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964B1 -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 Google Patents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964B1
KR100817964B1 KR1020067012586A KR20067012586A KR100817964B1 KR 100817964 B1 KR100817964 B1 KR 100817964B1 KR 1020067012586 A KR1020067012586 A KR 1020067012586A KR 20067012586 A KR20067012586 A KR 20067012586A KR 100817964 B1 KR100817964 B1 KR 10081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plug
mid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638A (ko
Inventor
토모카즈 하라노
미츠루 이이다
켄이치 시마야
요시아키 캄베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9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02B6/4261Packages with mounting structures to be pluggable or detachable, e.g. having latches or r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8Tapered waveguides, e.g. integrated spot-size transfor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31/0272 - H01L31/0312

Abstract

휴대전화 등의 소형의 휴대기기에의 적용이 가능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로서, 광파이버를 경유하여 광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발광부 및/또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를 갖는 플러그와, 제1 발광부에 대향하여, 제1 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광부 및/또는 제1 수광부에 대향하여,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1 수광부에 송신하는 제2 발광부를 갖는 MID와, 플러그 및 MID가 장착되는 셀을 구비한다. 셀은 제1 발광부를 제2 수광부에 대향시키고 또는 제1 수광부를 제2 발광부에 대향시키도록 플러그와 MID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네 변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세워 설치되도록 설치되고, 플러그와 MID에 접촉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갖는다. 그것에 의해, 셀의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플러그를 착탈할 수 있다.
Figure R1020067012586
광파이버, 광전변환, 커넥터, 휴대전화, 휴대기기, 소켓, 플러그, 끼워맞춤

Description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PHOTOELECTRIC TRANSFORMING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본 발명은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거나 하는 광파이버용(Optical Fiber)의 광전(光電)변환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광전변환커넥터에서는 예컨대, 일본특개평 11-21410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과 플러그를 결합할 때, 소켓의 정면에서 플러그를 끼워 맞추고 있다.
이와 같이 소켓의 정면에서 플러그를 끼워 맞추게 하는 방법에 의하면, 소켓과 플러그의 정확한 광축(光軸) 맞춤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전화나 전자수첩 등의 소형 전자기기의 내부에 광전변환커넥터를 배치한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소켓이 부착되는 회로기판에 각종의 전자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켓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작업이 극히 곤란하게 된다. 또한, 소켓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면, 회로기판이 대형화한다. 그 때문에, 소형화된 휴대기기에는 광전변환커넥터의 적용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한편, 예컨대, 일본특개평 11-32963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 로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하여, 한쪽의 회로기판에 설치된 커넥터를, 다른 쪽의 회로기판에 설치된 커넥터의 상면측에서 겹쳐지도록 하여 끼워 맞추게 하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의 접속구조를 휴대전화나 전자수첩 등의 소형전자기기에 사용한 경우, 소형 전자기기 자체의 높이(두께)가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의 소형화와 끼워맞춤의 작업성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는 광파이버가 접속되어, 그 광파이버를 경유하여 광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발광부(發光部) 및/또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受光部)를 갖는 제1 접속체와, 상기 제1 발광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광부 및/또는 상기 제1 수광부에 대향하여,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수광부에 송신하는 제2 발광부를 갖는 제2 접속체와,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가 장착되는 셀(Cell)을 구비하고, 상기 셀은 상기 제1 발광부를 상기 제2 수광부에 대향시키고, 및/또는 상기 제1 수광부를 상기 제2 발광부에 대향시키도록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네 변(邊)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세워 설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와 접촉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접속체(소켓에 상당)을 셀에 장착한 상태에서, 셀의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접속체(플러그에 상당)를 장착시킴으로써,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를 횡으로 나란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체의 착탈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전자기기 자체의 높이 치수를 높게 하는 일 없이, 이 광전변환커넥터가 전자기기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 광전변환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실장(實裝)한 경우, 제1 접속체를 셀의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회로기판상의 다른 전자부품과 간섭할 가능성이 매우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체의 착탈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회로기판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형화된 휴대기기에 광전변환커넥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3D는 각각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후에서의 광전변환커넥터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에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의 광전변환 커넥터를 바닥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와의 상하 방향의 위치맞춤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와의 테이퍼(Taper)부에 의한 위치맞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의 빠짐방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MID에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설치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MID의 관통구멍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형태에서의 MID에 IC를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는 각각 제1 실시형태에서의 MID의 이면(裏面)의 배선패턴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및 바닥면도이다.
