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827B1 -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827B1
KR100811827B1 KR1020070034062A KR20070034062A KR100811827B1 KR 100811827 B1 KR100811827 B1 KR 100811827B1 KR 1020070034062 A KR1020070034062 A KR 1020070034062A KR 20070034062 A KR20070034062 A KR 20070034062A KR 100811827 B1 KR100811827 B1 KR 10081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amber
food waste
water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웅
Original Assignee
배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수웅 filed Critical 배수웅
Priority to KR102007003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1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 B65F3/201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charging, distributing or compressing refuse in the interior of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with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the charging pistons, plates or the like moving rectilinear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축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최소화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적재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후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수분제거장치는, 투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안내호퍼와, 안내호퍼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실을 가지는 투입부; 안내호퍼 및 안내실 측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실린더와, 안내실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가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바아를 가지는 가압부; 안내실의 일단에 장착됨과 아울러 가압부에 의해서 가압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수분배출공이 형성된 가압실을 가지는 수분배출부; 및 가압실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압부가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할 때 가압실의 하부를 폐쇄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제 2 챔버 측으로 안내할 때 개방되는 안내커버와, 안내커버를 작동시키는 안내실린더를 가지는 안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FOOD WASTE GATHERING VEHICLE HAVING MOISTURE REMOV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로, 제 1 수분배출공 및 제 2 수분배출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수분제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스크래핑부의 작동상태를 보인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음식물쓰레기수거차량 110 : 수분제거장치
120 : 투입부 122 : 안내호퍼
124 : 안내실 130 : 가압부
132 : 가압실린더 134 : 가압실린더로드
136 : 가압바아 140 : 수분배출부
142 : 가압실 144 : 제 1 수분배출공
146 : 제 2 수분배출공 147 : 제 3 수분배출공
148 : 에어안내공 149 : 에어파이프
150 : 안내부 152 : 안내커버
154 : 안내실린더 156 : 안내실린더로드
158 : 힌지 160 : 스크래핑부
162 : 스크래핑실린더 164 : 스크래핑실린더로드
166 : 스크래핑바아 168 : 슬라이딩돌기
170 : 경사안내면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축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최소화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적재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후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있어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별도의 수거통에 수거한 다음, 수거통에 담겨진 음식물쓰레기를 수거차량의 적재함에 옮겨 담아서 일정한 장소로 운반하여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쳐 사료로 이용하거나 거름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전술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은 수분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가 적재되기 때 문에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함의 절반정도도 못 채우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적재함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적재함의 투입구 직하방으로만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는 투입구의 직하방으로만 쌓인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구의 반대편 측으로 안내하는 이송판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송판은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구의 반대편 측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안내함과 동시에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함의 벽면과 밀착되게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그런데, 전술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은 이송판을 이용하여 맨 먼저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구의 반대편으로 안내하면서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나, 뒤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와 혼합된 상태에서 수분이 제거되기 때문에 뒤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먼저 투입된 음식물쓰레기 측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축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최소화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적재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후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가 수직한 격벽에 의해서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로 분할되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제 1 챔버의 상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챔버의 내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가 내장되며, 제 2 챔버는 수분제거장치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안내되어 적재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수분제거장치는;
투입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안내호퍼와, 안내호퍼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실을 가지는 투입부;
안내호퍼 및 안내실 측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실린더와, 안내실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가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바아를 가지는 가압부;
안내실의 일단에 장착됨과 아울러 가압부에 의해서 가압된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수분배출공이 형성된 가압실을 가지는 수분배출부; 및
가압실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압부가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할 때 가압실의 하부를 폐쇄하고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제 2 챔버 측으로 안내할 때 개방되는 안내커버와, 안내커버를 작동시키는 안내실린더를 가지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거된 음식물쓰레기를 압축 시켜 음식물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최소화하고, 수분이 최소화된 음식물쓰레기만을 적재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한 후 공정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100)은 적재함(10)을 구비한다.
