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149B1 - 족열기 - Google Patents

족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149B1
KR100811149B1 KR1020050072629A KR20050072629A KR100811149B1 KR 100811149 B1 KR100811149 B1 KR 100811149B1 KR 1020050072629 A KR1020050072629 A KR 1020050072629A KR 20050072629 A KR20050072629 A KR 20050072629A KR 100811149 B1 KR100811149 B1 KR 10081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temperature
delete delete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777A (ko
Inventor
문운석
Original Assignee
문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운석 filed Critical 문운석
Publication of KR20060084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53Cabins, rooms, chairs or units for treatment with a hot or cold circulating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85Devices for generating hot or cold treatment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1Upper 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3Lower leg, ca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5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using a remote cont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족열기가 개시된다. 족열기는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착용구, 착용구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열 공급부,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형성되고, 착용구에 열을 전달하는 순환 발열부 및 순환 발열부의 경로를 따라 인접하게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신체의 각 부분에 대응하여 히팅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히팅 영역 별로 온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두한족열의 원리를 실현하여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한 족열, 히팅 영역, 전열선, 온수관

Description

족열기{APPARATUS FOR HEATING A FOO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히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히팅 영역의 온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310:착용구 120,220,320:열 공급부
130:순환 발열부 230:전열선
330:온수관 150,250,350:타이머 소자
160,260,360:리모컨
본 발명은 족열기 및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발 및 다리 일부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온도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신체에서 땀이 난다는 것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고, 몸으로부터의 노폐물 등이 몸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몸이 균형을 이루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는 강제적으로라도 몸으로부터 땀을 방출시키도록 하여 왔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사우나가 사람의 몸을 덥게 하여 강제적으로 땀을 방출시키는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사우나와 같은 방식으로 몸을 발열시키는 것은 정해진 장소에서만 행해질 수 있으며, 그 외의 장소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가정에서 손 쉽게 사용될 수 있는 족탕기, 전열 매트나 족열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두한족열의 원리가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고 하여 반신욕이나 족열기 등이 많은 사람들에게 판매되고 있다.
종래의 족열기의 경우에는 발 전체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외부에서 발에 뜨거운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발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필요하며, 발열 장치를 포함하므로 그 크기가 상당히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래의 족열기를 사용할 때 고정된 자세를 취해야 하므로 장시간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신체의 한 부위에 뜨거운 열을 가하게 되면, 신체에 존재하는 백혈구나 적혈구가 파괴되어 사람에게 악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발에도 이와 같이 계속 뜨거운 열을 가하게 되면 인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신체의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순환 발열부가 분포된 족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 발열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족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시간 이후에 자동으로 열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족열기 및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족열기는 착용구, 열 공급부, 순환 발열부 및 삽입 부재를 구비한다.
착용구는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각 부분에 대응하는 히팅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착용구에는 다양한 체결 수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착용하기에 편리하게 제작된다. 열 공급부는 착용구에 열을 공급한다. 열 공급부는 전기를 공급하거나, 가열한 액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순환 발열부는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배치되고, 착용구에 열을 전달한다. 순환 발열부는 착용구에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각 히팅 영역에 하나의 선이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삽입 부재는 순환 발열부의 경로를 따라 인접하게 삽입되고, 삽입 부재의 재질은 비열이 높아 열을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거나,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건강에 유익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족열기는 발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발열 수단을 포함하므로 족열기의 부피가 크다. 따라서, 사용자가 족열기를 착용하고 이동하거나 취침을 취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이동성이 높으며, 착용구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 크기에 알맞게 착용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장시간 사용하기 편리하므로 사용자가 취침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발은 따뜻하게 하고 머리는 시원하게 하는 두한족열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다. 두한족열이란, 머리는 시원하게 하고, 발은 따뜻하게 해줘 순환장애를 개선, 질병을 한의학적으로 치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와 동일한 원리로는 반신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족열기는 발의 온도가 다른 신체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본 족열기를 사용하면, 사람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간장병, 당뇨병치료, 과 지방을 배출하고, 피하지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 현기증, 비만, 견비통, 관절통, 냉족, 발의 피로요통, 스트레스 등이 완치되는 방법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일부분이 아닌 발 전체를 덮기 때문에 보온성이 종래의 족열기에 비하여 뛰어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족열기는 착용구, 열 공급부, 전열선 및 열 저장부를 구비한다.
