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632B1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632B1
KR100814632B1 KR1020060056570A KR20060056570A KR100814632B1 KR 100814632 B1 KR100814632 B1 KR 100814632B1 KR 1020060056570 A KR1020060056570 A KR 1020060056570A KR 20060056570 A KR20060056570 A KR 20060056570A KR 100814632 B1 KR100814632 B1 KR 100814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processing
valid
unit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469A (ko
Inventor
이선우
유동상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스 filed Critical (주)아이디스
Priority to KR1020060056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632B1/ko
Publication of KR2007012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2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non-picture data, e.g. of text during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frame
    • H04N7/035Circuits for the digital non-picture data signal, e.g. for slicing of the data signal, for regeneration of the data-clock signal, for 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06F13/4286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using a handshaking protocol, e.g. RS232C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을 공개한다. 그 장치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를 획득하는 문자 입력부와,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문자 가공부와,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와,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문자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문자를 가공하여 관제 작업에 필요한 관제 문자와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통해 관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관제 작업의 동작 효율과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킨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Digital Video Recorder and method of it and including it}
도1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부 및 문자 가공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도3의 문자 입력부 및 문자 가공부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의 문자 출력 장치의 문자를 제공받아 관제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deo Recorder)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와 같은 감시 카메라로 입력된 영상 데이타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 동화상 국제 압축 표준인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등의 알고리즘으로 영상을 압축 복원하여 장시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고해상도의 저장 장치이다.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초기에는 카메라와의 결합만을 지원하여 카메라의 영상만을 저장하도록 하였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판매시점관리 시스템(POS; point of sale system) 단말기, 금융자동화기기(ATM;automatic teller machine, CD;cash dispenser), 무인 주유 장치와 같은 문자출력장치와의 결합도 지원하여 이들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문자출력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단순히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이를 가공하여 별도의 부가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까지는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관제 작업에 전혀 도움을 주지 않는 무의미한 문자까지도 저장하게 되어, 관제 작업의 동작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혹은 부가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문자 출력 장치의 데이터 출력 형식이 통일되지 못하고, 또한 각 장치들마다 출력되는 문자 내용 또한 상이하여, 부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각 문자 출력 장치의 문자 출력에 맞추어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부가 정보 처리 부분의 개발이 중복되므로 개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기존의 문자 출력 장치와 다른 장치를 장비했을 시 지원되지 못하는 등의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출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가공하여 새로운 관제 문자와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관제 작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은 데이터 입력 작업을 통해 생성되는 문자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과,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대응되는 문자 출력 장치가 설치된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과, 문자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로부터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이용한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를 획득하는 문자 입력부와,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문자 가공부와,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와,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자 입력부는 복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 각각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 각각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정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문자를 수신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출력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와, 데이터 형식 변환부의 문자로부터 문자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문자 가공부로 전송하는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자 가공부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유효 문자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또는 이벤트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과, 문자 입력부로부터 유효 문자 및 장치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장치별 문자 가공부를 파악하고 유효 문자를 전송하는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를 획득하는 문자 입력부와,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문자 가공부와,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와,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 레이 및 저장하면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자 입력부는 복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 각각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 각각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정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문자를 수신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출력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와, 데이터 형식 변환부의 문자로부터 문자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문자 가공부로 전송하는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자 가공부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유효 