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619B1 -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619B1
KR100818619B1 KR1020060083540A KR20060083540A KR100818619B1 KR 100818619 B1 KR100818619 B1 KR 100818619B1 KR 1020060083540 A KR1020060083540 A KR 1020060083540A KR 20060083540 A KR20060083540 A KR 20060083540A KR 100818619 B1 KR100818619 B1 KR 10081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trunk
soil
protection device
r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0266A (ko
Inventor
김희상
Original Assignee
김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상 filed Critical 김희상
Priority to KR102006008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619B1/ko
Publication of KR2008002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나무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가 형성되고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가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 및 수간을 상기의 수간 관통구까지 인입하기 위해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어린 소경목의 나무로 재식되어 중경목을 거쳐 대경목에 이르는 한 나무의 전체의 생장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 및 근부를 동력예초기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근원부위 아래에 서식하는 잡초를 예방하고 근부 주변의 지온을 상승시켜 근부의 활력과 활착력을 높이며 잡초의 발생이 예방되어 영양쟁탈을 완화함으로써 견실하게 성장하도록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나무의 근원부위피복보호방법을 개시한다.
수간, 근원부, 절편부, 방사상, 통공, 인입부, 절취, 관통구

Description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TRUNK AND ROOT COLLAR PRE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대략적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를 복수의 판으로 구성하는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를 침적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절편부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조임식고정보호장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절편부를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여러 개를 이용하여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나무를 보호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12: 절편부
13: 고정못
14: 수간 관통구
15: 보조재료
16: 인입부
18: 통공
20: 침적제
50: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
60: 조임식고정보호장치
70: 잡초
100: 나무
본 발명은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무의 근원부 주변에 있는 토양에 대하여 일정면적을 보온 내화 및 투수 통기성 소재로 피복하여 수분과 공기의 소통은 원활하게 하되, 근원부위 토양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유지시켜서 줌으로써 근부활력과 활착률을 높이고 동해와 한해를 예방하며, 특히 직사 태양광선의 지면투사를 막아줌으로써 잡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나무 근원부위의 잡초가 불타면서 수간에 입히는 직접적인 화상과 동력예초기 칼날에 의한 상처를 근원적으로 확실하게 막아주는 등 나무의 생육에 좋은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한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간의 근원부를 보호하기 위한 별다른 방안이 제시되지 않아 산불이 일어날 경우 수목이 화재에 소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나무의 근원부위 부근에는 풀이 무성하게 자라서 화재시 연소를 지속시키고 강도를 높임으로써 화상으로 인해 나무가 타 죽은 경우가 많았으며, 나무 근원부위에서 발생하는 잡초가 나무의 영양분을 흡수하여 생장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이 나무의 근원부위 부근에서 서식하는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예초 작업을 하기 위해서 고속으로 날이 회전하는 동력예초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와 같이 예초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나무의 근원부위 수간에 손상을 주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나무의 근원부위는 한 번 예초기로 손상을 입으면 나무가 생장하는 동안 상처가 아물지 않아 이 부위에 병해충이 침입하여 성목에 이르기까지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는 원인이 된다.
어린 나무로 식재가 이루어진 이후에는 빠른 시간 내에 활착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성목으로 원활하게 자랄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나무가 조기에 성목으로 자라려면 지온이 높은 것이 뿌리의 활착에도 이롭고 튼튼한 수종으로 성장하는 데도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서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시술 방법을 개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나무의 뿌리 및 근원부위를 통하여 병해충의 잠입이 많이 이루어지는 데 이러한 병해충이 나무의 근원부위 및 뿌리부위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지해 줄 수 있는 특별한 방안이 필요하였다.