착용구는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각 부분에 대응하는 히팅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착용구에는 다양한 체결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열 공급부는 착용구에 열을 공급한다. 그리고, 전열선은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장 착되고, 열 공급부에 의해 발열하여 착용구에 열을 전달한다. 열 저장부는 전열선의 경로를 따라 인접하게 형성되고, 전열선의 열을 전달 받아 저장한다. 따라서, 열 저장부는 물과 같이 전열선보다 비열이 높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전열선에서 전달되는 열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발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열선만을 이용하여 착용구의 전체에 촘촘히 배치할 필요 없이 열 저장부 및 전열선을 각각 배치하여 뜨거운 온도가 오래 지속될 수 있고, 전열선을 굴곡지게 배치하여 전자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족열기는 착용구, 열 공급부, 온수관 및 원적외선 부재를 구비한다.
착용구는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각 부분에 대응하는 히팅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착용구에는 다양한 체결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열 공급부는 가열된 액체를 착용구에 공급한다. 그리고, 온수관은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순환되고, 열 공급부에서 전달되는 가열된 액체를 순환 시킨다. 이때, 액체는 비열이 큰 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원적외선 부재는 온수관의 경로를 따라 인접하게 형성되어 착용구에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원적외선은 일종의 적외선 영역의 파장에 하나이며, 원적외선의 효과로는 인체의 체온을 적정 체온으로 유지시켜 주는 온열 작용, 인체의 성장을 촉진 시키는 숙성 작용, 인체 내에 혈액 순환을 좋게 하여 영양분 공급의 균형을 이루는 자정 작용, 건습 작용, 증화 작용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은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착용구 및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형성되어 열을 전달하는 순환 발열부를 제공하는 단계, 착용구 내의 온도를 소정의 시간 동안 사람의 체온 초과의 제1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 및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후, 착용구 내의 온도를 제1 온도 미만 체온 이상인 제2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 후에 제1 온도보다 낮은 제2 온도로 유지되므로 뜨거운 열이 신체의 일부분에 계속해서 가해질 때 발생하는 적혈구 및 백혈구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취침에 적정한 온도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취침을 돕는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은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팅 영역을 포함하는 착용구를 제공하는 단계를 갖는다. 그리고, 착용구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순환 발열부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히팅 영역으로 열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히팅 영역들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열의 발열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따라서, 히팅 영역의 온도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적정 온도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족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족열기(100)는 착용구(110), 열 공급부(120), 순환 발열부(130), 삽입 부재(140), 타이머 소자(150) 및 리모컨(160)을 구비한다.
