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057B1 -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057B1
KR100813057B1 KR1020060014318A KR20060014318A KR100813057B1 KR 100813057 B1 KR100813057 B1 KR 100813057B1 KR 1020060014318 A KR1020060014318 A KR 1020060014318A KR 20060014318 A KR20060014318 A KR 20060014318A KR 100813057 B1 KR100813057 B1 KR 10081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mage
stereoscopic image
stage
zero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962A (ko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0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with means for storing soiled tow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사 입체 영상 촬영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는 스테이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상기 스테이지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기신호제어부와; 입력되는 촬영 정보에 따라 동기신호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와 스테이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아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입체영상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 스테이지, 입체 영상, 3차원, 이미지.

Description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3 dimensional motion picture}
도 1은 종래의 실사 입체 영상 촬영방식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실사 입체 영상 촬영방식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작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작장치의 이미지 시프트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입체 영상 제작장치를 이용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카메라 20 : 스테이지
30 : 동기신호제어부 40 : 입체영상생성부
50 : 피사체 60 : 입체 영상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사 입체 영상의 촬영 및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 디스플레이 기기에서 입체 영상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입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컴퓨터를 이용한 입체 영상 그래픽 프로세싱 방법은 다양한 제작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실사 입체 영상 제작방법은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는, 입체(3차원) 디스플레이의 뷰(view) 방식이 다양하여 그 방식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카메라의 수, 제어방법 등이 일반 사용자에게는 다루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즉, 컴퓨터 그래픽 방법에서는 일반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쉽게 구현되어 수정과 편집이 편리한 반면에, 실사 입체 영상 제작에 있어서는 많은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종래의 실사 입체 영상 촬영방법을 보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Two-camera) 촬영방식(도 1)과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Single-camera) 촬영방식(도 2)이 대표적이다.
두 카메라를 이용하는(Two-camera) 방식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의 두 렌즈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절하면서 피사체(2)에 대하여 좌측 이미지와 우측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입체 영상으로 제작하는 방법이다.
반면 한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Single-camera) 방법은, 도 2에서와 같이, 한 대의 카메라(1)로 먼저 피사체(2)의 좌측 이미지를 촬영한 다음 일정한 간격으로 카메라(1)를 이동한 다음 피사체(2)의 우측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들은 좌우측의 두 개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입체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에서는 그리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수의 평행 이미지(parallel image)를 이용하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 맞는 입체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카메라를 연결하거나 하나의 카메라를 이동시키며 촬영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촬영 후, 편집 과정이라는 일반 사용자에게는 불편한 과정들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방식으로 적정 수준(depth)의 입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시행착오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경이 필요 없는 입체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에서는 다수의 뷰(view)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촬영 후 입체 영상 생성방식도 다양하므로 이들 시스템 대부분에 대응할 수 있고 일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실사 입체 영상 제작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에 의한 촬영, 이미지 편집, 입체 영상 생성의 과정을 통하여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일반 사용자도 용이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입체 영 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는 스테이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상기 스테이지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기신호제어부와; 입력되는 촬영 정보에 따라 동기신호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와 스테이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아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입체영상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으로서, 본 발명은,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 정보를 입력받아, 카메라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양만큼 카메라를 이동하여 촬영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카메라(10)와, 이 카메라(10)를 선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테이지(2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신호제어부(30)와, 이러한 구성의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입체영상생성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입체영상생성부(40)는 