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219B1 -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219B1
KR100813219B1 KR1020070026406A KR20070026406A KR100813219B1 KR 100813219 B1 KR100813219 B1 KR 100813219B1 KR 1020070026406 A KR1020070026406 A KR 1020070026406A KR 20070026406 A KR20070026406 A KR 20070026406A KR 100813219 B1 KR100813219 B1 KR 100813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user
seat plate
width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직원
강은희
Original Assignee
강직원
강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직원, 강은희 filed Critical 강직원
Priority to KR1020070026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의자 좌판 및 의자등받이로 형성된 의자에 있어서, 별도로 형성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지지하며,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을 일부 감싸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일부 감싸서 지지해 주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 그리고 경추지지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길이로써,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 사이에는 a:b:c:d:e = 1 : 0.681~0.729 : 0.492~0.527 : 0.667~0.744 : 0.264~0.296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자를 형성함과 동시에 의자 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에 각각 연결부재로 형성하여, 사용자에게 포근함과 안착감을 제공하는 의자의 제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의 의자를 통해 사용자에게 포근함과 안정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허리에 편안함을 주며,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의자, 좌판, 등받이, 척추, 교정, 디스크, 높이조절

Description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Tailor-made Chair in vehicle}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가" 부분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가"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최저 높이의 등받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최고 높이의 등받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6a은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를 부착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b는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에 충격흡수부재를 끼운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를 부착하는 또 다른 체결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8a, 8b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의자 20: 좌판 30: 등받이
31: 돌기 33: 걸이부 35: 쿠션
40 : 경추지지수단 50: 다리
100: 의자 110: 좌판부 111: 받침부
120: 등받이부 121: 돌기 123: 날개부
125: 경추지지부 125a: 지지부 130: 높이조절부재
131: 높이조절프레임 133: 안내공 135: 프레임하우징
137: 나사공 139: 고정나사 140: 다리
141: 수직프레임 143: 수평프레임 145: 바퀴
150: 벨트 151: 벨크로 153: 클립
본 발명은 일반 사무용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과,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좌판부와 등받이부와 경추지지부로 구분되는 의자에서 좌판부의 바닥면부터 등받이부 상단까지의 길이에 대해 좌판부의길이, 등받이부 하부의길이, 등받이부 상부의 길이, 경추지지부의 폭이 소정 비율을 형성함으로써, 사용 자의 체형에 따라 포근함과 안정감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의자에서 편안한 안착감을 갖도록 하며, 등받이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는 척추의 목뼈부터 허리뼈까지 척추의 마디 사이에 끼어있는 원반 모양의 일종의 관절이다.
디스크의 위 아래로는 척추 뼈와 접해 있는 연골판으로 되어 있고, 둥그런 외곽 주위로는 탄력있는 환상섬유로 겹겹이 둘러싸여 있으며, 디스크의 내부 중심부에는 말랑말랑한 수핵이 들어있다.
이 수핵이 디스크의 중심 역할을 하는 부위로써, 환상섬유를 자동차 타이어의 고무바퀴에 비유한다면, 수핵은 공기가 들어있는 튜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수핵은 대부분 점액성의 단백질로서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고, 척추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의 역할을 하며, 척추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관절 역할도 하고 있다.
신체 체위변화에 따라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체중에 의한 하중을 측정한 것을 보면, 반드시 누워 있으면 충격이 가장 작아 자기 몸무게의 약 1/3 정도의 하중이 가해지고, 옆으로 누워 있으면 자기 체중과 비슷한 정도이며, 서 있으면 자기 체중의 약 1.5배의 하중이 가해지고, 의자에 기대지 않고 앉아 있으면 자기 체중의 약 2배의 하중이 허리디스크에 가해진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 제435846호가 선등록되어 있다.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척추 교정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을 참조하여 특허등록 제435846호의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의자(10)는 좌판(20)과 등받이(30)가 하나의 몸체로 성형되고, 등받이(30)는 사용자의 척추 곡선과 동일한 곡선으로 형성되며, 등받이(3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등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도록 돌기(31)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게 걸이부(33)가 등받이(30)에서 일체로 수평하게 전방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등받이(3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감싸서 지지해 주도록 경추지지수단(40)이 형성되어서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사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걸이부(33)에는 래칫장치를 통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받쳐주는 쿠션(35)이 구비된다.