착용구(110)는 사람의 발목에서부터 발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용구(110)의 내부에는 순환 발열부(130)가 전체적으로 분포하여 배치된다. 착용구(110)는 발목 부분에 부착되는 벨크로 테이프(112)를 포함하고, 벨크로 테이프(11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목에 밀착되도록 부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발 크기에 따라 착용구(110)의 일부분이 접히면서 사용자의 발에서 빠지지 않고, 사용자가 이동하기 편하도록 착용되고,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작크와 같이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구(110)의 재질은 자체적으로 발열하는 팩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무나 천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열 공급부(120)는 착용구(110)에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온도 제어부(122), 온도 감지부(124),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124a) 및 온도 조절 스위치 (126)를 포함한다. 열 공급부(120)는 순환 발열부(130)에 전기를 공급하여 순환 발열부(130)에서 열을 발열하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온수 또는 가스와 같은 다양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온도 제어부(122)는 온도 감지부(124)와 연결되어 열의 발열량을 조절한다. 온도 감지부(124)는 착용구(110)의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분에 장착되어 착용구(110)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온도 제어부(122)에 전달한다. 온도 감지부(124)는 온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124a)는 온도 제어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 감지부(124)를 외부에서 조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온도 조절 스위치(126)는 온도 제어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온도에 따라 온도 제어부(122)에서 열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순환 발열부(130)는 착용구(110)에 전체적으로 분포하여 착용구(110)에 열을 전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착용구를 복수개의 히팅 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순환 발열부(130)는 전열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온수관 등과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순환 발열부(130)의 분포는 착용구(110)의 형상을 따라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치된다. 또한, 착용구(110)가 배치된 인접한 빈 공간에는 삽입 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다. 순환 발열부(130)는 하나의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의해 복수개의 경로를 따라 각각의 순환 발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삽입 부재(140)는 순환 발열부(130)가 배치된 인접한 빈 공간에 삽입되어 착용구(110)에 장착되고, 순환 발열부(130)에서 전달되는 열을 자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부재(140)는 순환 발열부(130)보다 비열이 높은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순환 발열부(130)를 촘촘히 배치할 필요 없이 삽입 부재(140)에서 열을 저장하여 착용구(110)에 지속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온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 부재(140)는 사람의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 재질을 사용하거나, 핫팩이라 불리는 하이포를 삽입하여 제조할 수 있다.
타이머 소자(150)는 열 공급부(120)에 장착되어 온도 제어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과의 일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된 시간이 2시간이라면, 타이머 소자(150)에서 2시간 뒤에 온도 제어부(122)에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고, 이에 따라 열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착용구(110)를 착용한 후 잠이 들더라도, 설정한 시간에 착용구(110)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한 부위에 장시간 뜨거운 온도를 가하면 적혈구 및 백혈구가 파괴되어 인체에 해를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모컨(160)은 열 공급부(120)에 장착된 송수신부에 의해 외부에서 열 공급부(120)를 원격 조정하여 온도를 변화시키거나, 타이머를 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리모컨에 다양한 기능 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착용구(110)를 착용한 후 원격 조정으로 리모컨(160)을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타이머 소자(150)를 이용하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열 공급부(120)의 전원을 오프 시키거나 열 공급부(120)의 온도를 낮추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감지부(124)에서 착용구(1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제어부(122)에 전달하고, 감지 신호에 따라 온도 제어부(122)에서 적정 온도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는 발은 따뜻하게 하고 머리는 시원하게 하는 두한족열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간장병, 당뇨병치료, 과 지방을 배출하고, 피하지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아토피성 피부염, 현기증, 비만, 견비통, 관절통, 냉족, 발의 피로요통, 스트레스 등이 완치되는 방법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는 신체의 발에 형상에 대응하여 제조되므로 착용한 후 편하게 이동할 수 있고, 착용구의 두께도 종래의 족열기에 비해 매우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족열기의 이동이 편리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할 수 있고, 족열기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취침하면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는 일부분이 아닌 발 전체를 덮기 때문에 보온성이 종래의 족열기에 비하여 뛰어나고, 외부에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최적 온도로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히팅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족열기(200)는 착용구(210), 열 공급부(220), 전열선(230), 열 저장부(240), 타이머 소자(250) 및 리모컨(260)을 구비한다.
