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659B1 -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659B1
KR100810659B1 KR1020060092672A KR20060092672A KR100810659B1 KR 100810659 B1 KR100810659 B1 KR 100810659B1 KR 1020060092672 A KR1020060092672 A KR 1020060092672A KR 20060092672 A KR20060092672 A KR 20060092672A KR 100810659 B1 KR100810659 B1 KR 10081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ontact
contact arm
backlight lamp
actuator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은 하우징(1)과, 액츄에이터(2)와, 터미널(4)을 포함한다.
하우징(1)은, 제1 측벽(120a)과 제2 측벽(120b)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측벽(120a)과 제2 측벽(120b)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 연장부(14a)와 제2 연장부(14b)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2)는, 상기 제1 연장부(14a)와 제2 연장부(14b)를 따라 각각 안내되어 이동하는 제1 측부(29a) 및 제2 측부(29b)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하우징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되어 있는 벌림부(250)를 포함한다.
터미널(4)은, 베이스부(41)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 연장하는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에는 각각 서로를 향해 마주 보며 연장하는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 사이에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가 배치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에는, 상기 액츄에이터(2)가 상향 이동할 때에 상기 벌림부(250)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이 서로에 대해 이격하도록 벌어지게 하는 벌림 접촉부(46a, 46b)가 제공된다.
백라이트 램프, 터미널, 액츄에이터

Description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Socket for Holding Backlight Lamp}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의 개방 상태에서의 일부 단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의 폐쇄 상태에서의 일부 단면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작동력이 저감되고 작동시 분진 발생의 우려가 낮은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관한 것이다. 또한 터미널과 CCFL전극의 접촉면적을 넓혀서 접촉저항에 의해 전국에서 발생하는 열을 낮추고 고압전류에 의한 번트(bunt)현상을 방지하는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관한 것이다.
LCD는 자체 발광이 불가능하여 외부 광원이 필요한데, 이러한 외부 광원으로 서 소위 백라이트를 설치한다. 백라이트에는 복수 개의 램프가 설치되는데, 이 복수 개의 램프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어 회로 등이 제공되는 인쇄 회로 기판 등과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를 전기적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기 위해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제품은 고정 소켓이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이동할 때에 터미널과 터미널 벌림부의 접촉에 의해 분진이 발생할 수 있고, 작동력이 큰 단점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을 유지하는 터미널의 베이스의 유지력이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과 다른 구조의 신규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은 하우징(1)과, 액츄에이터(2)와, 터미널(4)을 포함한다.
하우징(1)은, 제1 측벽(120a)과 제2 측벽(120b)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측벽(120a)과 제2 측벽(120b)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 연장부(14a)와 제2 연장부(14b)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2)는, 상기 제1 연장부(14a)와 제2 연장부(14b)를 따라 각각 안내되어 이동하는 제1 측부(29a) 및 제2 측부(29b)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였을 때 에 상기 하우징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되어 있는 벌림부(250)를 포함한다.
터미널(4)은, 베이스부(41)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 연장하는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에는 각각 서로를 향해 마주 보며 연장하는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 사이에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가 배치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에는, 상기 액츄에이터(2)가 상향 이동할 때에 상기 벌림부(250)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이 서로에 대해 이격하도록 벌어지게 하는 벌림 접촉부(46a, 46b)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10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100)은 하우징(1)과, 액츄에이터(2)와, 터미널(4)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100)은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형태의 것이다.
하우징(1)은, 제1 측벽(120a)과 제2 측벽(120b)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측벽(120a)과 제2 측벽(120b)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 연장부(14a)와 제2 연장부(14b)를 포함한다. 하우징(1)의 제1 몸체부 내측에는 백라이트 램프(도시되지 않음)의 접속 단부가 놓이게 된다.
액츄에이터(2)는, 상기 제1 연장부(14a)와 제2 연장부(14b)를 따라 각각 안내되는 제1 측부(29a)와 제2 측부(29b)와, 상기 하우징(1)에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하우징(1)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되어 있는 벌림부(25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을 보면 제2 측부(29b)의 외측에 각각 돌기(231b, 233b)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측부(29a)의 외측에도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벌림부(250)는 액츄에이터(2)의 전벽에 형성되어 있다.벌림부(250)의 양측에는 경사부(25a, 25b)가 형성되어 있는데, 액츄에이터(2)의 상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2)의 위쪽에는, 액츄에이터(2)가 하향 이동할 때에 후술하는 터미널(4)의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에 접촉하여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이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경사 안내부(26a, 2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2)의 위쪽에는, 터미널 닫힘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는데, 터미널 닫힘부(22a, 22b)는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를 서로를 향해 압박하여 백라이트 램프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터미널(4)은 베이스부(41)와, 상기 베이스부(41)에서 상향 연장하는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41)는 하우징과의 연결을 위한 체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베이스부(41)에 있는 레그(45)는 전원이 인가되어지는 PCB와 솔더링되어 통전 가능하게 하는 역할 을 한다.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에는 각각 서로를 향해 마주 보면 연장하는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이 제공된다.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에는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를 수용하여 직접 접촉하는 오목부(44a, 44b)가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경사 안내부(26a, 26b)에 접촉하여 안내되는 피안내부(47a, 47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탄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에는 벌림 접촉부(46a, 46b)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벌림 접촉부(46a, 46b)는 전술한 경사부(25a, 25b)에 접촉하여 제1 탄성 접촉암(42a)과 제2 탄성 접촉암(42b)를 벌어지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벌림 접촉부(46a, 46b)는 뒤쪽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으로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크(3)는 하우징(1)의 하부에 결합하여, 통전 접점부의 납땜부에 계지되어 균형을 잡아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후크(3)는 PCB와 솔더링되어 상기 레그(45)의 반대편에서 지지 되어 제품의 균형 및 견고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100)의 개방 상태의 일부 단면이 표시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개방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2)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 된다. 도 2에는 액츄에이터(2)의 우측이 잘 도시되어 있어 우측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좌측도 동일하게 이해하면 된다. 액츄에이터(2)를 밀어 올리면 돌기(231b)가 제2 연장부(14b)를 통과하여 지나가서 도 2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벌림부(250)의 경사부(25a, 25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4)의 벌림 접촉부(46a, 46b)에 접촉하게 되는데, 경사부(25a, 25b)가 위쪽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벌림 접촉부(46a, 46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 사이에 유지되어 있던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도시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뺄 수 있는 상태 또는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돌기(233b)의 제2 연장부(46b)측 단부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2 연장부(46b)를 통과하기 어렵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100)의 폐쇄 상태의 일부 단면이 표시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개방 상태에서 화살표 A 방향 즉 하우징쪽으로 액츄에이터(2)를 밀면, 돌기(231b)가 제2 연장부(14b)를 타고 넘어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액츄에이터(2)의 제1 측부(29a)와 제2 측부(29b)는 하우징의 턱에 걸려서 더 이상의 하향 이동이 제한된다.
액츄에이터(2)를 하측으로 밀면, 경사부(25a, 25b)와 벌림 접촉부(46a 46b)와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서,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의 피안내부(47a, 47b)가 경사 안내부(26a, 26b)에 의해 안내된 후, 터미널 닫힘부(22a, 22b)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를 서로를 향해 밀어서 폐쇄 상태가 되게 하며, 이 상태에서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도시되지 않 음)는 제1 접촉편(49a)과 제2 접촉편(49b)의 오목부(44a, 44b)에 의해 확고하게 유지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백라이트 램프 단자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에 터미널 벌림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터미널 벌림부와 터미널간의 마찰에 의한 분진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첨부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다.