도 13A 및 13B는 각각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와의 맞댐에 의한 위치맞춤의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16E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와 MID의 끼워맞춤 후에서의 광전변환커넥터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및 바닥면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의 광파이버와 MID의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의 대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 및 18B은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를 전면 바닥측 및 배면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A 및 19B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MID를 전면 위 및 후면 바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C 및 19D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MID 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 빠짐방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MID의 셀에 대한 플러그와의 대향방향 위치 결정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광전변환커넥터(1)를 구성하는 플러그(10)(제1 접속체)와 입체회로기판을 구비한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 20)(제2 접속체)를 끼워 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A∼3D는 플러그(10)와 MID(20)를 끼워 맞춘 후의 광전변환커넥터(1)를 나타낸다. 도 4는 MID에 광파이버를 고정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1과 같은 상태에 있 는 광전변환커넥터(1)를 바닥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도 12는 광전변환커넥터(1)의 각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다.
광전변환커넥터(1)는 광파이버가 접속된 플러그(10)와, 이 플러그(10)가 끼워맞춤 접속되는 MID(20)와, 이들 플러그(10) 및 MID(20)가 장착되는 금속제의 셀(30)을 구비하고 있다. 셀(30)에 MID(20)가 고정되어서, 소켓에 상당하는 리셉터클(Receptacle, 40)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0)는 도전성(導電性)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광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한 두 개의 광파이버(50A)(50B)가 접속되어 있다. 다른 광전변환커넥터로부터 송신된 광신호는 예컨대, 도 1 중 왼쪽의 광파이버(50A)를 통과하고, 이 광전변환커넥터(1)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는 오른쪽의 광파이버(50B)를 통과한다. 각 광파이버(50A)(50B)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도록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광파이버 삽입구멍(11)에 삽입 통과되어, 화살표C로 표시하는 광파이버(50A)(50B)의 선단부가 각각 플러그(10)에 열용착(熱溶着)되어 있다. 도 4에서의 광파이버(50A)의 단면(端面)을 제1 발광부(51A), 광파이버(50B)의 단면을 제1 수광부(51B)로 한다. 또한, 플러그(10) 중, 광파이버(50A)(50B)가 삽입되는 쪽을 전면(10A), 각 광파이버(50A)(50B)의 열용착된 단면쪽(제1 발광부(51A) 및 제1 수광부(51B)의 쪽)을 배면(10B)으로 한다.
MID(20)는 수지성형품의 표면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것이며, 회로패턴상에 수광소자(60) 및 발광소자(70) 등이 실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광소자(60)는 플러그(10)와 MID(20)를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의 MID(20)상의 제1 발광부(51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광소자(70)는 MID(20)상의 제1 수광부(51B)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수광소자(60)는 제1 발광부(51A)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광부로서 기능한다. 발광소자(70)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1 수광부(51B)에 송신하는 제2 발광부로서 기능한다. MID(20)상에는, 신호가 전송되는 회로패턴(24)이 더 설치되어 있다.
셀(30)은 제1 발광부(51A)를 수광소자(60)(제2 수광부)에 대향시킴과 아울러, 제1 수광부(51B)를 발광소자(70)(제2 발광부)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플러그(10)와 MID(20)가 재치(載置)되는 바닥판(31)과, 이 바닥판(31)의 네 변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세워 설치되고, 플러그(10) 및 MID(20)의 측면에 접촉 또는 결합되는 탄성편(32)(33)(34)(35)을 갖고 있다. 탄성편(35)은 MID(20)의 측면 중, 수광소자(60) 및 발광소자(70)가 설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접촉 또는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셀(30)은 도시하지 않은 기판상에 탑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러그(10)의 형성재료에 도전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경우, 플러그(10)가 셀(30)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기판의 GND에 접속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10) 자체를 차폐부(Shield)의 일부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플러그(10)와 MID(20)를 끼워 맞추게 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30)상에 MID(20)가 고정되어 구성된 리셉터클(40)에 대하여, 리셉터클(40)의 상면으로부터 플러그(1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세로방향 끼워맞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리셉터클(40)이 설치된 회로기판에 대하여 플러그(10)를 수 직방향으로 장착하면서, 플러그(10)와 MID(20)가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끼리의 접속으로 이 커넥터(1)를 사용한 경우, 전자기기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40)에 대하여 플러그(10)를 착탈할 때, 플러그(10)가 리셉터클(40)이 설치된 회로기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므로, 플러그(10)와 회로기판상에 실장된 다른 전자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플러그(10)와 리셉터클(40)의 착탈작업이 용이해진다. 그 때문에, 회로기판의 실장밀도를 높게 하여, 회로기판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접속구조를 휴대전화나 전자수첩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광전변환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셀(30)의 바닥판(31)의 네 변 중, 플러그(10)와 MID(20)의 대향 방향에 평행두 변에는 각각 플러그(10)와 MID(20)에 각각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탄성편(33)(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플러그(10)를 리셉터클(40)에 대하여 착탈할 때, 플러그(10)에 대응한 탄성편(33)은 변형되지만, MID(20)에 대응한 탄성편(34)은 변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MID(20)를 셀(30)에 부착한 상태의 리셉터클(40)에 대하여 플러그(10)를 착탈할 때, MID(20)가 움직이는 일이 없어, 플러그(10)의 착탈작업이 용이해진다.