문자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또는 이벤트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과, 문자 입력부로부터 유효 문자 및 장치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장치별 문자 가공부를 파악하고 유효 문자를 전송하는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방법은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수신 및 획득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만을 획득하는 문자 획득 단계와,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문자 가공 단계 와,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 및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와,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서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문자 획득 단계는 문자 출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문자추출조건들 중 시작 문자를 수신한 하나의 문자추출조건을 활성화된 문자추출조건으로 획득하는 단계와, 활성화된 문자추출조건에 따라 유효 문자를 획득하고, 활성화된 문자추출조건의 종료 문자를 수신되면 유효 문자의 획득을 중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문자추출조건들 각각의 시작 문자와 종료 문자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문자 가공단계는 유효 문자를 수신하면 복수개의 문자가공조건들에 따라 유효 문자를 순차적으로 가공하고, 복수개의 문자가공조건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개의 문자가공조건들은 특정 문자의 정보를 변환시키도록 하는 조건, 특정 문자를 삭제하거나 추가시키도록 하는 조건, 및 특정 문자의 발견시에 특정 문자의 발견을 통보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조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관제 시스템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제 시스템은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과,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2-1~2-n)들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 각각은 POS 단말기,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무인 주유 장치등과 같이 감시 구역에 설치되는 장치로 구현되어, 작업자의 데이터 입력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문자들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에 제공한다. 이때, POS 단말기는 상품의 판매시점에서 획득되는 문자를, 금융 자동화 기기는 금융 거래시점에서 획득되는 문자를, 및 무인 주유 장치는 작업자의 주유시점에서 획득되는 문자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로 실시간 전송한다.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2-1~2-n) 각각은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 각각 대응되어, 대응되는 문자 출력 장치가 설치된 감시 구역을 영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로 실시간 전송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는 문자 출력 장치(1-1~1-n)로부터 전송되는 문자와 각 카메라(2-1~2-n)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각각 수신한다. 그리고 문자추출조건에 따라 수신된 문자로부터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와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수신된 영상을 이용한 관제 작업을 수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문자 입력부(11), 문자 가공부(12), 영상 입력부(13), 제어부(23), 명령 입력부(30), 데이터 출력부(40)를 구 비하고, 데이터 출력부(50)는 디스플레이부(51), 원격 접속부(52), 알람 출력부(53)를 구비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자 입력부(11)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 각각과의 접속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문자 출력 장치(1-1~1-n)로부터 전송되는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가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문자추출조건에 따라 현재의 관제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유효 문자만을 추출한다.
문자 가공부(12)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가공조건을 구비하고, 문자 입력부(11)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의 문자들을 대응되는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새로운 관제 문자 또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관제 문자는 현재의 관제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와 데이터 포맷 및 형식을 가지고, 이벤트 정보는 작업자가 특정한 유효 문자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행하고자 하는 이벤트 작업의 정보를 가진다.
영상 입력부(13)는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2-1~2-n) 각각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2-1~2-n)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가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제어부(20)는 명령 입력부(40)로부터 입력받은 작업자의 명령 또는 외부기기의 명령을 수행한다. 그리고 문자 가공부(12)로부터 전송되는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에 응답하여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에 합성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 서, 이벤트 정보에 따라 각종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여 준다.
그리고 이벤트 작업은 관제 문자의 저장 동작을 명령하는 작업, 이벤트 정보의 저장 동작을 명령하는 작업, 특정 이벤트 정보의 발생을 원격지에 위치한 외부 기기에 통보하는 작업, 및 알람을 발생하는 작업등이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작업의 종류와 개수는 작업자 또는 관제 동작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설정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30)는 하드디스크(HDD)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로 구현되어, 제어부(23)의 제어하에 관제 문자 및 영상들의 데이터를 이벤트 정보와 함께 압축 저장하여, 차후에 사용자가 감시 구역별, 시간별, 또는 이벤트 별로 분류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명령 입력부(40)는 작업자의 명령을 검출 및 획득하는 키보드(41) 및 마우스(42)와, 외부 기기의 명령을 수신 및 획득하는 통신 포트(43)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명령 뿐 만 아니라 관제 서버와 같은 외부 기기의 명령도 검출 및 획득한 후, 제어부(23)에 제공한다.
데이터 출력부(50)는 제어부(23)의 작업 결과에 따라 영상, 음성, 및 상태 정보 신호를 작업자가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1), 제어부(23)의 작업 결과에 따라 영상, 음성, 및 상태 정보 신호를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된 외부 기기(미도시)로 출력하는 원격 접속부(52), 및 알람 발생 장치(미도시)와 결합되어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 출력부(53)등을 구비하여, 제어부(23)의 디스플레이 작업, 이벤트 작업, 및 알람 작업 등을 지원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부(11) 및 문자 가공부(12)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부(11)는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100-1~100-m)를 구비하고, 각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예를 들어, 100-1)는 통신 포트(110-1), 데이터 형식 변환부(120-1),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1)를 구비하고,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1)는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131-1~13i-1)를 구비한다. 그리고 문자 가공부(12)는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200), 문자 출력 장치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300-1~300-n)을 구비하고, 각 장치별 문자 가공부(예를 들어, 300-1)는 복수개의 문자 가공부(311~31x-1)를 구비한다.
