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292B1 -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292B1
KR100816292B1 KR1020060118620A KR20060118620A KR100816292B1 KR 100816292 B1 KR100816292 B1 KR 100816292B1 KR 1020060118620 A KR1020060118620 A KR 1020060118620A KR 20060118620 A KR20060118620 A KR 20060118620A KR 100816292 B1 KR100816292 B1 KR 10081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knife
holder
support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광택
임우종
최연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1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된 상,하측 나이프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각각 움직이는 상,하측 지지부재와, 패널의 상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상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상측 홀더와,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하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측 홀더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하측 홀더 사이에 결합되어 그 하측 홀더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패널의 상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나이프가 패널의 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그 나이프에 의해 패널의 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패널의 아랫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패널이 버큠 테이블의 흡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EALANT ATTACHED O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도 1은 일반적인 봉지재 제거장비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봉지재 제거장비를 구성하는 버큠 테이블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상기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상기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
도 7, 8은 상기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10; 상측 지지부재
220; 상측 홀더 230,330; 각도 조절기
250,350; 탄성 겸비 지지유닛 310; 하측 지지부재
320; 하측 홀더 400; 패널 지지유닛
410; 유압 실린더 420; 롤러 지지부재
430; 롤러 M1;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
M2;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
본 발명은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그 봉지재를 제거하는 나이프(knife)의 가압에 의해 패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이프가 패널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패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는 판형 글라스에 트랜지스터와 같은 구동 소자들 등이 구비된 하부 기판과, 판형 글라스에 컬러 필터층 등이 구비된 상부 기판과, 그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접합시키는 실링재와, 그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사이에 충진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엘시디는 하부 기판에 형성된 구동 소자들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구동하게 되며 그 액정 분자들의 구동에 의해 그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엘시디 패널의 제작방법 중의 하나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판형 글라스에 구 동 소자들 등을 형성하여 기판을 제작하고, 다른 판형 글라스에 컬러 필터층 등을 형성하여 기판을 제작한다. 그리고 그 두 개의 기판들 중 하나의 기판 가장자리에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도록 실런트를 도포한 후 다른 하나의 기판을 실런트가 도포된 기판에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주입구를 통해 두 개의 기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한 후 봉지재로 그 주입구를 막아 그 두 개의 기판 사이의 공간을 밀봉시키고, 그 주입구를 밀봉한 봉지재 중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작 방법은 각각의 기능을 갖는 제조 장비들이 배열된 제조 라인에서 진행된다. 상기 제조 장비들 중 주입구를 봉지재로 밀봉 후 그 기판의 표면으로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공정은 봉지 제거장비에 의해 진행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봉지 제거장비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봉지 제거장비가 패널의 아랫면과 윗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을 이송시키는 이송 유닛(10)이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20)의 일측으로 패널이 유입되면 그 패널이 이송 유닛(10)에 의해 이송되면서 설정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상기 패널이 정지하게 되면 하우징(20)의 내부에 구비된 버큠 테이블이 상측으로 움직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패널(P)의 중심부를 흡착하여 패널(P)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버큠 테이블(30)이 패널(P)을 고정하게 되면 하우징(20)의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유닛(40)에 설치된 봉지 제거 장치가 그 프레임 유닛(40)을 따라 왕복 운동하면서 그 패널의 주입구를 봉지한 후 그 패널(P)에 돌출된 부분의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 유닛(40)은 하우징(20)의 양측에 각각 기둥과 같이 설치되는 두 개의 스탠드(41)와, 그 두 개의 스탠드(41)에 가로질러 위치하는 지지부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지재 제거장치는 상기 프레임 유닛(40)의 지지부재(42)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봉지재 제거장치는 상기 지지부재(42)에 장착된 구동 유닛(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그 지지부재(42)를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봉지재 제거장치의 종래 구조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0)와, 상기 본체(5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2 슬라이딩 유닛(S1)(S2)과,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S1)에 결합되어 그 제1 슬라이딩 유닛(S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과,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S2)에 결합되어 그 제2 슬라이딩 유닛(S2)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70)과,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과, 상기 본체(50)의 상부에 장착되어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70)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M2)과,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측 나이프(knife)(81)와, 상기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7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나이프(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은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S1)의 슬라이더(83)와 결합되며 상기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과 연결되는 지지대(61)와, 상기 지지대(6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측 나이프(81)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 측 홀더(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70)은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S2)의 