어린 나무가 재식된 이후에 뿌리의 보호 및 활착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성목으로 무난하게 자라서 꽃을 피우고 견실한 과실을 맺게 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며, 나무의 뿌리로부터 수간으로 이어지는 근원부위를 보호하는 방안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할 것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63624호에서 '나무의 수간 부위 도포용 충전도포제 및 그것을 이용한 수간 부위 보호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특허에서 충전도포제를 사용하여 근원부위를 보호하는 방안도 아울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무의 근원부위에 체결되어 나무의 근원부위를 화재와 병충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 뿌리부분에서 나무의 영양 흡수에 방해를 줄 수 있는 잡초의 발생을 방지하고 영양 쟁탈 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무의 근원부 주변에 있는 토양에 대하여 일정면적을 투수성 보온 내화소재로 피복하여 수분과 공기의 소통은 원활하게 하되, 근원부위 토양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근부활력과 활착률을 높이고 동해와 한해를 예방하며, 직사 태양광선의 지면 투사를 막아줌으로써 잡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나무 근원부위의 잡초가 불타면서 수간에 입히는 직접적인 화상과 동력예초기 칼날에 의한 상처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나무의 생육에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산불과 같은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 나무의 근원부위가 화재로부터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근부의 지중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근부의 활력과 활착률을 제고할 수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수간의 근원부위 주위에서 투수성과 공기소통이 원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나무의 근원부위 아래가 밟히거나 중량이 무거운 차량 등이 지나갔을 경우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직물이나 부직포에 진흙이나 석회를 섞은 침적제가 원단에 스며들게 하여 불연성 소재로 전환하여 구성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티로폼 등 단열재 표면에 은박지를 코팅하여 난연성 소재로 전환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무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가 형성되고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가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 및 수간을 상기의 수간 관통구까지 인입하기 위해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는 나무의 뿌리에서 줄기로 시작하는 근원부 부분에만 한정하여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나무의 근원부 아랫부분에서 뿌리가 뻗어나가는 근부 부분까지 해당한다. 예를 들어, 근부 보호가 무방비 상태의 어떤 나무의 경우는 뿌리의 일부가 지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뿌리는 사람이 밟을 수 있거나 돌, 기계 등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에 노출되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는 이러한 근부까지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소재는 직물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직물이나 부직포를 소재로 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 보호 장치는 투수성과 통기성 및 단열성을 보유하게 되어 뿌리의 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소재는 내피와 외피가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되, 내피는 단열재로 외피는 난연성의 금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외피가 금박으로 둘러싸이면 나무의 근원부 주위에 서식할 수 있는 잡초의 서식이 원천적으로 어렵게 되며, 금박은 화재의 번짐이 예방되기 때문에 화재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한, 내피가 단열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근원부위 토양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유지시켜서 줌으로서 근부활력과 활착률을 높이고 동해와 한해를 예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서 나무 근부의 활착력을 높이게 되며, 어린 나무의 재식이 이루어진 이후에 성목으로 성장하여 꽃을 피우고 과실을 열매 맺게 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위인 근부가 보호되고 강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소재는 내피와 외피가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되, 내피는 부직포로 외피는 난연성의 금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를 충전 도포제에 침적하는 과정을 더 거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는 진흙이나 황토와 같은 토사와 석회 혼합물에 침적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절편부가 수간을 두르도록 수간에 채우고 상기 절편부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조임식고정보호장치가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조임식고정보호장치는 조인 후에 고정이 이루어지며, 배낭에서 어깨 끈을 조이기 위해 흔히 쓰이고 있는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사용되는 소재로서 직사 태양광선의 지면투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근원부위에서의 잡초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따라서, 잡초의 발생이 없으므로 나무 근원부위의 잡초가 불타면서 수간에 입히는 직접적인 화상을 근원적으로 막아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절편부가 수간을 둘러싸도록 수간에 채우고 상기 절편부에 수간 환상 고정 보호판이 체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대략적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면, 나무(100)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 관통구(14)가 형성되고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12)가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18) 및 수간을 상기의 수간 관통구(14)까지 인입하기 위해 원단의 어느 한 변부에서부터 관통구(14)까지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편부(12)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단 원단에 수간 관통구(14)를 천공하고, 수간 관통구(14)의 외주면에서 원단의 외측 변부로 향하는 방사 방향으로 칼질이나 가위질을 하면 될 것이다.
이웃하는 절편부(12) 간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원단에는 여전히 연결되어 있다.