착용구(210)는 사람의 허벅지에서부터 발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착용구(210)의 내부에는 전열선(230)이 전체적으로 분포하여 배치된다. 착용구(210)는 발등에서 허벅지 부분에 형성되는 작크(212)를 포함하고, 작크(21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하체에 빠지지 않게 밀착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른 다양한 체결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착용구(210)는 허벅지에서 무릎까지에 해당하는 허벅지 히팅 영역(214a), 무릎에서 발목까지에 해당하는 중간 히팅 영역(214b) 및 발목에서 발을 덮는 발 히팅 영역(214c)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의 히팅 영역에는 전열선(230)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각각의 히팅 영역에 따라 다른 온도로 히팅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히팅 영역을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열 공급부(220)는 착용구(210)에 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온도 제어부(222), 온도 감지부(224),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224a) 및 온도 조절 스위치(226)를 포함한다. 열 공급부(220)는 전열선(230)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열선(230)에서 열을 발열하도록 유도한다. 열 공급부(220)는 허벅지 히팅 영역(214a)에 대응 하여 형성되는 제1 열 공급부(220a), 중간 히팅 영역(214b)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열 공급부(220b) 및 발 히팅 영역(214c)에 해당하는 제3 열 공급부(220c)를 포함한다. 제1 열 공급부(220a)는 제1 전열선(230a)과 연결되고, 제2 열 공급부(220b)는 제2 전열선(230b)이 연결되며, 제3 열 공급부(220c)는 제3 전열선(230c)이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전열선(230)마다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발열할 수 있다.
전열선(230)은 제1 열 공급부(220a)에 제1 전열선(230a)이 연결되고, 제2 열 공급부(220b)에 제2 전열선(230b)이 연결되며, 제3 열 공급부(220c)에 제3 전열선(230c)이 연결된다. 각각의 온도는 달리 설정될 수 있다. 그 외의, 온도 제어부(222), 온도 감지부(224),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224a), 온도 조절 스위치(226), 타이머 소자(250) 및 리모컨(260)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열 저장부(240)는 전열선(230)이 배치된 빈 공간에 삽입되고, 비열이 큰 물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열선(230)에서 전달되는 열을 저장하므로, 전열선(230)이 배치된 부분 이외의 착용구(210) 전체적으로 온열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물 이외의 다양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히팅 영역의 온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착용구(210)는 허벅지 히팅 영역(214a), 중간 히팅 영역(214b) 및 발 히팅 영역(214c)으로 구분된다. 도면에서 Y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X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두한족열의 원리를 실현하기 위하여 발 히팅 영역(214c)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설정하고(①), 허벅지 히팅 영역(214a)의 온도를 신체의 온도(④)보다 약간 높게 설정하고(③), 중간 히팅 영역(214b)은 발 히팅 영역(214c) 및 허벅지 히팅 영역(214a) 사이의 온도로 설정한다(②). 그리고, 각각의 전열선(230)에서 상기 온도에 대응하여 발열하여 각각의 히팅 영역을 히팅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한 시간 이후에 중간 히팅 영역(214b) 및 발 히팅 영역(214c)은 온도가 떨어져 서로의 온도 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는 발이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뜨겁게 유지하여 두한족열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족열기를 착용하고 취침할 때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후에 각 히팅 부분의 온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한 부위에 뜨거운 온도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각각의 히팅 영역의 온도를 일정 시간 이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수관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족열기(300)는 착용구(310), 열 공급부(320), 온수관(330), 원적외선 부재(340), 타이머 소자(350) 및 리모컨(360)을 구비한다.
열 공급부(320)는 착용구(310)에 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온도 제어부(322), 온도 감지부(324),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324a), 온도 조절 스위치(326), 순환 펌프(327), 보일러 탱크(328), 수압 조절부(329) 및 수압 조절 스위치(329a)를 포함한다. 순환 펌프(327)는 온수관(330)을 통하여 온수를 순환시킨다. 그리고, 온도 제어부(322)는 온수를 가열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보일러 탱크(328)는 온수관(330)으로 온수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하여 물을 저장한다. 수압 조절부(329)는 온수관(330)이 접히는 경우에 온수의 흐름을 막아 고장 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현상이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수압을 약하게 조절하게 된다. 또한, 수압 조절부(329)를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해 온도 제어부(3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압 조절 스위치(329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복수개의 히팅 영역에 각각 온수를 전달하기 위해 복수개의 열 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온수관(330)은 열 공급부(320)에서 유입되는 온수가 통과하는 관이며, 착용구(310)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온수관(330)의 입구는 착용구(310) 중 발가락에 대응되는 부분이고, 상기 입구에서 착용구(320)의 발목 부분까지 순환하여 온수의 열을 전달한다.
