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961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961B1
KR100812961B1 KR1020060110131A KR20060110131A KR100812961B1 KR 100812961 B1 KR100812961 B1 KR 100812961B1 KR 1020060110131 A KR1020060110131 A KR 1020060110131A KR 20060110131 A KR20060110131 A KR 20060110131A KR 100812961 B1 KR100812961 B1 KR 10081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tf
call
calling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훈
조일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96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a) 발신 단말의 음성 통화 요청에 따라 발신 MSC(교환국)가 HLR(홈위치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HLR이 ETF(Extended Telephony Framework)로 연결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ETF로부터 소정의 ID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HLR은 상기 발신 MSC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소정의 ID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ETF는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ETF에 접속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이 착신 MSC를 통해 제공된 상기 소정의 ID로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와; e)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음성 통화, 확장형 통화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XTENDED TELEPHONY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신 단말
200 : 발신 MSC
300 : HLR(홈 위치 등록기)
400 : 착신 MSC
500 : ETF
600 : 착신 단말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거시 텔레포 니(Legacy Telephony) 사용 중에 사용자의 개인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여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들은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음성 통화는 음성 호 연결을 제공하는 서킷 망을 통해 제공되고 데이터 통신은 패킷 망을 통해 제공되므로 통화 중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중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상대방과 음성 호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던 망과의 연결을 끊고 음성 호 연결을 위한 망에 연결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여 왔다.
게다가, 데이터 통신 수행 중 데이터 통신 제공 망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음성 호를 제공하는 망과의 연결을 시도하는 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발신자가 데이터 통신 중인 착신 단말의 사용자와 음성 호 연결을 위해서 한참을 기다려야 하며, 때때로 착신 단말이 음성 호를 연결할 수 없다는 음성 메시지를 통보받는 경우도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러 레거시(Cellular Legacy) 망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이동 단말기의 음성 통화를 유지하면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 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발신 단말의 음성 통화 요청에 따라 발신 MSC(교환국)가 HLR(홈위치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HLR이 ETF(Extended Telephony Framework)로 연결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ETF로부터 소정의 ID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HLR은 상기 발신 MSC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소정의 ID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ETF는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ETF에 접속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이 착신 MSC를 통해 제공된 상기 소정의 ID로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현하기 위 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 발신 MSC(발신 교환국; 200), HLR(Home Location Register; 300), ETF(Extended Telephony Framework; 500)및 착신 단말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ETF(500)은 발신 단말(100)의 호 요청에 따라 HLR(300)에서 요청하는 연결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소정의 ID를 제공하며, 상기 소정의 ID는 발신 단말(100) 및 상기 발신 단말(100)이 호 요청한 착신 단말(600)로 각각 전송된다.
또한, 상기 ETF(500)는 상기 소정의 ID로 접속하는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500) 간의 음성 호를 연결하며 동시에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호 전송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발신 단말(100)이 착신 단말(600)과의 음성 통화를 위해 음성 통화 발신을 시도하면, 상기 음성 통화 발신을 수신한 발신 MSC(200)은 HLR(300)로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요청한다(S100, S105).
상기 발신 MSC(200)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HLR(300)은 상기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사이에 확장형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ETF(500)에 연결 정보를 요청한다(S110). 이때, 상기 HLR(300)은 상기 ETF(500)로 상기 음성 통화와 관련된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에 상응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ETF(500)는 상기 HLR(300)의 요청에 따라 소정의 ID, 예컨대 Call-ID를 할당하여 상기 HLR(300)로 회송한다(S115).
상기 HLR(300)은 상기 착신 단말(600)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착신 단말(600)이 속한 착신 MSC(400)로 상기 Call-ID를 전달하며, 상기 착신 MSC(400)는 상기 HLR(300)로 루팅 정보를 전송한다(S120, S125).
상기 HLR(300)은 상기 발신 MSC(200)로 상기 루팅 정보 및 상기 Call-ID를 전송하며, 상기 Call-ID는 상기 발신 MSC(200)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100)로 전송된다(S130, S135).
상기 발신 단말(100)이 상기 Call-ID를 이용하여 상기 ETF(500)로 접속을 시도하고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ETF(500)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발신 단말(100)이 상기 착신 단말(600)과 음성 통화 중 사용자가 요청하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S140). 또한 상기 ETF(5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노드, 예컨대 HLR 또는 MSC와 연동하여 가입자 관리 및 호 상태 관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 MSC(200)가 착신 MSC(400)로 호 접속을 요구하면, 상기 착신 MSC(400)는 상기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신 MSC(200) 및 상기 착신 MSC(400) 사이에 호 접속이 완료된다(S145, S150).
상기 착발신 MSC 간에 호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착신 MSC(400)가 착신 단말(600)로 호 접속을 요구할 때 상기 단계 S120에서 상기 HLR(300)로부터 제공받은 Call-ID를 상기 착신 단말(600)로 전송한다(S155).
상기 착신 단말(600)은 상기 발신 단말(100)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하여 소정의 통화 버튼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하며, 상기 발신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상기 Call-ID로 호 접속을 시도한다(S165, S160).
상기 착신 단말(600)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통화 연결 시도를 접수한 착신 MSC(400)는 상기 발신 MSC(200)로 통화 연결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 사이에 음성 호 연결이 수행되도록 한다(S170).
따라서,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 사이에 음성 호 연결이 해제되기 전까지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은 통화 중 데이터 전송을 상호 수행할 수 있다(S180).
[제2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제2 실시 예는 단계 S200 부터 단계 S235 까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며, 발신 단말(100)이 ETF(500)로부터 소정의 ID, 예컨대 Call-ID를 수신하더라도 바로 ETF(500)에 접속하지 않고 착신 단말(600)과 음성 호를 위한 통화 연결이 수행된 후,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600)의 선택에 따라 ETF(500)에 접속한다는 점이 제1 실시 예와 상이하다.
즉, 단계 S235에서 발신 MSC(200)이 HLR(300)로부터 수신한 Call-ID를 상기 발신 단말(100)로 전송한 후, 상기 발신 MSC(200)는 착신 MSC(400)로 호 접속을 요 구하고, 상기 착신 MSC(400)는 상기 호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발신 MSC(200) 및 상기 착신 MSC(400) 사이에 호 접속이 완료된다(S245, S250).
상기 착발신 MSC 간에 호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착신 MSC(400)가 착신 단말(600)로 호 접속을 요구할 때, 상기 HLR(300)로부터 제공받은 Call-ID를 상기 착신 단말(600)로 전송한다(S255).
상기 착신 단말(600)은 상기 발신 단말(100)과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하여 소정의 통화 버튼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S260).
상기 착신 단말(600)의 음성 호 연결을 위한 통화 연결 시도를 접수한 착신 MSC(400)는 상기 발신 MSC(200)로 통화 연결 응답을 전송하여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 사이에 음성 호 연결이 수행되도록 한다(S265).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 사이에 음성 호가 연결되어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착신 단말(600)이 ETF(500)에 상기 Call-ID로 접속하여 연결을 요청하면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면 발신 단말(100)이 ETF(500)에 상기 Call-ID로 접속한 경우 상기 데이터를 음성 통화 중에도 수신할 수 있다(S270, S275).
부언하면,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이 상기 ETF(500)에 접속하면, 상기 ETF(500)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의 CS(Circuit Switch) 통화 중에 가입자의 개인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되어, 상기 개인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음성 통화 중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 각각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채팅, 이미지 공유(Sharing), 및 비디오 공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 사이에 음성 호 연결이 해제되기 전까지 상기 발신 단말(100) 및 상기 착신 단말(600)은 통화 중 데이터 전송을 상호 수행할 수 있다(S28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사이에 음성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즉, 셀룰러 레거시(Cellular Legacy) 망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음성 및 데이터 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Claims (7)

