료저장탱크(40); 상기 파쇄원료저장탱크(40)에 저장된 파쇄원료를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 압송하는 파쇄원료압송펌프(50); 상기 원료분리탱크(10) 내부의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부(60); 통형의 탱크(71)와, 탱크(7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분리탱크로(10)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로 이루어진 열전도파이프군(72)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71)의 상,하부측중 일측이 상기 열전도파이프군(72)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라인(L3)과 연결되고, 상기 탱크(71)의 상,하부측중 타측이 상기 열전도파이프군(72)과 접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라인(L4)과 연결되며, 상기 탱크(71)의 하단은 액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드레인라인(Ld)과 연결되는 열교환기(70); 및 상기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 투입되는 파쇄원료를 만들기 위한 파쇄부(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2)는, 상기 메인탱크(11) 내벽에 부착된 파쇄원료를 분리하기 위한 날개(12a)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스팀발생부(20)는, 상기 자켓(15)과 연결된 스팀공급라인(L1)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보일러(21)와, 상기 자켓(15)과 연결된 스팀회수라인(L2)으로 회수되는 스팀이 저장되는 스팀회수탱크(22)와, 상기 스팀공급라인(L1)에 설치되는 제2압송펌프(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회수부(60)는, 상기 원료분리탱크(10) 내부에서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압송펌프(61)와, 상기 오일암송펌프(61)에 의하여 압송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탱크(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공급부(80)는, 상기 열교환기(70)를 경유한 냉각수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냉각수회수라인(L4)과 연결되는 냉각수저장탱크(81)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81)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기(70)와 연결된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압송하기 위한 냉각수압송펌프(8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부터 넘치는 오일, 수분 및 수증기의 혼합물이 일시 저장되는 것으로서, 오일 및 수분을 그 원료분리탱크(10)로 역류시키고, 상기 수증기를 상기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으로 공급하는 제1기액분리부(9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70)를 경유하였지만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제2기액분리부(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액분리부(100)는, 상기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과 연결되는 라인(L7)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탱크(101)와, 상기 기액분리탱크(101)를 경유하였지만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를 압송하는 압송펌프(102)와, 상기 압송펌프(102)에 의하여 압송된 수증기가 저장되는 여액탱크(103)를 포함한다.
상기 제2기액분리부(100)는, 상기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과 연결되는 라인(L7)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증기로부터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분리탱크(101)와, 상기 기액분리탱크(101)에서 분리된 액체를 압송하는 압송펌프(102)와, 상기 압송펌프(102)에 의하여 압송된 액체를 저장하는 여액팅크(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에 따르면, 과거에 폐기되었던 수산물 부산물을 가공함으로써 유용하게 사용가능한 오일과 사료를 생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폐기되는 수산물 부산물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바다와 같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산물 부산물로부터 생산되는 오일이나 사료를 판매할 수 있어,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라는 작용,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원료분리탱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어서,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은, 수산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내장등과 같은 부산물을 이용함으로써 DHA 나 타우린등 유용한 성분들이 포함된 오일과 사료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은 다양한 수산물의 부산물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수산물중 오징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은,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된 파쇄원료로부터 오일과 액상의 수분과 사료로 분리하기 위한 원료분리탱크(10)와; 원료분리탱크(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켓(15)과; 자켓(15)으로 스팀을 공급하고, 그 자켓(15)을 경유한 스팀을 회수하는 순환스팀발생부(20)와; 투입되는 수산물 부산물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부(30)와; 파쇄부(30)에서 파쇄된 파쇄원료가 일시 저장되는 파쇄원료저장탱크(40)와; 파쇄원료저장탱크(40)에 저장된 파쇄원료를 원료분리탱크(10)로 압송하는 파쇄원료압송펌프(50)와; 원료분리탱크(10) 내부의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부(60)와; 원료분리탱크(10) 내부의 파쇄원료로부터 발생된 수증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70)와; 열교환기(70)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80)와; 원료분리탱크(10)로부터 넘치는 오일, 수분 및 수증기의 혼합물이 일시 저장되는 것으로서, 오일 및 수분을 그 원료분리탱크(10로 역류시키고, 수증기를 열교환기(70)로 공급하는 제1기액분리부(90)와; 열교환기(70)를 경유한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제2기액분리부(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료분리탱크(10)는 파쇄연료로부터 오일과 액상의 수분과 사료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원료분리탱크(1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메인탱크(11)와, 메인탱크(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쇄원료를 저어주는 임펠러(12)와, 메인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12)를 분당 수회에서 수십회 회전시키는 임펠러모터(13)를 포함한다. 임펠러(12)는, 메인탱크(11) 내측벽에 부착된 파쇄원료를 분리하기 위한 날개(12a)를 가지며, 이러한 날개(12a)는 메인탱크(11) 내주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고무로 되어 있다. 또한 임펠러는 메인탱크(11)의 바닥에 부착된 파쇄원료 를 분리하기 위하여 완만한 곡률을 이루는 날개(12a')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날개로 실리콘이나 고무로 되어 있다.