이때, 각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1~130-m)내에 구비되는 문자 추출부의 개수 및 문자추출조건과 각 장치별 문자 가공부(300-1~300-n)내에 구비하는 문자 가공부의 개수 및 문자가공조건은 현재에 수행되고 있는 관제 작업의 작업 조건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통신 포트들(110-1~110-m) 각각은 RS-232, RS-422, RS-423, RS-485, 및 TCP/IP등의 통신 프로토콜들 각각에 대응된다. 이에 각 통신 포트(예를 들어, 110-1)는 원거리에 설치되며 자신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정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3)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특정한 문자 출력 장치(1-1~1-3)로부터 문자를 수신하면, 수신한 문자에 장치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부(120-1)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개의 통신 포트들(110-1~110-m) 각각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종류와 개수는 문자 출력 장치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장치 식별 정보는 해당 문자를 전송한 문자 출력 장치가 어떤 장치 인지를 통보하기 위한 정보를 가진다.
각 데이터 형식 변환부(예를 들어, 120-1)는 대응되는 통신 포트(110-1)가 제공하는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장치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라인 단위로 끊어서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한다.
각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예를 들어, 130-1)는 서로 상이한 문자추출조건을 가지는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130-1~130-m)을 구비한다. 그리고 데이터 형식 변환부(120-1)의 문자가 수신되면, 활성화되는 문자 추출부(예를 들어, 130-1)를 하나 획득하고 이의 문자추출조건에 따라 유효 문자만을 추출한 후,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200)로 전송한다.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200)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1-1~1-n)과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300-1~300-n)간을 일대일 매핑한다. 그리고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로부터 유효 문자 및 장치 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문자를 전송한 문자 출력 장치와 이에 매핑된 장치별 문자 가공부를 파악하고, 해당 장치별 문자 가공부로 유효 문자를 전송한다.
각 장치별 문자 가공부(예를 들어, 300-1)는 서로 상이한 문자가공조건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문자 가공부들(300-1~300-n)을 구비하고, 유효 문자를 복수개의 문자 가공부들(300-1~300-n)을 거쳐 전송시키면서 문자가공조건들에 따른 대소문자 변환 작업, 특정 유효 문자 삭제 작업, 및 이벤트 검출 작업등의 문자 가공작업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장치별 문자 가공부(300-1)는 유효 문자로부터 새로운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20)로 제공한다.
도4는 도3의 문자 입력부(11) 및 문자 가공부(12)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문자 입력부(100-1)는 제1 및 제2 문자 추출부(131-1,132-1)를 구비하고, 문자 가공부(300-1)는 제1 내지 제3 문자 가공부(311-1~313-1)를 구비하고, 제1 문자 추출부(131-1)는 시작문자가 "ABC"이고, 종료문자가 "no"인 문자추출조건을, 제2 문자 추출부(132-1)는 시작문자가 "Item"이고, 종료문자가 "total"인 문자추출조건을 각각 구비하고, 제1 문자 가공부(311-1)는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경하도록 하는 문자가공조건을, 제2 문자 가공부(312-1)는 "$" 문자를 발견하면 삭제하도록 하는 문자가공조건을, 제3 문자 가공부(313-1)는 "TOTAL" 문자를 발견하면 알람 발생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문자가공조건을 각각 구비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ABC Market~ no.1235"라는 문자가 연속하여 전송되면, 제1 문자 추출부(131-1)는 이에 응답하여 활성화되어 "ABC"라는 문자가 입력될 때부터 "no"라는 문자가 입력될 때까지의 문자를 유효 문자로 획득한다. 그러면 유효 문자내에 포함되는 소문자는 제1 문자 가공부(311-1)를 거치면서 모두 대문자로 변환된 후, 관제문자로써 제어부(20)로 제공된다.