Claims (4)

  1.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에 있어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연장하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따라 각각 안내되어 이동하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와,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하우징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되어 있는 벌림부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향 연장하는 제1 탄성 접촉암과 제2 탄성 접촉암을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 접촉암과 제2 탄성 접촉암에는 각각 서로를 향해 마주 보며 연장하는 제1 접촉편과 제2 접촉편이 제공되며,
    상기 제1 접촉편과 제2 접촉편 사이에 백라이트 램프의 단자가 배치되어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탄성 접촉암과 제2 탄성 접촉암에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향 이동할 때에 상기 벌림부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탄성 접촉암과 제2 탄성 접촉암이 서로에 대해 이격하도록 벌어지게 하는 벌림 접촉부가 제공되는,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편과 제2 접촉편은 평탄한 형상인,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벌림부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가 상기 벌림 접촉부에 접촉하여 상기 제1 탄성 접촉암과 제2 탄성 접촉암이 서로에 대해 이격하도록 벌어지게 하는,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액츄에이터가 하향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편과 제2 접촉편에 접촉하여 제1 탄성 접촉암과 제2 탄성 접촉암을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키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20060092672A 2006-09-25 2006-09-25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1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672A KR100810659B1 (ko) 2006-09-25 2006-09-25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672A KR100810659B1 (ko) 2006-09-25 2006-09-25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659B1 true KR100810659B1 (ko) 2008-03-07

Family

ID=3939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672A KR100810659B1 (ko) 2006-09-25 2006-09-25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6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638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Tec Corp インタロック付きランプソケット
KR20030083079A (ko) * 2002-04-19 2003-10-3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직하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JP2005259370A (ja)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KR20050098430A (ko) * 2004-04-07 2005-10-12 (주) 에스이티 광고 간판용 형광램프 소켓 결합구조
KR100540214B1 (ko) 2005-07-20 2005-12-29 주식회사 연호전자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5638A (ja) 1998-12-25 2000-07-14 Toshiba Tec Corp インタロック付きランプソケット
KR20030083079A (ko) * 2002-04-19 2003-10-30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직하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조
JP2005259370A (ja) 2004-03-09 2005-09-22 Avenir Electronics International Co Ltd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
KR20050098430A (ko) * 2004-04-07 2005-10-12 (주) 에스이티 광고 간판용 형광램프 소켓 결합구조
KR100540214B1 (ko) 2005-07-20 2005-12-29 주식회사 연호전자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6128A (ko) 전력 커넥터
EP1811615A3 (en) Safety lampholder
JP2011134660A (ja) Zifコネクタ
KR100810659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10657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BRPI0508851A (pt) módulo de telecomunicações
KR100799563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76227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780736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799548B1 (ko) 백라이트 램프 단자 고정 소켓
JP4038994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799554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780708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61105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100063852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소켓 베이스 램프조립체
KR100842707B1 (ko)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KR100771000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42709B1 (ko) 백라이트램프 고정 소켓
KR100849026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463675Y1 (ko) 전자기기용 커넥터
KR200318521Y1 (ko) 전력 커넥터용 개량소켓구조
KR20000074891A (ko) 전자렌지의 안전장치
JP2006202674A (ja) コネクタ
KR0134371Y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일체형 시일드 케이스장치
JP2006196356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