자켓(15)은 원료분리탱크(10)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켓(15)은, 메인탱크(11)의 외주면 및 바닥을 완전히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메인탱크(11)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된다. 자켓(15)에는 고온의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공급라인(L1)과, 메인탱크(11)의 외주면을 경유한 스팀을 회수하기 위한 스팀회수라인(L2)이 연결되어 있으며, 스팀공급라인(L1) 및 스팀회수라인(L2)에 의하여 자켓(15) 내부를 경유하는 스팀의 온도는 메인탱크(11)를 통하여 수산물 부산물인 파쇄원료를 가열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자켓(15)스팀의 고온에 의하여 가열되는 수산물 부산물은 임펠러(12)에 의하여 저어지고, 이에 따라 파쇄원료가 함유하고 있는 오일과 액상의 수분과 사료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오일과 수분이 제거되어 만들어진 사료는, 원료분리탱크(10)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사료배출라인(L10)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사료는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퇴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순환스팀발생부(20)는, 자켓(15)과 연결된 스팀공급라인(L1)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보일러(21)와, 자켓(15)과 연결된 스팀회수라인(L2)으로 회수되는 스팀이 저장되는 스팀회수탱크(22)와, 스팀보일러(21)와 스팀회수탱크(22)를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는 제1압송펌프(23)와, 스팀공급라인(L1)에 설치되는 제2압송펌프(2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스팀보일러(21)에서는 스팀을 발생 하고, 제2압송펌프(24)는 스팀보일러(21)에서 발생된 스팀을 스팀공급라인(L1)으로 압송하며, 스팀회수탱크(22)는 스팀회수라인(L2)으로 회수되는 스팀을 저장하고, 제1압송펌프(23)는 스팀회수탱크(22)로 회수된 스팀 또는 수분을 스팀보일러(21)로 압송한다.
파쇄부(30)는,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파쇄원료로 만든다. 이를 위하여 파쇄부(30)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파쇄기가 필요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파쇄기를 사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파쇄부(30)는 투입되는 수산물 부산물을 1차로 파쇄하는 제1파쇄기(31)와, 제1파쇄기(31)에서 파쇄된 부산물 원료를 2차로 파쇄하는 제2파쇄기(32)와, 제1파쇄기(31)에서 파쇄된 부산물 원료를 제2파쇄기(32)로 이송시키는 파쇄원료이송부(33)를 포함한다. 제1파쇄기(31)에는 2 개의 파쇄롤러가 상호 엇갈리게 회전됨으로써 수산물 부산물을 1차로 파쇄하고, 제2파쇄기(32)는 다수의 커터가 설치된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1차 파쇄된 수산물 부산물을 2차 파쇄하여 파쇄원료로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제1,2파쇄기(31)(32)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파쇄원료이송부(33)는 스크류 방식의 콘베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원료저장탱크(40)는, 제2파쇄기(32)에서 잘게 파쇄된 파쇄원료가 저장되는 곳이고, 파쇄원료압송펌프(50)는, 파쇄원료저장탱크(40)에 저장된 파쇄원료를 파쇄원료공급라인(L9)을 통하여 원료분리탱크(10)로 압송하는 장치이다.
오일회수부(60)는, 원료분리탱크(10)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장치로서, 원료분리탱크(10) 내부에서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압송 펌프(61)와, 오일암송펌프(61)에 의하여 압송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탱크(62)를 포함한다.
임펠러(12)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은 파쇄원료의 상부측으로 모아지고, 이 오일은 오일압송펌프(61)에 의하여 압송되어 오일저장탱크(62)에 저장되는 것이다.
열교환기(70)는, 원료분리탱크(10) 내부에서 파쇄원료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열교환기(7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탱크(71)와, 탱크(7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 즉 수십에서 수백개의 열전도파이프로 이루어진 열전도파이프군(72)을 포함한다.