그리고 좌판(20)의 하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다리(50)는 좌판(20) 및 등받이(30)를 지지하고, 착석시 의자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그러면 종래의 의자는 사용자의 등 협세부(狹細部)를 받쳐줄 수 있고, 겨드랑이를 걸어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을 통해 허리디스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마다 체형이 상이한데,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의자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판 또는 등받이의 구조를 반영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의자는 획일화된 좌판 또는 등받이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에 맞춰 의자의 안정감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신장이 큰 사용자가 종래의 의자를 사용하면, 좌판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아 사용자의 둔부 측 안착감이 떨어지고, 등받이의 돌기가 사용자의 등 협세부(狹細部)를 충분히 받쳐주지 못하며, 경추지지수단이 사용자의 경추에 미치지 못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있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종래의 의자를 사용하면, 좌판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 사용자의 둔부 측 안착감이 떨어지고, 등받이의 돌기가 사용자의 등 협세부(狹細部)를 충분히 받쳐주지 못하며, 경추지지수단이 사용자의 경추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의자에 앉아 있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신장이 큰 사람은 앉은 키와 다리의 길이가 길다고 가정하고, 신장이 작은 사람은 앉은 키와 다리의 길이가 짧다고 가정한다.
이에 사용자에게 맞는 의자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신체 치수 사이의 연관관계를 찾고자 한다.
또한, 자동차에 있어서도 사고시 통상의 머리받침대에 머리가 충격하여 목 뼈가 뿌려지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사고는 통상의 의자 머리받침대가 머리 부분에만 먼저 부딪히므로 충격을 받지 않은 목부분이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았다.
이를 위하여 개선된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신장에 따른 신체 치수 사이에 일정한 비율이 형성됨을 알아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고, 표준화된 의자의 구성 비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표준화된 의자의 구성 비율과 더불어 사용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구성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좌판의 길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구성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등받이 하부의 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구성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등받이 상부의 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구성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경추지지수단의 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에 돌기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 협세부(狹細部)를 충분히 받쳐줄 수 있도록 등받이의 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체형에 따른 각각의 사용자가 표준화된 의자를 통해 안정감과 포근함을 제공하고,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허리에 편안함을 주기 위한 것이다.
더구나, 자동차용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의자를 제공하고, 충격 흡수재를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안락감은 물론 목 뼈가 부려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지지하며,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 부분을 일부 감싸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일부 감싸서 지지해 주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 그리고 경추지지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길이로써,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 사이에는 a:b:c:d:e = 1 : 0.681~0.729 : 0.492~0.527 : 0.667~0.744 : 0.264~0.296의 관계를 만족하는 맞춤형 의자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이 150cm 이상 160.5cm 미만이 되면, 기장(a)은 58.5cm 이상 59.5cm 이하이고, 둔부길이(b)는 42.5cm 이상 43.5cm 이하이며, 허리폭(c)은 28.5cm 이상 29.5cm 이하이고, 어깨폭(d)은 39.5cm 이상 40.5cm 이하이며, 머리폭(e)은 15.5cm 이상 16.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이 160.5cm 이상 165.5cm 미만이 되면, 기장(a)은 61.5cm 이상 62.5cm 이하이고, 둔부길이(b)는 44.5cm 이상 45.5cm 이하이며, 허리폭(c)은 30.5cm 이상 31.5cm 이하이고, 어깨폭(d)은 42.5cm 이상 43.5cm 이하이며, 머리 폭(e)은 16.5cm 이상 17.