적재함(10)은 내부가 수직한 격벽(12)에 의해서 제 1 챔버(14) 및 제 2 챔버(16)로 분할되고, 제 1 챔버(14)의 상부에는 음식물쓰레기(F)가 투입되는 투입구(18)가 형성되며, 제 1 챔버(14)의 내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쓰레기(F)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110)가 내장된다. 한편 제 2 챔버(16)는 수분제거장치(110)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F)가 안내되어 적재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분제거장치(110)는 투입구(18)를 통해 음식물쓰레기(F)가 투입되는 투입부(120)와, 투입부(120) 측으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F)를 가압하는 가압부(130)와, 가압부(130)에 의해서 가압된 음식물쓰레기(F)의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배출부(140)와,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F)를 제 2 챔버(16)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수분제거장치(110)는 수분배출부(140) 측으로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F)의 잔여물에 의해서 수분배출부(140)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래핑부(160)를 더 구비한다.
먼저, 투입부(120)는 투입구(18)를 통해 음식물쓰레기(F)가 투입되는 안내호퍼(122)와, 안내호퍼(1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실(124)을 구비한다.
안내호퍼(122)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형성된다.
한편, 안내실(124)은 사각관 형상을 가진다. 안내실(124)은 안내호퍼(122)의 하부에서 격벽(12) 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연장되는데, 이러한 안내실(124)은 안내호퍼(122)에서 음식물쓰레기(F)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타단면에 인접한 상부면이 안내호퍼(122)의 개방된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안내실(124)의 일단면은 개방된다.
이렇게 형성된 투입부(120)에는 가압부(130), 수분배출부(140)가 장착된다.
가압부(130)는 가압실린더(132) 및 가압바아(136)를 구비한다.
가압실린더(132)는 안내실(124)의 타단면 외부에 고정 배치되는데, 가압실린더(132)에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가압실린더로드(134)는 안내실(124)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가압바아(136)는 안내실(124)의 내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가압실린더로드(134)의 연장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압바아(136)는 신장 또는 수축되는 가압실린더로드(134)에 의해서 안내실(124) 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안내실(124) 내의 음식물쓰레기(F)를 가압한다.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서 도시된 단면도로, 제 1 수분배출공 및 제 2 수분배출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분배출부(140)는 일단면 및 타단면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가압실(142)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압실(142)의 타단은 안내실(124)의 일단에 장착되는데, 이때, 가압실(142)의 타단 내측면과 안내실(124)의 일단 내측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고정 장착된다.
한편, 가압실(142)의 양측면 및 하부면 상에는 다수의 제 1 수분배출공(144)이 다수의 횡과 열을 이루며 형성된다. 다수의 제 1 수분배출공(144) 중 가압실(142)의 길이방향 즉, 가압실(142)의 타단에서 일단 측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 1 수분배출공(144)은 가압실(14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제 2 수분배출공(146)이 연통되게 형성되는데, 제 2 수분배출공(146)은 가압실(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각각의 제 1 수분배출공(144)을 연결하면서 가압실(142)의 외측에서 각각의 제 1 수분배출공(144)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형성된다.
한편 가압실(142)의 타단면 상에는 각각의 제 2 수분배출공(146)으로 압축에어를 안내하는 다수의 에어안내공(148)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에어안내공(148)에는 압축에어가 공급되는 에어파이프(149)가 장착된다. 즉, 에어파이프(149)를 통해 안내된 압축에어는 에어안내공(148) 측으로 안내된 후 제 2 수분배출공(146) 측으로 안내되어 제 1 수분배출공(144)에 끼워진 음식물쓰레기(F)의 잔여물을 털어낸다. 한편, 가압실(142)의 일단면에 인접한 양측면 및 하부면 상에는 양측면 및 하부면의 외측에서 양측면 및 하부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3 수분배출공(147)이 제 1 수분배출공(144) 및 제 2 수분배출공(146)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수분배출부(140)에는 안내부(150)가 장착된다.