이때 탱크(71)의 상,하부측중 일측은 열전도파이프군(72)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라인(L3)이 연결되고, 탱크(71)의 상,후부측증 타측은 열전도파이프군(72)과 접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라인(L4)과 연결된다. 여기서 열전도파이프군(72)은 원료분리탱크로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통과되는 곳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후술할 냉각수공급부(8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각수공급라인(L3)로 유입된 후 냉각수배출라인(L4)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냉각수는 열전도파이프군(72)의 외주면을 냉각시키고, 이 상태에서 원료분리탱크(10)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열전도파이프군(72)을 통과하면 수증기는 냉각되어 액화되기가 용이한 생태가 된다.
그리고 탱크(71)의 하단측은 드레인 라인(Ld)과 연결되어, 냉각수에 의하여 수증기가 냉각되어 액화된 수분이 드레인 라인(Ld)으로 드레인된다.
냉각수공급부(80)는,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각수공급부(8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수나 바닷물을 열교환기(70)로 공급하여 냉각시키거나, 별도의 냉각수탱크 및 펌프를 채용하여 냉각수를 열교환기(70)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수공급부(80)는 열교환기(70)를 경유한 냉각수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냉각수회수라인(L4)과 연결되는 냉각수저장탱크(81)와, 냉각수저장탱크(81)에 저장된 냉각수를 열교환기(70)와 연결된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압송하기 위한 냉각수압송펌프(82)를 포함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다.
제1기액분리부(90)는, 원료분리탱크(10)로부터 넘치는 오일, 수분 및 수증기의 혼합물이 일시 저장되는 것으로서, 오일 및 수분을 그 원료분리탱크(10로 역류시키고, 수증기를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기액분리부(90)는 전체적으로 탱크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 일측은 원료분리탱크(10)의 상부와 별도의 라인(L5)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부 타측은 열교환기(70)의 탱크(71) 상부, 즉 열교환기의 열전도파이프군(72)과 연결되는 또 다른 라인(L6)에 의하여 연결된다.
제2기액분리부(100)는, 열교환기(70)를 경유한 수증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을 경유하였지만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2기액분리부(100)는,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과 연결되는 라인(L7)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탱크(101)와, 기액분리탱크(101)를 경유 하였지만 액상화되지 않은 수증기를 압송하는 압송펌프(102)와, 압송펌프(102)에 의하여 압송된 수증기가 저장되는 여액탱크(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액분리탱크(101)는 내부에 공동이 형성된 탱크로서, 상부측은 열교환기(70)와 연결되는 라인(L7)이 연결되고, 하부측은 드레인 라인(Ld)과 연결된다. 이때 기액분리탱크(101)는 2 개 혹은 3 개 이상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기액분리탱크(101)의 최상단과 연결된 라인이 다른 기액분리탱크의 상부 측부와 연결되고, 하부측은 드레인 라인(Ld)과 연결된다. 그리고, 기액분리탱크(101)의 최상단과 연결되는 라인은 압송펌프(102)와 연결되고, 압송펌프(102)는 여액탱크(103)와 연결되며, 여액탱크(103)의 하단은 드레인라인(Ld)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2기액분리부(100)에 의하여, 열교환기(70)에 의하여도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를 다시 한번 액화시켜 드레인라인(Ld)으로 배출할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조의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파쇄부(30)에 의하여 파쇄된 수산물 부산물은 파쇄원료로 된 후, 파쇄원료압송펌프(50)에 의하여 파쇄원료공급라인(L9)을 경유하여 원료분리탱크(10)로 공급된다. 또한, 순환스팀발생부(20)의 스팀보일러(21)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공급라인(L1)을 통하여 자켓(15)으로 공급된 후, 스팀회수라인(L2)을 경유하여 스팀회수탱크(22)로 회수되고, 이 과정에서 자켓(15)을 경유하는 고온의 스팀은 원료분리탱크(10)의 메인탱크(11)를 가열시킨다. 이 상태에서, 회전되는 임펠러(12)는 가열된 파쇄원료를 저으면서 오일과 수증기와 액상의 수분과 사료로 분리한다. 이렇게 분 리된 오일은 라인(L11)을 통하여 오일회수부(60)로 회수되고, 수증기는 제1기액분리부(90) 및 제2기액분리부(100)를 경유하면서 액상의 수분으로 되며, 액상의 수분은 제1기액분리부(90)를 경유한 후 라인(L12)을 경유하여 원료분리탱크(10)로 회수된다. 그리고, 원료분리탱크(10)에서 분리된 사료는 사료배출라인(L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사료는 수분함유율이 20~40% 정도가 되기 때문에, 죽과 같은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원료분리탱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있어서,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료분리탱크 11 ... 메인탱크