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이 165.5cm 이상 170.5cm 미만이 되면, 기장(a)은 64cm 이상 65cm 이하이고, 둔부길이(b)는 45.5cm 이상 46.5cm 이하이며, 허리폭(c)은 33.5cm 이상 34.5cm 이하이고, 어깨폭(d)은 47.5cm 이상 48.5cm 이하이며, 머리폭(e)은 18.5cm 이상 19.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이 170.5cm 이상 175.5cm 미만이 되면, 기장(a)은 66.5cm 이상 67.5cm 이하이고, 둔부길이(b)는 46.5cm 이상 47.5cm 이하이며, 허리폭(c)은 34.5cm 이상 35.5cm 이하이고, 어깨폭(d)은 47.5cm 이상 48.5cm 이하이며, 머리폭(e)은 18.5cm 이상 19.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이 175.5cm 이상 180.5cm 미만이 되면, 기장(a)은 69cm 이상 70cm 이하이고, 둔부길이(b)는 47.5cm 이상 48.5cm 이하이며, 허리폭(c)은 35.5cm 이상 36.5cm 이하이고, 어깨폭(d)은 47.5cm 이상 48.5cm 이하이며, 머리폭(e)은 18.5cm 이상 19.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신장이 180.5cm 이상 190cm 이하가 되면, 기장(a)은 71.5cm 이상 72.5cm 이하이고, 둔부길이(b)는 48.5cm 이상 49.5cm 이하이며, 허리폭(c)은 36.5cm 이상 37.5cm 이하이고, 어깨폭(d)은 47.5cm 이상 48.5cm 이하이며, 머리폭(e)은 18.5cm 이상 19.5c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에서 내측면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에서 일체로 수평하게 전방 돌출하여 사용자의 겨드랑 이를 걸어 지지하는 걸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추지지부를 외포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를 감싼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에 안착시키는 벨트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는 분리 형성되고,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서 받침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일부 감싸며, 상기 등받이부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에 의해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안내공이 형성된 높이조절프레임과,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에 설치되고 나사공이 형성되는 프레임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높이조절프레임이 프레임하우징에 인입되어 고정나사에 의해 안내공 및 나사공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동차의 의자 좌판 및 의자등받이로 형성된 의자에 있어서, 별도로 형성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지지하며,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을 일부 감싸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일부 감싸서 지지해 주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 그리고 경추지지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길이로써,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 사이에는 a:b:c:d:e = 1 : 0.681~0.729 : 0.492~0.527 : 0.667~0.744 : 0.264~0.296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자를 형성함과 동시에 의자 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에 각각 연결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여기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자(100)는 다리(140)와 좌판부(110), 그리고 등받이부(120)로 구분된다.
다리(140)는 좌판부(110)의 하부에서 기구적으로 연결되고, 수직프레임(141)에 의해 좌판부(110)와 지면 사이에서 높이를 조절하며, 이와 더불어 수평프레임(143)에 의해 상부에 구비되는 좌판부(110) 및 등받이부(120)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착석시 의자(100)의 넘어짐을 방지한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43)의 끝단부에는 바퀴(145)가 설치되어 의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다리(140)는 좌판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좌판부(100) 및 등받이부(120)를 지지하고 사용자가 착석시 의자(100)의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여기서 다리(140)의 구조를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좌판부(110)는 하부에서 다리(140)와 기구적으로 연결되고, 상부에서 사용자 의 엉덩이 부분이 안착된다.
좌판부(110)의 후단으로는 안착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듯이 일부 감싸주며 포근함과 편안함을 주도록 받침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20)는 좌판부(110)와 분리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지지해 준다.
등받이부(120)의 양측단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양측면을 감싸는 날개부(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등받이부(120)의 하부에서는 날개부(123)에 의해 착석한 사용자의 옆구리를 포근히 감싸주어 허리의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허리에 편안함을 주며 몸을 추켜 세워준다.