그리고 "="라는 문자가 연속하여 전송된 후, "Item~ Thank you~"라는 문자가 연속하여 전송되면, 제1 문자 추출부(131-1)는 시작 문자를 획득하기 못해 비활성화되고 제2 문자 추출부(132-1)가 시작문자를 획득하여 활성화된다. 이에 제2 문자 추출부(132-1)는 "Item"라는 문자가 입력될 때부터 "total"라는 문자가 입력될 때까지의 문자를 유효 문자로 획득한다. 그러면 제1 문자 가공부(311-1)는 다시 유효 문자내에 존재하는 모든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고, 제2 문자 가공부(312-1)는 "$" 라는 문자를 삭제하고, 제3 문자 가공부(313-1)는 "TOTAL"이라는 문자에 응답하여 알람 발생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한다.
이에 문자 가공부(12)는 "ITEM ~ TOTAL : 16.85" 라는 관제 문자와 함께 알람 발생을 위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2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 입력부(11) 및 문자 가공부(12)내에 구비되는 문자추출 조건 및 문자가공조건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현재의 관제 작업시에 필요한 관제 문자와 이벤트 정보들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전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정한 통신 포트(예를 들어, 110-1)를 통해 문자 출력 장치(예를 들어, 1-1)로부터 전송되는 문자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120-1)는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다(S1).
그러면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1)는 활성화된 문자 추출부가 있는지를 확인하고(S2), 활성화된 문자 추출부가 없으면 처음의 문자 추출부(131-1)를 우선적으로 선택한 후, 데이터 형식 변환부(120-1)의 문자를 전송한다(S3).
이에 제1 문자 추출부(131-1)가 시작문자를 획득하면(S4),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는 현재 선택된 처음의 문자 추출부(131-1)를 활성화된 문자 추출부로 설정하여(S5), 유효 문자를 획득하도록 한다(S6). 그리고 처음의 문자 추출부(131-1)에 종료문자가 전송되지 않으면(S7), 유효 문자를 계속하여 획득하도록 하고(S8), 종료문자가 전송되면, 유효 문자의 획득을 종료한다(S9). 이에 활성화된 문자 추출부로 설정된 처음의 문자 추출부(131-1)는 시작 문자를 수신한 후, 종료문자를 수신할 때까지 문자를 모두 유효 문자로 획득한다.
반면에 처음의 문자 추출부(131-1)가 시작문자를 획득하지 못하면(S4),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1)는 현재 선택된 문자 추출부(131-1)가 마지막의 문자 추출부(13i-1)인지를 확인한다(S10).
단계 S10의 확인 결과, 마지막의 문자 추출부(13i-1)가 아니면 다음의 문자 추출부(132)를 선택한 후(S11), 단계 S4로 재진입하여 이 문자 추출부(132)가 활성화된 문자 추출부인지를 재확인하여 준다.
반면에 현재 선택된 문자 추출부가 마지막의 문자 추출부(13i-1)가 될 때 까지 단계 S4,S10, 및 S11을 반복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활성화된 문자 추출부를 획득하지 못하면, 현재에 입력된 문자는 무의미한 문자임을 확인하고 폐기한다(S12).
이에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130)는 단계S2 내지 S12를 통해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131-1~13i-1) 중 활성화되는 하나의 문자 추출부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유효 문자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효 문자들은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200)는 대응되는 장치별 문자 가공부(예를 들어, 300-1)로 전송되며(S13), 이를 수신한 장치별 문자 가공부(300-1)는 처음의 문자 가공부(311-1)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S14).
그러면 처음의 문자 가공부(311-1)는 문자가공조건을 만족시키는 특정한 문자가 있으면(S15),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문자에 대한 대소문자 변환 작업, 특정 유효 문자 삭제 작업, 또는 이벤트 검출 작업과 같은 문자 가공작업을 수행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S16).
