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921B1 -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921B1
KR100817921B1 KR1020070000868A KR20070000868A KR100817921B1 KR 100817921 B1 KR100817921 B1 KR 100817921B1 KR 1020070000868 A KR1020070000868 A KR 1020070000868A KR 20070000868 A KR20070000868 A KR 20070000868A KR 100817921 B1 KR100817921 B1 KR 100817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ipe
pig
switching device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408A (ko
Inventor
김재곤
주창원
박규태
Original Assignee
강 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 철 filed Critical 강 철
Priority to KR102007000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9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 이송관을 따라 이송된 쓰레기 종류 및 쓰레기 이송관을 청소하는 피그를 해당 처리 설비로 이송할 수 있게 각각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로 전환장치는 쓰레기를 수거관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쓰레기 투입기와, 상기 수거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관 내부로 피그를 투입시키는 피그 런처와, 복수의 쓰레기 처리설비에서 연장된 복수의 관로와, 상기 피그를 회수하는 피그 리시버에서 연장된 하나의 관로를 포함하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에서, 일단이 상기 수거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가 경사져 위치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쓰레기 처리설비에서 연장된 상기 복수의 관로 및 상기 피그 리시버에서 연장된 하나의 관로 중 어느 한 관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타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 3방향, 관로 전환장치, 연결관, 유압시스템

Description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Conduit Line Change Apparatus of Waste Collective Treatment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인 3방향 관로 전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개의 관로 및 연결관의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관로 전환을 위해 회전하는 연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이송관의 수거관과 연결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 5a, 5b : 처리설비
10 : 쓰레기 투입기 20 : 쓰레기 이송관
31, 32, 33 : 관로 40 : 피그
41 : 피그 런처 43 : 피그 리시버
50 : 흡입용 송풍기 100 : 3방향 관로 전환장치
110 : 연결관 111 : 플랜지
120 : 레버 123 : 회전중심축
130 : 유압시스템 140 : 탈취팬
본 발명은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쓰레기 이송관을 따라 이송된 쓰레기 종류 및 쓰레기 이송관을 청소하는 피그를 해당 처리 설비로 이송할 수 있게 각각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은 가정 및 업소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봉투에 싸서 쓰레기 투입장치로 투입하면, 지중에 매설된 쓰레기 이송관을 따라 투입된 쓰레기봉투가 각 처리설비로 이송되어 처리하도록 구성한 설비이다. 이와 같은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를 안전하게 처리하여 동물의 사료 등으로 제조할 수 있고, 일반쓰레기는 소각하여 가정이나 사무실의 난방용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은 투입된 쓰레기봉투가 쓰레기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중에 찢어져 쓰레기 이송관 내에 음식물 및 일반 쓰레기가 잔류하거나 묻게 되는데, 음식물 쓰레기 경우에는 부패하여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세균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시설물 자체가 불결해질 수 있다. 따라서 지중에 매설된 쓰레기 이송관 또한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쓰레기 이송관의 청소를 위한 피그 설비가 구축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쓰레기 이송관을 따라 이동하는 쓰레기의 종류 즉 음식물 쓰레기, 일반 쓰레기 및 피그에 따라 각각의 경로를 달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로, 일반쓰레기는 일반쓰레기 처리설비로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피그의 경우에는 피그 리시버로 이송할 수 있게 경로를 3방향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로 전환장치는, 쓰레기를 수거관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쓰레기 투입기와, 상기 수거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관 내부로 피그를 투입시키는 피그 런처와, 복수의 쓰레기 처리설비에서 연장된 복수의 관로와, 상기 피그를 회수하는 피그 리시버에서 연장된 하나의 관로를 포함하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에서, 일단이 상기 수거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가 경사져 위치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쓰레기 처리설비에서 연장된 상기 복수의 관로 및 상기 피그 리시버에서 연장된 하나의 관로 중 어느 한 관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타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연 결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에 결합되어 길이가 신축하는 유압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압시스템의 스트로크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관의 타단을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로 전환장치는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된 공간에는 탈취팬이 장착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인 3방향 관로 전환장치를 구비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3개의 관로 및 연결관의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관로 전환을 위해 회전하는 연결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쓰레기 이송관의 수거관과 연결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1)이 구축된 전 구역에 설치된 쓰레기 투입기(10)와, 상기 쓰레기 투입기(10)에서 쓰레기 처리설비(5a, 5b)까지 연장된 쓰레기 이송관(20)과 상기 쓰레기 투입기(10)에서 쓰레기 처리설비(5a, 5b)까지 연장된 쓰레기 이송관(20)의 중간에 설치된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와, 쓰레기 이송관(20)의 말단에 설치된 피그 런처(Pig Launcher) 및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를 지난 피그(40)를 수용하는 피그 리시버(Pig Receiver)(4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쓰레기 이송관(20)은 크게 피그 런처(41)에서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까지 연장된 수거관(21)과,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에서 일반쓰레기 처리설비(5a)와 피그 리시버(43)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5b)까지 연장된 3개의 관로(31, 32, 33)인 처리관(25)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쓰레기 투입기(10)로 투입된 쓰레기봉투(7)는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까지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을 따라 이송되고,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를 통해 일반쓰레기 처리설비(5a)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5b)에 연결된 2개의 제1, 제3 관로(31, 33) 중 어느 한 관로로 이송된다.