날개부(123)는 의자(100)의 전방을 향해 대략 5cm ~ 10cm 정도 돌출되어 형성된다.
날개부(123)의 길이는 착석한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날개부(123)의 길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분리된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는 후술할 높이조절부재(13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때 등받이부(12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사용자의 협세부(狹細部)가 접하는 위치에서 돌기(121)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등받이부(120)의 상부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지지해 주는 경추지지부(125)가 형성된다.
경추지지부(125)는 양측으로 지지부(125a)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감싸면서 지지해 주어 사용자의 머리 뒷부분이 편안하게 경추지지부(125)에 안착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경추지지부(125)는 등받이부(120)와 따로 제작하여 소정의 체결수단을 통해 조립하고, 경추지지부(125)가 등받이부(120)에서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유리하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가 좌판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팔걸이는 당업자에 따라 공지된 여러 방법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팔걸이의 구성은 생략한다.
또한, 등받이부(120)에는 종래의 걸이부가 설치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걸이부를 대신하여 경추지지부(125)를 외포하여 착석한 사용자의 겨드랑이를 감싸는 벨트(150)가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벨트(150)는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를 감싸면서 벨트(150)에 고정되도록 충분히 길게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면 벨트(150)는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를 감싼 상태로 착석한 사용자를 의자(100)에 더욱 안착시키며, 사용자의 무게 하중이 의자(100)의 좌판부(110) 및 등받이부(120)로 분산된다.
첨부 도면 도 3a는 도 2의 "가" 부분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2의 "가"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이때 벨트(150)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151)를 부착하여 어깨 및 겨드랑이를 의자에 안착시킴으로써 탈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벨트(150)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53)을 설치하여 어깨 및 겨드랑이를 의자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를 감싼 벨트(150)를 클립(153)에 엇갈리게 삽입하고 벨트(150)의 끝 부분을 당겨서 조이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벨트(150)의 탈착 방법은 벨크로(151) 및 클립(153) 이외에도 많은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버클, 단추, 스냅(snap faster 또는 press button) 등도 벨트(150)의 탈착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벨트(150)는 사용자의 어깨 및 겨드랑이를 감싸서 의자(100)에 안착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고, 벨트(150)의 탈착 방법을 여기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첨부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높이조절부재(130)는 좌판부(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높이조절프레임(131)과, 등받이부(120)의 후면에 설치되는 프레임하우징(135)으로 구분된다.
여기에 높이조절프레임(131)에는 안내공(133)이 관통 형성되고, 프레임하우 징(135)에는 나사공(137)이 형성된다.
그러면 높이조절프레임(131)이 프레임하우징(135)에 인입되고 고정나사(139)가 나사공(133) 및 안내공(135)을 관통하면서 나사 결합되어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를 결합시킨다.
첨부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최저 높이의 등받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최고 높이의 등받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와 도 4c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20)는 고정나사(139)의 풀림에 의해 고정나사(139)가 관통되어 있는 안내공(133)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되고, 고정나사(139)의 조임에 의해 등받이부(120)의 높이가 고정되어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가 결합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139)의 조임에 의해 높이조절프레임(131)과 프레임하우징(135)이 고정 결합되어 등받이부(120)가 최저 높이에서 좌판부(110)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나사(139)의 풀림에 의해 고정나사(139)가 관통되어 있는 안내공(133)을 따라 등받이부(120)가 이동하면서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다시 고정나사(139)의 조임에 의해 높이조절프레임(131)과 프레임하우징(135)이 고정 결합되면 등받이부(12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 높이에서 좌판부(110)와 결합된다.
상술한 높이조절부재(130)는 본 발명에서 등받이부(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일 뿐, 높이조절부재(130)를 여기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에 따라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재(130)는 공지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100)는 뒤틀어진 허리를 반듯하게 세워주며 허리의 뒤틀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좌판부(110)는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하고, 등받이부(120)는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 부분이 안착한다.