12 ... 임펠러 12a ... 날개
13 ... 임펠러모터 15 ... 쟈켓
20 ... 순환스팀발생부 21 ... 스팀보일러
22 ... 스팀회수탱크 23 ... 제1압송펌프
24 ... 제2압송펌프 30 ... 파쇄부
31 ... 제1파쇄기 32 ... 제2파쇄기
33 ... 파쇄원료이송부 40 ... 파쇄원료저장탱크
50 ... 파쇄원료압송펌프 60 ... 오일회수부
61 ... 오일압송펌프 62 ... 오일저장탱크
70 ... 열교환기 71 ... 탱크
72 ... 열전도파이프군 80 ... 냉각수공급부
81 ... 냉각수저장탱크 82 ... 냉각수압송펌프
90 ... 제1기액분리부 100 ... 제2기액분리부
101 ... 기액분리탱크 102 ... 압송펌프
103 ... 여액탱크
L1 ... 스팀공급라인 L2 ... 스팀회수라인
L3 ... 냉각수공급라인 L4 ... 냉각수배출라인

Claims (8)

  1.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된 파쇄원료로부터 오일과 액상의 수분과 사료로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통형상의 메인탱크(11)와, 상기 메인탱크(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쇄원료를 저어주는 임펠러(12)와, 상기 메인탱크(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임펠러(12)를 회전시키는 임펠러모터(13)를 포함하는 원료분리탱크(10);
    상기 원료분리탱크(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자켓(15);
    상기 자켓(15)으로 스팀을 공급하고, 그 자켓(15)을 경유한 스팀을 회수하는 순환스팀발생부(20);
    상기 파쇄원료가 저장되는 파쇄원료저장탱크(40);
    상기 파쇄원료저장탱크(40)에 저장된 파쇄원료를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 압송하는 파쇄원료압송펌프(50);
    상기 원료분리탱크(10) 내부의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회수부(60);
    통형의 탱크(71)와, 탱크(71)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분리탱크로(10)부터 발생된 수증기가 통과되는 다수개의 열전도파이프로 이루어진 열전도파이프군(72)을 포함하고, 상기 탱크(71)의 상,하부측중 일측이 상기 열전도파이프군(72)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수공급라인(L3)과 연결되고, 상기 탱크(71)의 상,하부측중 타측이 상기 열전도파이프군(72)과 접촉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배출라인(L4)와 연결되며, 상기 탱크(71)의 하단은 액화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드레인라인(Ld)과 연결되는 열교환기(70); 및
    상기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공급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물 부산물을 파쇄하여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 투입되는 파쇄원료를 만들기 위한 파쇄부(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12)는, 상기 메인탱크(11) 내벽에 부착된 파쇄원료를 분리하기 위한 날개(12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스팀발생부(20)는, 상기 자켓(15)과 연결된 스팀공급라인(L1)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보일러(21)와, 상기 자켓(15)과 연결된 스팀회수라인(L2)으로 회수되는 스팀이 저장되는 스팀회수탱크(22)와, 상기 스팀공급라인(L1)에 설치되는 제2압송펌프(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회수부(60)는, 상기 원료분리탱크(10) 내부에서 파쇄원료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압송펌프(61)와, 상기 오일암송펌프(61)에 의하여 압송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탱크(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공급부(80)는, 상기 열교환기(70)를 경유한 냉각수가 저장되는 것으로서 냉각수회수라인(L4)과 연결되는 냉각수저장탱크(81)와, 상기 냉각수저장탱크(81)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열교환기(70)와 연결된 냉각수공급라인(L3)으로 압송하기 위한 냉각수압송펌프(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분리탱크(10)로부터 넘치는 오일, 수분 및 수증기의 혼합물이 일시 저장되는 것으로서, 오일 및 수분을 그 원료분리탱크(10)로 역류시키고, 상기 수증기를 상기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으로 공급하는 제1기액분리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70)를 경유하였지만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제2기액분리부(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기액분리부(100)는, 상기 열교환기(70)의 열전도파이프군(72)과 