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547B1 - 갯벌의 고형 정화제 - Google Patents

갯벌의 고형 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547B1
KR100818547B1 KR1020060091014A KR20060091014A KR100818547B1 KR 100818547 B1 KR100818547 B1 KR 100818547B1 KR 1020060091014 A KR1020060091014 A KR 1020060091014A KR 20060091014 A KR20060091014 A KR 20060091014A KR 100818547 B1 KR100818547 B1 KR 10081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idal
solid
bentonit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6270A (ko
Inventor
제창국
Original Assignee
제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창국 filed Critical 제창국
Priority to KR102006009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85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갯벌, 강의 바닥, 해수의 바닥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인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오염된 갯벌 등에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무기질의 고형 정화제가 침강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풀어져 갯벌과 정화제가 혼합됨으로써 갯벌을 정화하고 천연 무기염류가 장기간 갯벌 속에 머물러 갯벌 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성분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갯벌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말상의 천연 무기질 재료 70~80중량%, 벤토나이트 10~15중량%, 물10~15중량%을 혼합 후 압축 성형하여 입자상의 고형체로 제조되며 구형, 육면체형, 원통형, 입체 마름모형 또는 원뿔형성구형의 일정한 형상을 이룬다.
갯벌, 고형정화제, 천연 무기질, 벤토나이트

Description

갯벌의 고형 정화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정화제의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정화제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형 정화제
본 발명은 오염된 갯벌, 강의 바닥, 해수의 바닥을 정화하는데 효과적인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갯벌 등에 본 발명의 천연 무기질의 고형 정화제가 침강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풀어져 갯벌과 정화제가 서로 혼합되어, 갯벌을 정화하고 천연 무기염류가 장기간 갯벌속에 머물도록 하여 갯벌 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성분을 제공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갯벌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형 정화제에 관한 것이다.
갯벌은 육지와 바다가 만나는 곳으로 바다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유기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산업발달로 인하여 공업폐수, 생활하수, 축산폐수, 선상 폐기물 등의 증가로 갯벌이 극심하게 오염되어 양식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각종 화학약품과 황토, 세라믹분체, 제올라이트, 은 등의 각종 광물재료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오염된 해수를 정화하기 위해 잘 알려진 황토를 오염지역에 대량 살포하여 적조현상을 일시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살포되고 있는 정화용 황토는 바지선 등에 실어 살포기를 이용해 무작위로 살포되므로 분말 상태의 황토가 분산되어 오염된 목표지점에 정확히 투여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목표지점에 투여되었다 하더라도 조류에 의해 쉽게 분산된다.
또한 살포된 황토 분말은 해수 바닥에 도달하는 순간까지만 접촉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데 그쳐 해수나 강의 바닥 속이나 갯벌 속까지 정화하지 못하게 되고, 황토 분말이 강이나 해수의 저면 표층에 누적되어 2차 오염문제가 야기 됨으로써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부수적인 처리비용이 발생된다.
오염된 해수를 정화하는 다른 방법으로 소성과정을 통한 다공질 세라믹 소결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는데, 이는 주조공정 중 배출되는 폐주물사를 처분하는데 상당한 수거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것으로써, 소성과정을 통해 다공질 세라믹 소결체를 제조하여 수질정화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폐주물사를 이용하여 수질정화제를 제조할 경우, 소결과정을 거치는데 있어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소결과정 중 천연 미네랄이 열화학반응을 하여 물성이 바뀜으로써 수화기능이나 입자의 기공결여, 분자구조의 변질 등의 결과로 혐기성 세균이 증식된다. 더욱 상세히, 아래의 그림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자연 광물에는 입자마다 크랙(갈라진 틈)이 있어 분쇄하여 갯벌에 투여할 경우 갯벌 속에서 기체나 액체의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아 지속적으로 살아있는 갯벌을 유지할 수 있으나, 소성과정을 거치게 되면 광물 크랙의 일부나 전체가 녹아서 도포 또는 연결됨으로써 자연 정화기능이 소실된다.