한편 수거관(21)으로 피그(40)가 투입되어 이송될 경우에,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는 피그 리시버(43)로 연장된 제2 관로(32)에 연결되어 피그(40)를 피그 리시버(43)로 이송한다. 쓰레기봉투(7) 및 피그(40)를 쓰레기 투입기(10)에서 처리 설비(5a, 5b) 그리고 피그 리시버(43)까지 이송시키는 힘은 수거관(21)을 형성하는 3개의 관로(31, 32, 33) 후단에 설치된 흡입용 송풍기(50)의 작동에 의해 흡입되어 이송된다.
아래에서는 쓰레기 이송관에 설치된 3방향 관로 전환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는 연결관(110)의 일단이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관(110)의 타단은 쓰레기 이송관(20)의 처리관(25)인 3개의 관로(31, 32, 33) 중 어느 한 관로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수거관(21)의 선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10) 일단의 플랜지(111)를 감싸는 브라켓(23)이 고정되어 연결관(110) 이 회전함에 따라 브라켓(23) 안에서 플랜지(111)가 회전한다. 한편 상기 연결관(110)의 양단은 수평하고 중간은 경사진 구조로서, 수거관(21)의 선단에 연결된 연결관(110)의 일단을 중심으로 연결관(110)의 타단이 원의 형태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연결관(110)의 타단이 선회하면서 처리관(25)의 3개의 관로(31, 32, 33) 단부와 접하게 된다.
연결관(110)이 선회하기 위한 구동부로서, 연결관(110)의 타단에는 레버(1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레버(120)의 타단에는 스트로크가 신축하는 유압시스템(130)이 장착된다. 그리고 레버(120)의 중심에는 회전중심축(123)이 관통해 위치한다. 따라서 유압시스템(130)의 길이가 신축됨으로써, 레버(120)가 회전중심축(1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레버(120)의 일단에 연결된 연결관(110)의 타단이 회전하되, 연결관(11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에서 레버(120)의 회전중심축(123)과 연결관(110)의 일단 중심이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3방향 관로 전환장치(100)는 밀폐된 공간 내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3개의 관로(31, 32, 33) 중에서 어느 두 개의 관로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악취가 퍼져나오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며, 밀폐된 공간에는 탈취팬(14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쓰레기 투입기(10)로 투입하는 쓰레기가 음식물쓰레기인지 아니면 일반쓰레기인지 쓰레기봉투(7)를 투입함과 동시에 쓰레기 투입기(1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된 정보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1)의 중앙제어부로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에 따라 중앙제어부에서는 연결관(110)에 연결된 유압시스템(130)을 작동한다.
예로서, 일반 쓰레기봉투(7)가 투입되었을 경우에 유압시스템(130)의 길이를 축소한다. 그러면 레버(120)는 일반쓰레기 처리설비(5a)로 연장된 제1 관로(31)를 향하게 되며, 레버(120)의 일단에 장착된 연결관(110)의 타단은 제1 관로(31)와 대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관(110)에 의해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과 제1 관로(31)가 연결된 상태에 흡입용 송풍기(50)가 작동하면 수거관(21)에 위치한 쓰레기봉투(7)는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을 따라 이동한 후에 연결관(110)을 통해 제1 관로(31)를 따라 이송되어 일반쓰레기 처리설비(5a)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한편, 사용자가 쓰레기 투입기(10)에 음식물 쓰레기봉투를 투입하고 정보를 입력하면, 중앙제어부에서는 유압시스템(130)의 길이를 신장하여 레버(120)의 일단이 제3 관로(33)를 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레버(120)의 일단이 제3 관로(33)를 향함으로써, 연결관(110)은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과 제3 관로(33)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흡입용 송풍기(50)가 작동하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봉투(7)는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 연결관(110) 및 제3 관로(33)를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설비(5b)로 이송되어 처리된다.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1) 전 범위에 넓게 분포한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 관(21)을 청소하여야 할 경우에, 중앙제어부에서는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 단부에 설치된 피그 런처(41)에서 피그(40)를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에 투입시킨다. 그리고 중앙제어부에서는 유압시스템(130)의 길이를 중간 정도로 유지하여 레버(120)의 일단에 장착된 연결관(110)이 타단이 제2 관로(32)를 향하도록 한다. 그러면 쓰레기 이송관(20)의 수거관(21), 연결관(110) 및 제2 관로(32)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용 송풍기(50)를 작동하면, 쓰레기 이송관(20)에 투입된 피그(40)는 수거관(21), 연결관(110) 및 제2 관로(32)를 따라 이동한 후에 피그 리시버(43)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피그(40)가 수거관(21), 연결관(110) 및 제2 관로(32)를 따라 이동하면서 관 내에 쓰레기 등의 오염물을 청소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는 쓰레기 이송관으로 투입된 쓰레기의 종류 즉 음식물 쓰레기 또는 일반쓰레기에 따라 해당 처리 설비로 이송할 수 있게 경로를 전환하며, 더불어 쓰레기 이송관을 청소함에 있어 투입된 피그를 별도의 경로를 통해 피그 리시버로 회수할 수 있게 작동한다.
