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940B1 -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940B1
KR100812940B1 KR1020070050209A KR20070050209A KR100812940B1 KR 100812940 B1 KR100812940 B1 KR 100812940B1 KR 1020070050209 A KR1020070050209 A KR 1020070050209A KR 20070050209 A KR20070050209 A KR 20070050209A KR 100812940 B1 KR100812940 B1 KR 100812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screw
food garbage
food waste
driv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배
이종국
Original Assignee
김동배
이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배, 이종국 filed Critical 김동배
Priority to KR102007005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2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호퍼에 넣어지면서 교반되어 부서져서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는 서로 맞물려 구동하는 2단 분쇄압착스크류에서 수분은 아래로 빠지며 잉여쓰레기가 분쇄되면서 이어서 압착이 행하여지며, 한쪽 분쇄압착스크류의 끝단의 유도구면에서 가압조정레버에 의하여 재차 마찰 가압되어서, 수분이 제거되고 부피가 최소로 압착 성형된 고형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투입된 쓰레기의 량을 1/10이상의 최대로 감축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에 관한 것으로, 호퍼(9)의 호퍼통로(10)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모터(21)에 의하여 회전되는 교반체(20)에서 교반되고, 상기 교반체(20)의 아래에 감속모터(150)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맞물려 회전되는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에, 물결돌기(110,210)를 갖는 분쇄부(130,230)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한쪽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끝단 유도구면(160)에서 가압조정레버(500)에 의하여 마찰 가압되어서, 압착 성형된 고형물이 배출구(4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130,230)에 연이어 나선스크류(120,230)가 일체로 형성된 압착부(140,240)가 형성되어, 상기 압착부(140,240)의 정,역방향의 이맞물림 구동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이 압착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교반체, 교반모터, 교반날개,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 가압조정레버, 마구리고정커버, 케이스체, 배출구, 유도구면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Reduce machine of food garbage}
도 1 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종단면도,
도 4a,b 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도 4a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기본체 3 : 커버체
4 : 투입구 5 : 케이스체
6 : 유출구멍 9 : 호퍼
10 : 호퍼통로 20 : 교반체
21 : 교반모터 22 : 교반축
23 : 교반날개 30 : 저장탱크
40 : 메쉬플레이트 100 :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
110,210 : 물결돌기 120,220 : 나선스크류
130,230 : 분쇄부 140,240 : 압착부
150 : 감속모터 160 : 유도구면
170 : 유도홈
200 :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 300 : 스크린원통체
310 : 메쉬구멍 400 : 마구리고정커버
410 : 원추곡면 420 : 배출구
500 : 가압조정레버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식자재 쓰레기 등을 분쇄, 압착하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호퍼에 넣어지면서 교반되어 부서져서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는 서로 맞물려 구동하는 2단 분쇄압착스크류에서 수분은 아래로 빠지며 잉여쓰레기가 분쇄되면서 이어서 압착이 행하여지며, 한쪽 분쇄압착스크류의 끝단의 유도구면에서 가압조정레버에 의하여 재차 마찰 가압되어서, 수분이 제거되고 부피가 최소로 압착 성형된 고형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투입된 쓰레기의 량을 최대로 감축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쓰레기의 수거에 있어서는 가정을 포함하여 학교 및 회사 대형급식소에서 하루나 이틀정도 음식물쓰레기를 모음통에 모으게 되는데, 모음통내의 음식물쓰레기는 썩기 시작하게 되며, 이 쓰레기의 부패로 발생되는 냄새는 이루 표현하기가 어렵고, 또한, 몇 일만에 수거해 가는 쓰레기의 처리는 부폐로 인하여 사료 또는 비료 등으로 재활용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며, 또한 쓰레기의 수거에 있어서 수거 차량을 이용하여 쓰레기 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토록하고 있다.