탄성편(33)의 선단근방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부(33a)는 플러그(1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4)에 접촉하여, 플러그(10)를 셀(30)의 바닥판(31) 방향으로 밀어붙인다. 그 때문에, 플러그(10)가 리셉터클(40)의 상면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리셉터클(40)의 높이 방향에서의 플러그(10)와 MID(20)의 광축 맞춤이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탄성편(34)의 선단근방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34a)는 MID(2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접촉하여, MID(20)를 바닥판(31) 방향으로 밀어붙인다.
플러그(10)의 MID(20)와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凸)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MID(20)의 플러그(10)와 대향하는 면에는 오목(凹)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0)와 MID(20)를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는,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의 선단(先端, 12a) 및 기단(基端, 12b)이 각각 MID(20)의 오목결합부(22)의 기단(22a) 및 선단(22b)에 대향하고 있지만 접촉하고 있지 않고, 돌기결합부(12)의 선단(12a) 및 기단(12b) 사이의 테이퍼면(10D)와 오목결합부(22)의 기단(22a) 및 선단(22b) 사이의 테이퍼면(20D)이 접하여, 플러그(10)와 MID(20)의 위치맞춤이 행하여진다. 도 7은 플러그(10)의 테이퍼면(10D)과 MID(20)의 테이퍼면(20D)에 의한 위치맞춤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와 MID(20)의 오목결합부(22)이 접촉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와 MID(20)가 대향하는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 즉, 리셉터클(40)의 전후 방향 및 폭방향에서의 광축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와 MID(20)의 광축이 어긋나기 어렵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MID(20)의 오목결합부(22)에는 수광소자(60)와 발광소자(70) 사이에,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측으로 돌출하는 격벽(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에는 격벽(23)에 대응하는 절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23)이 차광판으로서 기능하고, 발광소자(70)로부터 출력된 광이 수광소자(60)측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30)에는 광파이버(50A)(50B)가 인장되었을 때에, 플러그(10)가 MID(20)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판(31)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제1 결합편(37)이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결합편(37)은 바닥판(31)을 플러그(10)와 MID(20)의 대향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개되고, 절개에 따른 부분을 상면측으로 일으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10)의 전면(10A)과 바닥면(10C)이 이루는 모서리부(角部)로서, 제1 결합편(37)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결합편(37)과 결합되는 한 쌍의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15)는 적어도 배면(背面, 10B)에 평행한 벽면(15a)을 갖고 있고, 광파이버(50A)(50B)가 인장되었을 때에, 이 벽면(15a)이 제1 결합편(37)의 단면에 접촉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를 리셉터클(40)(또는 셀(30))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셀(30)의 바닥판(31)에 설치된 제1 결합편(37)이 플러그(10)의 오목부(15)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50A)(50B)에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 결합편(37)의 단면(37a)이 오목부(15)의 벽면(15a)에 접촉하여, 플러그(10)의 빠짐이 방지된다. 한편, MID(20)에 관하여도, 셀(30)의 바닥판(31)의 소정의 위치에 제2 결합편(38)이 설치되어 있고, MID(20)의 제2 결합편(38)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셀(30)의 제2 결합편(38)이 MID(20)의 오목부(29)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MID(20)가 셀(30)에 고정되어 있다.