따라서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목적에 맞게 원활한 쓰레기 처리작업이 가능하며, 쓰레기 이송관 청소 또한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3방향 관로 전환장치에 대한 기 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쓰레기를 수거관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쓰레기 투입기와, 상기 수거관에 설치되어 상기 수거관 내부로 피그를 투입시키는 피그 런처와, 복수의 쓰레기 처리설비에서 연장된 복수의 관로와, 상기 피그를 회수하는 피그 리시버에서 연장된 하나의 관로를 포함하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에서;
    일단이 상기 수거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중간부가 경사져 위치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관이 상기 쓰레기 처리설비에서 연장된 상기 복수의 관로 또는 상기 피그 리시버에서 연장된 하나의 관로 중 어느 한 관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타단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에 결합되어 길이가 신축하는 유압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압시스템의 스트로크가 신축됨에 따라 상기 레버가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관의 타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전환장치는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된 공간에는 탈취팬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KR1020070000868A 2007-01-04 2007-01-04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KR10081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868A KR100817921B1 (ko) 2007-01-04 2007-01-04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868A KR100817921B1 (ko) 2007-01-04 2007-01-04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164U Division KR200430163Y1 (ko) 2006-08-18 2006-08-18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408A KR20080016408A (ko) 2008-02-21
KR100817921B1 true KR100817921B1 (ko) 2008-03-31

Family

ID=3938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868A KR100817921B1 (ko) 2007-01-04 2007-01-04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37B1 (ko) * 2013-03-05 2013-07-19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다기능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분리기를 구비하는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83A (ja) 2000-07-10 2002-01-23 Nabco Ltd 配管接続切換装置
KR20030038941A (ko) * 2001-11-09 2003-05-17 가부시키가이샤 치다 엔지니어링 분말체 개량재를 사용하는 지반 개량공법 및 그 장치, 및분말체 압송 공급장치
KR100757174B1 (ko) 2006-08-08 2007-09-07 김재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83A (ja) 2000-07-10 2002-01-23 Nabco Ltd 配管接続切換装置
KR20030038941A (ko) * 2001-11-09 2003-05-17 가부시키가이샤 치다 엔지니어링 분말체 개량재를 사용하는 지반 개량공법 및 그 장치, 및분말체 압송 공급장치
KR100757174B1 (ko) 2006-08-08 2007-09-07 김재곤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408A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921B1 (ko)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KR200430163Y1 (ko) 쓰레기일괄처리시스템의 관로 전환장치
CN208341287U (zh) 城市管网智能清理机器人
CN112718724B (zh) 一种电力管道清淤机器人
KR101867006B1 (ko) 관로 세척장치
KR100757174B1 (ko) 쓰레기 자동 집하 시스템 및 그 가동 방법
CN204412719U (zh) 一种裂解气输送管道清理装置
CN106185103A (zh) 一种带有清洗装置的医疗垃圾分类系统
KR101044854B1 (ko) 혼합식 쓰레기 수거설비
CN107997971A (zh) 一种消化内科秽物收集桶
KR102417313B1 (ko) 배관청소장치
KR200420073Y1 (ko) 이송 관로 차단 쓰레기 제거용 로봇 장치
KR200430164Y1 (ko) 관로전환기의 실링장치
KR100661150B1 (ko) 이송 파이프 내에 슬러지 제거용 피그를 포함하는 진공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03379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R014593A2 (es) Metodo para limpiar una caneria.
KR100795116B1 (ko) 관로전환기의 실링장치
KR20140086316A (ko) 이동가능한 수평관로 청소장치
KR200320823Y1 (ko) 슬러지 건조장치
CN204987036U (zh) 一种医疗垃圾焚烧设备
CN205296384U (zh) 一种带清淤螺旋输送的气动式地下排水管道清淤机器人
CN104150221A (zh) 气动传输装置
Ahsa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rain Cleaner Robotic Vehicle
CN104429989A (zh) 一种禽畜粪便清理机
CN108750501A (zh) 一种垃圾中转站用杀菌除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