안내부(150)는 가압실(142)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안내커버(152)와, 안내커버(152)를 작동시키는 안내실린더(154)를 구비한다.
안내커버(152)는 가압실(142)의 하부에 힌지(158)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안내커버(152)는 가압실린더(132)가 가압실(142) 및 안내실(124)의 음식물쓰레기(F)를 가압할 때는 가압실(142)의 하부를 폐쇄하고, 가압실(142) 및 안내실(124) 내의 음식물쓰레기(F)의 수분이 제거되면 개방되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F)를 제 2 챔버(16) 측으로 안내한다. 이를 위해서 격벽(12)에는 안내커버(152)를 따라 가압실(142)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F)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관통공(13)이 형성된다. 한편, 안내실린더(154)는 가압실(142)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제 1 챔버(14)의 내측벽 상에 고정되는데, 안내실린더(154)에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안내실린더로드(156)의 연장단부는 안내커버(152)의 일단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투입부(120), 가압부(130), 수분배출부(140) 및 안내부(150)를 가지는 수분제거장치(110)는 스크래핑부(160)를 더 구비하는데, 스크래핑부(160)는 다수의 스크래핑실린더(162)와, 다수의 스크래핑바아(166)로 이루어진다.
스크래핑실린더(162)는 안내실(124)의 양측면 및 하부면 외측에 고정 배치되는데, 각각의 스크래핑실린더(162)에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각각의 스크래핑실린더로드(164)는 가압실(142) 측으로 연장된다. 한편, 각각의 스크래핑바아(166)는 각 각의 스크래핑실린더로드(164)의 연장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각각의 스크래핑바아(166)는 내측면 상에는 각각의 제 2 수분배출공(146) 내측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제 2 수분배출공(146)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쇄기형상의 슬라이딩돌기(168)를 구비한다. 이때, 각각의 슬라이딩돌기(168)의 상부는 슬라이딩돌기(168)가 제 2 수분배출공(146)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제 2 수분배출공(146) 내로 공급되는 압축에어를 제 1 수분배출공(144)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안내면(170; 도 4a 참조)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수분배출공(144)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 챔버(14)에 형성된 투입구(18) 측으로 음식물쓰레기(F)가 투입되면, 음식물쓰레기(F)는 안내호퍼(122)를 지나 안내실(124) 및 가압실(142) 측으로 안내된다. 이때, 가압실(142)의 하부가 안내커버(152)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실린더(154)는 안내실린더로드(156)를 신장시킨다.
이와 같이 안내실(124) 및 가압실(142)에 음식물쓰레기(F)가 안내되면, 음식물쓰레기(F)를 가압하는데, 이를 위해서 가압실린더(132)를 작동시키면 가압실린더로드(134)는 신장되고, 그 결과 가압바아(136)는 음식물쓰레기(F)를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가압바아(136)에 의해서 음식물쓰레기(F)가 가압되면, 음식물쓰레기(F)에 함유된 수분은 가압실(142)에 형성된 제 1 수분배출공(144) 및 제 2 수분배출 공(146) 그리고 제 3 수분배출공(147)을 통해 배출된다. 제 1 수분배출공(144) 및 제 2 수분배출공(146) 그리고 제 3 수분배출공(147)을 통해 배출된 수분은 제 1 챔버(14) 내에 담겨진다. 제 1 챔버(14)에는 담겨진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쓰레기(F)의 수분이 제거되면, 안내실린더(154)의 안내실린더로드(156)를 수축시켜 안내커버(152)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안내커버(152)가 개방되면, 음식물쓰레기(F)를 가압하는 가압실린더(132)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F)는 안내커버(152)를 따라 안내되면서 격벽(12)에 형성된 관통공(13)을 지나 제 2 챔버(16) 내로 적재된다.
