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283B1 -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283B1
KR100817283B1 KR1020020016354A KR20020016354A KR100817283B1 KR 100817283 B1 KR100817283 B1 KR 100817283B1 KR 1020020016354 A KR1020020016354 A KR 1020020016354A KR 20020016354 A KR20020016354 A KR 20020016354A KR 100817283 B1 KR100817283 B1 KR 100817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rejection
information
input
currently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306A (ko
Inventor
고승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2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특정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 혹은 SMS 회신번호등을 작성하여 저장시키는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와, 상기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후에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전송신호 입력확인단계와, 상기 전송신호 입력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을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수신거부 확인단계와, 상기 수신거부 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메시지 정상수신단계와, 상기 수신거부 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메시지 정보가 일치됨이 확인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거부시키는 메시지 블록킹단계로 이루어진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신거부로 지정한 이메일의 주소나 단문메시지의 회신번호를 미리 저장한 다음 외부로부터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 입력시 이를 비교하여 수신거부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와는 관계없이 무작위로 전송되는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킨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message blocking of the telephone}
도 1은 종래 전화기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국선 2 : 교환기시스템
3 : 인터페이스부 4 : DSP부
5 : EEP-ROM 6 : 전화기
7 : 메모리부 8 : 제어부
9 : 키패드부 10: 그래픽 LCD
본 발명은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수신거부로 지정한 이메일의 주소나 단문메시지의 회신번호를 미리 저장한 다음 외부로부터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 입력시 이를 비교하여 수신거부하는 전화기의 메 시지 블록킹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일정지점에서 원하는 다른 지점으로 데이터를 보다 적절히 그리고 신속히 전송시키기 위한 정보통신시스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정보통신시스템들은 통상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동종간 또는 이기종간 통신기기나 정보기기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자원의 공유와 통신을 가능하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에는 전기신호로 변환된 정보를 상대방과 주고받기 위해 통상 교환기를 통해 전화기시스템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화기시스템에는 최근 사용자 부재시 호출자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이하 SMS(short message service)라함)를 저장하거나 혹은 이메일을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보편적이 추세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SMS나 이메일 수신기능이 구비된 전화기시스템을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PSTN망(70)을 경유하여 교환기시스템(71)으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호출자의 호신호나 SMS(또는 이메일)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72)와, 상기 인터페이스부(72)의 기능을 포함하여 전화기시스템(73)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74)과, 상기 인터페이스부(72)를 통해 사용자 부재중에 입력된 단문메시지(SMS)나 이메일들을 마이컴(74)의 기능제어신호에 따라 저장하는 메모리부(75)와, 상기 메모리부(75)의 단문메시지나 이메일을 표시신호로 재생시켜주는 LCD 패널(7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74)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신호나 다이얼링신호 를 입력시켜주는 키패드부(7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터페이스부(72)와 마이컴(74)의 사이에는 입출력되는 데이터 예컨대, 음성 호신호나 이메일 혹은 SMS 데이터를 변복조처리하는 데이터신호 처리부(78)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SMS기능이 구비된 전화기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전화기시스템(73)이 셋업될 경우 마이컴(74)은 대기상태에서 키패드부(77)의 기능설정신호나 혹은 외부로부터 링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만약 상기 링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후크오프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마이컴(74)은 사용자 부재중모드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미리 메모리부(75)에 저장시켜놓은 부재중 안내메시지를 상대방 전화기(79)로 전송한다.