원적외선 부재(340)는 온수관(330)이 배치된 빈 공간에 삽입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가져 온다. 원적외선의 효과는 인체의 체온을 적정 체온으로 유지시켜 주는 온열 작용, 인체의 성장을 촉진 시키는 숙성 작용, 인체 내에 혈액 순환을 좋게 하여 영양분 공급의 균형을 이루는 자정 작용, 건습 작용, 증화 작용 등 다양한 효과 등을 말한다. 원적외선 부재(340)의 재질로는 일정한 크기에 따른 복수개의 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세라믹스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온도 감지부(324),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324a), 온도 조절 스위치(326), 타이머 소자(350) 및 리모컨(360)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열 공급부(320)에서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여 온수관(330)에 전달하고, 온수가 온수관(330)을 순환하면서 착용구(310)에 열을 전달한다. 이때, 온수관(330) 주변에 위치하는 원적외선 부재(340)는 상기 열을 전달 받아 열을 저장하여 착용구(310)에 온열을 전달한다. 또한, 원적외선 부재(340)는 착용구(310)의 내부에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족열기의 온도 조절 방법은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팅 영역을 포함하는 착용구를 제공하는 단계(S410)를 구비한 다.
착용구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순환 발열부는 복수개의 히팅 영역으로 열을 전달한다(S420). 순환 발열부는 전열선이나 온수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하여 배치된다. 히팅 영역은 허벅지 부분에 해당하는 허벅지 히팅 영역, 무릎에서 발목에 해당하는 중간 히팅 영역 및 발목에서 발을 덮는 부분에 해당하는 발 히팅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히팅 영역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감지부에서는 히팅 영역들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S430). 온도 감지부는 각각의 히팅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온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온도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리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열의 발열량을 조절한다(S440). 이때, 발 히팅 영역의 온도는 나머지 히팅 영역들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온도로 설정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온도를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의 체온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온도를 유지하는 발 히팅 영역은 일정 시간 이후에 자동적으로 상기 제2 온도로 낮추며, 제2 온도란 사람의 체온 온도보다 약간 높고 제1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를 의미한다(S450). 따라서, 취침 중에도 히팅 영역의 온도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취침에 적당한 적정 온도로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족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 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족열기의 온도 조절 방법은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히팅 영역을 포함하는 착용구를 제공하는 단계(S510)를 구비한다.
착용구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순환 발열부는 복수개의 히팅 영역으로 열을 전달한다(S520). 순환 발열부는 전열선이나 온수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하여 배치된다. 히팅 영역은 허벅지 부분에 해당하는 허벅지 히팅 영역, 무릎에서 발목에 해당하는 중간 히팅 영역 및 발목에서 발을 덮는 부분에 해당하는 발 히팅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감지부에서는 히팅 영역들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S530). 온도 감지부는 각각의 히팅 영역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온도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 신호를 온도 제어부에 전달한다.
그리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열의 발열량을 조절한다(S540). 이때, 발 히팅 영역의 온도는 나머지 히팅 영역들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온도로 설정된다.
그리고, 사람의 체온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제1 온도를 유지하는 발 히팅 영역은 일정 시간 이후에 자동적으로 체온 온도로 낮춘다(S550). 따라서, 사용자가 취침을 한 후에, 족열기의 온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뜨거운 온도를 계속 전달하지 않고, 족열기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14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족열기는 착용구(410), 순환 발열부(420), 원적외선 부재(440) 및 타이머 소자(450)을 구비한다.