한편, 음식물쓰레기(F)의 수분제거 시 수분과 함께 음식물쓰레기(F)의 잔여물이 제 1 수분배출공(144) 및 제 2 수분배출공(146) 측으로 안내되어 제 1 수분배출공(144) 및 제 2 수분배출공(146)을 폐쇄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음식물쓰레기(F)의 가압이 완료되고 제 2 챔버(16) 내부로 음식물쓰레기(F)가 안내되면, 스크래핑실린더(162)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에어파이프(149)를 통해 압축에어를 공급한다.
스크래핑실린더(162)의 작동에 의해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스크래핑실린더로드(164)는 스크래핑바아(166) 및 스크래핑바아(166)에 형성된 슬라이딩돌기(168)를 슬라이딩시켜 제 2 수분배출공(146)을 내의 음식물쓰레기(F)의 잔여물을 제 2 수분배출공(146)에서 분리시킨다. 또한 슬라이딩되는 스크래핑바아(166)와 에어안내공(148)을 통해 제 2 수분배출공(146) 측으로 안내되는 압축에어는 슬라이딩돌 기(168)에 형성된 경사면(17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 1 수분배출공(144)을 폐쇄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F)의 잔여물을 분리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100)은 투입된 음식물쓰레기(F)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110)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F)를 적재할 수 있고, 음식물쓰레기(F)를 건조하기 위한 후 공정을 중일 수 있어 에너지의 절감을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내부가 수직한 격벽에 의해서 제 1 챔버 및 제 2 챔버로 분할되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챔버의 내부에는 투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가 내장되며, 상기 제 2 챔버는 상기 수분제거장치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안내되어 적재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안내호퍼와, 상기 안내호퍼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실을 가지는 투입부;
    상기 안내호퍼 및 상기 안내실 측으로 투입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실린더와, 상기 안내실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실린더와 연결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가압바아를 가지는 가압부;
    상기 안내실의 일단에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가압부에 의해서 가압된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 수분배출공이 형성된 가압실을 가지는 수분배출부; 및
    상기 가압실의 하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압부가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할 때 상기 가압실의 하부를 폐쇄하고 수분이 제거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제 2 챔버 측으로 안내할 때 개방되는 안내커버와, 상기 안내커버를 작동시키는 안내실린더를 가지는 안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 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실은 상기 안내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격벽 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연장되며, 상기 안내호퍼에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안내받을 수 있도록 타단면에 인접한 상부면이 상기 안내호퍼의 하부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일단면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린더는 상기 안내실의 타다면 외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가압실린더에서 연장되는 가압실린더로드는 상기 안내실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압실린더로드의 연장단부에는 상기 가압바아가 장착되어 상기 가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상기 가압실린더로드에 의해서 상기 안내실 내부를 따라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안내실 내의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는 상기 가압실의 하부에 힌지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안내실린더는 상기 가압실의 하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챔버의 내측벽 상에 고정되고 상기 안내실린더에서 연장되는 안내실린더로드의 연장단부는 상기 안내커버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실은 일단면 및 타단면이 개방된 사각관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압실의 타단 내측면과 상기 안내실의 일단 내측면이 서로 연통하도록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압실의 양측면 및 하부면 상에는 다수의 상기 제 1 수분배출공이 다수의 횡과 열을 이루며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제 1 수분배출공 중 상기 가압실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제 1 수분배출공들은 상기 가압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제 2 수분배출공과 연통되게 연결되며, 다수의 상기 제 2 수분배출공은 상기 가압실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각각의 상기 제 1 수분배출공을 연결하면서 상기 가압실의 양측면 외측 및 하부면 외측에서 각각의 상기 제 1 수분배출공 측으로 