Figure 112006067827842-pat00001
그림1
이러한 소결과정은 300~1,150℃에서 이루어지는데, 저온(300~400℃)에서의 세라믹 제품은 토기와 같은 것이고, 고온(500~1,150℃)에서의 세라믹 제품은 도자기와 같은 것으로써 부식되거나 풀어 헤쳐지지 않는다. 또한 세라믹 분말은 물속에서 수화되지 않고 일부는 콜로이드화 되어 갯벌 생물의 피부 내지는 기공을 막아 고사시킨다.
황토나 석회와 미분사 혼합물을 소성시키면 불용성 소다 규산질 화합물이 생기고, 고형체 안에서는 산화 반응뿐만 아니라, 환원반응이 일어나 산화중금속이 원래의 중금속으로 되돌아가 강한 독성을 띠고, 그 상태로 해수나 강에 투여될 경우 불용성 소다 규산질로 인해 물에 전혀 풀어지지 않으며, 해수 바닥에 고형물로 가라앉아 통기성 저하와 미생물(지렁이나 분해생물)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혐기성 세균의 서식지를 만들어 갯벌 속을 시커멓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폐주물사를 소결하여 만든 세라믹 소결체를 정화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소결체에 잔존하는 중금속으로 인한 2차 오염문제가 대두되며, 세라믹 소결체의 성분의 천연 상태의 광물질과 같은 화학조성비를 보인다 할지라도, 소결과정 중 열화학반응을 일으켜 그 분자구조가 천연 광물의 분자구조와는 전혀 상이하게 된다. 그 결과 세라믹 소결체를 정화제로 사용할 경우 천연 광물질과는 전혀 다른 작용 효과를 보여 오히려 수질오염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천연무기질 재료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여 종래의 소결체 정화제의 잔존물에 의한 2차 오염의 발생까지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도록 하고, 갯벌에 투입되면 침강, 팽윤되어 서로 혼합되는 고형 정화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정화제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입자상의 형태를 이루도록 압축 성형하여 오염지역에 정확히 투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고형 정화제가 수층에만 정화효과를 내는데 그치지 않고, 해수나 강의 바닥 속 또는 갯벌 속으로 침강하여 벤토나이트의 팽윤 작용에 의해 침강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바닥 속에서 풀어짐으로써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0.5mm 이하의 조립사(Coarse sand) 0.02중량% ~ 3.3중량%, 0.25mm 이하의 중립사(Medium sand) 0.08중량% ~ 0.63중량%, 0.125mm 이하의 세립사(Fine sand) 0.09중량% ~ 55.5중량%, 0.063mm 이하의 미세립사(Very fine sand) 1~39%, 0.063mm 이상의 니질(silt&clay) 2중량% ~ 98중량% 외 유기물로 이루어진 통상의 갯벌과, 상기 갯벌에 투입되어 갯벌을 정화하도록 성분이 황토, 토석, 규산질원료, 규산 알루미늄원료, 알루미나, 석회원료, 마그네시아원료, 장석질원료, 산화인계원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내지 두 개 이상으로 혼합된 분말 상의 천연무기질재료와, 벤토나이트 및 물을 혼합하여 고형체로 성형시킨 고형정화제에 있어서,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는 필수성분으로서 규산(SiO2)40중량% ~ 85중량%, 알루미나(Al2O3)15중량% ~ 30중량%이고 임의성분으로 산화제이철(Fe2O3)0 ~ 5중량%, 산화칼슘(CaO)0 ~ 5중량%, 산화마그네슘(MgO)0 ~ 5중량%, 산화나트륨(Na2O)0 ~ 5중량%, 산화칼륨(K2O)0 ~ 5중량%, 이글로스(Igloss)0 ~ 5중량%가 270 ~ 300 메쉬(inch)의 입도로 분쇄되어 70중량% ~ 80중량%로 구비되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NA-형 벤토나이트가 10중량% ~ 15중량%로 구비되어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재로 사용되며,