광파이버(50A)(50B)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플러그(10)가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셀(30)의 탄성편(32) 등이 휘어진다. 그러나, 플러그(10)의 오목부(15)의 벽면(15a)이 제1 결합편(37)의 단면에 접촉하여, 플러그(10)가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탄성편(32) 등도 그 이상 휘어지지 않아, 탄성편(32) 등의 소성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플러그(10)를 리셉터클(40)에 장착할 때, 상하 방향을 잘못하는 일도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셀(30)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컨대, 탄성편(33) (34)의 하단으로부터 측부(側部)로 돌출한 납땜부(36)가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의 GND 라인에 납땜된다. 그것에 의해, 리셉터클(40)(또는 셀(30))이 회로기판에 설치됨과 동시에, 셀(30)이 GND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10)를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러그(10) 자체를 차폐부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MID(20)에서의 수광소자(60)와 발광소자(70)의 설치구조를 나타낸다. 수광소자(60) 및 발광소자(70)는 MID(20)의 오목부(20a) 내에 설치되고, Ag 페이스트(Paste)(65)와 Au 와이어(Wire)(66)를 사용하여 필요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소자는 수지(樹脂, 67)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20a)는 MID(20)의 전면(20A)(오목결합부(22)의 기단(22a)와 같은 면)으로부터, 배면(20B)측으로 더 움푹 들어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MID(20)의 관통구멍 구성 및 IC(80)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다. MID(20)의 배면(20B)에는 오목부(20b)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20b)에는 수광소자(60)(제2 수광부) 및 발광소자(70)(제2 발광부)의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두 개의 IC(80)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전면(20A)에 형성된 배선패턴(A면)과 배면(20B)에 형성된 오목부(20b)의 배선패턴(B면)과는 관통구멍 배선(27)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10 중, A'면은 오목부(20a)의 바닥면이다. 이들의 IC(80)는 수지로 밀봉되어 있다. MID(20)의 배면(20B)의 오목부(20b)에 있어서, 두 개의 IC(80)사이에는 각 IC(80)를 수지로 밀봉하기 위하여, 그리고 각 IC(80) 상호간의 신호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벽(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리 벽(28)의 표면에는 접지(GND)된 회로패턴(도전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두 개의 IC(80) 사이에서의 신호의 간섭, 즉, 크로스 토크(Cross Talk)가 방지된다.
도 12A 및 12B는 MID(20)의 바닥면의 배선패턴을 나타낸다. MID(20)에는 셀(30)로부터 노출되고,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신호 라인용 납땜부(25) 및 GND용 납땜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에 의하면, 특히 플러그(10)를 리셉터클(40)의 상면으로부터 끼워 맞춰 상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플러그(10)와 MID(20)의, 리셉터클(40)의 높이 방향에서의 광축 맞춤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와 MID(20)의 오목결합부(22)의 끼워맞춤부에 테이퍼면(10D)(20D)를 사용하고, 그 테이퍼면(10D)(20D)에 의해, 리셉터클(40)의 폭방향에서의 광축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광전변환커넥터의 소형화와 끼워맞춤의 작업성의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취지를 변형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플러그(10)와 MID(20)의 위치맞춤에 관하여,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두 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3A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플러그(10)의 오목결합부(12)의 선단(12a)과 기단(12b)의 사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돌기결합부(12)의 선단(12a)의 양 모서리(角, 12c)가 MID(20)의 오목결합부(22)의 기단(22a) 및 선단(22b) 사이의 테이퍼면에 접촉한다. 한편, 도 13B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MID(20)의 오목결합부(22)의 기단(22a) 및 선단(22b) 사이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오목결합부(22)의 기단(22a)의 양 내각(內角, 22c)이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의 선단(12a)과 기단(12b) 사이의 테이퍼면에 접촉한다. 