상기 과정중에 만약, 상대방 전화기(79)로부터 단문메시지(SMS) 혹은 이메일이 전송되었을 경우 교환기시스템(71)은 이를 일정신호처리하여 전화기시스템(73)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전화기(73)의 마이컴(74)은 단문메시지를 인터페이스부(72)를 통해 수신하여 데이터신호 처리부(78)를 통해 일정신호처리한 다음 메모리부(75)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부(77)를 통해 메모리부(75)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나 이메일을 보기를 원할 경우 마이컴(74)은 사용자가 요구한 단문메시지나 이메일을 LCD(76)상에 표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전화기시스템은 외부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면 이를 무조건 수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기 사용자가 전송자의 수익성을 위해 무작위로 발송되는 스팸메일이나 단문메시지를 모두 수신하여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사용 편의성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전화기의 사용자가 수신하기를 거부하는 특정 메시지를 선별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않아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불편을 주게 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기능성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수신거부로 지정한 이메일의 주소나 단문메시지의 회신번호를 미리 저장한 다음 외부로부터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 입력시 이를 비교하여 수신거부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와는 관계없이 무작위로 전송되는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분별하게 전송되는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선별하여 확인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선택수신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특정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 혹은 SMS 회신번호등을 작성하여 저장시키는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와, 상기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후에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전송신호 입력확인단계와, 상기 전송신호 입력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을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수신거부 확인단계와, 상기 수 신거부 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메시지 정상수신단계와, 상기 수신거부 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메시지 정보가 일치됨이 확인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거부시키는 메시지 블록킹단계로 이루어진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국선(1)을 경유하여 교환기시스템(2)으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호출자의 호신호나 문자데이터 예컨대, 이메일(e-mail)이나 SMS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3)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를 경유하여 입출력되는 FSK 데이터 예컨대, 이메일 혹은 SMS 데이터를 변복조처리하는 DSP부(4)와, 상기 DSP부(4)를 통해 입력되는 FSK 데이터 예컨대, 이메일 혹은 SMS 데이터를 수신거부하기 위해 사용자가 지정한 전화번호, 발신번호, 이메일 주소 및 SMS의 회신번호 등을 저장하는 EEP-ROM(5)과, 상기 DSP부(4)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예컨대, 이메일 혹은 SMS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화기(6)의 기타 처리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7)와, 상기 EEP-ROM(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수신거부기능을 실행하고 SMS전화기(6)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8)와, 상기 제어부(8)의 일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기능설정신호를 입력시키는 키패드부(9)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의 일단에는 전화기(6)의 내부 처리사항을 외부로 표 시하는 그래픽 LCD(10)가 연결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전화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S2)로 진행하여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특정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 혹은 SMS 회신번호등을 작성하여 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S2)후에 전송신호 입력판단단계(S3)로 진행하여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전송신호 입력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없을 경우는 대기모드로 진행하여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전송신호 입력판단단계(S3)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을 경우는 메시지 처리단계(S4)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된 메시지의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처리단계(S4)후에 수신거부 판단단계(S5)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거부 판단단계(S5)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메시지 수신실행단계(S6)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시킨다.
그러나, 상기 수신거부 판단단계(S5)중에 판단한 결과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메시지 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는 메시지 블록킹 단계(S7)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블록킹(수신거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신거부 판단단계(S5)중에 현재 수신 된 메시지정보가 일정기간내에 여러번 반복적으로 입력될 경우에도 수신거부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전화기(6)는 먼저, 그래픽 LCD(10)상에서 키패드부(9)를 통해 수신거부 메시지 작성메뉴를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수신거부를 원하는 전화번호나 혹은 이메일의 주소 및 SMS 회신번호 등을 다수개를 부여하여 설정시킨다. 그러면, 상기 전화기(6)의 제어부(8)는 이를 분석하여 이메일의 주소나 혹은 SMS의 발송 전호번호 등의 정보를 EEP-ROM(5)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과정후에 전화기(6)의 제어부(8)는 국선을 통해 외부 교환기시스템(2)으로부터 전송신호가 입력될 경우 이를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인터페이스하여 DSP부(4)로 입력시킨다. 예컨대, 상기 입력된 전송신호가 FSK신호 즉, 이메일이나 SMS 신호일 경우 상기 제어부(8)는 이 FSK 신호를 DSP부(4)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분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전송신호는 SMS 일 경우 발신번호, 회신번호, 수신자 파라미터 및 SMS 내용이 수신되고, 이메일 일 경우는 이메일의 발신자, 수신자의 이메일 주소가 수신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8)는 EEP-ROM(5)에 기저장되어 있는 수신거부 메시지정보 예컨대, 이메일인 경우 이메일주소 그리고, SMS 인 경우 회신번호 정보를 읽어들여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의 해당 파라미터와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는 현재 수신된 메시지 비교정보 예컨대, 이메일인 경우 이메일 주소 그리고 SMS인 경우 회신번호를 사용자가 기 지정한 정보와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와 그 해당 파라미터를 통상의 방법대로 메모리부(7)에 저장시킨다.