슬라이더(84)와 결합되며 상기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M2)과 연결되는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하측 나이프(82)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하측 홀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의 지지대(61)와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70)의 지지대(71)는 각각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측 홀더(62)와 하측 홀더(72)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측 홀더(62)와 하측 홀더(72)는 각각 복수 개의 고정 볼트(B)들이 구비되어 그 고정 볼트(B)들을 이용하여 상측 나이프(81)와 하측 나이프(82)를 각각 상측 홀더(62)와 하측 홀더(72)에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봉지재 제거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의 상측 홀더(62)와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의 하측 홀더(72)에 각각 상측 나이프(81)와 하측 나이프(82)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의 지지부재(42)에 구비된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본체(50)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측 나이프(81)와 하측 나이프(82)가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패널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측 나이프(81)와 하측 나이프(82)가 상하로 일정 간격 벌어진 상태에서 본 체(50)가 패널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타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의 작동에 의해 상측 나이프(81)가 하강하면서 패널의 상면에 접촉되어 본체(50)와 함께 움직이면서 패널의 상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유닛(40)에 구비된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50)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본체(50)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M2)의 작동에 의해 하측 나이프(82)가 상승하여 패널의 하면에 접촉되어 그 본체(50)와 함께 움직이면서 그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그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그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60)에 장착된 상측 나이프(81)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하측 나이프(82)도 이와 같은 메카니즘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패널의 아랫면과 윗면에 각각 돌출된 봉지재가 제거된 패널은 이송 유닛(10)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다른 패널이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봉지재 제거장치는 패널의 아랫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버큠 테이블(30)이 패널의 아랫면을 흡착 고정하기 때문에 그 하측 나이프(82)가 그 패널의 아랫면에 접촉되어 가압하게 될 경우 패널이 버큠 테이블(30)의 고정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하측 나이프(82)의 가압에 의해 패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큠 테이블(30)의 흡착 압력을 증 가시킬 경우 패널의 표면에 자국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의 상측 홀더(62)와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의 하측 홀더(72)에 각각 상측 나이프(81)와 하측 나이프(82)를 고정한 후 그 상,하측 나이프(81)(82)와 패널간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상,하측 나이프(81)(82)를 상,하측 홀더(62)(72)에 각각 설정된 위치대로 세팅이 되지 못할 경우 패널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그 봉지재를 제거하는 나이프의 가압에 의해 패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나이프가 패널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패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에 구비된 상,하측 나이프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각각 움직이는 상,하측 지지부재와; 패널의 상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상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상측 홀더와;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하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측 홀더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하측 홀더 사이에 결합되어 그 하측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패 널의 상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지 제거장비를 구성하는 프레임 유닛의 지지부재에 움직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100)에 제1,2 슬라이딩 유닛(S1)(S2)이 결합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S1)은 본체(1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S2)은 본체(10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2 슬라이딩 유닛(S1)(S2)은 각각 상하로 움직이는 슬라이더(83)(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슬리이딩 유닛(S1)에 그 제1 슬라이딩 유닛(S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이 결합되며,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S2)에 그 제2 슬라이딩 유닛(S2)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300)이 결합된다.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은 상기 제1 슬라이딩 유닛(S1)의 슬라이더(83)에 결합되는 상측 지지부재(210)와,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에 결합되는 상측 홀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와 상측 홀더(220) 사이에 각도 조절기(230)가 장착된다. 상기 각도 조절기(230)는 고니오미터(GONIOME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측 지지부재(210)의 한쪽 끝 하면에 각도 조절기(230)가 결합되고 그 각도 조절기(230)에 상기 상측 홀더(220)가 결합된다. 상기 상측 홀더(220)에 상측 나이프(24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300)은 상기 제2 슬라이딩 유닛(S2)의 슬라이더(84)에 결합되는 하측 지지부재(310)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에 결합되는 하측 홀더(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와 하측 홀더(320) 사이에 각도 조절기(330)가 장착된다. 상기 각도 조절기(330)는 고니오미터(GONIOME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는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하측 지지부재(310)의 한쪽 끝 상면에 각도 조절기(330)가 결합되고 그 각도 조절기(330)에 상기 하측 홀더(320)가 결합된다. 상기 하측 홀더(320)에 하측 나이프(34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된다. 상기 각도 조절기(340)의 조절에 의해 상기 하측 홀더(320)에 고정 결합된 하측 나이프(340)의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각도 조절기(340)와 하측 지지부재(310) 사이에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이 결합된다. 상기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은 복수 개의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이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각도 조절기(340)의 하면 일측이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에 힌지 결합되고 그 힌지 결합된 반대편에 복수 개의 압축 스프링이 결합된다. 상기 압축 스프링은 그 일측이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에 결합부에 고정 결합되고 그 압축 스프링의 타측 이 각도 조절기(340)의 결합부에 고정 결합된다. 