이러한 변형예의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10)의 돌기결합부(12)와 MID(20)의 오목결합부(22)의 접촉 부위가 적어지므로, 접촉 부위만 치수정밀도가 확보되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취지를 변형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10)측에 돌기결합부(12)를 형성하고, MID(20)측에 오목결합부(22)를 형성하였지만, 반대로, 플러그(10)측에 오목결합부를 형성하고, MID(20)측에 돌기결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는, 플러그(10)측에 제1 발광부 및 제1 수광부에 대응하는 돌기결합부 및 오목결합부를 형성하고, MID(20)측에 제2 수광부 및 제2 발광부에 대응하는 오목결합부 및 돌기결합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또한 그 반대로서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형태는 플러그에 두 개의 광파이버가 접속되어, 광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광전변환커넥터에 관한 것이었지만, 제2 실시형태는 플러그에 한 개의 광파이버만이 접속되어, 광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만이 가능한 광전변환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광전변환커넥터(100)를 구성하는 플러그(110)(제1 접속체)와 입체회로기판을 구비한 MID(Molded Interconnect Device, 120)(제2 접속체)를 끼워 맞추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 도 16A∼16E 및 도 17은 플러그(110)와 MID(120)를 끼워 맞춘 후의 광전변환커넥터(100)를 나타낸다. 도 18A 및 18B는 플러그(11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9A∼19D는 MID(12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0은 플러그(110)와 셀(1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도 21은 MID(120)과 셀(13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광전변환커넥터(100)에서는, 플러그(110)에 대하여 광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한 개의 광파이버(50)가 접속되어 있다. 광파이버(50)는 가요성을 갖도록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110)의 광파이버 삽입구멍(111)에 삽입 통과되어,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러그(110) 에 열용착되어 있다. 한편, MID(120)의 회로패턴(24)상에는 수광소자(60) 또는 발광소자(7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수광소자(60) 또는 발광소자(70)는 플러그(110)와 MID(120)를 끼워 맞추게 한 상태에서의 MID(120)상의 광파이버(50)의 단면(51)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광파이버(50)를 통하여, 다른 장치에 대하여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광파이버(50)의 단면(51)이 제1 발광부로서 기능한다. 그 경우, 플러그(110)의 광파이버(50)의 단면(5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수광부로서 기능하는 수광소자(60)가 설치된 MID(1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파이버(50)를 통하여, 다른 장치 등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광파이버(50)의 단면(51)이 제1 수광부로서 기능한다. 그 경우, 플러그(110)의 광파이버(50)의 단면(51)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2 발광부로서 기능하는 발광소자(70)이 설치된 MID(120)를 사용할 수 있다.
셀(130)은 광파이버(50)의 단면(51)(제1 발광부 또는 제1 수광부)을 수광소자(60)(제2 수광부) 또는 발광소자(70)(제2 발광부)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플러그(110)와 MID(120)가 재치되는 바닥판(131)과, 이 바닥판(131)의 네 변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세워 설치되고, 플러그(110) 및 MID(120)의 측면에 접촉 또는 결합되는 탄성편(132)(133)(134)(135)을 갖고 있다. 셀(130)의 바닥판(131)의 네 변 중, 플러그(110)와 MID(120)의 대향 방향으로 평행한 두 변에는 각각 플러그(110)와 MID(120)에 각각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탄성편(133)(1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110)의 전면(110A)에 접촉하는 탄성편(132)에는 광파이버(5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10)와 MID(120)를 끼워 맞추게 하기 위하여는,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셀(130)상에 MID(120)가 고정되어 구성된 리셉터클(140)에 대하여, 리셉터클(140)의 상면으로부터 플러그(11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행한다(세로방향 끼워맞춤).
플러그(110)에 대응하는 탄성편(133)의 선단 근방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부(133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133a)는 플러그(11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면(114)에 접촉하여, 플러그(110)를 셀(130)의 바닥판(131) 방향으로 밀어붙인다. 그 때문에, 플러그(110)이 리셉터클(14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플러그(110)가 부주의로 리셉터클(140)의 상면측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MID(120)에 대응하는 탄성편(134)의 중앙부 근방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절결부를 따라 안쪽으로 구부려진 결합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A∼1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MID(120)의 양측변에는 탄성편(134)의 결합부(134a)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셀(130)에 MID(1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탄성편(134)의 결합부(134a)가 MID(120)의 결합홈(121)에 결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110)를 리셉터클(140)에 대하여 착탈할 때, 플러그(110)에 대응한 탄성편(133)은 변형되지만, MID(120)에 대응한 탄성편(134)은 변형되지 않고, MID(120)가 광전변환커넥터(100)의 높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일은 없다. 그 결과, 플러그(110)의 착탈작업이 용이해진다. 한편, MID(120)의 플러그(110)와의 대향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에 대하여는 이후에 설명한다.