상기 고형체는 결합된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와 벤토나이트에 물 10중량% ~ 15중량%를 혼합하여 구형, 육면체형, 원통형, 원추형, 입체 마름모형, 원뿔형성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먼저, 본 발명이 투입, 혼합되는 갯벌은 0.5mm 이하의 조립사(Coarse sand) 0.02~3.3%, 0.25mm 이하의 중립사(Medium sand) 0.08~0.63%, 0.125mm 이하의 세립사(Fine sand) 0.09~55.5%, 0.063mm 이하의 미세립사(Very fine sand) 1~39%, 0.063mm 이상의 니질(silt&clay)2~98% 외 유기물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정화제는 본 출원인에 의해서 기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2001-0051776호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에 의해서 개시되고, 클레임된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기출원된 본 출원인의 천연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정화제와 본 발명은 성분이 황토, 토석, 규산질원료, 규산 알루미늄원료, 알루미나, 석회원료, 마그네시아 원료, 장석질원료, 산화인계원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내지 두개 이상으로 혼합된 분말상의 천연무기질 재료와 여기에 벤토나이트, 물을 혼합하여 고형체로 성형됨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천연무기질 재료는 갯벌과 혼합되어 정화작용을 수행하고, 벤토나이트는 천연무기질 재료를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하는 결합재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천연무기질 재료는 황토를 비롯하여 규산질 광물, 규산 알루미늄광물, 알루미나, 석회원료, 마그네시아원료, 장석질원료, 산화인계 원료 등과 같은 천연광물이 적용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0~300 메쉬 사이로 분쇄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규산질 원료는 규산질 광물, 규석, 규사, 규조토, 실리카의 결정 등이며 규산 알루미늄원료는 규산 알루미늄광물, 실리마나이트족광물, 카올린족광물, 엽납석, 점토 등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알루미나는 알루미나광물, 함수알루미나광물이 적용되고, 석회원료는 석회석, 형석, 규회석, 석회장석, 석고, 인산석회 등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마그네시아원료는 마그네사이트, 돌로마이트, 해수 마그네시아계 원료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장석질원료는 장석, 도석, 네펠라인 등이 적용되고, 산화인계원료는 인회석, 인회토, 인산반토광 등이 적용된다.
다시, 위와 같은 천연무기질 재료는 더욱 바람직하게 규산(SiO2) 40중량% ~ 85중량%, 알루미나(Al2O3) 15중량% ~ 30중량%이고 임의성분으로 산화제이철(Fe2O3) 0 ~ 5중량%, 산화칼슘(CaO) 0 ~ 5중량%, 산화마그네슘(MgO) 0 ~ 5중량%, 산화나트륨(Na2O) 0 ~ 5중량%, 산화칼륨(K2O) 0 ~ 5중량%, 이글로스(Igloss) 0 ~ 5중량%를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위와 같은 재료들은 인체 등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방사와 통기성, 응집력, 점착력으로 인한 탈취효과 및 용존산소량 보존유지로서 정화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으며, 어패류에도 유익하여 어패류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천연무기질 재료는 270 ~ 300 메쉬(inch)의 입도로 분쇄되어 70~80중량%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천연무기질 재료를 결합시키기 위한 벤토나이트는 바람직하게, 강한 알칼리성과 높은 팽윤성 및 점도를 가지고 있는 NA-형 벤토나이트가 적용된다.
NA-형 벤토나이트는 10~15중량%로 구비되어,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재로 사용된다.
위와 같이 구비된 천연무기질 재료와 NA-형 벤토나이트는 다시 물 10~15중량%를 투입, 서로 교반시켜 적당한 점도와 높은 성형성을 구비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혼합된 천연무기질 재료와 벤토나이트 (바람직하게는 NA-형 벤토나이트), 물은 적절한 성형 가공성을 갖게 되며 중간단계인 고형 정화제를 형성시킨다.
중간단계로 형성된 고형 정화제는 구형, 육면체형, 원통형, 원추형, 입체 마름모형, 원뿔형성구형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성형틀에 투입한 후 압축시켜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틀에 투입된 중간 고형 정화제는 5~15시간 동안 자연 건조한 다음 취출된다.