그 복수 개의 압축 스프링은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은 하측 홀더(320)에 고정 결합된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의 면에 접촉시 그 하측 나이프(34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와 그 상측 지지부재(210)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기(240) 사이에 탄성 겸비 지지유닛(25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와 각도 조절기(240)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250)은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와 그 하측 지지부재(310)에 결합되는 각도 조절기(340)에 장착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과 같은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본체(100)에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과 상기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300)을 상하로 움직이는 하측 나이프 구동 유닛(M2)이 설치된다. 상기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은 서보 모터와 그 서보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타 부품에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200)의 상측 지지부재(210)에 전달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M2)은 상기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과 동일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과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M2)은 다양한 구동 메카니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패널의 상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400)이 구비된다. 상기 패널 지지유닛(400)은 본체(100)에 장착되는 유압 실린더(410)와, 상기 유압 실린더(410)의 축(411)에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재(420)와, 상기 롤러 지지부재(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 지지부재(420)에 가이드 부재(4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4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환봉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축부(441)와 그 가이드 축부(441)에 일정 길이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롤러 지지부재(420)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4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 실린더(4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410)의 축(411)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축에 연결된 롤러(43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440)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면서 그 롤러(430)의 움직임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기는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와 상측 홀더(220) 사이에만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각도 조절기는 하측 지지부재(310)와 하측 홀더(320) 사이에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겸비 지지유닛은 상기 하측 지지부재(310)와 하측 홀더(320) 사이에만 결합되거나 또는 상측 지지부재(210)와 상측 홀더(2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탄성 겸비 지지유닛은 상측 지지부재(210)와 상측 홀더(220) 사이와 하측 지지부재(310)와 하측 홀더(320) 사이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널이 하우징의 내부 설정 위치에 위치하여 버큠 테이블에 의해 흡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의 상측 홀더(220)와 하측 나이프 지지유닛(300)의 하측 홀더(320)에 각각 상측 나이프(240)와 하측 나이프(3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유닛에 구비된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본체(100)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측 나이프(240)와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의 상면과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패널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나이프(240)와 하측 나이프(340)가 상하로 일정 간격 벌어진 상태에서 본체(100)가 패널의 가장자리 일측에서 타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의 작동에 의해 상측 나이프(240)가 하강하면서 패널의 상면에 접촉되어 본체(100)와 함께 움직이면서 패널의 상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큠 테이블이 패널의 하면을 흡착하고 있기 때문에 상측 나이프(240)가 패널의 상면에 접촉되어 봉지재를 제거시 그 버큠 테이블이 패널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와 각도 조절기(230) 사이에 탄성 겸비 지지유닛(250)이 장착될 경우, 그 상측 나이프(240)가 패널을 과도하게 누르거나 충격이 발생될 때 그 탄성 겸비 지지유닛(250)이 그 압력이나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상측 나이프(240)에 의해 패널의 상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유닛에 구비된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본체(100)가 반 대 방향으로 움직임과 동시에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M2)의 작동에 의해 하측 나이프(340)가 상승하여 패널의 하면에 접촉되어 그 본체(100)와 함께 움직이면서 그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패널 지지유닛(400)이 작동하여 그 패널 지지유닛(400)의 롤러(430)가 하강하면서 그 롤러(430)가 패널의 상면을 누르면서 본체(100)와 함께 움직이게 된다.
상기 버큠 테이블이 패널의 하면을 흡착하고 있기 때문에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의 아랫면에 접촉되어 봉지재를 제거시 그 하측 나이프(340)가 아래에서 윗쪽으로 패널을 누르게 되어 패널이 버큠 테이블의 흡착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으나, 상기 패널 지지유닛(400)이 패널의 상면을 누르게 되어 패널이 버큠 테이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고 나면 그 패널 지지유닛(400)의 작동에 의해 그 롤러(430)가 상측으로 움직이면서 그 패널의 접촉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측 지지부재(210)와 각도 조절기(330) 사이에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이 장착되어 있어, 그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을 과도하게 누르거나 그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에 충격을 가하게 될 경우 그 탄성 겸비 지지유닛(350)이 그 압력이나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하측 나이프(340)에 의해 패널의 하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측 나이프(240)가 상측 홀더(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상측 나이프(240)가 패널의 상면과 기울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측 홀더(220)의 볼트들을 풀지 않고 각도 조절기(230)(330)로 그 상측 나이프(240)의 기울기,즉 경사각을 조 절하게 된다. 