방사상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분배출공은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실에 장착된 상기 가압실의 타단면 상에는 각각의 상기 제 2 수분배출공 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제 1 수분배출공에 끼워진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잔여물을 털어 낼 수 있도록 에어파이프가 장착되는 다수의 에어안내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실의 일단면에 인접한 양측면 및 하부면 상에는 양측면 및 하부면의 외측에서 양측면 및 하부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 3 수분배 출공이 상기 제 1 수분배출공 및 상기 제 2 수분배출공에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상기 제 1 수분배출공 및 상기 제 2 수분배출공이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의 잔여물에 의해서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크래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핑부는, 상기 안내실의 양측면 및 하부면 외측에 고정 배치되는 스크래핑실린더와, 상기 스크래핑실린더에서 신장 또는 수축되는 스크래핑실린더로드와, 각각의 상기 스프래핑실린더로드의 연장단부에 장착되고 내측면 상에는 각각의 상기 제 2 수분배출공 내측으로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수분배출공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쇄기 형상의 슬라이딩돌기가 형성된 스크래핑바아를 가지며, 각각의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상부는 상기 슬라이딩돌기가 상기 제 2 수분배출공을 따라 슬라이딩 될 때 상기 제 2 수분배출공 내로 공급되는 압축에어를 상기 제 1 수분배출공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1020070034062A 2007-04-06 2007-04-06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KR10081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62A KR100811827B1 (ko) 2007-04-06 2007-04-06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62A KR100811827B1 (ko) 2007-04-06 2007-04-06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827B1 true KR100811827B1 (ko) 2008-03-10

Family

ID=3939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062A KR100811827B1 (ko) 2007-04-06 2007-04-06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8B1 (ko)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722Y1 (ko) * 1993-05-07 1995-07-20 이명길 폐음식물 압축장치
JPH10156206A (ja) 1996-12-02 1998-06-16 Fuji Kiko Co Ltd 食品等の廃棄物処理装置
KR19990000825A (ko) * 1997-06-10 1999-01-15 주영길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장치
KR19990032981U (ko) * 1997-12-19 1999-07-26 김영숙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722Y1 (ko) * 1993-05-07 1995-07-20 이명길 폐음식물 압축장치
JPH10156206A (ja) 1996-12-02 1998-06-16 Fuji Kiko Co Ltd 食品等の廃棄物処理装置
KR19990000825A (ko) * 1997-06-10 1999-01-15 주영길 음식물쓰레기의 탈수장치
KR19990032981U (ko) * 1997-12-19 1999-07-26 김영숙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8B1 (ko)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0014A (en) Briquetting machine
KR101933864B1 (ko) 스크류 유압프레스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EP2344284B2 (en) Machine for processing the organic fraction of urban solid waste
KR20150057117A (ko)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제거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박스
KR101935428B1 (ko) 실린더 가압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0811827B1 (ko) 수분제거장치를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
CN210415624U (zh) 一种餐厨垃圾处理装置
WO2023137610A1 (zh) 一种餐余物处理装置
KR20090076637A (ko) 보조 압착판을 가지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용 압착장치
KR100273467B1 (ko) 사전 압축식 재활용쓰레기 수거차량
CN216864555U (zh) 一种针织面料染色用烘干机
KR940007008B1 (ko) 라텍스 폐기물의 탈수장치
CN211077236U (zh) 一种具有污水分离功能的垃圾车箱
CN209577714U (zh) 一种餐厨垃圾杀菌处理装置
CN219341983U (zh) 一种废水处理装置
JP2004161495A (ja) 汚水貯留部を備えたコンテナ
KR100628969B1 (ko) 적재된 폐식용류용기 폐기처리시스템
KR10038357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7550723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设备
CN215286537U (zh) 一种平推式垃圾压缩设备
CN216470080U (zh) 一种高压干湿分离餐厨垃圾车
KR101146792B1 (ko) 하천수에 함유된 슬러지 압착 탈수 시스템
KR200145713Y1 (ko) 제유기
CN215143313U (zh) 餐余垃圾处理用固液分离装置
CN221049909U (zh) 一种红树林种植海域垃圾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