그러나, 만약 상기 제어부(8)는 현재 수신된 메시지 비교정보 예컨대, 이메일인 경우 이메일 주소 그리고 SMS인 경우 회신번호를 사용자가 기 지정한 정보와 비교한 결과 서로 일치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블록킹(수신거부)시켜 메모리부(7)에 저장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불필요한 메시지의 수신으로인한 번거로운 확인절차를 매번 실행할 필요가 없게된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수신거부되는 항목에 동일한 메시지가 일정기간내에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블록킹하도록 설정하면 제어부(8)는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설정된 조건에 따라 비교 처리하고 그 조건에 해당될 경우 블록킹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신거부로 지정한 이메일의 주소나 단문메시지의 회신번호를 미리 저장한 다음 외부로부터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 입력시 이를 비교하여 수신거부하므로써, 사용자의 편의와는 관계없이 무작위로 전송되는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무분별하게 전송되는 이메일이나 단문메시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선별하여 확인할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선택수신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기능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메시지 수신을 거부하는 특정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 혹은 SMS 회신번호등을 작성하여 저장시키는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와, 상기 수신거부정보 작성단계후에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전송신호 입력확인단계와, 상기 전송신호 입력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가 있을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수신거부 확인단계와, 상기 수신거부 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수신거부 메시지 정보가 일치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메시지 정상수신단계와, 상기 수신거부 확인단계에 의해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와 기 저장된 메시지 정보가 일치됨이 확인될 경우 현재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거부시키는 메시지 블록킹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블록킹단계중에 현재 수신된 메시지정보가 일정기간내에 여러번 반복적으로 입력될 경우에도 메시지를 수신거부시키는 반복입력 수신거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KR1020020016354A 2002-03-26 2002-03-26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KR10081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54A KR100817283B1 (ko) 2002-03-26 2002-03-26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54A KR100817283B1 (ko) 2002-03-26 2002-03-26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06A KR20030077306A (ko) 2003-10-01
KR100817283B1 true KR100817283B1 (ko) 2008-03-27

Family

ID=3237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354A KR100817283B1 (ko) 2002-03-26 2002-03-26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9382B (en) * 2002-09-04 2005-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data in mobile telephone
CN1332573C (zh) * 2005-07-04 2007-08-15 侯万春 实现向移动电话用户提供短消息免打扰业务的装置和方法
KR101006859B1 (ko) * 2008-05-02 2011-01-10 황철도 온수탱크가 장착된 직화구이용 점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625A (ko) * 1989-08-18 1991-03-30 정용문 음성 우편장치의 송신자 선별 수신 제어방법
KR19980072840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특정 전화 수신 거부 방법
KR20000004586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사설 교환기에서 특정번호에 대한 착신거부 방법
KR20000030909A (ko) * 2000-03-30 2000-06-05 김부루나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 전자우편의 2 바이트 문자열수신자 아이디 전자우편 메일링 서비스 시스템
KR20000015121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필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625A (ko) * 1989-08-18 1991-03-30 정용문 음성 우편장치의 송신자 선별 수신 제어방법
KR19980072840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특정 전화 수신 거부 방법
KR20000004586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사설 교환기에서 특정번호에 대한 착신거부 방법
KR20000015121U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필터링 장치
KR20000030909A (ko) * 2000-03-30 2000-06-05 김부루나 컴퓨터 통신 또는 인터넷 전자우편의 2 바이트 문자열수신자 아이디 전자우편 메일링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06A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9978B1 (en) Short message transmission
US6278886B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transmitting messages in a predetermined sequence in a portable telephone
EP1505807A2 (en) Telephone, control method an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for selectively rejecting incoming telephone calls
JP4203738B2 (ja) メールおよびスケジュール機能付き携帯電話
US6804508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17283B1 (ko) 전화기의 메시지 블록킹 제어방법
US8873521B2 (en) Methods of determining information regarding remote user terminals and related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EP1472854B1 (en) In-bound call directed telephone station and method of directing a telephone station based on an in-bound call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US776110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haracter message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8195B1 (ko)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JP2003087395A (ja) 文字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
KR100465137B1 (ko) 전화기시스템의 수신데이터 삭제기능 제어방법
US20040157588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device
KR100748991B1 (ko) 메시지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40037377A (ko) 스팸 단문메시지 차단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전화기
KR20010056414A (ko) 무선 단말기에서 호 연결 방법
KR20040045163A (ko) 특정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 차단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0406252B1 (ko) 착신 기능 비활성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비활성화 방법
KR2005009857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KR100478838B1 (ko) 씨아디 비가입 에스엠에스 전화기의 에스엠에스자동수신방법
US7295835B2 (en) Wireless telephon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255317B1 (ko) 키폰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100518170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 개별전송기능이 구비된 에스엠에스 전화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