경추지지부(125)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곡선을 따라 등받이부(120)의 상부에서 일체로 상향 연장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목 뒷부분을 감싸서 지지해 준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는 일체로 결합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는 분리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재(130)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하며, 좌판부(110)와 등받이부(120)의 결합 구조는 생략한다.
본 발명자는 사용자 개개인의 신장에 따라 신체 치수가 각기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체 치수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안착할 때 형성되는 좌판부(110) 상부부터 등받이부(120) 상단까지 길이(a), 좌판부(110) 후단부터 좌판부(110) 선단까지의 길이(b), 등받이부(120) 하부의 폭(c), 등받이부(120) 상부의 폭(d), 경 추지지부(125)의 폭(e)이 상호 소정 비율을 가지고 형성될 경우, 사용자가 가장 안정된 자세로 편안하게 의자에 안착할 수 있음을 알아냈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좌판부(110)의 상부부터 등받이부(120)의 상단까지 길이를 기장(a)이라 하고, 좌판부(110) 후단부터 좌판부(110) 선단까지의 길이를 둔부길이(b)라 하며, 등받이부(120) 하부의 폭을 허리폭(c)이라 하고, 등받이부(120) 상부의 폭을 어깨폭(d)이라 하며, 경추지지부(125)의 폭을 머리폭(e)이라 하기로 한다.
[실험 1]
본 실험은 150cm 이상 190cm 이하의 신장을 갖는 실험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그리고 각 실험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의자를 제작하고, 그 의자(처음의자)의 각 부위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때 제작된 의자(처음 의자)는 실험자의 체형에 맞게 제작된 것으로, 실험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의자이다.
또한, 이하 실험에서 설명하는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의 측정값은 도 5에 도시된 지점의 길이로써,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가질 때 그 의자 각 부위의 치수를 측정한 값이다.
그 결과 의자(처음의자)의 각 부위 치수 즉,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에 대하여 측정값의 범위를 산출할 수 있었다.
다음 표 1은 의자(처음의자)의 각 부위(a,b,c,d,e)별 측정값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측정 부위 측정값
기장(a) 58 이상 73 이하
둔부길이(b) 42 이상 50 이하
허리폭(c) 28 이상 38 이하
어깨폭(d) 39 이상 49 이하
머리폭(e) 15 이상 20 이하
표 1에 표시된 값은 측정값을 반올림하여 산출한 값이고, 각 측정값의 단위는 센티미터(cm)로 나타낸 값이다.
[실험 2]
그리고 표 1의 값을 도출하기 위한 각 실험자의 처음의자 측정값과 표 1의 값을 참조하여 신장에 따라 다수 개의 실험군으로 세분화하고, 분류된 신장에 따라 각 부위(a.b.c.d.e)의 측정값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동시에 각 실험군에는 평균값에 의해 제작된 의자(평균의자)를 제공하여 한 시간 동안 착석하게 한 다음, 실험자에게 5단계의 기준 안정성 진단표를 나누어 주고 처음의자와 비교하여 상기 진단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만족도 평가 기준
매우 만족 처음 의자와의 차이점이 없다.
만족 처음 의자와 1곳에서 미세한 차이를 느끼지만, 곧 익숙해진다.
보통 처음 의자와 2곳에서 미세한 차이를 느끼지만, 곧 익숙해진다.
불편 처음 의자와 1곳에서 안착감이 없다.
매우 불편 처음 의자와 2곳 이상에서 안착감이 없다.
표 2는 5단계로 분류된 기준 안정성 진단표이다.