도 3에서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컴퓨터에 수록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가 장착되는 스테이지(20)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카메라(10)가 가이드홈(2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지(20)는 장착된 카메라(10)를 동기신호제어부(30)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이며, 입체영상생성부(40) 또는 이 입체영상생성부(40)가 수록되는 컴퓨터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고, 일반적인 카메라 삼각대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기신호제어부(30)는 입체영상생성부(40) 또는 컴퓨터로부터 제어되며 카메라(10)의 셔터(shutter) 또는 조리개 등을 이용하여 카메라(10)를 구동하고 스테이지(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이러한 동기신호제어부(30)는 카메라 셔터 제어부(31)와, 스테이지 모터 제어부(3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영상생성부(40)는, 상기 카메라(10)의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부(41)와, 상기 카메라(10)의 이동량을 설정하는 이동제어부(42)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43)로 세부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체영상생성부(40)의 구동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는 이러한 입체영상생성부(4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서의 전체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도 3 및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체영상생성부(40)에 촬영 정보를 입력하면, 입체영상생성부(40)의 이동제어부(42)에서는 카메라(10)의 이동량을 계산하여 동기신호제어부(30)를 통하여 카메라(10)와 스테이지(2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는 촬영 정보는, 촬영할 이미지 수, 촬 영상황에서의 카메라(10) 렌즈의 초점거리, depth zero point(A)와 카메라(10) 렌즈간의 거리, depth zero point(A)에서 카메라(10) 렌즈로부터 가장 가까운 피사체(50)까지의 거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depth zero point(A)란, 가상스크린 면(depth zero)에 피사체(50)가 위치하는 면을 말한다.
즉, 상기 입체영상생성부(40)의 제어에 의하여 위에서 계산된 이동량만큼 스테이지(20)를 구동하여 카메라(10)를 이동시키고, 이러한 카메라(10)의 이동이 끝남과 동시에 촬영제어부(41)에서 카메라(10)를 구동하여 피사체(50)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촬영의 과정은 촬영할 이미지의 수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이 끝난 후, 입체영상생성부(40)의 이미지처리부(43)는 촬영된 이미지들을 카메라(10)로부터 전송 받아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실사 입체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10) 이동량(S) 계산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제 촬영 상황에서 카메라(10)의 렌즈로부터 depth zero point(A)까지의 거리(D), 가상 스크린 면(depth zero)의 가로 크기(w'), 카메라(10) 렌즈의 초점거리(f), 깊이(depth)량을 결정하게 되는 스크린 디스패리티(screen disparity: ds), 카메라(10)의 센서의 가로 크기(wf),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의 가로 크기(w)값 등을 이용한 하기의 수학식 1으로부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다
Figure 112006010869655-pat00001
Figure 112006010869655-pat00002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 제일 좌측 이미지와 제일 우측 이미지에서부터 중심 이미지에 가장 가까운 이미지까지 depth zero point(A)를 일치시키기 위해 각 이미지를 시프트(shift)시킨다(도 6 참고).
이때 시프트시키는 양(Q)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상센서의 크기(L), 카메라(10) 렌즈(11)로부터 depth zero point(A)까지의 거리(D), 카메라(10)의 초점거리(f), 카메라(10)의 영상센서(12) 중심축으로부터의 이미지 편차 값(g)을 카메라(10) 사이의 간격(S)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구한다.
Figure 112006010869655-pat00003
따라서 최종적인 이미지 프로세싱(image processing) 과정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촬영된 n개의 이미지들을 중심 이미지(51)를 중심으로 계산된 시 프트 양(Q)만큼 시프트하여 depth zero point(A)를 일치시켜 각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의 입체 영상 생성방식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 함으로서 원하는 깊이(depth)를 가진 입체영상(60)을 최종적으로 생성한다.
즉,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 좌측 이미지(52)에 대하여, 중심 이미지(51)에 가장 가까운 이미지까지 depth zero point(A)를 일치시키기 위해 해당 좌측 이미지(52)에 대하여 계산된 시프트 양(Q)만큼 이미지를 시프트(shift)시킨다.
마찬가지로, 촬영된 이미지의 각 우측 이미지(53)에 대하여, 중심 이미지(51)에 가장 가까운 이미지까지 depth zero point(A)를 일치시키기 위해 해당 우측 이미지(53)에 대하여 계산된 시프트 양(Q)만큼 이미지를 시프트(shift)시킨다.
이와 같은 촬영된 n개의 이미지들에 대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되어 각 촬영 조건에 해당하는 입체 영상(60)이 최종적으로 생성된다.
즉,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양한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에 실사 입체영상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일반 사용자가 실제 촬영상황에서의 촬영정보만 입력하면, 입체영상생성부(40) 및 컴퓨터를 통해 카메라(10) 이동 양과 시프트 양이 즉시 계산되어, 입체 영상으로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입체영상생성부(40)의 자동제어에 의한 카메라(10)의 이동 촬영과 촬영된 영상의 입체 영상 생성까지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며 일괄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기술적 사상의 여러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실사 입체 영상 촬영에 있어서 종래의 촬영방식에서 깊이(depth)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카메라 이동 양을 변경해가면서 촬영한 후 적정 깊이(depth)를 가진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실제 촬영상황에서 입체 효과를 주고자 하는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손쉽게 원하는 깊이를 가진 입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는 입체 영상 제작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일반 사용자 계층에서도 입체 영상을 쉽게 제작하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에서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입체 영상 광고업체에서 단시간에 실사 입체 광고 영상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그 효과가 큰 것이다.