취출된 고형 정화제는 최종적인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바람직하게 입체 마름모형(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원뿔형성구형(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 고형 정화제는 통상 갯벌에 투입된 후 침강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팽윤된 다음 분해되어 갯벌과 혼합되어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입자상의 고형체의 크기는 오염지역에서의 유속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장직경이 1cm~15cm 사이로 구비되어 유속이 클수록 크게 성형된 것을 투여하면 유속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정확히 오염지역에서 정화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고형 정화제를 이용해 중금속의 일종인 구리(Cu), 납(Pb)의 흡착정도를 수학적 모델을 자료 해석에 이용하여, 그 결과를 해석하고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의 아래와 같은 수학식을 이용하여, 갯벌에 있어서 고형정화제가 중금속을 흡착하는 과정을 해석하였다.
Figure 112006067827842-pat00002
여기서 C는 시간 t에서 반응기내 중금속농도(㎍/L), ka는 정반응 속도상수(L/㎍·min), qθ는 평형일 때 흡착된 중금속의 농도(㎍/g), qa는 시간 t에 흡착된 중금속의 농도(㎍/g), k-a는 역반응 속도상수 (/min)이다.
위와 같은 수학식에 의해서 분석된 결과는 하기의 표 1,2와 같다.
Figure 112006067827842-pat00003
표1
Figure 112006067827842-pat00004
표2
위와 같은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중금속의 분해 효율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천연무기질 재료를 이용한 고형 정화제를 제공하여 갯벌의 중금속을 흡착 제거하고, 천연광물을 이용하므로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고형 정화제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고, 즉 넓게 하천의 뻘은 물론 하천의 바닥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정화제는 오염물질의 정화효과가 큰 황토를 비롯한 천연무기질 재료를 주재로 하여 입자상의 고형체로 제조된 것이므로, 종래의 분말상의 정화제와는 달리 살포시 분산율이 매우 적어 조류의 영향을 덜 받게 함으로써 원하는 오염지역에 정확히 살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포 후 갯벌 속이나 바다, 강의 바닥속에 침강되어 일정시간 경과 후 풀어져서 고형정화제에 의한 2차 오염을 발생시키지 아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형정화제가 갯벌 정화에 사용될 경우, 오염물질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천연무기질이 갯벌 속에 머물러 갯벌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천연 무기염류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양식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3)

  1. 0.5mm 이하의 조립사(Coarse sand) 0.02중량% ~ 3.3중량%, 0.25mm 이하의 중립사(Medium sand) 0.08중량% ~ 0.63중량%, 0.125mm 이하의 세립사(Fine sand) 0.09중량% ~ 55.5중량%, 0.063mm 이하의 미세립사(Very fine sand) 1~39%, 0.063mm 이상의 니질(silt&clay) 2중량% ~ 98중량% 외 유기물로 이루어진 통상의 갯벌과, 상기 갯벌에 투입되어 갯벌을 정화하도록 성분이 황토, 토석, 규산질원료, 규산 알루미늄원료, 알루미나, 석회원료, 마그네시아원료, 장석질원료, 산화인계원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내지 두 개 이상으로 혼합된 분말 상의 천연무기질재료와, 벤토나이트 및 물을 혼합하여 고형체로 성형시킨 고형정화제에 있어서,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는 필수성분으로서 규산(SiO2)40중량% ~ 85중량%, 알루미나(Al2O3)15중량% ~ 30중량%이고 임의성분으로 산화제이철(Fe2O3)0 ~ 5중량%, 산화칼슘(CaO)0 ~ 5중량%, 산화마그네슘(MgO)0 ~ 5중량%, 산화나트륨(Na2O)0 ~ 5중량%, 산화칼륨(K2O)0 ~ 5중량%, 이글로스(Igloss)0 ~ 5중량%가 270 ~ 300 메쉬(inch)의 입도로 분쇄되어 70중량% ~ 80중량%로 구비되고,
    상기 벤토나이트는 NA-형 벤토나이트가 10중량% ~ 15중량%로 구비되어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재로 사용되며,
    상기 고형체는 결합된 상기 천연무기질 재료와 벤토나이트에 물 10중량% ~ 15중량%를 혼합하여 구형, 육면체형, 원통형, 원추형, 입체 마름모형, 원뿔형성구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정화제.