연결되는 라인(L7)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수증기로부터 액상의 수분을 분리하는 기액분리탱크(101)와, 상기 기액분리탱크(101)를 경유하였지만 액화되지 않은 수증기를 압송하는 압송펌프(102)와, 상기 압송펌프(102)에 의하여 압송된 수증기가 저장되는 여액탱크(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KR1020080000655A 2008-01-03 2008-01-03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KR10081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55A KR100818700B1 (ko) 2008-01-03 2008-01-03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PE2008000499A PE20081005A1 (es) 2008-01-03 2008-03-19 Sistema y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ceba y aceite con residuos de productos marin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655A KR100818700B1 (ko) 2008-01-03 2008-01-03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8700B1 true KR100818700B1 (ko) 2008-04-03

Family

ID=3953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655A KR100818700B1 (ko) 2008-01-03 2008-01-03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8700B1 (ko)
PE (1) PE2008100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32B1 (ko) * 2016-07-05 2017-01-25 원점복 전기 스팀 증폭 장치
CN107568775A (zh) * 2017-10-30 2018-01-12 深圳润丰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猪饲料颗粒快速冷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313U (ko) * 1996-09-25 1998-07-06 박용원 균체발효사료 및 균체퇴비의 제조장치
KR19990039649A (ko) * 1997-11-13 1999-06-05 김선유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020014975A (ko) * 2000-08-19 2002-02-27 김상영 음식물 사료화 공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313U (ko) * 1996-09-25 1998-07-06 박용원 균체발효사료 및 균체퇴비의 제조장치
KR19990039649A (ko) * 1997-11-13 1999-06-05 김선유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사료를 제조하는 방법
KR20020014975A (ko) * 2000-08-19 2002-02-27 김상영 음식물 사료화 공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32B1 (ko) * 2016-07-05 2017-01-25 원점복 전기 스팀 증폭 장치
CN107568775A (zh) * 2017-10-30 2018-01-12 深圳润丰投资咨询有限公司 一种猪饲料颗粒快速冷却装置
CN107568775B (zh) * 2017-10-30 2019-11-12 重庆福斯特饲料股份有限公司 一种猪饲料颗粒快速冷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081005A1 (es)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7154B2 (ja) 供給原料を用いた連続攪拌槽溶媒抽出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118705B (zh) 一种微藻水热液化制取生物油的连续式反应系统及方法
CN106883932B (zh) 一种低能耗高得率获得杉木精油的生产方法及生产线
JP2009183805A (ja) バイオマスの水熱分解装置及び方法、バイオマス原料を用いた有機原料の製造システム
JP2010179302A (ja) 亜臨界水分解処理物の生産方法および亜臨界水分解処理物生産装置
JP2008253861A (ja) バイオマス処理用連続式高圧水熱反応装置
KR100818700B1 (ko) 수산물 부산물을 이용한 오일 및 사료 생산시스템
CN214422584U (zh) 一种炼油设备
CN110732157A (zh) 一种高稳定性虾青素的提取设备及提取方法
KR20200041557A (ko) 폐식용유 회수가 가능한 튀김부스러기 기반 펠릿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210151029U (zh) 一种熔盐热解沼渣并制备苯酚类化合物的装置
CN209652204U (zh) 一种用于牡蛎中提取牛磺酸的加热设备
CN217972963U (zh) 一种污泥脱水干化装置
CN106044714A (zh) 电解与二氧化氯制备相对独立的综合法二氧化氯制备系统
JPS62187791A (ja) プラスチツクスクラツプから油脂状炭化水素燃料等の回収方法
CN201817424U (zh) 一种大茴香脑生产线
CN108912072A (zh) 利用植物秸秆制取糠醛的制备装置和方法及应用
CN211987189U (zh) 一种用于白藜芦醇的生产的萃取装置
WO2021124444A1 (ja) 植物原油の脱ガム装置
CN208975984U (zh) 一种高效、安全的饲料粉碎机
CN216203257U (zh) 一种石蜡乳液生产用加热冷却系统
CN207227053U (zh) 一种利用海底低温淡化海水的装置
CN201062244Y (zh) 应用于生物源废弃物处理装置中的分离装置
CN106669577B (zh) 一种闭路循环生产及气体循环利用装置
CN209537357U (zh) 一种利用玉米芯生产糠醛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