또한, 농수산물을 취급하는 시장 등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역시 수거하여 쓰레기 처리장으로 이송하여 처리토록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수거에 있어서의 쓰레기의 부피가 커서 어느 정도 쓰레기가 쌓여지면 바로 처리장으로 이송하여야 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악취로 인하여 처리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로 인하여 쓰레기의 처리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취급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예로서 음식물쓰레기의 퇴비나 사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일단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재활용 라인에서 저장탱크로부터 파봉파쇄, 탈수 및 건조 일련의 전처리과정이 필요로 한다. 이때 탈수공정을 비롯한 대부분의 공정에서 탈수여액(침출수포함)이 발생하는데 이 탈수여액의 BOD, COD, SS의 함량이 크게 높아 별도의 폐수처리시설을 구비하여야 하나, 폐수처리시설자체가 오히려 음식물 전처리설비의 설비비용 보다 고가인 관계로, 초기시설투자비가 과다하게 투입된다는 문제가 있고, 또한 설비면적이 넓어서 넓은 설치 부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나 식자재 쓰레기의 처리에 앞서, 우선 쓰레기량을 감 축하여 운송하여 처리하는 것이 처리비용면에서 절감된다는 것은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기기본체내에서 교반과 분쇄, 압착 및 마찰 가압되어서 수분이 제거된 부피가 최대로 감축된 고형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기기본체내에서 교반과 분쇄, 압착 및 마찰 가압되면서 수분은 메쉬플레이트에서 걸려져 저장탱크로 배출되도록 하여 정화장치에 의하여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분쇄압착스크류와 상기 분쇄압착스크류와 맞물려 구동하는 분쇄압착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와 압착 및 마찰 가압되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퍼의 호퍼통로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교반체에서 교반되고, 상기 교반체의 아래에 감속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와,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와 맞물려 회전되는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에, 물결돌기를 갖는 분쇄부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한쪽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의 끝단 유도구면에서 가압조정레버에 의하여 마찰 가압되어서, 압착 성형된 고형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부에 연이어 나선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된 압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착부의 정,역방향의 이맞물림 구동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이 압착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또한 도 2 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종단면도이고, 또한 도 4a,b 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의 횡단면도이며, 또한 도 5 는 본 발명의 도 4a의 A-A선 단면도이고,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는 받침틀(2)에 장착된 기기본체(1)와, 상기 기기본체(1)의 위를 씌어 덮어 고정할 수 있는 커버체(3)가 조립된다. 상기 커버체(3)는 대략 장방형상의 커버체로서 윗면에 투입구(4)가 뚫려 있고, 이 투입구(4)는 기기본체(1)의 호퍼(9)와 연결되어 통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커버체(3)의 투입구(4)에 교반체(20)가 형성된다. 상기 교반체(20)는 교반모터(21)와, 또한 교반모터(21)에 연결된 교반축(22)과 또한 교반축(22)에 형성된 교반날개(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4)의 일측에 교반모터(21)가 고정되고 상기 교반모터(21)의 교반축(22)이 기기본체(1)의 호퍼(9)의 호퍼통로(1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호퍼(9)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날개(23)에 의하여 교반되어 부서진다. 상기 교반날개(23)는 날개를 가지는 스크류 형태로서 교반축(22)을 중심으로 위쪽의 한쪽면에 스크류의 절반이 고정되고 그의 아래에 상기 스크류와 교호로 스크류의 절반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기본체(1)는 호퍼(9)와 연결되어 통하여져 있으며,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교반체(20)에 의하여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는 케이스체(5)내에 투입되며, 케이스체(5)내에는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가 케이스체(5)내에서 구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 및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한쪽은 감속모터(150)의 모터축(번호생략)과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후술하는 마구리고정커버(400)에 나선 조립되는 가압조정레버(500)의 축받에 유지되어 구동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케이스체(5)내에서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맞물려 구동되는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는 그의 축의 양쪽에 케이스체(5)에 베어링 축받이(번호생략)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회전에 따라서 맞물려 회전된다.
따라서, 교반체(20)에서 1차 부서진 음식물 쓰레기는, 감속모터(150)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맞물려 회전되는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에 맞물려 주행하며 분쇄와 압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는 도 3 및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기둥형상으로서, 그의 둘레면에 다수의 물결돌기(110,210)들이 튀어나와 곡면을 이루는 분쇄부(130,230)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분쇄부(130,230)에 연이어 일체로 둘레면으로부터 나선간격을 가지는 나선스크류(120,230)가 형성된 압착부(140,240)가 형성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케이스체(5)내의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들의 분쇄부(130,230)와 압착부(140,240)를 이동하며 분쇄와 압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들의 분쇄부(130,230)는 케이스체(5)의 바닥쪽에 유출구멍(6)이 뚫려 분쇄중에 발생하는 수분이 유출구멍(6)을 통하여 후술하는 저장탱크(30)로 배출한다.
또한,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들의 압착부(140,240)쪽에는 케이스체(5)내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도 4a,b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140,240)들이 메쉬구멍(310)들이 형성된 스크린원통체(300)에 의하여 유지되어, 압착부(140,240)들이 압착이 유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압착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분은 메쉬구멍(310)을 통하여 케이스체(5)로 배출되고, 케이스체(5)로 배출된 수분은 케이스체(5)의 유출구멍(6)을 통하여 저장탱크(30)로 배출된다.
도 4a,b와 같이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끝단은 상기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 보다더 튀어나온 곡면의 유도구면(160)이 형성되고, 이 유도구면(160)은 원추형상체이며 그의 둘레면에 유도홈(170)이 나선 형태로 배열되어 압착된 쓰레기의 잉여물이 배출구(420)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들의 끝단의 케이스체(5)는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개구부에 마구리고정커버(400)가 체결 고정된다.
도 2, 도 3 및 도 4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구리고정커버(400)는 케이스체(5)의 둘레면의 볼트브라켓(7)에 유동가능하게 형성된 볼트(8)에 걸려져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마구리고정커버(400)에 상기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가 축받이되는 축받이(번호생략)가 형성되고, 또한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가 축받이되는 부위는 가압조정레버(500)가 나선 결합된다. 가압조정레버(500)는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유도구면(160)과 밀착 접촉가능한 원추곡면(410)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배출구(420)가 뚫려있다.