이 진단표를 통해 본 발명자는 만족도가 보통 이상이면 사용자에게 포근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다시 말해, 만족도가 보통 이상이면, 실험자가 의자에 착석한 후에 처음의자와 동일한 포근함과 안정감을 평균의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진단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표 3과 같은 분류표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군 기장 둔부길이 허리폭 어깨폭 머리폭
160 이하 59 43 29 40 16
161 이상 165 이하 62 45 31 43 17
166 이상 170 이하 64.5 46 34 48 19
171 이상 175 이하 67 47 35 48 19
176 이상 180 이하 69.5 48 36 48 19
181 이상 72 49 37 48 19
표 3은 본 발명자가 신장에 따라 분류한 여러 분류표 중에서 실험군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분류표이다.
표 3에서 값의 단위는 센티미터(cm)이다.
그리고 표 3의 분류표에 의해 작성된 진단표의 수치를 표 4와 같이 정리하였다.
만족도 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편 매우 불편
인원 25명 11명 7명 2명 5명
표 4는 표 3에 대응하여 분류표에 대한 만족도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보면 표 3의 분류표에 대한 만족도가 86%로 나타난다.
[실험 3]
만족도 86%에 해당하는 실험자를 대상으로 표 3의 분류표에 나타난 값에 대한 오차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분류표에서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의 값을 각각 변화하면서 대상 실험자에게 표 2의 진단표를 다시 작성하도록 하였다.
분류표 값과의 오차(cm)
-1.5 -1 -0.5 0 0.5 1 1.5
매우 만족 1명 28명 37명 33명 5명 2명
만족 2명 16명 12명 6명 10명 26명 23명
보통
불편 41명 26명 12명 18명
매우 불편
표 5는 어깨폭(d)의 오차분포표로써, 어깨폭(d)에 대해서 실험 3에서 작성한 진단표를 토대로 정리한 것이다.
표 5를 참조하면, 어깨폭(d)을 분류표의 값보다 0.5cm 작게 또는 크게 하였을 경우, 실험자들은 만족도의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분류표에 의한 의자에 대해 충분히 포근함과 안정감을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험에 참가한 실험자의 86%인 37명이 오차가 0인 분류표의 값에서 평균의자의 안정감이 처음의자와 동일하다고 답하고 있다.
그러나 표 5와 같이 어깨폭(d)이 오차범위 -0.5cm 이상 0.5cm 이하를 벗어나는 경우, 측정 부위인 등받이부(120) 상부에서 안착감이 없다라고 표현되어 있다.
다시 말해, 어깨폭(d)은 오차 범위 -0.5cm ~ 0.5cm 사이에서 어깨폭(d)의 길이가 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른 측정 부위에서도 표 5와 인원의 차이는 있지만 표 5에 나타난 것과 유사한 인원 분포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머리폭(e)에 대한 오차분포표를 생략한다.
표시되지 않았지만,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머리폭(e)에서도 오차범위 -0.5cm ~ 0.5cm 사이에서 실험자는 평균의자에 착석하여 충분히 포근함과 안정감이 있지만, 이 오차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각 부위(a,b,c,e)에서 안착감이 없다고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표 3에 나타난 분류표의 값은 오차범위 -0.5cm 이상 0.5cm 이하에서 분류표의 값이 변할 수 있다.
[실험 4]
실험 2의 결과에서 만족도 상에 불편하다고 나온 2명의 실험자에 대해 평균의자와 처음의자를 비교 분석하였다.
만족도가 불편하다고 나온 2명의 실험자는 각각 둔부 길이(b)와 허리폭(c)에서 안정감이 없다고 나타났다.
이때 상기 2명의 실험자는 다른 실험자들과 비교했을 때 처음의자의 측정값이 표 3에 나타난 분류표의 같은 실험군에서 최상 또는 최저의 측정값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만족도가 매우 불편하다고 나온 5명의 실험자 중 4명은 상술한 높이조절부재(130)를 이용해 기장(a)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동시에 다른 부위의 안정감도 가져올 수 있었다.