순환 발열부(420)는 착용구(410)에 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온도 제어부(422), 온도 감지부,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 온도 조절 스위치, 순환 펌프(427), 보일러 탱크(428), 수압 조절부 및 수압 조절 스위치, 온수관(4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환 발열부(420)는 착용구(410)에 전체적으로 온열을 전달하여 두한 족열의 효과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착용구(410)에는 전체적으로 온수관(430)이 장착되고, 보일러 탱크(428)에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관(430)을 따라 이동하면서 착용구(410)에 온열을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순환 펌프를 생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 발열부(420)에 장착되는 타이머 소자(45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을 체크하며, 온도 제어부(4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시간이 되면 타이머 소자(450)에서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온도 제어부(422)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가 잠이 들기 까지의 시간을 미리 판단하여 설정한 시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온도 제어부(422)에서 순환 발열부(420)가 제1 온도(T1)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순환 발열부(420)는 온수관(430)을 통해서 착용구(410)에 전달하는 온도가 제1 온도(T1)이 되도록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타이머 소자가 아닌 움직임 센서를 대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센서는 착용구 안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되고,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잠이 든 것이라 판단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외의, 착용구, 온도 제어부, 온도 감지부, 온도 감지부 조절 스위치, 온도 조절 스위치, 타이머 소자 및 리모컨은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착용구(410) 및 착용구(410)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열을 전달하는 순환 발열부를 제공한다(S610).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착용구는 히팅 영역들을 구별하여 각각의 히팅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잠든 다음에, 온도 제어부(422)가 순환 발열부(420)의 온도를 제1 온도(T1)로 상승시킨다(S620). 또한, 사용자가 잠든 시간은 타이머 소자(45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온도(T1)은 대략 섭씨 40도 정도로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따뜻한 온기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취침한 이후에 순환 발열부(420)가 작동되므로 사용자가 취침하기 전에 제1 온도(T1)로 순환 발열부(420)의 온도를 상승시키면, 사용자가 더워서 잠을 이루지 못할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제1 주기 동안 상기 순환 발열부(420)를 제1 온도(T1)로 유지시킨다(S630). 이때, 제1 주기는 2시간으로 설정하여 2시간 동안 순환 발열부(420)를 제1 온도(T1)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1 주기를 다양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주기 경과 후, 순환 발열부(420)를 제1 온도(T1)보다 낮은 제2 온도(T2)로 하강시킨다(S640). 이때, 타이머 소자(450)를 이용하여 상기 주기를 체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별도의 타이머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제2 온도(T2)는 사람의 신체 온도와 동일한 대략 섭씨 33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취침 전에, 순환 발열부(420)를 사람의 신체 온도인 대략 33도의 온수를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취침한 후에는 순환 발열부(420)를 제1 온도(T1)로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순환 발열부(420)의 동작을 오프 시켜 서서히 순환 발열부(420)내부의 온수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잠든 다음에, 온도 제어부가 순환 발열부의 온수 온도를 제1 온도(T1)로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1 주기 시간 동안 순환 발열부의 온도를 제1 온도(T1)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1 주기 경과 후에는 순환 발열부의 동작을 오프 시켜 서서히 순환 발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의 온도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취침한 이후에 족열기가 작동되므로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잠을 설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족열기를 통해 혈액 순환 등의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족열기가 작동된 이후에도, 온도가 소정의 시간을 두고 제1 온도(T1)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제2 온도(T2)로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사용자에게 높은 온도의 열이 계속적으로 전달되면서 발생하는 악영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높은 온도의 열을 신체의 부위에 계속 가하게 되면 백혈구 및 적혈구를 파괴하거나, 사용자에게 자고 일어나면 머리가 무겁고 피로감 등을 제공하는 등의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발은 따뜻하게 하고 머리는 시원하게 하는 두한족열의 원리를 구현하므로 사람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간장병, 당뇨병치료, 과 지방을 배출하고, 피하지방을 줄이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신체의 발 형상에 