직물이나 부직포와 같이 유연성이 뛰어난 소재를 사용할 경우 부직포를 수간 관통구(14)가 수간을 관통하도록 체결하기는 쉬울 것이다. 이러한, 인입부(16)는 수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을 체결하기 위해 수간 관통구(14)까지 인입하여 넣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도 1에는 인입부(16)가 하나만 형성되어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는 것이며 도 2에는 양 편이 수간에 체결되어 이루어지도록 반씩 분리한 경우이다. 이때 는 수간 관통구(14)를 곧바로 수간을 감싸도록 채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인입부(16)의 형성은 불필요하다. 더 여러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더라도 같은 원리에 의해 제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수간 근부의 보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근부를 수간 관통구(14)가 수간을 관통하도록 결합한 후에 그 아래의 수간 근부를 덮도록 설치가 될 때, 지면에 고착되도록 고정못(13)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절편부(12)의 형상은 어린 소경목이 식재된 이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가 수간에 체결되거나 착용되어 대경목에 이르기까지 수간에 착용된 채로 수간의 근원부위 보호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절편부(12)에 의해서 형성되는 수간 관통구는 나무가 소경목에서 대경목으로 성장함에 따라, 절편부(12)가 산개하면서 수간 관통구(14)의 직경은 확장된다고 말할 수 있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를 복수의 판으로 구성하는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복수의 판으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를 구성할 경우 수간에 체결하는 과정이 더 용이 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일측 반부(10a)와 타측 반부(10b)를 수간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수간 관통구(14)가 수간을 관통하도록 수간에 체결하면 되고 이 때 도 1에서 설명한 인입부(16)의 역할은 중요하지 않게 되며, 설치는 더 용이하되 도 1에서 설명한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와 같은 효과를 발생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일측 반부와 타측 반부로 구성되는 2편이 아니라 더 여러 부분, 즉 3측 이상으로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를 구성하더라도 같은 설명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은 원판이 복수로 분리되어 한조를 이루고, 상기 원판의 한 조에 의해서 나무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14)가 형성되어 지고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12)가 형성되어 지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18)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을 침적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직물 또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을 제작할 경우 난연성 소재로 만들기 위해서 침적제(20)로서 진흙이나 황토 및 석회를 혼합한 재료에 물을 부어 혼합액을 만들어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를 침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의 구조를 형성한 다음에 침적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원단을 침적한 후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구조로 형성하는 것보다 더 용이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부직포를 난연성으로 만들기 위하여 흙과 석회가 혼합된 난연제 혼합물에 침적하는 과정이나 다른 침적제,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등록 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63624호에 따른 충전도포제를 침적제(20)로 이용하여 침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원단으로 사용하는 직물이나 부직포에는 침적과정에서 난연제나 충전도포제의 흡수가 일어나서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 자체가 난연성이 강화된다.
부직포는 천연, 화학, 유리, 금속, 에어 등 각종 섬유를 상호간의 특성에 따라 엉키게 하여 시트모양의 웨브(Web)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 또는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시켜 만든 평면 구조를 말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면 작물 덮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업용 부직포를 원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한 바 있는 충전 도포제를 액상으로 만들어 부직포에 흡착이 일어나도록 하여 난연성과 병해충을 예방할 수 있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63624호에는 정선된 황토와 세립사가 80:20 ~ 20: 60(w %)비율로 혼합된 주재료와, 상기 주재료에 대하여 10~20w% 비율로 혼합된 유지와, 병해충의 방제 및 기피제로서 상기 유지와 함께 혼합된 소량의 농약과, 상기 혼합재료에 대하여 함수율이 10 ~ 30 %가 되도록 혼합된 물로 이루어져 점성과 유동성이 있는 걸쭉한 몰탈 형태를 갖는 나무(100)의 수간 부위 도포용 충전도포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충전도포제에는 농약이 소량 첨가되어서 병충해를 예방하는 역할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의 절편부(12)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조임식고정보호장치(6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를 수간에 체결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절편부(12)가 수간을 둘러싸도록 체결이 이루어진다. 수간을 둘러싸면서 체결되는 절편부(12)는 고정이 되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간에 체결된 이후에는 직경이 확대됨에 따라 느슨하게 풀어주는 관리가 필요한 장치인 조임식고정보호장치(60)가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를 이용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절편부는 나무의 근원부에서 시술된 부위를 감싸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나무(100)가 생장하면서 수간 직경의 확대가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조임식고정보호장치(60)를 약간씩 느슨하게 해주는 관리 과정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절편부(12)가 이미 방사상으로 절취되어 있으므로 절편부(12)는 직경이 확대되면 수간 관통구의 확대가 이루어지도록 산개하여 수간에 조임식고정보호장치를 이용하여 수간에 체결하여 두면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가 나무(100)의 수간에 체결되면 그 주위에는 고정못(13)을 체결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착하여 두면, 본 발명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 보호장치(10)가 지면에서 바람이나 유수 등에 분리되는 것을 막아 뿌리가 노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더욱 바람직한 방안이다.