플러그(110)의 MID(120)와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 고, MID(120)의 플러그(110)와 대향하는 면에는 오목결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MID(120)의 오목결합부(122)에는 수광소자(60) 또는 발광소자(70)밖에 실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플러그(110)의 돌기결합부(112)측으로 돌출하는 격벽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플러그(110)의 돌기결합부(112)에도, 격벽에 대응하는 절결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셀(130)에는 광파이버(50)가 인장되었을 때에, 플러그(110)가 MID(120)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판(131)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결합편(137)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결합편(137)은 바닥판(131)의 대략 중앙부를 플러그(110)와 MID(120)의 대향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개되고, 절개에 따른 부분을 상면측으로 일으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110)의 바닥면(110C)의 제1 결합편(137)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제1 결합편(137)과 결합되는 오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5)는 적어도 배면(110B)에 평행한 벽면(115a)을 갖고 있고, 광파이버(50)가 인장되었을 때에, 이 벽면(115a)이 제1 결합편(137)의 단면(137a)에 접촉한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한 광전변환커넥터(100)에서는, 광파이버(50)에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에, 광파이버(50)가 플러그(110)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파이버(50)의 스토퍼(Stopper, 15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110)의 광파이버 삽입구멍(11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사각형 단면을 갖는 오목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51)의 내부에서, 스토퍼(150)가 광파이 버(50)의 외주부에 압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토퍼(150)의 선단은 플러그(110)에 압입(壓入)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파이버(50)는 스토퍼(150)를 통하여 플러그(110)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당히 큰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광파이버(50)가 플러그(110)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광파이버(5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플러그(110)가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셀(130)의 탄성편(132) 등이 휘어진다. 그러나, 플러그(110)의 오목부(115)의 벽면(115a)이 제1 결합편(137)의 단면에 접촉하여, 플러그(10)가 그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탄성편(132) 등도 그 이상 휘어지지 않아, 탄성편(132) 등의 소성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플러그(110)를 리셉터클(140)에 장착할 때, 상하 방향을 잘못하는 일도 없다.
도 19A∼19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ID(120)의 전면(120A) 및 배면(120B)과 바닥면(120C)이 이루는 두 개의 모서리부의 양단에는 각각 네 개의 홈(120a)이 형성되어 있다. 셀(130)의 바닥판(131) 중, MID(120)의 홈(120a)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바닥판(131)을 소정 형상으로 절결하고, 절결을 따라 상면측으로 절곡하여, 네 개의 제2 결합편(13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MID(120)가 셀(1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셀(130)의 제2 결합편(138)이 MID(120)의 홈(120a)에 끼워 맞추고, 그것에 의해 플러그(110)와 MID(120)의 대향 방향에서의 MID(120)의 셀(130)에 대한 움직임이 규제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110)와 MID(120)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제2 결합편(138)에 미소(微小) 돌기를 형성하여, MID(120) 에 압입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셀(130)은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컨대, 탄성편(33)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 납땜부(136)가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의 GND 라인에 납땜된다. 그것에 의해, 리셉터클(140)(또는 셀(130))이 회로기판에 설치됨과 동시에, 셀(130)이 GND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110)를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함으로써, 플러그(110) 자체를 차폐부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의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적어도, 광파이버가 접속되어, 그 광파이버를 경유하여 광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발광부 및/또는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를 갖는 제1 접속체와, 상기 제1 발광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광부 및/또는 상기 제1 수광부에 대향하여,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수광부에 송신하는 제2 발광부를 갖는 제2 접속체와,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가 장착되는 셀을 구비하고, 상기 셀은 상기 제1 발광부를 상기 제2 수광부에 대향시키고 및/또는 상기 제1 수광부를 상기 제2 발광부에 대향시키도록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네 변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세워 설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와 접촉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갖고 있으면 좋다.