[실험 5]
표 3의 분류표에 대해 각 측정부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별로 각 부위의 평균값을 기장(a)의 평균값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a/a b/a c/a d/a e/a
160 이하 1 0.729 0.492 0.678 0.271
161 이상 165 이하 1 0.726 0.500 0.694 0.274
166 이상 170 이하 1 0.713 0.527 0.744 0.296
171 이상 175 이하 1 0.701 0.522 0.716 0.284
176 이상 180 이하 1 0.691 0.518 0.691 0.273
181 이상 1 0.681 0.514 0.677 0.264
표 6은 기장(a)에 대한 각 부위의 비율을 표시한 것이다.
표 3과 표 6에서 실험군의 신장은 반올림하여 표시한 값이다.
표 6을 참조하면, 기장(a)을 기준으로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이 소정의 비율 범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의 비율은,
a:b:c:d:e = 1 : 0.681~0.729 : 0.492~0.527 : 0.667~0.744 : 0.264~0.296
와 같은 비율범위식을 유도할 수 있다.
위 비율범위식에 의해 제작된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안착할 때 의자에서 포근함과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진다.
도 6a는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를 부착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b는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에 충격흡수부재를 끼운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7은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를 부착하는 또다른 체결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8a, 8b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일반 의자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착탈식 맞춤형 의자는 도 6a,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의자 좌판(210)에 힌지(20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의자등받이(200)에 전술한 도5에 나타난 맞춤형 의자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한 기술적 사항으로 된 착탈식으로 된 맞춤형 의자(120)를 하부의 의자좌판(210)에는 연결부재(220)로 볼트(220a)(220b)로 체결하고, 상부에는 연결부재(230)로 볼트(230a)(230b)로 체결함으로서, 착탈식 맞춤형 의자(120)가 의자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에 체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착탈식 맞춤형 의자(120)를 의자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에 체결되는 연결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인 클램프(240)는 착탈식 맞춤형 의자(120)에는 상부체결부(240a)가 볼트 등에 의하여 부착되고, 의자좌판(210)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하부체결부(240b)가 볼트 등에 의하여 부착되며, 상부체결부(240a)에는 고리(240d)를 형성한 당김부(240c)가 형성되어 양자를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클램프(240)는 의자등받이(200)에 동일하게 체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식 맞춤형 의자(120)의 상부에는 경추지지부(125)가 홈이 파져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지지하고 있으나, 평시에는 편안함을 유지하나, 차량이 충격시에는 돌출된 머리부분에 먼저 충격을 가하게 되어 목 뼈가 부러지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 및 목부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머리나 목 부분이 동시에 접촉이 되도록 별도의 충격흡수부재(300)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300)는 경추지지부(125)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개구부(301)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의 입구에는 탄성고무(302)가 끼워져 탄력적으로 끼울 수 있으며, 충격흡수부재(300)의 내부에는 충격방향으로 스폰지나 고무, 스프링 등으로 탄성체(305)가 형성되어 충격시 충격흡수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맞춤형 의자에서 보면, 의자의 크기를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표준화된 등급으로 분류하여 제공함으로써, 의자의 크기가 표준화되어 사용자에 따라 의자의 선택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 사이에 형성되는 일정한 비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포근함과 안착감을 제공하는 의자의 제작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의 의자를 통해 사용자에게 포근함과 안정감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허리에 편안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자동차에 적용되는 맞춤형 의자를 제공하고, 충격흡수재를 사용함으로서, 상기와 같은 안락감은 물론 목 뼈가 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의자 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로 형성된 의자에 있어서,
    별도로 형성된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의 후단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등 부분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등을 받쳐서 지지하며, 양측에 날개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등부분을 일부 감싸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경추 후면부를 일부 감싸서 지지해 주는 경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부, 그리고 경추지지부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길이로써, 기장(a), 둔부길이(b), 허리폭(c), 어깨폭(d), 머리폭(e) 사이에는
    a:b:c:d:e = 1 : 0.681~0.729 : 0.492~0.527 : 0.667~0.744 : 0.264~0.296
    의 관계를 만족하는 의자를 형성함과 동시에 의자 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에 각각 연결부재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맞춤형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의자 좌판(210) 및 의자등받이(200)에 각각 연결부재(220)(230)에 볼트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맞춤형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좌판부(110)에 상부체결부(240a)가 볼트에 의하여 부착되고, 의자좌판(210)에는 걸림부가 형성된 하부체결부(240b)가 볼트 등에 의하여 부착되며, 상부체결부(240a)에는 고리(240d)를 형성한 당김부(240c)가 형성된 클램프(240)이 체결되어 있으며, 의자등받이(200)에도 동일한 구조의 상기 클램프(2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맞춤형 의자.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자의 경추지지부에 개구부(301)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의 입구에는 탄성고무(302)가 끼워져 있고, 내부에 탄성체(305)가 형성되어 있는 충격흡수부재(30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맞춤형 의자.