따라서,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의 구동에 의하여 압착된 잉여 쓰레기는 최종적으로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유도구면(160)의 유도홈(170)을 따라서 가압조정레버(500)의 배출구(4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조정레버(500)의 원추곡면(410)과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유도구면(160)의 간격이 떨어진 상태에서 도 4a 같이 가압조정레버(500)의 원추곡면(410)과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유도구면(160)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서로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여 배출구(420)를 통하여 배출되는 잉여 쓰레기가 건조된 상태로 배출시키어 보다 더 쓰레기의 용량을 더욱 감축할 수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체(5)의 바닥쪽에 유출구멍(6)이 뚫려있고 또한 스크류원통체(300)에 메쉬구멍(31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들의 분쇄부(130,230)와 압착부(140,240)들에서 분쇄 압착되며 발생하는 수분이 기기본체(1)의 저면에 형성한 저장탱크(30)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저장탱크(30)의 위에 메쉬플레이트(40)가 얹혀져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다. 케이스체(5)의 바닥쪽에 유출구멍(6)으로 유출되는 수분(물)이 일단 메쉬플레이트(40)의 메쉬에 걸려져 물에 포함된 잉여물을 걸러 저장탱크(30)로 배출되게 한다.
걸러진 메쉬플레이트(40)의 잉여물은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배출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호퍼에 넣어지면서 교반되어 부서져서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되는 서로 맞물려 구동하는 2단 분쇄압착스크류에서 수분은 아래로 빠지며 잉여쓰레기가 분쇄되면서 이어서 압착이 행하여지며, 한쪽 분쇄압착스크류의 끝단의 유도구면에서 가압조정레버에 의하여 재차 마찰 가압되어서, 수분이 제거되고 부피가 최소로 압착 성형된 고형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투입된 쓰레기의 량을 1/10이상의 최대로 감축하여 처리될 수 있다.

Claims (3)

  1. 호퍼(9)의 호퍼통로(10)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모터(21)에 의하여 회전되는 교반체(20)에서 교반되고, 상기 교반체(20)의 아래에 감속모터(150)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상기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와 맞물려 회전되는 무동력측 분쇄압착스크류(200)에, 물결돌기(110,210)를 갖는 분쇄부(130,230)가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한쪽 구동측 분쇄압착스크류(100)의 끝단 유도구면(160)에서 가압조정레버(500)에 의하여 마찰 가압되어서, 압착 성형된 고형물이 배출구(42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130,230)에 연이어 나선스크류(120,230)가 일체로 형성된 압착부(140,240)가 형성되어, 상기 압착부(140,240)의 정,역방향의 이맞물림 구동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 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3. 삭제
KR1020070050209A 2007-05-23 2007-05-23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KR100812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09A KR100812940B1 (ko) 2007-05-23 2007-05-23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209A KR100812940B1 (ko) 2007-05-23 2007-05-23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2940B1 true KR100812940B1 (ko) 2008-03-11

Family

ID=3939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209A KR100812940B1 (ko) 2007-05-23 2007-05-23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2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265A (zh) * 2017-04-06 2017-07-25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脱干排放装置
CN106985438A (zh) * 2017-04-06 2017-07-28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农贸垃圾脱水挤压装置
KR20230146364A (ko) 2022-04-12 2023-10-19 (주)지킴 음식물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118A (ja) 1999-10-22 2001-05-08 Hayashida Tekko:Kk 生ゴミ処理機
KR20020005342A (ko) * 2000-07-07 2002-01-17 장종주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20040049360A (ko) * 2002-12-03 2004-06-12 최동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31184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06150199A (ja) 2004-11-26 2006-06-15 Amukon Kk 減容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118A (ja) 1999-10-22 2001-05-08 Hayashida Tekko:Kk 生ゴミ処理機
KR20020005342A (ko) * 2000-07-07 2002-01-17 장종주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20040049360A (ko) * 2002-12-03 2004-06-12 최동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31184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06150199A (ja) 2004-11-26 2006-06-15 Amukon Kk 減容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6265A (zh) * 2017-04-06 2017-07-25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脱干排放装置
CN106985438A (zh) * 2017-04-06 2017-07-28 苏州美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农贸垃圾脱水挤压装置
KR20230146364A (ko) 2022-04-12 2023-10-19 (주)지킴 음식물쓰레기 감량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65B1 (ko) 분해 미생물을 이용한 순환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08545A (ko)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EA01617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утилизируемых отходов, содержащих органические веществ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2244898B1 (ko) 유성기어를 이용한 음식물 감량 처리장치
KR101378777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미세 슬러지 분리 처리 장치
KR1015012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12940B1 (ko) 음식물쓰레기의 감량기
KR101028570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151316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13002435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CN210252615U (zh) 厨余垃圾废渣粉末分离装置
KR200432685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00265B1 (ko) 음식물쓰레기의처리장치
KR100216871B1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25465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장치
CN211801358U (zh) 一种固体垃圾高效粉碎处理装置
CN110467483B (zh) 一种垃圾处理分解的装置
JP2007136308A (ja) 生ゴミ破砕機
KR20140036486A (ko) 야채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