  2. 삭제
  3. 삭제
KR1020060091014A 2006-09-20 2006-09-20 갯벌의 고형 정화제 KR10081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014A KR100818547B1 (ko) 2006-09-20 2006-09-20 갯벌의 고형 정화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1014A KR100818547B1 (ko) 2006-09-20 2006-09-20 갯벌의 고형 정화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70A KR20080026270A (ko) 2008-03-25
KR100818547B1 true KR100818547B1 (ko) 2008-04-02

Family

ID=3941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1014A KR100818547B1 (ko) 2006-09-20 2006-09-20 갯벌의 고형 정화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768A (ko) 2021-02-01 2022-09-13 주식회사 인터퓨어 음이온라디칼세라믹과 바이오추출물을 활용한 갯벌 정화 및 갯벌생물 활성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729A (ko) * 2001-03-15 2001-09-28 제창국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
KR20020061534A (ko) * 2001-01-15 2002-07-24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벤토나이트로 피복된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모래,및 벤토나이트에 의해 피복된 모래를 사용하여 주형용주물사를 재순환시키는 방법
KR20020067084A (ko) * 2001-02-15 2002-08-22 에코그린텍 (주) 고성능 흡착 수처리제 및 수처리 시스템
KR20020072856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디.아이 주조공정상의 미분사 또는 황토흙을 이용한 수질정화용세라믹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534A (ko) * 2001-01-15 2002-07-24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벤토나이트로 피복된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 이러한 모래,및 벤토나이트에 의해 피복된 모래를 사용하여 주형용주물사를 재순환시키는 방법
KR20020067084A (ko) * 2001-02-15 2002-08-22 에코그린텍 (주) 고성능 흡착 수처리제 및 수처리 시스템
KR20020072856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디.아이 주조공정상의 미분사 또는 황토흙을 이용한 수질정화용세라믹소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8729A (ko) * 2001-03-15 2001-09-28 제창국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768A (ko) 2021-02-01 2022-09-13 주식회사 인터퓨어 음이온라디칼세라믹과 바이오추출물을 활용한 갯벌 정화 및 갯벌생물 활성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6270A (ko) 2008-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Preparation of ceramsite from municipal sludge and its application in water treatment: A review
KR101367790B1 (ko) 친환경 저알칼리성 콘크리트 형성용 조성물
CN106866175A (zh) 一种紫砂矿料轻质多孔陶粒及其制备方法
JPWO2005108680A1 (ja) 水制構造物、水制工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水制工法
KR100654609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폐수정화 및 토양개선제의 제조방법
JP2007014923A (ja) リン除去材
JP2005015276A (ja) セラミックス焼成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抗菌セラミックス、ならびに微生物固定化担体
KR100413338B1 (ko) 고성능 흡착 수처리제 및 수처리 시스템
SK100098A3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sorbent, a sorbent and its use for the immobilization of heavy metals in contaminated aqueous or solid phase
KR101721209B1 (ko) 제올라이트 및 석회석으로 조성되는 수질정화용 세라믹 펠릿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수질정화용 세라믹 펠릿
KR100305091B1 (ko) 석회와주물모래형틀로부터생성되는미분사를이용한세라믹성제올라이트정화제및그제조방법
KR100818547B1 (ko) 갯벌의 고형 정화제
KR102438279B1 (ko) 천연광물 루미라이트 생태 복원제 및 제조방법
JP3040097B2 (ja) 接触浄化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13868A (ja) 汚水処理用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0595B1 (ko) 세라믹 다공체를 이용한 유해조류 방재용 부유체
EP0612692B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water purifying substances
KR20050103071A (ko) 미생물이 담지된 수처리제
KR20010088729A (ko) 천연 무기질을 주재로 한 고형 정화제
KR20130107129A (ko) 수질개선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질개선방법
CN106477725A (zh) 一种用于农村生活污水处理的人工湿地复合填料
JP5192992B2 (ja) 海洋蘇生方法及びその装置
CN1435382A (zh) 一种用于污水深度处理的过滤材料
JPH0155914B2 (ko)
KR102497638B1 (ko) 친환경 생태기능을 갖는 견운모를 이용한 인공어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는 인공어초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