그리고 장치별 문자 가공부(300-1)는 단계 S16이 완료되면, 현재 선택된 문자 가공부(311-1)가 처음의 문자 가공부(31x-1)인지를 확인하고, 처음의 문자 가공부(31x-1)가 아니면(S17), 다음의 문자 가공부(312-1)에 단계 S16을 통해 생성된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다시 제공하여(S18), 또 다른 문자 가공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에 장치별 문자 가공부(300-1)에 제공된 유효 문자는 복수개의 문자 가공부(311-1~31x-1)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다양한 문자 가공작업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현재 선택된 문자 가공부(311)가 처음의 문자 가공부(31x-1)이면, 유효 문자가 모든 문자 가공부(311~31x-1)를 거치면서 모든 문자 가공작업을 수행하였음을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생성된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제어부(S19)로 제공한다(S19).
그러면 제어부(30)는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관제 문자는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거나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여 준다. 즉,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에 따른 관제 작업을 수행하여 준다(S2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은 문자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문자를 가공하여 관제 작업에 필요한 관제 문자만을 획득하여 저장하도록 하여 관제 작업의 동작 효율을 증대시킨다. 뿐 만 아니라 문자를 가공하여 별도의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따른 이벤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관제 작업의 활용도도 획기적으로 증대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추출 조건 및 문자 가공 조건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없이도 새로운 형식의 문자 출력 장치의 문자 데이터를 수신 및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자 출력 장치가 변경되지 않았더라도 상기의 설정만을 변경함으로써 저장할 문자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를 구비하는 관제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준다.

Claims (23)

  1. 데이터 입력 작업을 통해 생성되는 문자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상기 대응되는 문자 출력 장치가 설치된 구역의 영상을 획득하여 출력하는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 및
    상기 문자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로부터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상기 관제 문자,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한 관제 작업을 수행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를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유효 문자를 획득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상기 관제 문자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문자 가공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 및
    상기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부는
    복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 각각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 각각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정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문자를 수신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의 문자로부터 문자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문자 가공부로 전송하는 상기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는
    서로 상이한 문자추출 조건을 가지는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을 각각은
    상기 유효 문자의 획득을 명령하는 시작문자와 상기 유효 문자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문자를 설정한 상기 문자추출조건을 구비하며, 상기 시작문자를 수신한 후 상기 종료문자를 수신할 때까지의 문자를 상기 유효 문자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는
    해당 문자를 출력한 상기 문자 출력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을 각각의 문자추출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은
    RS-232, RS-422, RS-423, RS-485, 및 TCP/IP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가공부는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상기 유효 문자를 가공하여 상기 관제 문자 또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 및
    상기 문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유효 문자 및 장치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장치별 문자 가공부를 파악하고 상기 유효 문자를 전송하는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상기 유효 문자를 가공하는 복수개의 가공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상기 가공부들 각각은
    특정 문자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문자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문자의 발견시에 상기 특정 문자의 발견을 통보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 각각의 문자가공조건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은
    POS(point of sale system) 단말기,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무인 주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제 시스템.
  12.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문자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를 획득하는 문자 입력부;
    상기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문자 가공부;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영상 입력부; 및
    상기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부는
    복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 각각을 지원하는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프로토콜별 문자 입력부들 각각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소정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과의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문자를 수신하면 장치 식별 정보를 첨부하여 출력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의 데이터 형식을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한 후,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데이터 형식 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 형식 변환부의 문자로부터 문자추출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유효 문자를 추출한 후, 상기 장치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문자 가공부로 전송하는 상기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별 문자 추출부는
    서로 상이한 문자추출 조건을 가지는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추출부들을 각각은
    상기 유효 문자의 획득을 명령하는 시작문자와 상기 유효 문자의 획득을 종료하는 종료문자를 설정한 상기 문자추출조건을 구비하며, 상기 시작문자를 수신한 후 상기 종료문자를 수신할 때까지의 문자를 상기 유효 문자로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정보는
    해당 문자를 출력한 상기 문자 출력 장치의 장치 식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통신 프로토콜들은