또한, 하측 나이프(340)가 하측 홀더(320)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의 하면과 기울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하측 홀더(320)의 볼트들을 풀지 않고 각도 조절기로 그 하측 나이프(340)의 기울기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상측 나이프 구동유닛(M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이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그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그 상측 나이프 지지유닛(200)에 장착된 상측 나이프(24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하측 나이프(340)도 이와 같은 메카니즘으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패널의 아랫면과 윗면에 각각 돌출된 봉지재가 제거된 패널은 이송 유닛을 통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고, 다른 패널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는 홀더가 탄성 겸비 지지유닛에 의해 탄성력으로 지지 되므로 나이프가 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과도한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나이프가 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또한 그 나이프의 손상을 줄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 나이프(340)가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패널 지지유닛(400)에 의해 패널의 상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그 하측 나이프(340)의 가압에 의해 패널이 버큠 테이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버큠 테이블이 패널을 과도하게 흡착하지 않게 되어 패널에 버큠 테이블에 의한 흡착 자국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각도 조절기가 구비되어 나이프를 홀더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나이프와 패널의 면 간의 기울기를 맞출 수 있게 되어 나이프의 각도 조절 작업이 수월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나이프의 각도 조절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는 나이프가 패널의 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그 나이프에 의해 패널의 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공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패널의 아랫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시 패널이 버큠 테이블의 흡착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패널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이프의 각도 조절 작업이 수월하고 그 각도 조절 시간이 단축되어 장비의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본체에 구비된 상,하측 나이프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각각 움직이는 상,하측 지지부재와;
    패널의 상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상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상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상측 홀더와;
    패널의 하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하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측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하측 홀더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하측 홀더 사이에 결합되어 하측 홀더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에 상하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패널의 상면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재와 상측 홀더 사이에 그 상측 홀더에 고정된 상측 나이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하측 홀더 사이에 그 하측 홀더에 고정된 하측 나이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하측 홀더 사이에 그 하측 홀더에 고정된 하측 나이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가 더 구비되고, 상기 상측 지지부재와 상측 홀더 사이에 그 상측 홀더에 고정된 상측 나이프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기는 고니오미터(GONI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부재와 상측 홀더 사이에 그 상측 홀더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유닛은 본체에 장착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축에 결합되는 롤러 지지부재와, 상기 롤러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8. 하측 나이프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하측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패널의 아랫면에 돌출된 봉지재를 제거하는 하측 나이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측 홀더와, 상기 하측 지지부재와 하측 홀더 사이에 장착되어 그 하측 홀더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탄성 겸비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KR1020060118620A 2006-11-28 2006-11-28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KR10081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620A KR100816292B1 (ko) 2006-11-28 2006-11-28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620A KR100816292B1 (ko) 2006-11-28 2006-11-28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292B1 true KR100816292B1 (ko) 2008-03-25

Family

ID=3941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620A KR100816292B1 (ko) 2006-11-28 2006-11-28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81B1 (ko) * 2008-05-09 2010-09-10 이종철 Lcd패널용 봉지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605A (ko) * 2000-09-01 2002-03-08 구사마 사부로 액정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50034878A (ko) * 2003-10-10 2005-04-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양면발광 유기전계 발광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605A (ko) * 2000-09-01 2002-03-08 구사마 사부로 액정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050034878A (ko) * 2003-10-10 2005-04-1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양면발광 유기전계 발광표시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18605 A
10-2005-34878 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81B1 (ko) * 2008-05-09 2010-09-10 이종철 Lcd패널용 봉지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27805A (zh) 吸附反轉裝置
KR101796928B1 (ko) 브레이킹 바를 이용한 브레이킹 장치
KR20080046332A (ko) 접착필름 커팅장치, 이를 갖는 접착필름 부착설비 및 이를이용한 접착필름 커팅 및 부착방법
KR102067982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545498B1 (ko) 기능성 필름 커팅장치
KR100816292B1 (ko) 엘시디 패널의 봉지재 제거장치
CN219626636U (zh) 一种基板自动夹持组件及基板自动夹持机构
KR100849025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얼라인 장치
KR102593615B1 (ko) 기판 절단 장치
CN109849494A (zh) 一种薄膜剥离机构及剥离装置
KR101440190B1 (ko)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 접착장치
CN209567999U (zh) 基板切割装置
KR101545499B1 (ko) 기능성 필름 커팅장치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CN208234761U (zh) 一种曲面屏压合装置
CN108358435B (zh) 一种曲面屏压合装置
KR20200087365A (ko) 더미 제거 유닛
JP2010208902A (ja) 基板分割装置および基板分割装置の制御方法
CN116631936B (zh) 基板夹持组件及基板夹持机构
KR102671725B1 (ko) 단재 제거 장치
JP2795727B2 (ja) 液晶表示板用ガラス基板の貼合せ装置
CN219361445U (zh) 一种贴膜翻转装置
CN220033321U (zh) 一种液晶产品搬运机构
CN109003933B (zh) 一种to精密定位装置
KR102304578B1 (ko) 스크라이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