대응하여 제조되므로 착용한 후 편하게 이동할 수 있고, 착용구의 두께도 종래의 족열기에 비해 매우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족열기의 이동이 편리하여 어느 장소에서나 사용할 수 있 고, 족열기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이 없으므로 사용자가 취침하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족열기는 일부분이 아닌 발 전체를 덮기 때문에 보온성이 종래의 족열기에 비하여 뛰어나고, 외부에서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최적 온도로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족열기를 착용하고 취침할 수 있으며, 취침 중에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 이후에 각 히팅 부분의 온도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한 부위에 뜨거운 온도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발 및 다리 일부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에 가열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열 공급부;
    상기 착용구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순환되고, 상기 열 공급부에서 상기 액체가 순환하여 상기 착용구에 열을 전달하는 온수관; 및
    상기 온수관의 경로를 따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착용구에 원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원적외선 부재;를 구비하는 족열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은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가 상기 착용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착용구의 상부로 상기 액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열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부는 상기 온수관을 통하여 액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펌프;
    상기 액체를 가열하여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제어부; 및
    상기 온수관으로 상기 액체를 공급 및 회수하여 액체를 저장하는 보일러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열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 공급부는 상기 액체의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 조절부; 및
    상기 수압 조절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수압 조절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열기.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50072629A 2005-01-20 2005-08-09 족열기 KR100811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285 2005-01-20
KR20050005285 2005-01-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124A Division KR20070027666A (ko) 2007-01-29 2007-01-29 족열기 및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777A KR20060084777A (ko) 2006-07-25
KR100811149B1 true KR100811149B1 (ko) 2008-03-07

Family

ID=3717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629A KR100811149B1 (ko) 2005-01-20 2005-08-09 족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034A (ko) * 2021-03-19 2022-09-27 맥스타산업주식회사 다리 미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682B1 (ko) * 2018-12-24 2021-07-12 조수연 급속 발열장치가 구비된 손발 온찜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20Y1 (ko) 2004-09-10 2004-12-17 소환식 족열기
KR200414834Y1 (ko) 2006-01-23 2006-04-26 이명수 족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620Y1 (ko) 2004-09-10 2004-12-17 소환식 족열기
KR200414834Y1 (ko) 2006-01-23 2006-04-26 이명수 족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034A (ko) * 2021-03-19 2022-09-27 맥스타산업주식회사 다리 미용 장치
KR102572142B1 (ko) * 2021-03-19 2023-08-30 맥스타산업(주) 다리 미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777A (ko) 200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058B1 (ko)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JP5816377B2 (ja) 温熱治療器用の身体体型の判断方法
KR20090119424A (ko) 온열 마사지 기구
KR100811149B1 (ko) 족열기
KR20070027666A (ko) 족열기 및 족열기의 온도조절방법
KR101767374B1 (ko) 온열 마사지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339805A (ja) マット状器具
KR200459795Y1 (ko) 간편사용식 온구형 온열찜질기
KR100764626B1 (ko) 온열 치료기의 온도제어방법
KR100811150B1 (ko) 안열기
JPH11178875A (ja) マッサージ機
KR20070029222A (ko) 안열기 및 안열기의 온도조절방법
US11672692B2 (en) Heating device
KR101595013B1 (ko) 온열 기능을 갖는 발 받침대
CN105266945A (zh) 一种汗蒸理疗床
KR100811151B1 (ko) 수면 장치 및 수면 장치의 온도조절방법
KR20070029775A (ko) 수면 장치 및 신체 착용구
KR20070037576A (ko) 가열 치료 장치
KR101759788B1 (ko) 온열기능이 구비된 화로부인
KR101472553B1 (ko) 건식사우나기
KR101359447B1 (ko) 수정체를 이용한 건식 힐링 안마욕조장치
KR200358548Y1 (ko) 반신욕 기능을 구비한 온열 매트
KR20090008324U (ko) 발열 발매트
KR200302603Y1 (ko) 뜸질기의 겸용 사용이 가능한 돌침대용 보료
KR100531738B1 (ko) 족탕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