Claims (15)

  1.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선형 이동시킬 수 있는 스테이지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상기 스테이지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기신호제어부와;
    입력되는 촬영 정보에 따라 동기신호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와 스테이지를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전송받은 각 이미지를 중심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프트하고, 각 이미지를 depth zero point가 일치되도록 멀티플렉싱 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입체영상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셔터 제어부와;
    상기 스테이지 모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생성부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부와;
    상기 카메라의 이동량을 설정하는 이동제어부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촬영 정보는, 촬영할 이미지 수,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depth zero point와 카메라 렌즈간의 거리, depth zero point에서 카메라 렌즈로부터 가장 가까운 피사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생성부는, 상기 입력되는 촬영 정보에 의하여, 상기 스테이지에 의한 카메라의 이동량을 설정하여, 상기 동기신호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의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생성부는, 상기 카메라가 이동을 완료하면, 상기 카메라를 구동하여 반복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이동량(S)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Figure 112006010869655-pat00004
    ,
    D: 카메라 렌즈로부터 depth zero point까지의 거리,
    F: depth zerp 면으로부터 물체의 단부까지의 거리,
    w': 가상 스크린면의 가로 크기,
    ds: 스크린 디스패리티(disparity),
    w: 스크린면 가로 크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생성부는 퍼스널 컴퓨터(PC)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양(Q)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장치.
    Figure 112007030500111-pat00005
    ,
    g: 카메라의 센서 중심으로부터의 편차,
    L: 카메라의 센서의 크기.
  12. 삭제
  13. 제 1항의 장치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 정보를 입력받아, 카메라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양만큼 카메라를 이동하여 촬영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촬영된 이미지의 중심으로부터의 시프트 양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양만큼 각 이미지를 중심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프트하는 단계와;
    상기 시프트된 이미지를 depth zero point를 일치시켜 멀티플렉싱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정보는, 촬영할 이미지 수, 상기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depth zero point와 카메라 렌즈간의 거리, depth zero point에서 카메라 렌즈로부터 가장 가까운 피사체까지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입체 영상 제작방법.
KR1020060014318A 2006-02-14 2006-02-14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KR10081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318A KR100813057B1 (ko) 2006-02-14 2006-02-14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318A KR100813057B1 (ko) 2006-02-14 2006-02-14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62A KR20070081962A (ko) 2007-08-20
KR100813057B1 true KR100813057B1 (ko) 2008-03-14

Family

ID=3861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318A KR100813057B1 (ko) 2006-02-14 2006-02-14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69B1 (ko) * 2010-06-04 2012-06-13 진용옥 쇠북 및 우주등대 온라인 체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407451B1 (ko) * 2013-01-15 2014-06-13 주식회사 스카이라이프티브이 3차원 영상 카메라의 무빙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1432176B1 (ko) * 2013-05-01 2014-08-20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취득용 다관절 카메라 조정장치
US9992483B2 (en) * 2014-09-03 2018-06-05 Intel Corporation Imaging architecture for depth camera mode with mode switching
KR102381279B1 (ko) * 2015-12-23 2022-03-30 주식회사 케이티 입체 영상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단말
CA3086592A1 (en) 2017-08-30 2019-03-07 Innovations Mindtrick Inc. Viewer-adjusted stereoscopic image display
KR102377499B1 (ko) * 2018-02-08 2022-03-24 이노베이션스 마인드트릭 인크. 뷰어-조정식 입체 이미지 디스플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395A (ja) * 1988-12-26 1990-07-03 Toshiba Corp 立体静止画像記録装置
JPH10254079A (ja) 1996-06-27 1998-09-25 Photo Kurafutoshiya:Kk 立体画像撮影方法及び装置
KR20010033919A (ko) * 1998-01-06 2001-04-25 피터 엔. 데트킨 3-d 가상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상대적 카메라오리엔테이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030007611A (ko) * 2001-03-14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자체 조정식 입체 카메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72395A (ja) * 1988-12-26 1990-07-03 Toshiba Corp 立体静止画像記録装置
JPH10254079A (ja) 1996-06-27 1998-09-25 Photo Kurafutoshiya:Kk 立体画像撮影方法及び装置
KR20010033919A (ko) * 1998-01-06 2001-04-25 피터 엔. 데트킨 3-d 가상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상대적 카메라오리엔테이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030007611A (ko) * 2001-03-14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자체 조정식 입체 카메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962A (ko) 200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057B1 (ko)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그 방법
US9491439B2 (en)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e device, lens control device and program
CA2488925C (en) Method for producing stereoscopic images from monoscopic images
CN101587386B (zh) 光标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4954667B (zh) 显示设备和显示方法
US9253470B2 (en) 3D camera
CN102172031A (zh) 三维显示设备、方法、及程序
CN102665087A (zh) 3d立体摄像设备的拍摄参数自动调整系统
JP201304110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275789B2 (ja) カメラ
JP2006058091A (ja) 3次元画像測定装置および方法
CN104793643B (zh) 一种三维定格动画拍摄系统及控制方法
KR100915039B1 (ko) 다중 초점 2차원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변환 방법및 변환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
CN103959336A (zh) 图像处理装置、其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0166218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243692B2 (ja) 立体形状検出装置及び立体形状検出方法
CN104756493A (zh) 摄像装置、图像处理装置、摄像装置的控制程序及图像处理装置的控制程序
US9402068B2 (en) Lens system for 3D video taking
KR100735447B1 (ko) 휴대용 단말기용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KR101322187B1 (ko)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JP2010157851A (ja) 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9122895A (ja) 観者の視点移動に対応した立体オブジェクトの擬似3次元画像を表示する方法及び装置
JPH10254079A (ja) 立体画像撮影方法及び装置
KR20210132499A (ko) 영상의 촬영과 편집이 용이한 입체 영상 제작장치 및 제작방법
US11792511B2 (en) Camera system utilizing auxiliary image sen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