나무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절편부(12)를 체결한 조임식고정보호장치(60) 부분을 대신하여, 직경이 확대함에 따라서 스스로 확대가 이루어지는 장치를 사용한다면 사후 관리에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이후에는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출원번호 제10-2006-0063051호의 수간피복고정보호 장치(5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수간에 일단 체결된 이후에는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른 관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안을 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50)를 이용하여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수종의 방재를 위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50)가 절편부(12)를 둘러싸고 있다.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50)는 직경이 확대함에 따라 서서히 풀리도록 설계된 장치(50)로서, 한 번 체결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관리가 필요 없는 장치(50)이다. 직경이 확대되면서, 그에 따라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50)도 서서히 풀리면서 수간에 체결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절편부(12) 및 수간피복고정보호장치(50)는 나무의 시술된 부위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나무(100)가 생장함에 따라, 직경이 방사상으로 확대되면서 절편부(12)도 방사상으로 확대 내지는 산개가 이루어지며, 수간 피복고정보호장치(50)도 서서히 풀리면서 절편부(12)에 체결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 여러 개를 이용하여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나무(100)를 보호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하나의 나무(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가 직접 체결되어 있고 그 둘레에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보조 재료(15)가 사용된다. 도면 부호 15가 부여된 보조재료는 수간 관통구와 인입부 또는 통공이 형성 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장치(10)와 그 소재는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조화를 이루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에 사용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는 나무(100) 아래의 넓은 영역에 걸쳐 잡초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써 산불이 번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서 수간에 상처를 줄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 동력 예초기의 사용으로부터 나무(100)를 보호할 수 있고, 나무(100)와 영양 쟁탈을 일으킬 수 있는 무성한 잡초가 자라나지 않도록 나무의 근원부위 주변의 충분한 영역에 걸쳐 예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에 의해서, 나무의 근원부 주변에 있는 토양에 대하여 일정면적을 투수성 보온 내화소재로 피복하여 수분과 공기의 소통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근원부위 토양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유지시켜서 줌으로서 근부활력과 활착률을 높이고 동해와 한해를 예방한다. 특히, 직사 태양광선의 지면투사를 막아줌으로써 잡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나무 근원부위의 잡초가 불타면서 수간에 입히는 직접적인 화상과 동력예초기 칼날에 의한 상처를 근원적으로 확실하게 막아주는 등, 나무의 생육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나무(100)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14)가 형성되고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12)가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18) 및 수간을 상기의 수간 관통구(14)까지 인입하기 위해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장치(10)의 소재는 직물이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소재는 내피와 외피가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되, 내피는 단열재로 외피는 난연성의 금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다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소재는 내피와 외피가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되, 내피는 부직포로 외피는 난연성의 금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는 충전도포제에 침적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는 황토나 진흙과 같은 토사와 석회 및 물의 혼합액에 침적하는 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의 절편부(12)가 수간을 두르도록 수간에 채우고 상기 절편부(12)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조임식고정보호장치(60)가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10)의 절편부(12)가 수간을 둘러싸도록 수간에 채우고 상기 절편부(12)에 수간 피복 고정 보호장치(50)가 체결되어 나무의 근원부위 토양이 보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나무가 생장하는 동안 특별한 관리 없이도 나무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보호 방안을 제공하게 되어 나무의 생장에 기여할 수 있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산불에 따른 화재의 강도가 높아지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하여 수간 및 근원부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나무 아래에 발생하는 잡초를 예초하기 위하여 동력 장치를 나무아래에서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나무의 근원부가 동력예초기에 손상 입는 경우를 방지한다.
또한, 직물이나 부직포를 불연성으로 만든 후 이용할 뿐만 아니라 병해충의 침투가 불리하게 만들어 수간의 근원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겨울철에도 근부의 지중온도를 상승하여 활착률을 제고하여 준다.
또한, 근부 주위에 직물이나 부직포에 의해 완충 보호막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부의 밟힘 피해를 예방하여 준다.
또한, 직사태양광선의 지면투사를 막아줌으로서 잡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나무 근원부위의 잡초가 불타면서 수간에 입히는 직접적인 화상을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는 수간 근원부 시술부위에 체결되어 시술된 부분의 치유가 이루어질 때까지 수간의 시술된 근원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다면, 어린 나무의 재식이 이루어진 이후에 소경목에서 대경목으로 생장하기까지의 전체 생장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나무의 근원부위 및 근부의 보호 및 생장이 충실하게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견실한 성목으로 성장하도록 하여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는 일부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나무의 주변의 토양을 덮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보호장치에는 나무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간관통부로부터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가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수간을 상기 수간관통구까지 인입하기 위해 외측으로부터 수간관통부까지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보호장치는 난연성의 침적제에 침적된 직물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제는 충전도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적제는 토사와 석회의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절편부가 수간을 두르도록 수간에 채운 후, 상기 절편부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조임식 고정보호장치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방법.
  6.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의 절편부가 수간을 둘러싸도록 수간에 채운 후, 상기 절편부에 수간 환상 고정 보호판을 체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방법.