그것에 의해, 제2 접속체(소켓에 상당)를 셀에 장착한 상태에서, 셀의 바닥 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접속체 (플러그에 상당)를 장착시킴으로써,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를 횡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체의 착탈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전자기기 자체의 높이 치수를 높게 하는 일 없이, 이 광전변환커넥터가 전자기기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이 광전변환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설치한 경우, 제1 접속체를 셀의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착탈할 수 있으므로, 회로기판상의 다른 전자부품과 간섭할 가능성이 매우 작아진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체의 착탈작업을 쉽게 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어, 회로기판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형화된 휴대기기에 광전변환커넥터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네 변 중,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두 변에는 각각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제2 접속체를 셀에 부착한 상태에서, 제1 접속체를 후방에서 착탈할 때에, 제2 접속체가 덜컹거리는 일이 없어, 제1 접속체의 착탈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두 변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탄성편 중, 적어도 상기 제1 접속체에 대응하는 탄성편의 선단 근방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셀의 바닥판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제1 접속체가 상면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광전변환커넥터의 높이 방향에서의 광축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대향면에는 돌기결합부 및 오목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결합부의 선단 및 기단이 상기 오목결합부의 기단 및 선단에는 접촉하지 않고, 상기 돌기결합부 및 오목결합부의 적어도 한 쪽의 선단으로서,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와의 대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의 끝 가장자리가 상기 돌기결합부 및 오목결합부의 적어도 다른 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접촉하는 부위가 적어져, 접촉하는 부위만 치수정밀도가 확보되어 있으면,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충분한 끼워맞춤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전체가 접촉하는 구조에 비교하여 치수정밀도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고,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폭방향 및 대향 방향에서의 광축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결합부의 선단과 기단 사이 및 상기 오목결합부의 선단과 기단 사이에 각각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의 테이퍼면과 상기 오목결합부의 테이퍼면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돌기결합부와 오목결합부의 테이퍼면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의 위치맞춤이 더욱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광축이 어긋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셀에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결합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속체에는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1 수광부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광파이버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셀의 바닥판에 대향하는 면으로서 상기 결합편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결합편과 결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를 갖는 면에 평행한 벽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광파이버에 인장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편이 어느 정도 휘어지더라도, 결합편이 오목부의 벽면에 접촉하여, 그 이상, 탄성편이 휘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탄성편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체를 셀에 부착할 때, 상하 방향을 잘못하여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셀의 바닥판을, 상기 제1 접속체와 상기 제2 접속체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쪽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하고, 절결에 따른 부분을 상면측으로 일으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광파이버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결합편이 오목부의 벽에 접촉할 때, 결합편이 넘어지기 어려워져, 결합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체는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셀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셀을 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을 회로기판의 GND에 접속함으로써, 제1 접속체 자체를 차폐부의 일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접속체의 상기 제2 접속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를 병렬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접속체의 상기 제1 접속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수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를 각각 상기 제1 발 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와 대향하도록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광전변환커넥터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한 개의 광전변환커넥터로 광신호의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결합부를 상기 제1 접속체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오목결합부를 상기 제2 접속체에 형성하고,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수광부는 각각 상기 오목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결합부 내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수광부의 사이에, 상기 돌기결합부측으로 돌출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의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격벽이 끼워 맞추어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제1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제2 수광부에 입사하거나, 제2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제1 수광부에 입사하는 일이 방지되어, 광신호의 혼신(混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속체는 상기 제2 발광부 및 제2 수광부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제2 발광부 및 제2 수광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두 개의 IC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IC사이에, 접지되는 도전패턴을 갖고, IC 상호의 신호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 두 개의 IC 사이에서의 신호의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5-22828에 근거하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에 합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명백할 것이다. 그 때문에,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고,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광파이버가 접속되고 그 광파이버를 경유하여, 광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발광부(發光部) 및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광부(受光部)를 갖는 제1 접속체와;
    상기 제1 발광부에 대향하여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제2 수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에 대향하여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수광부에 송신하는 제2 발광부를 갖는 제2 접속체와;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가 장착되는 셀(Cell);을 구비하고,