KR1020070026406A 2007-03-19 2007-03-19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KR100813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06A KR100813219B1 (ko) 2007-03-19 2007-03-19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406A KR100813219B1 (ko) 2007-03-19 2007-03-19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219B1 true KR100813219B1 (ko) 2008-03-13

Family

ID=39398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406A KR100813219B1 (ko) 2007-03-19 2007-03-19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2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7441U (ko) * 1990-09-26 1992-05-18
JPH0690835A (ja) * 1992-09-16 1994-04-05 Tenryu Ind Co Ltd 乗物用座席
JPH06305346A (ja) * 1993-04-27 1994-11-01 Regie Natl Usines Renault 自動車用座席支持装置
JP2002153350A (ja) 2000-11-22 2002-05-28 Rofutee Kk ヘッドレスト用枕
KR100410956B1 (ko) 2001-06-26 2003-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탈부착 장치
KR200406585Y1 (ko) 2005-10-31 2006-01-23 이덕삼 어린이용 카시트의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7441U (ko) * 1990-09-26 1992-05-18
JPH0690835A (ja) * 1992-09-16 1994-04-05 Tenryu Ind Co Ltd 乗物用座席
JPH06305346A (ja) * 1993-04-27 1994-11-01 Regie Natl Usines Renault 自動車用座席支持装置
JP2002153350A (ja) 2000-11-22 2002-05-28 Rofutee Kk ヘッドレスト用枕
KR100410956B1 (ko) 2001-06-26 2003-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탈부착 장치
KR200406585Y1 (ko) 2005-10-31 2006-01-23 이덕삼 어린이용 카시트의 클램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2286B1 (en) Adjustable backrest
US70045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d restraint
KR101618638B1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US5564788A (en)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support system
US20110225736A1 (en) Sleepy head's/neck pillow invention
KR20140046443A (ko) 좌석
KR100783016B1 (ko) 맞춤형 의자
KR100813218B1 (ko) 맞춤형 의자
Lusted et al. Evaluation of the seating of Qantas flight deck crew
KR20120027744A (ko) 휠체어용 보조지지구
KR20130141827A (ko) 의자에 탈착되는 보조 등받이
KR100813219B1 (ko) 자동차용 착탈식 맞춤형 의자
US20170313221A1 (en) Motor Vehicle Seat Head Support System
KR100813215B1 (ko) 맞춤형 의자
KR100862309B1 (ko) 자동차용 맞춤형 의자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Osvalder et al. Seat belt fit and comfort for older adult front seat passengers in cars
KR102134924B1 (ko) 척추 맞춤형 의자
JP2002119526A (ja) 顎支持具及び座具
RU140827U1 (ru) Массажное кресл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102561579B1 (ko) 인체견인용 보조의자
KR20160128201A (ko) 자세교정용 어깨걸이 의자
CN208755444U (zh) 一种头部及颈椎固定装置
KR100623092B1 (ko) 에어쿠션방식의 의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