    RS-232, RS-422, RS-423, RS-485, 및 TCP/IP 통신 프로토콜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가공부는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며,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상기 유효 문자를 가공하여 상기 관제 문자 또는 상기 이벤트 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 및
    상기 문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유효 문자 및 장치 식별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장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대응되는 장치별 문자 가공부를 파악하고 상기 유효 문자를 전송하는 장치별 문자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장치별 문자 가공부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상기 유효 문자를 가공하는 복수개의 가공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상기 가공부들 각각은
    특정 문자의 정보를 변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문자를 삭제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특정 문자의 발견시에 상기 특정 문자의 발견을 통보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은
    POS(point of sale system) 단말기, 금융 자동화 기기, 및 무인 주유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20.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수신 및 획득한 후, 문자추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효 문자만을 획득하는 문자 획득 단계;
    상기 유효 문자를 문자가공조건에 따라 가공하여 관제 문자 및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문자 가공 단계;
    상기 복수개의 문자 출력 장치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영상 출력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수신 및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및
    상기 관제 문자를 대응되는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면서 상기 이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이벤트 작업을 수행하는 관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획득 단계는
    상기 문자 출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문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문자추출조건들 중 상기 시작 문자를 수신한 상기 하나의 문자추출조건을 활성화된 문자추출조건으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활성화된 문자추출조건에 따라 상기 유효 문자를 획득하고, 상기 활성화된 문자추출조건의 종료 문자를 수신되면 상기 유효 문자의 획득을 중지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추출조건들 각각의 시작 문자와 종료 문자는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가공단계는
    상기 유효 문자를 수신하면 복수개의 문자가공조건들에 따라 상기 유효 문자를 순차적으로 가공하고,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공조건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문자가공조건들은
    특정 문자의 정보를 변환시키도록 하는 조건, 특정 문자를 삭제하거나 추가시키도록 하는 조건, 및 특정 문자의 발견시에 상기 특정 문자의 발견을 통보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조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동작 방법.
KR1020060056570A 2006-06-22 2006-06-2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KR100814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570A KR100814632B1 (ko) 2006-06-22 2006-06-2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570A KR100814632B1 (ko) 2006-06-22 2006-06-2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469A KR20070121469A (ko) 2007-12-27
KR100814632B1 true KR100814632B1 (ko) 2008-03-18

Family

ID=3913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570A KR100814632B1 (ko) 2006-06-22 2006-06-22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6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60A (ko) * 2002-10-14 2003-01-14 연거석 감시카메라와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카운터 감시방법
KR20040046768A (ko) * 2002-11-28 2004-06-05 (주)태성엠아이에스 Dvr이 내장된 pos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20040076451A (ko) * 2003-02-25 2004-09-01 (주) 센텍정보통신 기상에 대한 문자정보를 듀얼 온 스크린 방식으로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3391A (ko) * 2004-06-25 2005-12-29 (주)우일리더스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60A (ko) * 2002-10-14 2003-01-14 연거석 감시카메라와 포스 시스템을 이용한 카운터 감시방법
KR20040046768A (ko) * 2002-11-28 2004-06-05 (주)태성엠아이에스 Dvr이 내장된 pos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20040076451A (ko) * 2003-02-25 2004-09-01 (주) 센텍정보통신 기상에 대한 문자정보를 듀얼 온 스크린 방식으로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123391A (ko) * 2004-06-25 2005-12-29 (주)우일리더스 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469A (ko)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6529B2 (en) Image monitoring system and image monitoring program
EP2688296B1 (en) Video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313535B2 (en) Remote support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remote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002689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setting method thereof
JP6415061B2 (ja)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68590B1 (ko) Pos 데이터를 이용한 디지털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7053717A (ja) 静止画像を共に出力する保安監視システム
JP4611147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遠隔操作方法
EP3151113B1 (en) Remote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s of controlling these, and storage medium
JP2011217055A (ja) 画像記録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US6483878B1 (en) Video communication system, video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JP2007288734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814632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관제 시스템
JP5318699B2 (ja) Kvmスイッチ、kvm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8283410A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CA2476150C (en) Method and system for overlaying image with text
JP4308633B2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04005426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WO2017187607A1 (ja) 映像監視方法およびサーバならびに映像監視システム
WO2016135816A1 (ja) 情報システム
KR20090052855A (ko) 화상 배신 장치
KR100794957B1 (ko) 텍스트 검색 기반의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
JP6332378B2 (ja) 売上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726569A (zh) 监控内容替换检测系统及方法
WO2018159224A1 (ja)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