    상기 셀은, 상기 제1 발광부를 상기 제2 수광부에 대향시키고, 상기 제1 수광부를 상기 제2 발광부에 대향시키도록,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가 장착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네 변(邊)으로부터 상면측으로 세워 설치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와 접촉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대향면 중 어느 일측에는 돌기결합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의 대향면에는 상기 돌기결합부에 대응하는 오목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결합부의 선단 (先端)및 기단(基端)이 상기 오목결합부의 기단 및 선단에는 접촉하지 않고, 상기 돌기결합부 및 오목결합부의 적어도 한 쪽의 선단으로서,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와의 대향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의 끝 가장자리가 상기 돌기결합부 및 오목결합부의 적어도 다른 쪽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목결합부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상기 돌기결합부 측으로 돌출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에는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이 격벽이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광이 수광부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판으로 작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네 변 중,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두 변에는 각각 상기 제1 접속체 및 제2 접속체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형성된 두 개의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기 제1 접속체와 제2 접속체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두 변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탄성편 중, 적어도 상기 제1 접속체에 대응하는 탄성편의 선단 근방에는 안쪽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제1접속체가 상기 셀의 바닥판 방향으로 밀어 붙여지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의 선단과 기단 사이 및 상기 오목결합부의 선단과 기단 사이에 각각 테이퍼(Taper)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의 테이퍼면과 상기 오목결합부의 테이퍼면이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에는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결합편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접속체에는 상기 제1 발광부 및 제1 수광부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광파이버가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셀의 바닥판에 대향하는 면으로서 상기 결합편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결합편과 결합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적어도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를 갖는 면에 평행한 벽면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은 상기 셀의 바닥판을, 상기 제1 접속체와 상기 제2 접속체의 대향 방향에 평행한 쪽 및 그것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결하고, 절결에 따른 부분을 상면측으로 일으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체는 도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셀은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셀을 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 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체의 상기 제2 접속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를 병렬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접속체의 상기 제1 접속체에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2 수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를 각각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수광부와 대향하도록 병렬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결합부를 상기 제1 접속체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오목결합부를 상기 제2 접속체에 형성하고,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수광부는 각각 상기 오목결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오목결합부 내 상기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수광부의 사이에, 상기 돌기결합부측으로 돌출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결합부의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격벽이 끼워 맞추어지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체는 상기 제2 발광부 및 제2 수광부를 갖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제2 발광부 및 제2 수광부의 신호를 처리하는 두 개의 IC가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IC 사이에, 접지되는 도전패턴을 갖고, IC 상호의 신호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격리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KR1020067012586A 2005-01-31 2005-08-04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KR10081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2586A KR100817964B1 (ko) 2005-01-31 2005-08-04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2818 2005-01-31
KR1020067012586A KR100817964B1 (ko) 2005-01-31 2005-08-04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38A KR20070023638A (ko) 2007-02-28
KR100817964B1 true KR100817964B1 (ko) 2008-03-31

Family

ID=4164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586A KR100817964B1 (ko) 2005-01-31 2005-08-04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2237B2 (ja) 2010-11-05 2014-01-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892A (ja) * 2001-03-07 2002-09-1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アレイデバイス及び光モジュール
JP2003114364A (ja) * 2001-06-15 2003-04-18 Taiko Denki Co Ltd 光コネクタとその組立方法
JP2004012624A (ja) * 2002-06-04 2004-01-15 Fujikura Ltd 光フェルールおよび板ばねクランプ
KR20040110660A (ko) * 2003-06-20 2004-12-31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커넥터 모듈
JP2005025127A (ja) * 2003-07-03 2005-01-27 Hosiden Corp レセプタクル及び光コネクタ
JP2005202229A (ja) * 2004-01-16 2005-07-28 Fuji Xerox Co Ltd 光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7892A (ja) * 2001-03-07 2002-09-18 Fujikura Ltd 光ファイバアレイデバイス及び光モジュール
JP2003114364A (ja) * 2001-06-15 2003-04-18 Taiko Denki Co Ltd 光コネクタとその組立方法
JP2004012624A (ja) * 2002-06-04 2004-01-15 Fujikura Ltd 光フェルールおよび板ばねクランプ
KR20040110660A (ko) * 2003-06-20 2004-12-31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커넥터 모듈
JP2005025127A (ja) * 2003-07-03 2005-01-27 Hosiden Corp レセプタクル及び光コネクタ
JP2005202229A (ja) * 2004-01-16 2005-07-28 Fuji Xerox Co Ltd 光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38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9459B2 (ja) 光ファイバ用の光電変換コネクタ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CN107069265B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KR10165520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실장체
KR100851712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0998109B1 (ko)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EP2093840A1 (en) Connector,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optical-electrical transmission module
EP1909125A1 (en) Plug-socket connector apparatus for optical fiber termination
US7736154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JP2017033654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JP2017033655A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TW200843215A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WO2011142132A1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WO2007064998A1 (en) Connector shield case
CN113078510B (zh) 连接器组件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WO2007046487A1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10890657B (zh) 电连接器组装体以及被用于该电连接器组装体的电连接器
US6776652B2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KR100817964B1 (ko) 광파이버용 광전변환커넥터
US6457876B1 (en) Surface-mountable optical device
EP1045337A2 (en) IC card with antenna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05339985A (ja) コネクタ
CN112186418A (zh) 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