  1. a) 발신 단말의 음성 통화 요청에 따라 발신 MSC(교환국)가 HLR(홈위치등록기)로 착신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HLR이 ETF(Extended Telephony Framework)로 연결 정보를 요청하며 상기 ETF로부터 소정의 ID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HLR은 상기 발신 MSC를 통해 상기 발신 단말로 상기 소정의 ID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ETF는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ETF에 접속한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이 착신 MSC를 통해 제공된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상기 ETF에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 사이에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가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f)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발신 단말이 상기 ETF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 MSC 및 상기 착신 MSC 간에 호접속을 완료하는 단계;
    g) 상기 착신 MSC가 상기 소정의 ID를 포함하여 상기 착신 단말로 호 접속을 요구하는 단계; 및
    h) 상기 착신 단말이 통화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착신 단말 및 상기 발신 단말이 서로 통화 연결된 후에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이 각각 상기 ETF에 상기 소정의 ID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TF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이 접속한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노드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착신 단말의 호 상태(Call Status)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망 노드는,
    상기 HLR, 상기 발신 MSC, 및 상기 착신 MSC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이 상기 ETF에 접속하면, 상기 ETF는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의 CS(Circuit Switch) 통화 중에 가입자의 개인 서비스 영역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서비스 영역에서는,
    상기 음성 통화 중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로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채팅, 이미지 공유(Sharing), 및 비디오 공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60110131A 2006-11-08 2006-11-0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1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31A KR100812961B1 (ko) 2006-11-08 2006-11-0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31A KR100812961B1 (ko) 2006-11-08 2006-11-0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961B1 true KR100812961B1 (ko) 2008-03-11

Family

ID=3939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131A KR100812961B1 (ko) 2006-11-08 2006-11-08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9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721A (ko)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호 착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7721A (ko) * 2002-03-26 2003-10-04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호 착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22306B2 (ja) パケット・データ・チャネルによる短メッセージ送信
KR20020071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US20070110038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ll control server, and call control method
WO2006075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phone number
EP1292091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JP2002507353A (ja) 基本的サービスに基づくコール再送のルート指定
JP2006101528A (ja) ループ通信チャネルの検出
JP7065789B2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40102834A (ko) 통화 연결음 서비스 방법
KR1008129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형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183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교환기 및 착신 제한 방법
KR100770859B1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101152034B1 (ko) 세대간 착신전환 상태에서 영상 통화 연결 방법, 그 시스템및 홈 위치 등록기
JP4637146B2 (ja) 通信システム
KR100603049B1 (ko) 레터링 서비스 방법
KR101190347B1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673246B1 (ko) 이동 통신망에서 착신자 정보 제공방법
WO2007115440A1 (fr) Système et procédé de composition de plusieurs numéros pour un service téléphonique
KR100620855B1 (ko) 단문 메시지를 위한 가상 이동통신 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70028B1 (ko) 무선 인터넷 사용중의 유입 호 서비스 방법
KR20200046836A (ko) 착신 그룹의 대표 모회선 번호를 이용한 그룹 착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0858B1 (ko) 외부 단문 메시지를 위한 가상 이동통신 번호 제공 방법및 장치
KR20040102493A (ko) 링백톤과 함께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 방법
KR100865380B1 (ko) 이종망 간 영상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33297B1 (ko) 상호 발신시 음성호 연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