  7. 나무의 주변의 토양을 덮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보호장치에는 나무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간관통부로부터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가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수간을 상기 수간관통구까지 인입하기 위해 외측으로부터 수간관통부까지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보호장치는 내피와 외피가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되, 내피는 단열재로 외피는 난연성의 금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8. 나무의 주변의 토양을 덮도록 소정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복보호장치에는 나무줄기를 관통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간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간관통부로부터 직경이 확대되면서 산개되도록 방사상의 여러 갈래로 절취되어 있는 복수의 절편부가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어 있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수간을 상기 수간관통구까지 인입하기 위해 외측으로부터 수간관통부까지 절취되어 이루어진 인입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보호장치는 내피와 외피가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되, 내피는 직물이나 부직포의 어느 하나로, 외피는 난연성의 금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9. 삭제
KR1020060083540A 2006-08-31 2006-08-31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81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40A KR100818619B1 (ko) 2006-08-31 2006-08-31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40A KR100818619B1 (ko) 2006-08-31 2006-08-31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266A KR20080020266A (ko) 2008-03-05
KR100818619B1 true KR100818619B1 (ko) 2008-04-01

Family

ID=3939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40A KR100818619B1 (ko) 2006-08-31 2006-08-31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44B1 (ko) 2009-06-09 2010-02-16 동국정밀주식회사 무기 항균제가 함유된 난연 항균 보온용 수목보호덮개
KR200495312Y1 (ko) 2021-10-28 2022-04-25 김수년 과실수용 제초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03B1 (ko) * 2009-08-03 2010-03-03 김종호 바이오 식생군락을 형성하는 방법
KR100982542B1 (ko) * 2009-08-03 2010-09-16 김종호 바이오 식생 에코매트 및 그 생산방법
KR101371097B1 (ko) * 2011-07-14 2014-03-26 주식회사 보림 나무 보호장치
CN105052633B (zh) * 2015-07-09 2017-10-31 湘潭皓康生态材料有限公司 一种农林生态抚育垫及其制备方法
CN109105096B (zh) * 2018-08-31 2021-05-14 新昌县集禾汇线束有限公司 一种植物根部罩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16A (ko) * 1995-09-01 1999-06-25 나오이 요시유키 잡초발생 방지작용을 가지는 토양의 표층구조 및 잡초발생 방지방법
KR200372944Y1 (ko) * 2004-10-28 2005-01-14 박건준 조경수목 방수용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4016A (ko) * 1995-09-01 1999-06-25 나오이 요시유키 잡초발생 방지작용을 가지는 토양의 표층구조 및 잡초발생 방지방법
KR200372944Y1 (ko) * 2004-10-28 2005-01-14 박건준 조경수목 방수용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44B1 (ko) 2009-06-09 2010-02-16 동국정밀주식회사 무기 항균제가 함유된 난연 항균 보온용 수목보호덮개
KR200495312Y1 (ko) 2021-10-28 2022-04-25 김수년 과실수용 제초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266A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8619B1 (ko) 나무의 근원부위토양에 대한 피복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737766B1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CN110419385A (zh) 一种茯苓栽种种植培育方法
JPH048236A (ja) 人工芝生を用いた地被植物もしくは低潅木などの植栽方法
JP2001218523A (ja) 苗 木
KR200450252Y1 (ko) 수목의 병해충 방제용 밴드
JP2007089558A (ja) 植物育成用保護マット及び該マットによる植物育成方法
JP2017012034A (ja) 草コモ緑化シート、及び施工方法
RU2210414C1 (ru) Способ огранич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пожаров в линейных защитных лесных насаждениях
KR101162158B1 (ko) 비료줄
KR200408127Y1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RU2085070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ос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3205302B2 (ja) 雑草繁殖防止工法
WO2007058423A1 (en) Mulch for cultivating crops
JP3464059B2 (ja) ソイルカバー及び植物成育助成方法
KR101074514B1 (ko) 수간 피복 보호장치
JP3586250B2 (ja) 植生法面の再緑化方法
JPH07236350A (ja) 苗木の植生方法
CN102150525A (zh) 高寒区生态冬麦防护带及保护性耕作
JP2017158471A (ja) 獣害対策植生シートおよび植生方法
JP2008092921A (ja) 芝を用いたマット材、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防草方法および除草方法、それを用いた植栽ブロックおよび植栽構造体
JP2008148639A (ja) 植生方法
RU2008127342A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трех урожаев картофеля и обогащения земли
JP2002335844A (ja) 防草材及び防草工法
JP2008253244A (ja) 植生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